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거몽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거몽손은 368년에 태어나 433년에 사망한 인물로, 오호 십육국 시대 북량의 건국자이자 통치자였다. 그는 뛰어난 재능과 권모술수로 후량의 감시를 피하며 세력을 키웠고, 397년 백부의 죽음을 계기로 반란을 일으켜 북량을 건국했다. 이후 주변 국가들과의 외교를 통해 세력을 확장하여 하서 지역을 통일했으나, 만년에는 독선적인 통치를 보였다. 그의 사후 아들 저거목건이 북량의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진 (오호 십육국) 사람 - 모용초
모용초는 남연의 마지막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측근 중용과 잦은 전쟁으로 국력을 소진시키다 동진에 패하여 처형당했다. - 368년 출생 - 저거목건
저거목건은 북량의 제3대 군주로, 남조 송, 북조 북위와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세력 균형을 꾀했으나 북위의 침공을 막지 못하고 북량이 멸망한 후 모반 혐의로 자결을 강요받았다. - 후량 (오호 십육국) 사람 - 모용초
모용초는 남연의 마지막 황제로, 재위 기간 동안 측근 중용과 잦은 전쟁으로 국력을 소진시키다 동진에 패하여 처형당했다. - 후량 (오호 십육국) 사람 - 독발오고
독발오고는 오호십육국시대 남량의 건국자로, 후량에 대항하여 서평왕을 자칭하며 남량을 건국하고 용맹과 지략, 인재 등용술로 국가의 기틀을 다졌으나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저거몽손 | |
---|---|
기본 정보 | |
이름 | Prince Wenxuan of Northern Liang (영어) |
다른 이름 | 북량 무선왕 (北涼武宣王, 중국어) |
다른 이름 | 저거몽손 (沮渠蒙遜, 한국어) |
작위 | 량 왕 |
통치 시기 | 401년–433년 |
전임 통치자 | 단업 |
후임 통치자 | 저거목건 |
시호 | 무선왕 (武宣王, "무용과 책임감이 있는") |
묘호 | 태조 (太祖) |
가문 | 저거 |
왕조 | 북량 |
성 | 저거 (沮渠) |
이름 | 몽손 (蒙遜) |
출생 | 368년 |
사망 | 433년 |
매장지 | 원릉 (元陵) |
관직 및 작위 | |
401–412 | 대도독, 대장군, 량주목, 장액공 (大都督 大將軍 涼州牧 張掖公) |
412–431 | 하서왕 (河西王) |
431 이후 | 량 왕 (涼王) |
연호 | |
연호 및 기간 | 영안 (永安): 401–412 |
연호 및 기간 | 현시 (玄始): 412–428 |
연호 및 기간 | 승현 (承玄): 428–430 |
연호 및 기간 | 의화 (義和): 430–433 |
2. 생애
저거몽손은 임송군(현재의 간쑤성 민러현) 루수후 출신으로, 대대로 루수후 족장을 역임한 집안에서 태어났다.[4] 그는 뛰어난 재능과 권모술수에 능하여 후량의 여광에게 두려움을 샀다.
397년 서진 토벌 실패의 책임을 지고 백부 저거라구(沮渠羅仇)와 국죽(麹粥) 형제가 여광에게 주살되자, 그 장례식 자리에서 종족 수만 명 앞에서 여광을 규탄하고, 후량으로부터 자립을 선언하며 거병했다. 사촌 저거남성과 협력하여 낙관으로 쳐들어가, 후량의 건강군 태수였던 한인 단업을 건국공으로 옹립하여 북량을 건국했다.
401년 저거몽손은 책략을 써서 저거남성과 단업을 살해하고, 스스로 량주 목·장액공을 칭하며 북량의 지배자가 되었다. 영역이 서진·남량·서량·후량·후진·하·북위에 둘러싸여 세력 확장은 어려웠지만, 강한 자에게 따르고 약한 자를 치는 교묘한 외교를 펼쳐 영역을 확대, 421년에 서량을 멸망시켜 하서 지방 전역을 지배했다.
