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성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성군은 전라남도 북부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내륙 지역으로, 백제 시대에는 고시이현이었다. 고려 시대 장성현으로 강등되었다가 조선 시대 장성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896년 전라남도 장성군으로 개편되었다. 현재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1년 기준 인구는 약 4만 7천 명이다. 주요 문화 시설로는 백양사, 필암서원, 장성호 등이 있으며, 호남고속도로, 국도 1호선, 24호선 등이 지나 교통이 편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40년 설치 - 영광군 (전라남도)
    전라남도 영광군은 서부 최북단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군으로, 영광굴비, 백수해안도로, 불갑사 등의 관광지와 문화유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빛 원자력발전소가 위치하고 강항, 이낙연 등의 인물을 배출했다.
  • 940년 설치 - 안산군
    안산군은 현재의 안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수원시 일부를 포함하는 과거 경기도의 행정구역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존재하며 백제, 고구려, 신라를 거쳐 고려시대에 안산군으로 개칭되었고, 조선시대에는 인천부에 속했다가 경기도로 이관, 일제강점기에 폐지되었으나 안산시 승격으로 그 일부 지역이 안산시로 편입되어 역사적 흔적이 이어지고 있다.
  • 1413년 폐지 - 가평군
    경기도 북동부에 위치한 가평군은 북한강 유역의 청평호, 남이섬 등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아침고요수목원, 쁘띠프랑스 등의 관광 명소,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등으로 유명하며,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관광 산업 중심의 1읍 5면으로 이루어진 군이다.
  • 1413년 폐지 - 고려의 행정 구역
    고려는 중앙 집권 강화와 효율적 지방 통치를 위해 12목 설치, 8목 정비, 십도 설치, 5도 양계 확립, 삼경 설치, 4도호부 설치 등 시대에 따라 행정 구역을 변화시켰다.
  • 장성군 - 북이도서관
    북이도서관은 2014년 3월 26일에 개관하여 어린이자료실, 종합자료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어린이 프로그램과 문화 강좌를 제공하며 평일과 주말에 운영, 1인당 5권의 도서를 14일간 대출할 수 있는 도서관이다.
  • 장성군 - 삼계도서관
    삼계도서관은 2013년 12월 24일에 개관했으며, 1, 2층에 자료실, 열람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매주 금요일과 공휴일에 휴관한다.
장성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전라남도 장성군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고유 명칭장성군
로마자 표기Jangseong-gun
한글 표기장성군
한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표기Changsŏng-gun
지역호남
방언전라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1읍, 10면
면적518.65 km²
인구 (2024년 9월)42,129명
인구 밀도108명/km²
단풍나무
백양난
비둘기
장성군 엠블럼
장성군 깃발
행정
군수김한종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개호 (더불어민주당,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군청 소재지장성읍 영천로 200 (영천리 1061-2)
공식 웹사이트장성군청

2. 역사

장성군은 백제 때 고시이현(古尸伊縣)이었다. 당시 치소는 지금의 북일면 오산리였다. 757년(통일신라 경덕왕 16년) 갑성군(岬城郡)으로 개칭되었고, 구사진혜현(丘斯珍兮縣)과 소비혜현(所非兮縣)이 각각 진원현(珍原縣)과 삼계현(森溪縣)으로 개칭되어 갑성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년) 갑성군이 장성현(長城縣)으로 강등되어 삼계현과 함께 영광군의 속현이 되었고, 진원현(珍原縣)은 나주목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고려 명종 2년) 장성현과 진원현에 각각 감무가 파견되었다.

1409년(조선 태종 9년) 진원현의 마량향(마량부곡이라는 기록도 있다)이 폐지되었다. 1600년(조선 선조 33년) 임진왜란의 후유증으로 피폐해진 장성현과 진원현을 통합하여 장성현으로 하고, 치소를 장성 남쪽 20리, 진원 북쪽 20리 지점인 지금의 장성읍 성산리로 이전하였다. 1665년(조선 현종 6년) 장성현이 장성도호부로 승격하였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전주부 장성군으로 개편되었고,[12] 1896년 8월 4일 전라남도 장성군으로 개편되었다.[13] 1906년 창평군 갑향면과 영광군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 창평군 갑향면을 담양군에 이관하고, 영광군 삼북면(森北面)·내동면(內東面)·현내면(縣內面)을 합해 삼계면으로, 삼남면(森南面)·외서면(外西面)을 합해 삼서면으로, 외동면(外東面)과 함평군 대화면(大化面)을 합해 동화면으로 하여 장성군에 편입하여 13개면으로 하였다.[14] 1921년 장성군청을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930년 북삼면을 장성면에 합면하였다. 1943년 10월 1일 장성면장성읍으로 승격하고, 읍사무소를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였다.[15] 1975년 10월 1일 장성호 건설로 북상면을 폐지하였다.[16] 1983년 남면 삼태리 치촌마을을 광주광역시에 편입하였다.

