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 미셸 쿨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미셸 쿨롱은 1920년 프랑스 보르도에서 태어나 2014년 사망한 프랑스의 화가이다. 쿨롱은 2차 세계 대전 중 파시즘 사회를 경험하고, 파리에서 화가로 활동하며 여러 전시회에 참여했다. 1968년부터 1998년까지 브뤼셀에 거주하며 유럽을 여행했고, 1999년 파리로 돌아와 은둔 생활을 했다. 쿨롱은 생전에 자신의 작품을 거의 공개하지 않았으며, 사후에 약 1,000여 점의 작품이 발견되었다. 쿨롱의 작품은 20세기 예술, 개인사, 사회적 상황 등 다양한 측면에서 미술사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장 미셸 쿨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장-미셸 쿨롱 |
출생 | 1920년 10월 10일, 보르도 |
사망 | 2014년 10월 24일, 파리 |
국적 | 프랑스 |
직업 | 화가 |
활동 분야 | 회화, 드로잉, 콜라주 |
사조 | 추상 미술 파리 화파 |
2. 생애
장 미셸 쿨롱은 1920년 프랑스 보르도에서 태어나 2014년 사망할 때까지 화가이자 콜라주 작가로 활동했다. 그의 생애는 크게 초기,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전후 파리 화단 활동 시기, 브뤼셀 및 파리 시기로 나눌 수 있다.
쿨롱 가문은 예술과 정치 분야에서 활동한 이력이 있었다. 1930년대에 쿨롱은 올리비에 드브레와 함께 유럽을 여행하며 파시즘의 성장을 목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쿨롱은 비시 정권의 강제 노동을 피해 올리비에 드브레와 함께 피난을 갔고, 이때 회화에 전념하기로 결심한다. 전쟁 중 형제가 독일군에 의해 총살당하는 비극을 겪기도 했다.
전후 파리에서 본격적으로 화가로 활동하며, 1949년 잔 부셰 갤러리 그룹전에 참여하고, 1950년대에는 개인전을 열며 국제적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1]
1953년 결혼 후, 1955년 화재로 작품이 소실되는 아픔을 겪었지만, 1956년 미국 여행을 통해 새로운 영감을 얻었다.[1] 1968년부터는 브뤼셀에서 거주하며 유럽 각지를 여행하며 예술적 시야를 넓혔다.[1]
1999년 파리로 돌아온 후에는 은둔 생활을 하며 콜라주 작업에 몰두했다.[1] 2012년 건강 악화로 휠체어에 의지하게 되었지만, 창작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20-1940)
장 미셸 쿨롱은 1920년 10월 10일 보르도에서 태어났다. 조부는 1898년부터 1912년까지 정부자문위원을 역임한 조르주 쿨롱(Georges Coulons)이며, 증조부는 작가, 기자, 정치인이었던 외젠 펠르탕과 극작가 외젠 스크리브였다.1930년대에 장송 드 세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리세 앙리 4세에 진학했다. 바칼로레아(대학입학시험)를 마친 후 친구이자 훗날 매형이 된 올리비에 드브레와 함께 독일, 이탈리아, 유럽 대륙, 아프리카 대서양 및 지중해 연안 등 여러 곳을 여행했다. 이 시기에 베를린과 로마에서 각각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 시대를 거치며 파시즘 사회상을 직접 목격했다.
1940년, 쿨롱이 20세가 되던 해에 전쟁이 발발했다. 1943년, 비시 정권에 의해 강제 노동 서비스가 설립되자 파리를 떠나기로 결심하고 허위 신분증을 획득한다. 올리비에 드브레와 함께 메제브로 피신했다. 이 기간 동안 두 친구는 회화에 전념하기로 결정했다.
1944년, 그의 형제 장 레미 쿨롱이 독일군에 의해 총살당했다. (당시 장 레미의 나이는 19세였다)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예술가의 길 (1940-1945)
1940년, 장 미셸 쿨롱이 20세가 되던 해 전쟁이 발발했다. 1943년, 비시 정권에 의해 강제 노동 서비스가 설립되자 파리를 떠나기로 결정하고 허위 신분증을 획득한다. 그는 올리비에 드브레와 함께 프랑스 알프스 지역의 메제브(Megève)로 피난을 가는데, 이 시기에 두 친구는 회화에 전념하기로 결심한다.1944년, 그의 동생 장 레미 쿨롱(19세)이 독일군에 의해 총살당했다.