서진과 대항하기 위해 하·북위와 제휴하는 한편, 강남의 동진·남조 송에도 사신을 보내 량주 목·하서왕에 봉해졌다. 431년 서진·하가 멸망하자 화북에서 북위의 영향력이 증대되었으므로, 북위에 인질을 보내 량주 목·량왕에 봉해졌다.
433년에 병사, 향년 66세. 북위는 그의 장례에 사절을 파견하여 무선왕으로 추시했다.
2. 1. 초기 생애와 북량 건국 (368년 ~ 401년)
저거몽손은 현재의 간쑤성 민러현인 임송군 루수후 출신으로, 대대로 루수후 족장을 역임한 집안에서 태어났다.[4] 그는 뛰어난 재능과 권모술수에 능하여 후량의 의무제 여광에게 두려움을 샀다. 이 때문에 항상 술을 마시며 그들의 눈을 속였다고 한다.397년, 서진 토벌 실패의 책임을 지고 백부인 저거라구와 저거국주 형제가 여광에게 살해당했다. 저거몽손은 그 장례식 자리에서 종족 수만 명 앞에서 여광을 규탄하고, 후량으로부터의 자립을 선언하며 거병했다. 그는 사촌 저거남성과 협력하여 낙관으로 쳐들어가, 후량의 건강군 태수였던 한인 단업을 옹립했다. 이것이 북량의 건국이다.
401년, 저거몽손은 책략을 써서 저거남성과 단업을 살해하고, 스스로 량주 목·장액공을 칭하며 북량의 지배자가 되었다.
2. 2. 북량의 통치자 (401년 ~ 433년)
397년, 저거몽손은 사촌 형제 저거남성(沮渠男成)과 협력하여 후량의 건강태수인 한족 단업을 건국공으로 옹립하였다. 이것이 북량의 건국이다.401년, 저거남성과 단업을 살해하고 스스로 양주목 장액공(涼州牧 張掖公)을 칭하며 북량의 지배자가 되었다.[4]
영역이 서진·남량·서량·후량·후진·하·북위에 둘러싸여 세력 확대는 곤란했지만, 강한 세력에는 복종하고 약한 세력을 토벌하는 교묘한 외교를 전개하여 영역을 확대, 421년에 서량을 멸망시켜 돈황을 지배하에 넣고 하서 지방 전역을 지배했다.
서진과 대항하기 위해 하·북위와 제휴하는 한편, 강남의 동진·송 왕조에도 사신을 보내 양주목 하서왕(涼州牧・河西王)에 봉해졌다. 431년 서진·하나라가 멸망하면서 북위의 세력이 강성해지자, 북위에 인질을 보내 양주목 양왕(涼州牧 涼王)으로 봉해졌다.
433년 병사하여 향년 66세였다. 북위는 사절을 파견해 무선왕으로 추시했다. 그의 아들 저거목건(沮渠牧犍)이 계승하였다.
2. 3. 죽음과 유산
沮渠蒙遜|저거몽손중국어은 433년 66세의 나이로 병사했다.[4] 북위는 사신을 보내 무선왕(武宣王)으로 추시했다.[4] 그의 아들 저거목건이 북량의 왕위를 계승했다.저거몽손은 혼란한 시대에 북량을 안정시키고 발전시킨 군주로 평가받는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북량은 문화와 경제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이는 훗날 북위의 화북 통일에 큰 영향을 미쳤다.
3. 외교 관계
저거몽손은 주변국들과 복잡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그는 실리 외교를 추구하여, 강한 세력에게는 복종하는 모습을 보이면서도 실제로는 독립적인 세력을 유지하려 노력했다.
401년, 저거몽손은 명목상 후진 황제 요흥(姚興)에게 신하로 복종했다. 그러나 주천과 양녕 사령부(대략 오늘날의 주취안)가 서량에 합류하려 하자, 동생 저거유(沮渠挐) 등을 보내 후진에 항복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장잠(張潛)의 항복 권고와 저거유의 반대 사이에서 고민하다 결국 명목상 신하로 남고 장잠을 처형했다.
