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연군은 황해남도에 위치한 군으로, 북쪽으로는 과일군, 송화군, 동쪽으로는 삼천군, 태탄군, 남쪽으로는 룡연군과 접하며, 서쪽으로는 황해와 인접해 있다. 과거에는 기독교가 일찍 전파되어 소래교회가 세워진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황해도에 속했다. 1952년 북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현재의 군역이 구성되었으며, 1읍, 1노동자구, 19리로 구성되어 있다. 황해선의 일부인 사장선 철도가 지나가며, 장연읍을 통과하는 고속도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남도의 군 - 과일군
    과일군은 북한 황해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군으로, 1967년 송화군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북한 과일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과일 산지이자 은률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다.
  • 황해남도의 군 - 송화군
    송화군은 황해남도 북서부 내륙에 위치하며 고구려 시대에는 마경이와 판마곶으로 불렸고, 조선 시대에는 송화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952년 군면리 통폐합으로 설치되어 현재 1읍 10리로 구성, 과일 재배가 활발하고 송화온천 등의 명승지가 있는 지역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평안북도
    평안북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위치하며, 신의주를 도청 소재지로 하여 3개의 시와 22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록강과 청천강을 주요 하천으로 하며 대륙성 기후를 보이는 도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성군
    창성군은 북한 평안북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경계로 중국과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대륙성 기후를 가진 군으로, 1952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농업, 잠업, 광업 등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장연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장연군 (長淵郡)
유형
소속황해남도
지리
면적405 ㎢
행정 구역
종류행정 구역
구성1읍 (장연읍), 1로동자구, 19리
인구 통계
총 인구 (2008년)91,422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2. 지리

북쪽으로 과일군, 송화군과 접하고, 동쪽으로는 삼천군, 태탄군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룡연군과 접한다. 서쪽은 황해에 면하며, 서해 방향으로 돌출한 반도인 장산곶이 있다. 장산곶은 과거 국방 요지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황해대청도를 중심으로 어업이 활발하다.

군의 중앙부를 불타산맥(佛陀山脈)이 가로지르며, 이 산맥의 서쪽 끝이 군의 최서단인 장산곶을 이룬다. 불타산맥을 기준으로 북쪽 지역(산북)은 대륙성 기후, 남쪽 지역(산남)은 해양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 장연군의 대부분 지역은 평야로 구성되어 있고, 산이 경계를 이룬다. 가장 높은 지점은 해발 609m의 불타산이다.[2]

3. 역사

조선 시대에 황해도에 속했으며, 장연현(長淵縣)이 설치되었다. 1895년 행정 구역 개편해주부 장연군이 되었다가, 1896년 다시 황해도 장연군으로 복귀하였다. 근대의 장연군은 현재의 룡연군태탄군 지역을 포함하는 넓은 지역이었다.

일찍이 기독교가 전파되어 19세기 말에는 한국 최초의 개신교 교회 중 하나로 꼽히는 소래교회가 세워지기도 했다(현재 룡연군 지역).[7]

일제 강점기를 거치고 1945년 광복 이후 분단과 한국 전쟁을 겪으며 행정 구역에 여러 변화가 있었다. 1952년 북한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군의 남부 지역이 룡연군태탄군으로 분리되면서 현재의 군역이 대체로 확정되었다.[4] 1954년 황해도가 황해북도황해남도로 분도되면서 황해남도에 속하게 되었다.[4] 이후 몇 차례의 행정 구역 명칭 변경과 조정이 있었다.

3. 1. 일제 강점기

일찍 기독교가 들어와 19세기 말 소래교회가 세워진 지역이다(현재 룡연군에 속함). 소래교회는 한국 최초의 개신교 교회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하는데,[7] 이는 평안북도 의주군에서 박해를 피해 장연군 소래마을로 이주한 신자들이 자발적으로 세운 교회였다.

1914년4월 1일, 일제의 군면 병합 정책에 따라 행정 구역이 조정되었다. 황해도송화군의 일부 지역이 장연군에 편입되었고, 반대로 장연군의 일부 지역은 송화군과 해주군으로 편입되었다. 이 개편으로 장연군에는 장연면, 락도면, 순택면, 속달면, 목감면, 후남면, 대구면, 룡연면, 신화면, 해안면, 백령면 등 11개 면이 설치되었다.

1926년 당시 장연군에는 개신교(야소교) 교회가 "면마다 촌마다 없는 곳이 없으며", 교회 수가 39곳에 달했고 교인은 3,200명에 이르렀다.[8] 가톨릭 신자 또한 500~600명 정도였다.[8]

1938년10월 1일에는 장연면이 장연읍으로 승격되어 1읍 10면 체제가 되었다.[9]

1945년8월 15일 해방 이후, 장연군은 소련군의 관리 아래 들어갔다. 그러나 백령면은 예외였다. 같은 해 9월 2일, 미국과 소련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면서 백령면을 제외한 장연군 전 지역이 소비에트 민정청의 관할이 되었다. 결국 1945년11월 3일, 미군 관리 하에 있던 백령면은 경기도 옹진군으로 편입되었다.[10] 이로써 미군 관리 하의 장연군은 사실상 사라졌다.

3. 2. 해방 이후

1945년 8월 15일 해방 이후, 소련군과 미군이 38선을 경계로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45년 9월 2일, 백령면을 제외한 장연군 전 지역은 소비에트 민정청의 관할 아래 들어갔다. 38선 이남에 위치하여 미군 관할 하에 있던 백령면은 1945년 11월 4일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10] 백령면(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포함)은 한국 전쟁 이후에도 대한민국의 통치 하에 남아 현재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해 있다.