1945년, 그는 파리에서 회화 작업에 꾸준히 전념한다.
2. 3. 파리 화단에서의 활동과 국제적 인정 (1945-1950년대)
1945년, 장 미셸 쿨롱은 파리에서 회화 작업에 꾸준히 전념했다. 1949년에는 파리 음악학교에 유학 중인 미국인 바이올리니스트 캐롤라인 가라베디안을 만나 영어를 빠르게 익혔다. 같은 해, 잔 부셰 갤러리에서 열린 그룹전에 바실리 칸딘스키, 조르주 브라크, 파블로 피카소, 파울 클레, 장 뤼르사, 장-폴 로랑스, 니콜라 드 스탈, 앙드레 랑스코이, 마리아 엘레나 비에이라 다 실바, 한스 라이헬, 앙드레 보샹, 알프레드 마네시에, 아르파드 세네스 등과 함께 참여했다.[1]
1950년대에 잔 부셰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방명록에는 당대 유명 인사들의 서명이 많았다. 그는 뉴욕 시드니 자니스 갤러리에서 열린 그룹 전시회에도 참가했다. 또한, 프랑스 정부 장학금을 받아 암스테르담 데카르트 메종에서 3개월간 머물며 네덜란드 고전 화가들을 접하고 네덜란드어를 익혔다.[1]

2. 4. 결혼, 화재, 그리고 미국 여행 (1953-1968)
1953년, 쿨롱은 캐롤라인 가라베디안과 결혼한다.[1] 1955년, 오를레앙 근처에 있던 쿨롱의 집과 아틀리에에 화재가 발생하여 다수의 작품이 소실된다.[1] 1956년, 2개월 동안 미국에 머물며 뉴욕의 도시 모습에 매료된다.[1] 이때 뉴욕 여행은 쿨롱의 첫 미국 방문이자 첫 장기 여행이었으며, 그의 예술 세계에 많은 영감을 주었다.[1] 1968년, 프랑스가 나토(NATO)에 합류하면서 쿨롱은 브뤼셀로 이주한다.[1] 그의 아내 카롤린은 나토의 미국 미션을 위해 일했다.[1] 쿨롱 부부는 1998년까지 브뤼셀에 머물렀다.[1]2. 5. 브뤼셀 시대와 유럽 여행 (1968-1999)
1968년, 프랑스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통합 사령부에서 탈퇴하자 장 미셸 쿨롱은 나토 주재 미국 대표부에서 일하는 아내와 함께 브뤼셀로 이주하여 1998년까지 거주했다.[4]브뤼셀에서 가족은 문화 및 예술 명소를 방문하며 자동차로 유럽 전역을 여행했다.[4] 그는 때때로 혼자 차를 몰고 유럽의 일부 국가를 탐험하며 현지 주민들과 함께 밤을 보내고, 사람들에게 빛으로부터 보관된 매우 기밀한 조명된 문서나 그림을 열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4]

1971년 브뤼셀의 리젠시 갤러리에서 미셸 복케르가 기획한 그의 전시회는 성공적이었다. 18점의 그림이 팔렸으나 예정된 세 차례의 전시회 중 첫 번째 전시회만 열렸다. 쿨롱은 다음 일련의 그림을 그릴 준비가 전혀 되지 않았다고 핑계를 댔다.[4]

2. 6. 파리 귀환과 은둔 생활 (1999-2014)
1999년 파리로 돌아와 16구의 아틀리에 근처에 거주하였다. 파리로 돌아온 후, 이전의 갤러리들과 다시 교류하지 않았고 은둔 생활을 이어갔다. 매일 오후 작업실에 나가 창작생활을 이어갔으며, 이 시기 그의 작업은 회화에서 콜라주로 변화가 생겼다. 그의 콜라주 작업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제작된 그의 회화 작품으로부터 출발하였다.[1]2012년 건강이 악화되어 병원에서 생활했으며, 이후 휠체어에 의지하며 생활했다. 다시 작업실로 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해져서 완성하지 못한 작업들이 남게 되었다. 그의 아파트에는 콜라주 작업을 위한 드로잉, 종이, 구상도들이 있었다. 그의 후기 작업들은 따뜻하고 밝은 색조들로 구성되었다.[1]
2014년 10월 25일 94세의 나이로 사망, 가족들이 안장되어 있는 생조르주드디돈에 영면하였다.[1]
3. 예술 세계
장 미셸 쿨롱은 평생 동안 자신의 작품과 작업실을 공개하지 않고 은둔 생활을 하며 창작 활동을 이어갔다. 쿨롱은 작품에 대한 언급이나 기록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예술 세계는 아직까지도 연구와 논의의 대상이다.[1][2]
특히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제들이 미술사 연구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 20세기 미술사, 특히 모던 회화사에서 쿨롱의 위치와 니콜라 드 스탈, 마리아 엘레나 비에이라 다 실바, 앙드레 란스코이, 올리비에 드브레 등 2차 세계대전 이후 쿨롱과 교류한 화가들과의 비교 연구.
