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변동 잡음제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변동 잡음 제거는 신호 처리 기법으로, 신호의 전변동을 최소화하면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D 신호의 경우 전변동은 인접한 신호 값의 차이의 합으로 정의되며, 2D 신호, 즉 이미지의 경우 전변동 노름을 사용하여 정의한다. 잡음 제거는 신호의 전변동과 원래 신호와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정규화 매개변수를 통해 잡음 제거의 정도를 조절한다. 루딘-오셔-파테미(ROF) 모델은 이미지 잡음 제거를 위한 방법으로, 편미분 방정식을 통해 잡음 제거된 영상을 계산한다. 이 모델은 블랙홀 이미지 생성에 기여했으며, 계산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선형 필터 - 칼만 필터
    칼만 필터는 잡음이 있는 측정값들을 이용하여 선형 동적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 재귀 필터로, 예측과 보정 단계를 반복하며 항법 시스템, 레이더 추적, 컴퓨터 비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비선형 필터 - 파티클 필터
    파티클 필터는 칼만 필터와 유사하게 상태 공간 모델에서 관측 불가능한 상태 열의 확률 분포를 추정하는 알고리즘으로, 비선형 및 비가우시안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어 로봇 공학, 신호 처리, 금융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영상 처리 - 컴퓨터 비전
    컴퓨터 비전은 디지털 이미지나 비디오로부터 고차원적 이해를 얻는 학제적 연구 분야로, 인간 시각 시스템 자동화 및 인공 시스템 이론 연구를 목표로 하며, 딥러닝 기술 발전으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영상 처리 - 워터마크
    워터마크는 종이 제조 시 두께 차이를 이용해 만들어지는 표식으로, 위조 방지를 위해 지폐나 여권 등에 사용되며 댄디 롤 등의 제작 기법을 통해 만들어지고 컴퓨터 프린터 인쇄 기술로도 활용된다.
  • 신호 처리 - 대역폭 (신호 처리)
    대역폭은 주파수 영역에서 함수의 퍼짐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통신 분야에서는 변조된 반송파 신호가 차지하는 주파수 범위, 다른 분야에서는 시스템 성능을 유지하거나 저하가 발생하는 주파수 범위를 의미하며, 다양한 측정 방식과 함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신호 처리 - 선형 시불변 시스템
    선형 시불변 시스템은 선형성과 시불변성을 만족하는 시스템으로, 임펄스 응답으로 특성화되며, 컨볼루션, 주파수 영역 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고, 통신, 신호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전변동 잡음제거
개요
전변동 잡음 제거 예시
전변동 잡음 제거 예시
유형
분야영상 처리
문제잡음 제거
상세 정보
방법최적화
관련 항목변분법
편미분 방정식
L1 정규화
역사 및 배경
최초 제안L.I. Rudin, S. Osher, E. Fatemi (1992)
핵심 아이디어이미지의 전변동 최소화
기술적 설명
기본 원리이미지를 조각별로 부드럽게 만들어 잡음을 제거하고, 동시에 중요한 특징(모서리)을 보존하는 것
수학적 표현min ∫ |∇u| dx (u는 복원된 이미지, ∇u는 u의 기울기)
최적화 방법경사 하강법
Chambolle-Pock 알고리즘
장점 및 단점
장점모서리 보존에 효과적
특정 유형의 잡음에 강건함
단점계단 현상 발생 가능성
계산 비용이 높을 수 있음
응용 분야
활용 분야의료 영상 처리
천문학 이미지 개선
사진 복원
변형 및 확장
관련 연구고차 전변동
비등방성 전변동
참고 문헌
주요 논문Rudin, Osher, Fatemi (1992)
D. Strong, T. Chan (2003)

2. 1D 신호 처리

디지털 신호 x_n의 전변동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3]

:V(x) = \sum_n |x_{n+1} - x_n|.

전변동 잡음 제거의 목표는 입력 신호 x_n보다 전변동이 작지만 x_n에 "가까운" 근사값 y_n을 찾는 것이다. 근접성은 제곱 오차의 합으로 측정한다.

: \operatorname E(x, y) = \frac{1}{n} \sum_n (x_n - y_n)^2.

