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화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성화물선은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노선으로, 노선 거리는 3.6km이다. 1435mm 표준궤를 사용하며, 안평역과 장성화물역 2개의 역이 있다. 2005년 6월 22일 안평~장성화물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화물 전용 노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성화물선 - 안평역 (장성)
안평역은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읍에 위치한 호남선 철도역으로, 1959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호남선과 장성화물선이 지나고 백양사역과 장성역 사이에 위치한다. - 장성화물선 - 장성화물역
장성화물역은 2005년 6월 22일에 영업을 시작하여 2006년 6월 22일에 개업했으며, 한국철도공사 장성 화물선이 지나가는 역으로 안평역과 인접해 있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200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은 후쿠오카시 교통국이 운영하며 하시모토역에서 하카타역을 잇는 표준궤 복선 노선으로, 2005년 일부 개통 후 2023년 하카타역까지 연장되었고 향후 후쿠오카 공항 국제선 터미널까지의 연장이 검토되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 효창공원앞역
**핵심 정보:** *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이다. * 1929년 개통된 후 개명과 폐지 후, 2000년 6호선이 개통되었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여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다. * 6호선은 섬식 승강장,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요약:** 효창공원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과 경의·중앙선의 환승역으로, 1929년 개통 후 폐지되었다가 2000년 6호선, 2016년 경의·중앙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환승역이 되었으며, 6호선은 섬식, 경의·중앙선은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장성화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장성화물선 | |
노선명 | 장성화물선 |
한글 | 장성화물선 |
한자 | 長城貨物線 |
히라가나 | ちょうじょうかもつせん |
가타카나 | チャンソンファムルソン |
소재지 | 전라남도 장성군 |
종류 | 화물선 |
운영 상태 | 영업중 |
기점 | 안평역 (전라남도 장성군) |
종점 | 장성화물역 (전라남도 장성군) |
역 수 | 2 |
노선 번호 | 30404 |
개통일 | 2005년 6월 22일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영업 거리 | 3.6 km |
궤간 | 1,435mm (표준궤) |
선로 | 1 |
전철화 | 없음 |
복선 구간 | 없음 |
보안 장치 | ATS |
제원 비고 | 내용 |
2. 노선 정보
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장성화물선은 노선 거리 3.6km이다. 궤간은 1435mm 표준궤를 사용하며, 역은 2개이다. 전 구간 단선으로, 복선 구간 및 전철화 구간은 없다. 보안 장치는 ATS를 사용한다.
2005년 6월 22일 장성화물선 안평~장성화물 간 3.6km 구간이 개통되었다.[1]
거리
3. 연혁
2019년 4월 17일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0404로 변경되었다.[1]
4. 역 목록
(km)영업
거리
(km)접속 노선 소재지 비고 안평 Anpyeong 安平 0.0 0.0 호남선 전라남도 장성군 장성화물 Jangseonghwamul 長城貨物 3.6 3.6 화물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