- 19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한 형태, 색, 재료 등 스타일 변화 연구.
- 1944년과 1952년 두 형제의 죽음, 1955년 화재 사건 등 개인적 비극이 그의 예술적 선택에 미친 영향 연구.
- 쿨롱의 예술적 접근 방식에 대한 비밀 연구.
- 미국과 이탈리아 여행 중 쓴 편지를 통한 작품 이해.
3. 1. 비밀스러운 작업과 사후 공개
장 미셸 쿨롱은 생의 마지막까지 은둔하며 창작 활동을 했고, 가족을 포함한 그 누구에게도 자신의 작업실과 작품을 공개하지 않았다.[1] 쿨롱이 세상을 떠난 후, 유가족들은 그의 작업실에서 약 1000여 점의 작품을 발견했다.[2] 다리 기능을 상실한 이후, 그는 몇 년 동안 작업 활동을 이어갈 수 없었다.[2] 쿨롱은 작품을 공개하거나 별도로 언급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그의 예술 세계는 미술사적 연구와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2]특히, 다음과 같은 이슈들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가 필요하다.[2]
- 20세기 예술사, 특히 모던 회화사 흐름에서 쿨롱의 업적과 작품 세계 (2차 세계대전 이후 쿨롱과 교류했던 니콜라 드 스탈, 마리아 엘레나 비에이라 다 실바, 앙드레 란스코이, 올리비에 드브레 등과 함께)
- 1970년대 창작 작품들을 중심으로 형태, 색, 물성 등 회화 양식 및 기법의 변화
- 1944년과 1952년 두 형제의 갑작스러운 죽음, 1955년 집과 작품을 잃은 화재 사건 등 개인적, 사회적 상황이 작가의 창작 세계에 미친 영향
- 아직 연구되지 않은 쿨롱 회화에 대한 예술적, 미학적 접근
- 미국과 이탈리아 여행 중 남긴 편지를 통한 그의 예술 세계 이해 (여행 중 남긴 편지들은 책으로 출판되었다.)
예술사가 리디아 아람부르(Lydia Harambourg)는 2018년에 출간된 쿨롱의 첫 작품 회고집에서 위와 같은 미술사적 연구 의의와 논의점을 제시하였다.[2]
쿨롱 작품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2. 미술사적 연구 과제
장 미셸 쿨롱은 생의 마지막까지 은둔형 창작생활을 하며 가족은 물론 그 누구에게도 그의 작업실과 작품을 공개하지 않았다.[1] 작가가 세상을 떠난 후, 유가족들은 약 1000여 점의 작품을 그의 작업실에서 발견하였다.[1] 다리 기능을 잃은 이후, 그는 몇 년 동안 작업생활을 이어갈 수 없었다.[1] 그의 작품세계는 작가가 공개하지도 않았고 작품에 대해 언급한 별도의 기록이 없기 때문에 그의 예술세계에 대한 미술사적인 연구와 논의 거리가 남겨진 상태다.[1]특히, 다음 이슈들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가 필요하다.[1]
- 20세기 예술사, 모던 회화사 흐름에서의 작가의 업적과 작품세계 (2차 대전 이후 쿨롱과 교류했던 니콜라 드 스탈, 마리아 엘레나 비에라 다 실바, 앙드레 란스코이, 올리비에 드브레 등과 함께)[1]
- 70년대 창작 작품들을 중심으로 형태, 색, 물성 등 회화 양식, 기법 등의 변화.[1]
- 1944년-1952년 두 형제의 죽음과 1955년 집과 작품을 잃은 화재사건과 같은 개인사 및 사회적 상황이 작가의 창작 세계에 미친 영향.[1]
- 연구되지 않은 쿨롱 회화의 예술적, 미학적 접근[1]
- 미국과 이탈리아 여행 기간 동안 남긴 편지를 통한 그의 예술세계에 대한 이해 (여행하며 남겼던 편지들은 책으로 출판되었다).[1]
예술사가 리디아 아람부르(Lydia Harambourg)는 2018년에 출간된 쿨롱의 작품 회고 첫 출간물에서 미술사적 연구 의의와 논의점을 제시하였다.[1]
작품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 3. 작품의 변화 (개략)
장 미셸 쿨롱은 생의 마지막까지 은둔하며 창작 활동을 했고, 가족을 포함한 그 누구에게도 자신의 작업실과 작품을 공개하지 않았다.[1] 작가가 세상을 떠난 후, 유가족들은 그의 작업실에서 약 1,000여 점의 작품을 발견했다.[1] 다리 기능을 잃은 후, 그는 몇 년 동안 작업을 할 수 없었다.[1] 쿨롱은 작품을 공개하거나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예술 세계는 미술사적 연구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1]특히 다음과 같은 이슈들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가 필요하다.[1]