남량의 왕 투발이리구(禿髮利鹿孤)와 평화를 맺으려 시도했다. 처음에는 아들 저거희념(沮渠奚念)을 인질로 보냈지만, 투발이리구는 저거희념이 너무 어리다며 거절하고 대신 저거유를 요구했다. 저거몽손은 처음에는 거절했지만, 투발이리구에게 전투에서 패배한 후 결국 요구에 굴복했다.
403년, 후진에 항복했던 후량의 황제 여륭(呂隆)은 후진 장군 적인난(齊難)에게 저거몽손을 공격하도록 설득했다. 그러나 저거몽손은 적인난의 공격을 격퇴한 후 평화를 맺었다. 이후 저거유를 후진의 수도 장안(長安)으로 보내 요흥에게 복종을 선언하고, 서해후(西海侯) 작위를 받았다.
3. 1. 후량과의 관계
저거몽손은 후량의 폭정에 맞서 북량을 건국했다. 397년, 후량의 왕 여광이 저거몽손의 삼촌들을 처형하자, 저거몽손은 여러 부족을 설득하여 봉기했다. 처음에는 여광의 아들 여찬에게 패했지만, 곧 사촌 저거남성이 반란에 가담하고 단예를 지도자로 추대하여 북량을 건국했다.[4]398년, 단예는 저거몽손을 보내 후량의 도시들을 공격하게 했고, 저거몽손은 여러 도시를 함락시켜 북량의 영토를 확장했다. 399년에는 남량의 도움으로 후량의 공격을 막아냈다.
401년, 저거몽손은 단예를 제거하고 북량의 지배자가 되었다. 이후 후량과의 전투에서 여러 차례 승리하며 북량의 독립을 지켜냈다. 402년, 기근에 시달리던 후량을 공격하여 평화를 맺고 식량을 제공하기도 했다. 403년, 후량이 후진에 항복한 후에도, 저거몽손은 후진의 공격을 격퇴하고 평화를 맺었다.
406년과 407년, 남량의 공격을 막아냈으며, 410년에는 오히려 고장을 포위하여 남량과 평화를 맺었다. 411년에는 서량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3. 2. 남량과의 관계
저거몽손은 남량과 평화 협정을 맺기도 했지만, 지속적인 경쟁 관계에 있었다. 초기에는 아들 저거희념(沮渠奚念)을 인질로 보내 평화를 유지하려 했으나, 남량의 왕 투발이리구(禿髮利鹿孤)는 저거희념이 너무 어리다는 이유로 거절하고 대신 저거유(沮渠挐)를 요구했다. 결국 저거몽손은 투발이리구에게 패배한 후 이 요구에 응했다.406년 봄, 투발여탄(禿髮汝檀)은 북량을 대대적으로 공격했지만, 저거몽손은 장액(張掖)을 지켜 투발여탄을 물리쳤다. 같은 해 가을, 저거몽손은 주천(酒泉)을 기습 공격했지만, 성공적으로 포위하지 못하고 물러났다. 407년 가을, 투발여탄은 다시 북량을 공격했지만, 저거몽손은 그를 격파했다.
410년, 투발여탄과 그의 동생 투발구연(禿髮俱延)은 연이어 북량을 공격했다. 저거몽손은 그들을 격퇴했을 뿐만 아니라, 투발여탄이 수도로 삼았던 고장(姑臧)을 포위했다. 고장 백성들은 투발여탄의 과거 대규모 처형에 대한 두려움으로 10,000가구 이상이 북량에 항복했다. 투발여탄은 저거몽손과 남쪽의 절굴기진(折屈奇鎮)의 반란에 불안해하며 평화를 맺고 수도를 다시 락도(樂都)로 옮겼다.
411년, 저거몽손은 고장을 점령한 후 남량을 공격하여 락도를 포위했다. 투발여탄이 아들 투발안주(禿髮安周)를 인질로 보내자 물러났지만, 투발여탄은 곧 반격했다. 저거몽손은 투발여탄의 군대를 격파하고 다시 락도를 포위하여 투발여탄이 또 다른 아들 투발염간(禿髮染干)을 인질로 보낸 후에야 물러났다.
