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거목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거목건은 북량의 마지막 군주로, 저거몽손의 셋째 아들이다. 433년 부친의 사망으로 왕위를 계승했으며, 초기에는 북위에 복종하는 정책을 펼쳤다. 이후 유송과도 관계를 맺었으나, 북위의 압박으로 인해 이경수와 이혼하고 북위 공주와 결혼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439년 북위와의 갈등으로 북량이 멸망하고 북위에 포로로 잡혔으며, 반란 혐의로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68년 출생 - 저거몽손
    저거몽손은 후량 장수 출신으로 반란을 통해 북량을 건국하고 주변국과의 외교 및 서량 정복으로 세력을 확장한 북량의 초대 군주이다.
  • 433년 사망 - 미사흔
    미사흔은 신라 내물 마립간의 아들로, 실성 이사금 시대에 왜에 볼모로 보내졌다가 눌지 마립간 즉위 후 박제상의 도움으로 귀국하여 서불한 벼슬을 지낸 인물이며, 일본서기에는 미질기지파진간기로 추정되는 기록이 있다.
  • 433년 사망 - 사영운
    사영운은 동진 시대의 명문가 출신 시인으로, 중국 산수시를 창시하고 불교에 심취하여 《금강반야경주》를 저술했으나, 유송 건국 후 작위 강등과 유배를 겪었다.
  • 북량의 군주 - 저거몽손
    저거몽손은 후량 장수 출신으로 반란을 통해 북량을 건국하고 주변국과의 외교 및 서량 정복으로 세력을 확장한 북량의 초대 군주이다.
  • 북량의 군주 - 단업
    단업은 4세기 후반 강족 출신으로 후량의 건강태수를 지냈으나 양왕을 칭하며 독립, 이고의 반란으로 쇠퇴한 후 고향으로 돌아가 백성을 위한 통치를 지향했다.
저거목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하서왕
계승북량의 통치자
통치 기간433–439
이전 통치자저거몽손
후임 통치자저거무휘(고창)
연호하서왕 (河西王)
시호애왕 (哀王, "애통한")
연호영화 (永和)
연호 기간433–439
성씨저거 (沮渠)
왕조북량
목건 (牧犍) 또는 모건 (茂虔)
사망일447
아버지저거몽손
추가 정보
이름 (한자)沮渠牧犍
대수제3대
칭호
도읍고장
시호애왕
생년불명
몰년태평진군 8년 (447년)
아버지무선왕
황후이경수
무위공주
연호승화 : 433년 - 439년

2. 생애

저거목건은 저거몽손의 아들로, 정확한 출생 연도와 어머니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어머니가 저거몽손의 정실 부인인 몽공주는 아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의화 3년(433년), 아버지 저거몽손이 병으로 쓰러졌을 때 세자였던 동생 저거보제가 어려서 세자로 옹립되었다. 아버지 사후 즉위하여 승화로 개원했다.[4] 국사에는 유병을 임명했다.[4]

남조 송으로부터 도독 양사하 삼주 서역 강융 제군사·차기장군·개부의동삼사·량주자사·하서왕에 임명되었고, 북위에는 여동생 흥평공주를 후궁으로 들여 우소의로 삼았으며, 북위로부터는 태무제 탁발도의 여동생인 무위공주를 왕후로 맞이했다.[4]

그러나 승화 7년(439년)에 무위공주 독살 미수 사건이 발생했고, 범인으로 지목된 자신의 형수 이씨를 북위에 인도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북위의 침공을 받아 사로잡혔다. 이로써 북량은 멸망했다.[4]

북위 수도 평성으로 연행된 저거목건은 목숨을 건졌고, 황족으로 대우받는 등 중용되었지만, 태평진군 8년(447년)에 북량 수도 고장 함락 당시 국고에 있던 재보를 숨겨둔 것이 발각되어, 분노한 태무제로부터 후궁으로 들어와 있던 저거소의(북량의 흥평공주)를 포함한 종족 모두의 죽음을 명받았다.[4]

2. 1. 저거몽손 치세

저거몽손의 아들로, 의화 3년(433년) 저거몽손이 죽자 왕위를 계승했다.[5] 역사 기록에는 그의 어머니가 저거몽손의 아내 몽공주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는다. 그는 저거몽손의 셋째 아들이었다.

저거목건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언급은 420년, 저거몽손이 경쟁 세력인 서량을 멸망시키고 수도인 주천(酒泉, 오늘날의 주취안시, 간쑤성)을 점령한 후, 저거몽손이 그를 주천군의 태수로 임명하고 사망한 서량 공작 이신의 딸 이경수 공주를 그의 아내로 삼았을 때였다.