- 20세기 예술사, 특히 모던 회화사 흐름에서 쿨롱의 업적과 작품 세계 (2차 대전 이후 쿨롱과 교류했던 니콜라 드 스탈, 마리아 엘레나 비에이라 다 실바, 앙드레 란스코이, 올리비에 드브레 등과 함께)[1]
- 1970년대 창작 작품들을 중심으로 형태, 색, 물성 등 회화 양식 및 기법의 변화[1]
- 1944년과 1952년 두 형제의 갑작스러운 죽음, 1955년 집과 작품을 잃은 화재 사건 등 개인적, 사회적 상황이 작가의 창작 세계에 미친 영향[1]
- 연구되지 않은 쿨롱 회화의 예술적, 미학적 접근 방식[1]
- 미국과 이탈리아 여행 중 남긴 편지를 통한 그의 예술 세계 이해 (해당 편지들은 책으로 출판되었다.)[1]
예술사가 리디아 아람부르(Lydia Harambourg)는 2018년에 출간된 쿨롱의 첫 작품 회고집에서 위와 같은 미술사적 연구 의의와 논의점을 제시했다.[1]
작품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개략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4. 전시
장 미셸 쿨롱은 생전과 사후에 걸쳐 다양한 전시회에 참여했다.[9][10][11][12][13][14][15]
4. 1. 생전 전시
- 1949년: 잔 부셰 갤러리 그룹전 (프랑스 파리)[9]
- 1950년: 잔 부셰 갤러리 개인전 (프랑스 파리)[10]
- 1950년: 시드니 재니스 갤러리 "미국과 프랑스의 젊은 화가" 그룹전 (미국 뉴욕)
- 1951년: Salon de mai 그룹전 (프랑스)
- 1952년: MoMA "화가와 조각가들의 포스터" 그룹전 (미국 뉴욕)[11]
- 1971년: Régence 갤러리 개인전 (벨기에 브뤼셀)
4. 2. 사후 전시
- 2018년: 프랑스 파리 [https://www.dutko.com/exhibitions/6-jean-michel-coulon/ Dutko 갤러리]에서 <장 미셸 쿨롱> 전시[12]
- 2019년: 프랑스 샤티용 [https://www.maisondesarts-chatillon.fr/jean-michel-coulon Maison des Arts Châtillon]에서 <장 미셸 쿨롱: 그림을 위한 삶> 전시[13]
- 2019년: 벨기에 브뤼셀 [https://www.galerie-laurentin.com/jean-michel-coulon Laurentin Gallery]에서 <장 미셸 쿨롱, 70년간의 회화> 전시[14]
- 2019년: 미국 뉴욕 Rosenberg & Co 갤러리에서 열린 ''[http://www.rosenbergco.com/exhibitions/a-century-of-collage/selected-works?view=thumbnails 콜라주의 세기]'' 단체전[15]
- 2020년: 프랑스 라카디에르다쥐르의 갤러리 50에서 열린 "색-빛" ''Couleur-Lumière'' 단체전
- 2021년: 프랑스 파리 Dutko 갤러리에서 열린 ''Summer Show'' 단체전
- 2021년: 프랑스 생장드뤼즈의 Luz 26 갤러리에서 열린 "전쟁 이후 4명의 추상화가" ''[https://www.luz26.fr/exposition/quatre-peintres-abstraits-de-lapres-guerre/ Quatre Peintres Abstraits de l’Après-Guerre]'' 단체전
- 2021년: 프랑스 라카디에르다쥐르의 갤러리 50에서 열린 "작은 형상들" ''[https://www.arts-in-the-city.com/2021/07/19/les-petits-formats-de-jean-michel-coulon-lhomme-aux-900-tableaux-exposes-a-la-galerie-50/ Petits Formats]'' 단체전
- 2021년: 프랑스 생장드뤼즈의 Luz 26 갤러리에서 열린 "5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의 콜라주" ''[https://www.luz26.fr/exposition/collages-des-annees-50-aux-annees-2000-2/ Collages des Années 50 aux Années 2000]'' 단체전