3. 3. 서량과의 관계
저거몽손은 서량을 최대의 적으로 간주하고 지속적으로 공격했다. 405년, 이고(李暠)는 수도를 돈황에서 주천으로 옮겨 저거몽손에 대한 압력을 가하기 위해 장액에 더 가까이 다가갔다.[4] 406년 가을, 저거몽손은 주천을 기습 공격하여 처음에는 이고를 격파했지만, 주천을 성공적으로 포위하지 못하고 물러났다.[4] 410년 가을, 저거몽손은 서량을 공격하여 이고의 태자 이신을 격파하고 서량의 장군 주원호(朱元虎)를 포로로 잡았으며, 이고가 은과 금으로 주원호를 몸값으로 지불하자 이후 이고와 평화를 맺었다.[4] 411년 가을, 저거몽손은 서량을 기습 공격했지만 실패했고, 식량 공급이 부족하여 물러나자 이고는 이신을 보내 그를 공격하여 격파했다.[4]421년, 마침내 서량을 멸망시켜 돈황을 지배하에 두고 하서 지방 전역을 지배했다.[4]
3. 4. 후진, 하, 북위와의 관계
저거몽손은 후진, 하, 북위 등 강대국들과 상황에 따라 유동적인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 강한 세력에는 복종하는 모습을 보이며 북량의 안전을 도모했다.- '''후진과의 관계''': 401년 저거몽손은 명목상 후진에 복종했지만, 실제로는 독립적인 상태를 유지했다.[4] 403년 후진의 장군 적인난의 공격을 격퇴한 후, 저거몽손은 장안(長安)에 사신을 보내 복종을 선언하고 서해후(西海侯) 작위를 받았다.
- '''남량과의 관계''': 401년 저거몽손은 남량과 평화를 맺기 위해 아들을 인질로 보냈지만 거절당했다. 이후 남량과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으며, 411년 남량의 수도 락도를 포위하고 아들을 인질로 받는 조건으로 물러났다.
- '''서량과의 관계''': 405년 서량은 수도를 주천으로 옮겨 북량을 압박했다. 406년 저거몽손은 주천을 기습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410년 저거몽손은 서량을 공격하여 태자를 격파하고 장군을 포로로 잡았으며, 이후 서량과 평화를 맺었다. 411년 서량을 기습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 '''하, 북위와의 관계''': 서진과 대항하기 위해 하, 북위와 제휴했다. 431년 하가 멸망하자 북위의 영향력이 커졌고, 저거몽손은 아들을 인질로 보내 충성을 맹세하고 량주 목, 량왕에 봉해졌다.
3. 5. 동진, 송과의 관계
동진, 송 등 강남의 왕조들과 사신을 교환하며 외교 관계를 맺었다. 동진으로부터 량주목·하서왕(涼州牧・河西王)에 봉해지기도 했다.[4]4. 가족 관계
沮渠蒙遜|저거몽손중국어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저거법홍(沮渠法弘) |
백부 | 저거라구(沮渠羅仇), 저거국죽(沮渠麴粥)[1] |
동생 | 저거나(沮渠拏), 저거한평(沮渠汗平)[1] |
사촌 | 저거남성(沮渠男成)[1] |
왕후 | 맹왕후(孟王后)[1] |
어머니 | 첩씨 부인[1] |
자녀 |
5. 평가
저거몽손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감각을 지닌 지도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혼란스러운 시대적 상황 속에서 북량을 건국하고 발전시켰으며, 하서 지역의 안정과 번영에 기여했다.[4] 그는 강한 세력에는 종속하고 약한 세력을 정복하는 유연한 외교 정책을 펼쳐 북량의 생존과 성장에 기여했다.
하지만, 일부 기록에서는 저거몽손이 잔혹하고 독선적인 면모를 보였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04-18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7-04-06
[4]
문서
盧水胡は『晋書』載記では匈奴の支族とされているが、他にも月氏説、独自の少数民族説などが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