따라서 전변동 잡음 제거 문제는 다음의 이산 함수를 최소화하는 신호 y_n을 찾는 것이다.

: \operatorname E(x,y) + \lambda V(y).

이 함수를 y_n에 대해 미분하여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유도하고, 원래 신호 x_n을 초기 조건으로 하여 수치적으로 적분할 수 있다.[1] 또는, 볼록 최적화를 통해 해 y_n을 찾을 수도 있다.[3]

2. 1. 전변동 (Total Variation) 정의

2. 2. 전변동 잡음 제거 문제

2. 3. 최적화 방법

3. 정규화 속성 (Regularization Properties)

정규화 매개변수 \lambda는 잡음 제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lambda=0일 경우 평활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결과는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lambda \to \infty로 갈수록, 전변동 항이 점점 더 강한 역할을 하여 입력(잡음) 신호와는 거리가 멀어지는 대신 결과가 더 작은 전변동을 갖도록 강제한다. 따라서 정규화 매개변수의 선택은 적절한 양의 잡음 제거를 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3. 1. 매개변수 선택의 중요성

정규화 매개변수 \lambda는 잡음 제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lambda=0일 경우 평활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결과는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lambda \to \infty로 갈수록, 전변동 항이 점점 더 강한 역할을 하여 입력(잡음) 신호와는 거리가 멀어지는 대신 결과가 더 작은 전변동을 갖도록 강제한다. 따라서 정규화 매개변수의 선택은 적절한 양의 잡음 제거를 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4. 2D 신호 처리 (이미지)

이미지와 같은 2D 신호 ''y''를 고려한다.

1992년 논문에서 제안된 전변동 노름은 다음과 같다.

:V(y) = \sum_{i,j} \sqrt{|y_{i+1,j} - y_{i,j}|^2 + |y_{i,j+1} - y_{i,j}|^2}

이는 등방성이며 미분 가능하지 않다. 때때로 최소화하기 더 쉬울 수 있기 때문에 사용되는 변형은 비등방성 버전이다.

:V_\operatorname{aniso}(y) = \sum_{i,j} \sqrt{|y_{i+1,j} - y_{i,j}|^2} + \sqrt

4. 1. 전변동 노름 (Total Variation Norm)

2D 신호 ''y''에 대한 전변동 노름은 1992년 논문에서 처음 제안되었다.[4] 등방성 전변동 노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V(y) = \sum_{i,j} \sqrt{|y_{i+1,j} - y_{i,j}|^2 + |y_{i,j+1} - y_{i,j}|^2}

이 노름은 등방성이지만 미분 가능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등방성 전변동 노름의 계산 및 최적화가 어려운 경우, 비등방성 전변동 노름이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등방성 전변동 노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V_\operatorname{aniso}(y) = \sum_{i,j} \sqrt{|y_{i+1,j} - y_{i,j}|^2} + \sqrt

4. 2. 잡음 제거 문제 해결

2D 신호 ''y''에 대한 전변동(Total Variation) 잡음 제거 문제는 1992년에 제안된 전변동 노름을 사용하여 정의된다.[4] 전변동 노름은 등방성(isotropic)이며 미분 가능하지 않다. 때로는 최소화하기 더 쉬운 비등방성 버전이 사용되기도 한다.

표준 전변동 잡음 제거 문제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 \min_y [ \operatorname E(x, y) + \lambda V(y)],

여기서 ''E''는 2D ''L''2 노름이다. 1D의 경우와 달리, 이 잡음 제거 문제를 푸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근 알고리즘으로는 주-쌍대 방법이 있다.[4]

2000년대 중반 압축 센싱 연구의 발전으로, 분할-브레그만 방법과 같은 다양한 알고리즘들이 개발되어 이 문제의 변형을 해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5. Rudin–Osher–Fatemi (ROF) PDE

잡음이 있는 영상 f가 주어졌고 2차원 공간에서 잡음이 제거된 영상 u를 계산하고자 한다고 가정하자. ROF는 우리가 해결하고자 하는 최소화 문제는 다음과 같다고 제시했다.[5]

: \min_{u\in\operatorname{BV}(\Omega)} \; \|u\|_{\operatorname{TV}(\Omega)} + {\lambda \over 2} \int_\Omega(f-u)^2 \, dx

여기서 \operatorname{BV}(\Omega)는 영역 \Omega에서 유계변동을 갖는 함수 집합이고, \operatorname{TV}(\Omega)는 해당 영역에서의 총 변동이며, \lambda는 페널티 항이다. u가 매끄러울 때, 총 변동은 기울기 크기의 적분과 동일하다.

