장각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각류는 용각아목에 속하는 공룡 분류군으로, 플라테오사우루스보다 살타사우루스에 더 가까운 종들을 포함한다. 마소스폰딜루스과, 리오자사우루스과, 용각류 등이 장각류로 분류된다. 장각류의 계통 분류는 연구에 따라 차이를 보이며, 리오자사우루스과, 마소스폰딜루스과, 안키사우루스류를 포함하거나, 용각류형류를 포함하는 분지도가 제시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각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Massopoda |
| 명명자 | Yates, 2007년 |
| 어원 | 라틴어 massa (덩어리) + 그리스어 πους (pous, 발) |
| 생존 시기 | 트라이아스기 후기 - 백악기 후기 ( 백만 년 전) |
| 하위 그룹 | |
| 하위 그룹 | †추시옹고사우루스 †이그나부사우루스 †무산크와 †사라사우루스 †튀빙고사우루스 †리오하사우루스과 †마소스폰딜루스과 †용각아목 유사형류 †징샨고사우루스? †리슐롱 †첸롱 †세이타드? †싱시울롱 †윤나노사우루스? †안키사우루스류 |
2. 분류
장각류는 2007년 애덤 M. 예이츠(Adam M. Yates)가 플라테오사우루스보다 살타사우루스에 더 가까운 용각아목 속들을 포함하는 분기군으로 정의했다.[8] 장각류에는 마소스폰딜루스과, 리오자사우루스과 등이 포함된다.[9] 예이츠는 마소포다(Massopoda)를 판룡류에 할당하면서, 마소스폰딜루스를 포함하는 마소스폰딜리과와 리오하사우루스를 포함하는 리오하사우루스과, 그리고 용각류를 포함시켰다.[6]
2020년 올리버 W. M. 라우후트(Oliver W. M. Rauhut)와 그의 동료들이 제시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7]
{| class="wikitable"
|-
! 마소포다
|-
|
{| class="wikitable"
|-
|
| 에우크네메사우루스 |
| 리오하사우루스 |
|-
|
{| class="wikitable"
|-
| ''사라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마소스폰딜리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유난노사우루스''
|-
|
징산노사우루스 ![]() |
| 세타드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콜로라디사우루스''
|-
|
글라시아리사우루스 ![]() |
| 루펭고사우루스 |
|}
|-
|
{| class="wikitable"
|-
| ''마소스폰딜루스'' 
|-
|
| 아데오파포사우루스 |
| 레예사우루스 |
|}
|}
|}
|}
|-
! 용각류형류
|-
|
{| class="wikitable"
|-
| ''싱시롱''
|-
|
{| class="wikitable"
|-
|
| 안키사우루스 |
레오네라사우루스 ![]() |
|-
|
{| class="wikitable"
|-
| ''무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아르도닉스''
|-
|
{| class="wikitable"
|-
| ''세파파노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메로크테노스''
|-
|
{| class="wikitable"
|-
| ''멜라노로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카멜로티아''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레셈사우루스''
|-
|
안테토니트루스 ![]() |
| 인젠티아 |
|}
|-
|
{| class="wikitable"
|-
| ''블리카나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풀라네사우라''
|-
|
{| class="wikitable"
|-
| ''공셴노사우루스''
|-
|
{| class="wikitable"
|-
| ''슐라이트하이미아''
|-
|
{| class="wikitable"
|-
| ''이사노사우루스''
|-
|
| 타주다사우루스 |
용각류 ![]() |
|}
|}
|}
|}
|}
|}
|}
|}
|}
|}
|}
|}
|}
|}
|}
|}
|}
|}
|}
|}
2. 1. 계통 분류
장각류의 계통 분류는 학자마다 조금씩 다른 견해를 보인다. 2007년 애덤 M. 예이츠(Adam M. Yates)는 플라테오사우루스보다 살타사우루스에 더 가까운 속들을 장각류로 분류했다.[8]2011년 세실리아 아팔데티(Cecilia Apaldetti) 외의 연구에서는 리오자사우루스과, 마소스폰딜루스과, 안키사우루스류를 포함하는 분지도를 제시했다.[10]
2011년 페르난도 E. 노바스(Fernando E. Novas) 외의 연구에서는 리오자사우루스과, 마소스폰딜루스과, 안키사우루스류를 포함하며, 윤나노사우루스와 징샤노사우루스를 안키사우루스류 밖에 배치한 분지도를 제시했다.[11]
용각하목, 마소스폰딜루스과와 리오자사우루스과가 장각류로 분류된다.[9] 예이츠는 마소포다(Massopoda)를 판룡류에 할당하면서, 마소스폰딜루스를 포함하는 마소스폰딜리과와 리오하사우루스를 포함하는 리오하사우루스과, 그리고 용각류를 할당했다.[6]
2020년 올리버 W. M. 라우후트(Oliver W. M. Rauhut)와 그의 동료들은 마소스폰딜루스과, 용각류형류를 포함하는 분지도를 제시했다.[7] 이처럼 장각류 내부의 계통 관계와 장각류에 속하는 하위 분류군에 대한 정의는 연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조
[1]
논문
The complete anatom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ntetonitrus'' ingenipes (Sauropodiformes, Dinosauria): Implications for the origins of Sauropoda
[2]
논문
A New Basal Sauropodomorph (Dinosauria: Saurischia) from Quebrada del Barro Formation (Marayes-El Carrizal Basin), Northwestern Argentina
[3]
논문
A new Late Triassic sauropodomorph dinosaur from the Mid-Zambezi Basin, Zimbabwe
[4]
논문
The largest sauropodomorph skull from the Lower Jurassic Lufeng Formation of China
[5]
논문
Solving a dinosaurian puzzle: the identity of ''Aliwalia rex'' Galton
[6]
논문
The first complete skull of the Triassic dinosaur ''Melanorosaurus'' Haughton (Sauropodomorpha: Anchisauria)
[7]
논문
A derived sauropodiform dinosaur and other sauropodomorph material from the Late Triassic of Canton Schaffhausen, Switzerland
2020
[8]
논문
Solving a dinosaurian puzzle: the identity of ''Aliwalia rex'' Galton
[9]
논문
The first complete skull of the Triassic dinosaur ''Melanorosaurus'' Haughton (Sauropodomorpha: Anchisauria)
[10]
논문
A New Basal Sauropodomorph (Dinosauria: Saurischia) from Quebrada del Barro Formation (Marayes-El Carrizal Basin), Northwestern Argentina
http://www.plosone.o[...]
[11]
간행물
New dinosaur species from the Upper Triassic Upper Maleri and Lower Dharmaram formations of central India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