- 2022년: 프랑스 라카디에르다쥐르의 갤러리 50 개인전
- 2023년: 프랑스 생장드뤼즈의 Luz 26 갤러리에서 열린 <콜라주> 단체전
- 2023년: 프랑스 생장드뤼즈의 Luz 26 갤러리에서 열린 <파리 제2 학파> 단체전
- 2023년: 프랑스 파리의 Françoise Livinec 갤러리에서 열린
단체전 - 2024년: 프랑스 타른 페리에르의 Musée du Protestantisme에서 열린 <장 미셸 쿨롱, 빛의 부름> 개인전
5. 작품 소장처
- 파리 국립근대미술관: 0036H, 0824G, 0826G, 0837G 및 0844G.
6. 참고 문헌
- 리디아 아람부르: ''장 미셸 쿨롱'' (Gourcuff Gradenigo, 2018)
- 애니 코헨-솔랄 서문, ''아메리카의 편지'' (Gourcuff Gradenigo, 2019)
- 애니 코헨-솔랄 서문, ''이탈리아의 편지'' (Gourcuff Gradenigo, 2019)
- 폴 바키아스트: ''공화주의 부르주아의 왕조, 펠르탕'' (L'Harmattan, 1996)
- 알린 스탈라-부르디용, 장 미셸 쿨롱 (1920-2014), ''전 3권의 상세 목록'' (Gourcuff Gradenigo, 2022)
- 패트릭 카바넬, 파트리스 드 지네스테, 알린 스탈라-부르디용, ''장 미셸 쿨롱, 빛의 부름'' (Gourcuff Gradenigo, 2024)
참조
[1]
웹사이트
Galerie Jeanne Bucher
http://jeannebucherj[...]
[2]
웹사이트
Galerie Jeanne Bucher
http://jeannebucherj[...]
[3]
서적
Eugène Scribe: La fortune et la liberté
Librairie A-G Nizet
[4]
서적
Eugène Scribe: Maître de la scène théâtrale et lyrique du XIXe siècle
PUR (Presses universitaires de Rennes)
[5]
웹사이트
A Century of Collage - - Exhibitions - Rosenberg & Co. Gallery
http://www.rosenberg[...]
2021-10-07
[6]
웹사이트
Quatre peintres abstraits de l'après-guerre
https://www.luz26.fr[...]
2021-10-07
[7]
웹사이트
Les petits formats de Jean-Michel Coulon, l'homme aux 900 tableaux cachés, exposés à la galerie 50 - Arts in the City
https://www.arts-in-[...]
2021-10-07
[8]
웹사이트
Collages des années 50 aux années 2000
https://www.luz26.fr[...]
2021-10-07
[9]
웹인용
Exposition de groupe
https://jeannebucher[...]
2020-03-27
[10]
웹인용
Jean-Michel Coulon
https://jeannebucher[...]
2020-03-27
[11]
웹인용
MOMA Posters by Painters and Sculptors
https://www.moma.org[...]
2020-03-27
[12]
웹인용
"Jean-Michel Coulon" 18 Octobre 2017 - 17 Novembre 2018
https://www.dutko.co[...]
2020-03-27
[13]
웹인용
Jean-Michel Coulon : Une vie pour la peinture
https://www.maisonde[...]
2020-03-27
[14]
웹인용
Jean-Michel Coulon, 70 years of painting
https://www.galerie-[...]
[15]
웹인용
« A Century of Collage - - Exhibitions - Rosenberg & Co. Gallery »
Rosenberg & Co gal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