저거목건은 아버지의 유언에 따라 후계자로 지명되지 않았다. 433년 저거몽손이 병에 걸리자 귀족과 관료들은 저거보제가 통치하기에는 너무 어리다고 판단하여 저거목건을 대신 태자로 삼았다. 저거몽손은 곧 사망했고, 저거목건이 왕위를 계승했다. 그는 아들 저거봉단을 태자로 삼았다.[4]

2. 2. 즉위와 통치

저거목건은 저거몽손의 아들로, 433년 저거몽손이 죽자 왕위를 계승했다.[4] 초기 정책은 강력한 북위와 그 태무제에 대한 신중한 복종이었다. 저거몽손이 이미 동의한 바와 같이, 그는 여동생 흥평공주를 태무제에게 보냈고, 태무제는 그녀를 황실 첩으로 삼았으며, 저거목건을 하서왕으로 봉했다.[5] 그러나 저거목건은 북위의 경쟁국인 유송 및 유연과의 관계도 신중하게 구축했다. 434년, 그가 유송에 사신을 보내 복종을 표시한 후, 유송 문제 역시 그를 하서왕으로 봉했다.

436년, 태무제가 북연을 멸망시킨 후, 북량을 정복하는 것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437년, 그는 여동생 무위공주를 저거목건과 결혼시키기 위해 보냈다. 저거목건은 이미 무소왕의 딸 이경수와 결혼한 상태였지만,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고, 무위공주를 왕후로 맞이했다.[5] 동시에, 태무제는 저거목건의 어머니를 하서 태후로 존경할 것을 명령했다. 저거목건은 이경수와 이혼해야 했고, 이경수는 북량의 수도 고장(姑臧, 현대 감숙성 무위)에서 주천으로 유배되어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북위의 요구에 따라, 저거목건은 아들 저거봉단을 인질로 북위의 수도 평성(平城, 현대 산서성 대동)으로 보냈다.[5]

2. 3. 북위와의 갈등과 북량 멸망

439년, 저거목건의 형수 이씨가 저거목건의 왕후이자 북위 태무제의 여동생인 무위공주를 독살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이 발생하면서, 저거목건은 북위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다.[4] 태무제는 이씨를 넘겨줄 것을 요구했으나 저거목건은 이를 거절했다.[4][5] 이에 분노한 태무제는 북량을 공격하여, 그 해 9월에 저거목건의 항복을 받아냈다.[5] 이로써 북량은 멸망했다.[5]

2. 4. 북위에 포로로 잡힌 이후

저거목건은 북위로 끌려간 뒤에도 북위 황족에 준하는 대우를 받으며 중용되었다.[5] 그러나 누군가의 밀고로 그가 항복 전에 고장에서 보물을 몰래 빼돌린 것이 알려져, 태무제는 저거목건의 여동생 우소의를 포함한 모든 일족에게 자결을 명했다. 저거목건의 형제인 저거무회, 저거의득, 저거안주와 사촌 저거당아는 계속해서 여러 북량의 도시를 지키고 있다가 나중에 고창으로 도망가 정착하려 했지만, 저거목건 자신은 이러한 사건에 참여할 능력이 없는 것처럼 보였다. 이때 그의 어머니가 사망했고, 그녀는 태후에 걸맞은 예우를 받아 매장되었다.

447년 고장(Guzang)이 함락될 때 저거목건이 왕실 금고를 열었는데, 보물이 결국 그의 소유가 되었다는 혐의가 제기되었다. 북량의 보물로 추정되는 물건들이 저거목건의 소유에서 발견되었으며, 여러 종류의 독극물과 마법 물건들도 발견되었다. 격분한 태무제는 저거씨(沮渠氏) 일족에게 자결을 명하고, 많은 저거씨 일족을 처형했다. 그해 말, 저거목건이 그의 이전 신하들과 연락하며 반란을 계획하고 있다는 혐의가 제기되었다. 태무제는 최호를 저거목건이 무위 공주와 함께 거주하는 곳으로 보내, 그곳에서 저거목건에게 자결을 강요했다.[4]

3. 가계

구분이름비고
왕후이씨서량 출신 (437년 이혼)[1]
왕후무위 공주 탁발씨
후궁미상
자녀
첫째 딸무위 공주고잠과 결혼, 아들 한 명을 낳음
셋째 딸이름 미상사마금룡과 결혼, 아들 한 명을 낳음[3]
태자거거봉단 (沮渠封壇)
둘째 딸이름 미상북위 문제와 결혼


참조

[1] 문서 Daughter of Li Gao, prince of Western Liang
[2] 문서 Princess Wuwei of Northern Wei, daughter of Emperor Mingyuan of Northern Wei
[3] 서적 China: Dawn of a Golden Age, 200-750 AD https://archive.org/[...] Metropoliam Museum of Art
[4] 서적 五涼史略 甘粛人民出版社
[5] 문서 고창에 있던 저거무위가 즉시 반란을 일으켜 북량을 계승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