3. 지리

장성군은 전라남도 북부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 사이에 있는 내륙지역이다. 동쪽으로는 담양군, 서쪽으로는 영광군, 남쪽으로는 광주광역시함평군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고창군, 순창군과 접해 있다. 특히 광주광역시 북부와 전북특별자치도 남부에 붙어있어 광주광역시전북특별자치도 사이의 중간지점 역할을 하고 있다. 영광군에 둘러싸여 서해안과는 멀리 떨어져 있다.

4. 행정 구역

장성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장성군의 면적은 518.5km2이며, 2011년 3월 31일 기준으로 인구는 20,840세대, 47,239명이다. 이 중 28.7%가 장성읍에 거주한다. 과거 인구가 가장 많았던 시기는 129,934명이었다.

장성군 행정구역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km2)
장성읍長城邑5,84813,55669.5
진원면珍原面1,4413,33528.3
남면南面1,7673,81928.4
동화면東化面1,5093,09628.8
삼서면森西面1,5093,09647.5
삼계면森溪面2,8107,19266
황룡면黃龍面2,0154,68744.7
서삼면西三面7801,72834.1
북일면北一面7761,65530.6
북이면北二面1,5363,28256.4
북하면北下面1,3702,52784.2
장성군長城郡20,84047,239518.5



각 읍면의 법정리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장성읍''': 기산리, 단광리, 덕진리, 백계리, 부흥리, 봉덕리, 상마리, 성산리, 수산리, 안평리, 야은리, 령천리, 용강리, 용곡리, 유탕리, 장안리
  • '''진원면''': 산동리, 산정리, 상림리, 선적리, 용산리, 율곡리, 진원리, 학림리, 학다리
  • '''남면''': 분향리, 행정리, 평산리, 삼대리, 마령리, 월곡리, 월정리, 덕성리, 녹진리
  • '''동화면''': 구룡리, 구림리, 남산리, 남평리, 동호리, 서양리, 송계리, 용정리, 월산리
  • '''삼서면''': 금산리, 대곡리, 대도리, 두월리, 보생리, 삼계리, 석마리, 소룡리, 수양리, 수해리, 우치리, 유평리, 학성리, 홍정리
  • '''삼계면''': 내계리, 릉성리, 덕산리, 발산리, 부성리, 사창리, 상도리, 생촌리, 수산리, 수옥리, 신기리, 월연리, 주산리, 죽림리, 화산리
  • '''황룡면''': 월평리, 장산리, 필암리, 아곡리, 금호리, 통안리, 맥호리, 관동리, 와우리, 황룡리, 옥정리, 와룡리, 신호리
  • '''서삼면''': 금계리, 대덕리, 모암리, 송현리, 용흥리, 장산리, 취암리
  • '''북일면''': 문암리, 박산리, 성덕리, 성산리, 신흥리, 오산리, 월계리
  • '''북이면''': 달성리, 만무리, 모현리, 백암리, 사거리, 수성리, 신월리, 신평리, 오월리, 원덕리, 조양리, 죽청리
  • '''북하면''': 단전리, 대악리, 대흥리, 덕재리, 동현리, 성암리, 신성리, 쌍웅리, 약수리, 용두리, 월성리, 중평리

5. 인구

장성군의 연도별 인구 추이는 다음과 같다.[17]

연도총인구
1960년118,558명
1966년129,934명
1970년117,544명
1975년115,859명
1980년94,869명
1985년81,631명
1990년61,838명
1995년52,179명
2000년49,703명
2005년42,029명
2010년38,507명


6. 상징

장성군의 꽃은 흰 버드나무이다. 나무는 단풍나무이다. 새는 비둘기이다.