:\|u\|_{\operatorname{TV}(\Omega)} = \int_\Omega\|\nabla u\| \, dx

여기서 \|\cdot\|는 유클리드 노름이다. 그러면 최소화 문제의 목적 함수는 다음과 같다.

:\min_{u\in\operatorname{BV}(\Omega)} \; \int_\Omega\left[\|\nabla u\| + {\lambda \over 2}(f-u)^2 \right] \, dx

이 함수로부터, 시간 의존성을 가정하지 않는 최소화를 위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비선형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을 제공한다.

: \begin{cases}

\nabla\cdot\left({\nabla u\over{\|\nabla u\|}} \right ) + \lambda(f-u) = 0, \quad &u\in\Omega \\

{\partial u\over{\partial n}} = 0, \quad &u\in\partial\Omega

\end{cases}

일부 수치 알고리즘의 경우, ROF 방정식의 시간 의존적 버전을 푸는 것이 더 선호된다.

:{\partial u\over{\partial t}} = \nabla\cdot\left({\nabla u\over{\|\nabla u\|}} \right ) + \lambda(f-u)

5. 1. 최소화 문제 정의

잡음이 있는 영상 f가 주어졌을 때, 2차원 공간에서 잡음이 제거된 영상 u를 계산하기 위해 ROF 모델은 다음 최소화 문제를 제시한다.[5]

: \min_{u\in\operatorname{BV}(\Omega)} \; \|u\|_{\operatorname{TV}(\Omega)} + {\lambda \over 2} \int_\Omega(f-u)^2 \, dx

여기서 \operatorname{BV}(\Omega)는 영역 \Omega에서 유계변동을 갖는 함수 집합이고, \operatorname{TV}(\Omega)는 해당 영역에서의 총 변동이며, \lambda는 페널티 항이다. u가 매끄러울 때, 총 변동은 기울기 크기의 적분과 동일하다.

:\|u\|_{\operatorname{TV}(\Omega)} = \int_\Omega\|\nabla u\| \, dx

여기서 \|\cdot\|는 유클리드 노름이다. 따라서 최소화 문제의 목적 함수는 다음과 같다.

:\min_{u\in\operatorname{BV}(\Omega)} \; \int_\Omega\left[\|\nabla u\| + {\lambda \over 2}(f-u)^2 \right] \, dx

이 함수로부터, 시간 의존성을 가정하지 않는 최소화를 위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비선형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을 제공한다.

: \begin{cases}

\nabla\cdot\left({\nabla u\over{\|\nabla u\|}} \right ) + \lambda(f-u) = 0, \quad &u\in\Omega \\

{\partial u\over{\partial n}} = 0, \quad &u\in\partial\Omega

\end{cases}

일부 수치 알고리즘의 경우, ROF 방정식의 시간 의존적 버전을 푸는 것이 선호된다.

:{\partial u\over{\partial t}} = \nabla\cdot\left({\nabla u\over{\|\nabla u\|}} \right ) + \lambda(f-u)

5. 2.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잡음이 있는 영상 f가 주어졌을 때, 2차원 공간에서 잡음이 제거된 영상 u를 계산하기 위해, ROF는 다음과 같은 최소화 문제를 제시한다.[5]

: \min_{u\in\operatorname{BV}(\Omega)} \; \|u\|_{\operatorname{TV}(\Omega)} + {\lambda \over 2} \int_\Omega(f-u)^2 \, dx

여기서 \operatorname{BV}(\Omega)는 영역 \Omega에서 유계변동을 갖는 함수 집합이고, \operatorname{TV}(\Omega)는 해당 영역에서의 총 변동이며, \lambda는 페널티 항이다. u가 매끄러울 때, 총 변동은 기울기 크기의 적분과 같다.

