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우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우성은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한국화가로, 김은호에게 사사받아 1932년 조선미술전람회 입선으로 등단했다. 서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교수를 역임하며 후학을 양성했고,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하며 문화훈장을 받았다. 문인화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변용하여 한국화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일제강점기 말 친일 행적에 대한 논란이 있다.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포함되었으나,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명단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장우성이 그린 유관순의 표준영정은 친일 논란으로 교체 주장이 있었고, 윤여환 교수가 새로 제작한 영정이 2007년에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양 장씨 - 장현성
장현성은 1997년 영화 《백수스토리》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예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며 여러 연기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 배우이다. - 단양 장씨 - 장하나 (1977년)
장하나(1977년)는 연세대학교에서 사회학 및 철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민주통합당 비례대표로 제19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새정치민주연합 정책위원회 부의장, 민주당 청년담당 원내부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국정감사 우수의원으로 선정되었으나, 청년고용촉진특별법 개정안 발의 및 대통령 사퇴 요구 등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일제강점기의 화가 - 나혜석
나혜석은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신여성, 작가, 여성운동가로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자유로운 삶을 주장하며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으나, 진보적인 사상과 예술적 업적은 최근 재평가되고 있다. - 일제강점기의 화가 - 김영기 (화가)
김영기는 해강 김규진의 아들이자 전통 한국화 기법에 현대적 감각을 더해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한 동양화가로,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후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한국 추상화 발전에 기여했고, 서울시민상과 은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김기진
김기진은 팔봉이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문학평론가, 소설가, 시인으로, KAPF에서 활동하며 경향파 문학 이론을 이끌었으나 친일 행적을 보였고 광복 후에는 반공주의 문인으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장우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장우성 |
출생일 | 1912년 6월 22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충주 |
사망일 | 2005년 2월 28일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분야 | 동양화 |
교육 | 이당화숙 |
종교 | 무종교 → 천주교(세례명 : 요셉) |
2. 생애
충청북도 충주에서 태어나 단양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후 경기도 여주에서 성장했다. 한학을 공부한 뒤 김은호 문하에서 한국화를 배웠다. 1932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며 등단했는데, 첫 입선작은 바닷가의 파도와 갈매기를 묘사한 〈해빈소견〉이었다. 1944년에는 조선미술전람회 추천작가가 되었다.
광복 후 서울대학교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를 지내며 제자를 양성하고 대한민국 동양화단에 영향을 미쳤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을 역임했고, 은관 문화훈장(1976, 박정희 대통령 수여), 금관 문화훈장(2001, 김대중 대통령 수여)을 받았다. 전통 문인화 화법을 현대적 감각으로 변용하여 대한민국 한국화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다는 평을 듣는다.
문인화 전통에 따른 수묵담채 위주의 인물화를 그리면서도 초기부터 서구풍의 사실적인 표현을 도입하였다. 대표작 중 하나인 〈춤〉은 간결한 선의 힘을 강조하고 여백을 활용하는 화풍을 잘 반영하고 있다. 인물화, 산수화, 정물화를 즐겨 그렸고, 학과 백로도 주요 소재였다. 2001년 90세 나이로 휴대전화를 든 여인을 그린 현대적 인물화를 발표했을 만큼 말년까지 활동했다.
사후 친일에 관한 논쟁이 있는 화가이다.[2] 민족문제연구소가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미술 부문에 선정했는데, 일제강점기 말기 어용 전시회인 반도총후미술전람회에 출품하기 위해 부동명왕(不動明王)을 준비한 점이 쟁점이 되었다.[3]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공식 발표한 일제강점기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는 빠져 있어 공식적으로 친일명단에 들어간 것은 아니며, 해방 직후 친일인물을 제외하고 설립된 조선미술건설본부[4] 위원으로 활동했고, 임종국 '황국신민화 시절의 미술계'(1983)에도 친일 미술가 명단에 제외되어 있어 친일 논쟁에 관한 다양한 의견이 있다. 독립운동가 성천 류달영 선생과 막역한 사이였던 장우성이 친일파였으리 만무하다는 의견도 있다. 성천 류달영 삶과 사상을 기록한 책에도 월전과 일화를 쓴 내용이 있다.[5]
2005년 서울대학교 교내 단체가 발표한 '서울대학교 출신 친일인물 1차 12인 명단'에는 들어 있다.[6] 대한민국 표준영정 제1호 충무공 이순신 영정을 그린 화가이기도 하다. 유관순 표준영정도 그렸는데, 친일 행적과 관련하여 유관순 정부표준영정을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으며,[7] 유족들은 장우성이 "일제시대 화가로 입문하기 위해 상을 받고 활동을 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8] 하지만 당시 유관순 사진을 통해 그린 장우성 유관순 정부표준영정은 유관순 열사가 고문으로 얼굴이 부은 상태 사진을 참고하여 그린 영정이었기 때문에 이후 여러가지 논의를 통해 제대로 된 유관순 열사 얼굴을 찾자는 논의가 있어왔으며, 장우성이 2005년 사망하면서 윤여환 충남대학교 회화과 교수가 유관순 정부표준영정을 새로 제작하게 되었다. 윤여환이 제작한 유관순 정부표준영정은 2007년 새로 지정되었다.