7. 문화

백양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8교구 본사로, 백제 무왕 때 백암사로 개칭, 고려 덕종 때 중연선사가 중창 불사 후 정토사로 불렀다. 그러나 조선 선조 때 지완스님이 영천굴에서 설법을 할 때 흰 양이 자신의 죄를 용서받고 천상으로 올라갔다는 전설에 의해 백양사로 개칭하였다. 경내에는 보물인 소요대사부도를 비롯한 극락보전, 대웅전, 사천왕문, 청류암, 관음전 등의 건조물 문화재와 비자나무숲, 고불매 등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백양사가 위치한 백암산 백학봉 일원은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는 총림사찰이다.

필암서원(사적 제242호)은 1590년에 건립된 서원이다.

입암산성(사적 384호)

장성 황룡 전적(사적 406호)은 동학농민운동의 전적지이다.

장성호

남창계곡

방장산자연휴양림

모암산림욕장

축령산편백숲

황룡강 생태공원

홍길동테마파크 국궁체험장

평림댐 장미공원

월성계곡

장성호 문화예술공원

임권택 시네마테크는 임권택 감독의 삶과 작품세계를 조명하고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조성하였으며, 지상 3층 연면적 1,147m2의 규모로 건립되었다. 상영관과 전시관, 영화 관련 연구 및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였으며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내장산국립공원 - 내장산

백양사

장성군에서는 축령산 산소축제와 장성황룡강 노란꽃잔치가 열린다.

7. 1. 축제

장성군에서는 축령산 산소축제와 장성황룡강 노란꽃잔치가 열린다.

8. 교통

8. 1. 철도

호남선은 백양사역, 안평역, 장성역을 지난다. 장성화물선은 안평역에서 장성화물역으로 이어진다.

8. 2. 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는 장성군을 지나가며, 광주요금소, 장성 나들목, 장성 분기점, 백양사휴게소, 백양사 나들목이 있다. 고창-담양고속도로는 장성 분기점을 통해 호남고속도로와 연결된다.

8. 3. 국도

장성군에는 국도 1호선과 국도 24호선이 지난다.

9. 인물

김인후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로, 문묘에 종사되었다. 기정진은 조선 후기 성리학자이다. 기우만은 한말 유학자이자 의병장이며, 기삼연은 한말 의병장이다.

김황식은 전 국무총리를 지낸 정치인이다. 더불어민주당은 김황식 전 총리가 이명박 정부 시절 4대강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환경 파괴와 예산 낭비를 초래했다고 비판하며, 대법관 시절 국가보안법 위반 사건에서 유죄 판결을 내리는 등 보수적인 판결 성향을 보였다고 비판한다. 김효석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으로 제17대, 18대, 19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김상현은 6선 국회의원으로,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등에서 활동하며 민주화 운동과 호남 지역 발전에 기여했다. 박태영은 전 전남도지사로,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새정치국민회의 소속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와 복지 확충에 힘썼다.

변희봉은 영화배우이자 탤런트이며, 김병조는 희극인이자 방송인이다. 고영신은 대학교수이자 언론인이며, 고은아는 영화배우이자 탤런트이다. 미르는 가수이자 엠블랙의 멤버이다.

10. 2014년 화재 사고

2014년 5월 28일 자정 직후, 2007년에 개원한 장성의 397병상 규모 병원에서 큰 화재가 발생했다.[3] 이 화재로 환자 21명과 간호사 1명이 사망하고,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다.[3]

11. 자매 도시

장성군은 대한민국의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 중구
  • 함안군
  • 과천시

12. 수상

2009년 도시대상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토론이 있는 인터넷신문 - 데일리안 http://www.dailian.c[...]
[3] 뉴스 21 patients die in South Korea hospital blaze https://web.archive.[...] Asia Pacific Star 2014-05-28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ko: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1895-05-26
[6]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9] 법령 대통령령 제7817호 1975-09-23
[1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1]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12]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13]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97호 1943-09-29
[16] 법령 대통령령 제7817호 1975-09-23
[17]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18] 뉴스 그곳에 가면 내 몸에 녹색 피가 흐른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7-03
[19] 서적 전국여행 슈퍼정보 (주)교학사 2002-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