:\|u\|_{\operatorname{TV}(\Omega)} = \int_\Omega\|\nabla u\| \, dx

여기서 \|\cdot\|는 유클리드 노름이다. 그러면 최소화 문제의 목적 함수는 다음과 같다.

:\min_{u\in\operatorname{BV}(\Omega)} \; \int_\Omega\left[\|\nabla u\| + {\lambda \over 2}(f-u)^2 \right] \, dx

이 함수로부터, 시간 의존성을 가정하지 않는 최소화를 위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비선형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을 제공한다.

: \begin{cases}

\nabla\cdot\left({\nabla u\over{\|\nabla u\|}} \right ) + \lambda(f-u) = 0, \quad &u\in\Omega \\

{\partial u\over{\partial n}} = 0, \quad &u\in\partial\Omega

\end{cases}

일부 수치 알고리즘의 경우, ROF 방정식의 시간 의존적 버전을 푸는 것이 더 선호된다.

:{\partial u\over{\partial t}} = \nabla\cdot\left({\nabla u\over{\|\nabla u\|}} \right ) + \lambda(f-u)

5. 3. 시간 의존적 ROF 방정식

잡음이 있는 영상 f가 주어졌을 때, 2차원 공간에서 잡음이 제거된 영상 u를 계산하기 위해 ROF 모델은 다음 최소화 문제를 제시한다.[5]

: \min_{u\in\operatorname{BV}(\Omega)} \; \|u\|_{\operatorname{TV}(\Omega)} + {\lambda \over 2} \int_\Omega(f-u)^2 \, dx

여기서 \operatorname{BV}(\Omega)는 영역 \Omega에서 유계변동을 갖는 함수 집합이고, \operatorname{TV}(\Omega)는 해당 영역에서의 총 변동이며, \lambda는 페널티 항이다. u가 매끄러울 때, 총 변동은 기울기 크기의 적분과 같다.

:\|u\|_{\operatorname{TV}(\Omega)} = \int_\Omega\|\nabla u\| \, dx

여기서 \|\cdot\|는 유클리드 노름이다. 그러면 최소화 문제의 목적 함수는 다음과 같다.

:\min_{u\in\operatorname{BV}(\Omega)} \; \int_\Omega\left[\|\nabla u\| + {\lambda \over 2}(f-u)^2 \right] \, dx

이 함수로부터 시간 의존성을 가정하지 않는 최소화를 위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은 다음과 같은 비선형 타원형 편미분 방정식을 제공한다.

: \begin{cases}

\nabla\cdot\left({\nabla u\over{\|\nabla u\|}} \right ) + \lambda(f-u) = 0, \quad &u\in\Omega \\

{\partial u\over{\partial n}} = 0, \quad &u\in\partial\Omega

\end{cases}

일부 수치 알고리즘의 경우, ROF 방정식의 시간 의존적 버전을 푸는 것이 더 선호된다.

:{\partial u\over{\partial t}} = \nabla\cdot\left({\nabla u\over{\|\nabla u\|}} \right ) + \lambda(f-u)

6. 응용 분야

블랙홀의 첫 번째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루딘-오셔-파테미 모델이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6]

6. 1. 블랙홀 이미지 생성

블랙홀의 첫 번째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루딘-오셔-파테미 모델이 중추적인 역할을 했다.[6]

7. 한계 및 개선 방향

참조

[1] 논문 Nonlinear total variation based noise removal algorithms
[2] 논문 Edge-preserving and scale-dependent properties of total variation regularization
[3] 간행물 Sparse Bayesian Step-Filtering for High-Throughput Analysis of Molecular Machine Dynamics http://www.maxlittle[...]
[4] 논문 An algorithm for total variation minimization and applications
[5] 웹사이트 Rudin–Osher–Fatemi Total Variation Denoising using Split Bregman https://www.ipol.im/[...] 2012
[6] 웹사이트 Rudin–Osher–Fatemi Model Captures Infinity and Beyond https://www.ipam.ucl[...] 2019-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