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연 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연 변씨는 당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온 변경을 시조로 하고, 변유녕을 중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장연 변씨는 황해도 장연을 본관으로 하며, 변처후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백형의 딸과 혼인하였고, 변사정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2,490명이며, 전라남도 장흥군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장연 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창연군
가문 정보
가명장연 변씨
종류씨족
국가조선
영지장연군
가조변경
씨족 정보
성씨장연 변씨 (長淵邊氏)
관향황해남도 장연군
시조변경(邊鏡)
중시조변유녕(邊有寧)
주요 인물변처후
변사정
인구 (2015년)2,490명
나라한국

2. 역사

당나라 문하습비후(門下習秘侯)로 신라에 들어와 대아찬을 지낸 변경(邊鏡)을 시조로 하고, 그의 증손자인 변유녕(邊有寧)을 중시조로 한다. 「장연변씨갑오보(長淵邊氏甲午譜)」에 의하면 변유녕은 1138년(고려 인종 16년) 중문지후(中門祗侯)로 연성부원군(淵城府院君)에 봉해지고 장연(長淵)에 정착하였다고 한다.[4]

9세손 변처후(邊處厚)가 1393년(태조 2년) 문과에 급제하고, 조선 태조 이성계의 백형인 이원계(李元桂)의 딸과 혼인하여[5] 1433년(세종 15년)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에 올랐다.[6]

변처후의 아들 변대해(邊大海)는 선공판사(繕工判事)를 역임하였다. 변대해의 현손인 변사정(邊士貞)이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며,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녹훈되었다.

3. 본관

장연(長淵)은 황해도 장연군의 지명이다. 고구려 때부터 장연으로 불리다가 1018년(고려 현종 9)에 옹진(甕津)에 속하였다. 조선 태종(太宗) 때 영강현(永康縣)과 합하여 연강(淵康)으로 개칭하였다가 1416년에 다시 장연으로 환원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 황해도 장연현의 토성(土姓)으로 (文)·(盧)·장(張)·변(邊)·임(任) 5성이 기록되어 있다.[7]

4. 항렬자

장연 변씨는 항렬자를 사용하여 세대 구분을 한다.[3]

22세24세25세
안(安)건(建)용(龍)


4. 1. 한국어 문서 항렬표

○세손232425262728293031323334
항렬자[3]규(圭)종(鍾)한(漢)식(植)섭(燮)재(在)현(鉉)태(泰)근(根)영(榮)호(浩)병(秉)
○세손3536373839404142434445
항렬자[3]훈(勳)철(喆)옥(鈺)영(永)상(相)병(炳)균(均)호(鎬)충(忠)재(載)탁(鐸)


4. 2. 일본어 문서 항렬표

○세손232425262728293031323334
항렬자[3]규(圭)종(鍾)한(漢)식(植)섭(燮)재(在)현(鉉)태(泰)근(根)영(榮)호(浩)병(秉)
○세손3536373839404142434445
항렬자[3]훈(勳)철(喆)옥(鈺)영(永)상(相)병(炳)균(均)호(鎬)충(忠)재(載)탁(鐸)


5. 집성촌

전라남도 장흥군[3]

6. 인구

연도인구
1985년2,467명
2015년2,490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장연변씨 長淵邊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3] 웹사이트 변씨(邊氏) 본관(本貫) 장연(長淵)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4] 웹인용 장연 변씨 http://www.jokbo.re.[...]
[5] 문서 태종실록 24권, 태종 12년 10월 26일 무인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문서 세종실록 61권, 세종 15년 윤8월 1일 신해 4번째기 http://sillok.histor[...]
[7] 문서 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황해도 해주목 장연현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