북한 관할 지역에서는 1947년 장연읍이 장연면으로 강등되었다.[4] 1952년 12월, 북한의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장연군의 행정 구역이 크게 변경되었다.[4] 기존 장연군의 순택면, 신화면, 장연면, 락도면과 룡연면 일부, 그리고 송화군의 련이면 및 운유면 일부를 합쳐 새로운 '''장연군'''이 설치되었다. 이 과정에서 군 서남부의 낙도면, 용연면, 대구면, 해안면은 룡연군으로, 군 동남부의 목감면, 속달면, 후남면은 태탄군으로 각각 분리되었다. 개편 당시 장연군은 장연읍과 20개 리(산천리, 송경리, 명천리, 청계리, 화원리, 산수리, 학림리, 창파리, 태자리, 광천리, 금사리, 백촌리, 추화리, 삼산리, 박산리, 눌산리, 세마리, 락흥리, 석장리, 선정리)로 구성되었다.

1952년 말, 송경리가 락연노동자구로 승격하여 1읍 1노동자구 19리가 되었다.[4] 1954년 10월, 황해도가 황해북도황해남도로 분할되면서 장연군은 황해남도에 속하게 되었다.[4] 이후 몇 차례 행정 구역 명칭 변경이 있었다.[4] 1981년 10월에는 태자리가 샘물리로 이름이 바뀌었고, 1990년 6월에는 산천리의 일부가 락연노동자구에 편입되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백촌리가 해안리로 개칭되었다.

2024년 7월 1일, 장연군 내에서 미사일 발사 실험이 있었다.[5]

3. 3. 북한 통치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소련군38선 이북 지역에 진주하면서 백령면을 제외한 장연군 전 지역이 소비에트 민정청의 관할 아래 들어갔다.[10] 38선 이남에 위치하여 미군정 관할 하에 들어간 백령면은 1945년 11월 4일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10] 백령면의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는 한국 전쟁 이후에도 대한민국의 통치 하에 남아 현재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소속되어 있다.

소련 군정 하에서 1947년에는 기존의 장연읍이 장연면으로 강등되었다.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후인 1952년 12월,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이 개편으로 기존 장연군의 남서부 지역(낙도면, 용연면, 대구면, 해안면)이 룡연군으로, 남동부 지역(목감면, 속달면, 후남면)이 태탄군으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 동시에 기존 장연군의 북부 지역(순택면, 신화면, 장연면, 락도면 및 룡연면 일부)과 송화군의 일부(련이면, 운유면 일부)를 합쳐 새로운 '''장연군'''이 구성되었다.[4]

1952년 개편 당시 장연군의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4]

행정구역 종류명칭
장연읍(長淵邑)
산천리(山川里), 송경리(松境里), 명천리(鳴川里), 청계리(淸溪里), 화원리(花院里), 산수리(山水里), 학림리(鶴林里), 창파리(蒼波里), 태자리(汰子里), 광천리(廣天里), 금사리(金沙里), 백촌리(白村里), 추화리(秋花里), 삼산리(三山里), 박산리(礡山里), 눌산리(訥山里), 세마리(細馬里), 락흥리(樂興里), 석장리(石長里), 선정리(仙亭里)



개편 직후인 1952년 말, 송경리가 락연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4] 1954년 10월에는 황해도황해북도황해남도로 분도되면서 장연군은 황해남도 소속이 되었다.[4] 이후 몇 차례의 행정구역 명칭 변경 및 조정이 있었다. 1981년 10월에는 태자리가 샘물리로 개칭되었고,[4] 1990년 6월에는 산천리의 일부가 락연노동자구에 편입되었으며,[4] 같은 해 9월에는 백촌리가 해안리로 개칭되었다.[4]

2024년 7월 1일에는 장연군 내에서 탄도 미사일 발사 실험이 이루어졌다.[5]

4. 행정 구역

장연군은 1개의 (''ŭp''), 1개의 노동자구(''rodongjagu'')와 19개의 (''ri'')로 구성되어 있다.[3]

한글 명칭한자 명칭
장연읍長淵邑
락연로동자구樂淵勞動者區
창파리滄波里
청계리淸溪里
추화리秋花里
해안리海岸里
학림리鶴林里
화원리花園里
금사리金沙里
광천리鑛泉里
명천리明川里
눌산리訥山里
박산리礡山里
락흥리樂興里
샘물리샘물리한국어
삼산리三山里
산천리山川里
산수리山水里
세마리細馬里
석장리石長里
선정리仙亭里


5. 교통

황해선의 일부인 사장선(沙長線), 즉 장연선 철도가 장연읍과 낙도면을 통과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소속의 장연선이 이 지역을 지나며, 군 내에는 라굔역과 장연역이 있다. 또한, 장연읍을 관통하는 고속도로가 있다.

6. 출신 인물


  • 노천명 (1912년 ~ 1957년): 시인. 장연군 순택면(현 순택리) 출신이다.
  • 유경환 (1936년 ~ ?): 시인. 장연군 출신이다.
  • 김국향 (1993년 ~ ): 북한역도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0-03-10
[3] 웹사이트 중앙일보 -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 https://web.archive.[...] 2010-03-10
[4] 웹사이트 황해남도 장연군 역사 http://www.cybernk.n[...]
[5] 웹사이트 北朝鮮のミサイル実験失敗か、平壌付近に落下した可能性も https://www.cnn.co.j[...] CNN 2024-07-02
[6]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7] 뉴스인용 한국 최초의 감리교회는 어디인가요. 지역별로 소개해주세요. http://www.kmctimes.[...] 기독교타임즈 2007-01-17
[8] 뉴스 巡廻探訪 (百四) 山南山北에 氣候가判異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6-10-13
[9] 법률 부령 제197호 1938-09-27
[10] 법률 시, 도직제 1945-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