2. 1. 출생과 성장
월전 장우성은 1912년 충청북도 충주에서 태어나 충청북도 단양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고 경기도 여주에서 성장했다. 어린 시절 한학을 공부했으며, 이후 이당 김은호 문하에서 한국화를 배우기 시작했다.[2]2. 2. 화가 등단 및 활동
1932년 조선미술전람회(선전)에서 〈해빈소견〉으로 입선하며 화단에 등단했다.[2] 1944년 조선미술전람회 추천작가가 되었다. 광복 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1946~1961)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1962~1974)를 역임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76년 은관 문화훈장(박정희 대통령 수여), 2001년 금관 문화훈장(김대중 대통령 수여)을 받았다.[2]2. 3. 작품 세계
월전 장우성은 전통 문인화의 수묵담채 기법을 바탕으로 서구적인 사실적 표현을 결합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했다. 간결한 선과 여백의 미를 살린 〈춤〉 등이 대표작으로 꼽힌다. 인물화, 산수화, 정물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작품을 남겼으며, 학과 백로 또한 즐겨 그린 소재였다. 90세의 나이에도 휴대전화를 든 여인을 그린 현대적 인물화를 발표하는 등, 말년까지 왕성한 창작 활동을 펼쳤다.[2]3. 친일 논란
월전 장우성은 대한민국 대표 예술가로 인정받았지만, 일제강점기 말 친일 행적에 대한 논란이 있다.[2] 민족문제연구소는 2008년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미술 부문에 장우성을 포함시켰는데, 일제강점기 말기 어용 전시회인 반도총후미술전람회에 출품하기 위해 부동명왕(不動明王)을 준비한 점이 쟁점이 되었다.[3] 2005년 서울대학교 교내 단체가 발표한 '서울대학교 출신 친일인물 1차 12인 명단'에도 장우성의 이름이 들어 있다.[6]
3. 1. 친일 논란에 대한 반론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장우성을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시키지 않았다.[4] 해방 직후 친일 인물을 제외하고 설립된 조선미술건설본부 위원으로 활동한 점, 임종국의 '황국신민화 시절의 미술계'(1983)에서 친일 미술가 명단에 제외된 점 등이 그 근거로 제시된다.[5]독립운동가 류달영과의 친분을 들어 장우성의 친일 행적을 부정하는 의견도 있다. 류달영은 장우성이 그린 〈기(祈)〉를 보고, 그림 속 인물들의 복장과 분위기를 통해 조선의 독립과 광영을 염원하는 장우성의 의도를 파악했다고 한다. 훗날 일부 시민들이 이 작품을 문제 삼아 장우성을 친일파로 몰았으나, 류달영이 남긴 글 덕분에 누명을 벗을 수 있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3. 2. 유관순 표준영정 교체 논란
장우성은 충무공 이순신, 유관순 등의 표준영정을 그렸는데, 친일 행적과 관련하여 그가 그린 유관순의 정부표준영정을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7] 이러한 주장에 대해 유족들은 장우성이 "일제시대 화가로 입문하기 위해 상을 받고 활동을 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8]하지만 장우성이 그린 유관순 정부표준영정은 고문으로 얼굴이 부은 상태의 유관순 사진을 참고하여 그린 것이었기 때문에, 이후 제대로 된 유관순 열사의 얼굴을 찾자는 논의가 있어왔다. 장우성이 2005년에 사망하면서 윤여환 충남대학교 회화과 교수가 유관순의 정부표준영정을 새로 제작하게 되었고, 2007년에 새로 지정되었다.
참조
[1]
웹인용
아흔 넘어 늦깍이 신자가 된 장우성 화백
https://news.cpbc.co[...]
2023-05-10
[2]
웹인용
'[톺아보기]충무공 표준영정 논란 유감'
https://view.asiae.c[...]
2021-06-10
[3]
웹인용
화가 장우성씨 아들 "아버지 '친일'은 억울
https://n.news.naver[...]
2021-05-12
[4]
웹인용
조선미술건설본부
https://terms.naver.[...]
[5]
서적
류달영 박사의 생애와 사상
상상의숲
2021-05-
[6]
뉴스
서울대 일제청산위, 1차 친일인물 12명 발표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5-28
[7]
뉴스
유관순 열사 두 번 죽이려는 천안시 - 유 열사 영정 제작, 친일논란 장우성 화백에게 또 맡겨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5-28
[8]
웹인용
화가 장우성씨 아들 "아버지 '친일'은 억울
https://n.news.naver[...]
2021-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