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홍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홍종은 오대 십국 시대 오월의 제3대 국왕으로, 947년에 형 전홍좌의 사후 왕위를 계승했다. 즉위 후 장군들의 권력을 억제하려 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반발을 샀고, 내아통군사 호진사의 쿠데타로 폐위되었다. 이후 동생 전홍숙에 의해 연금되었다가 후하게 대우받았으며, 973년에 사망하여 충손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28년 출생 - 전홍좌
    오월국의 제2대 국왕 전홍좌는 온화한 성품으로 독서를 좋아하고 한시에 능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후진으로부터 오월국왕으로 봉해지고 민나라를 공격하여 복주를 점령했으나, 간신을 등용하여 정치를 그르쳤다는 평가도 받는다.
  • 오월 국왕 - 전홍좌
    오월국의 제2대 국왕 전홍좌는 온화한 성품으로 독서를 좋아하고 한시에 능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후진으로부터 오월국왕으로 봉해지고 민나라를 공격하여 복주를 점령했으나, 간신을 등용하여 정치를 그르쳤다는 평가도 받는다.
  • 오월 국왕 - 전홍숙
    오대십국 시대 오월의 마지막 왕인 전홍숙은 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송나라의 압박에 영토를 헌납하여 오월을 종결시키고 회해국왕에 봉해졌으며, 그의 행적은 전쟁 피해를 줄였다는 긍정적 평가와 나라를 지키지 못했다는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 973년 사망 - 오토 1세
    오토 1세는 작센 왕조 출신으로 동프랑크 왕국의 왕이었으며, 강력한 왕권 구축, 마자르족 격퇴, 제국 교회 체제 확립 등의 업적을 통해 신성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어 중세 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973년 사망 - 균여
    균여는 고려시대 승려이자 사상가로, 불교 종파 통합과 대중화에 힘썼으며 특히 《보현십원가》를 지어 불교 대중화에 기여했고, 광종 때 귀법사 주지로 있다가 입적했다.
전홍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오월 충헌왕 (吳越忠遜王)
더 보기중국
왕위 계승
왕국오월
통치 기간947년 7월 3일 - 948년 2월 12일
이전 군주전홍좌
다음 군주전홍숙
배우자
자녀전유치 (錢惟治)
전곤 (錢昆)
전이 (錢易)
개인 정보
전체 이름전홍종 (錢弘倧), 960년에 전종 (錢倧)으로 개명
연호 날짜후한 천복 (天福): 947년–948년
시호충손왕 (忠遜王, "충실하고 겸손한 왕")
가문전씨
왕조오월
아버지전원관
어머니부인 부씨
출생일928년?
출생지항저우, 오월
사망일971년?
사망지사오싱, 오월
매장일현대 사오싱 커차오구

2. 생애

947년(천복 12년), 전홍좌(충헌왕)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이 어려 동생인 전홍종이 왕위를 계승했다. 당시 의 태종 야율요골이 후진을 멸망시켜 중원을 점거하고 있었고, 오월도 요나라의 신하를 자처했지만, 요나라군 철수 후에는 후한의 신하를 자처하였다.

전홍좌 재위 시에는 왕이 어려 여러 장수들이 전횡을 부렸는데, 전홍종은 즉위하여 이들을 억제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그러나 개혁이 성급하게 진행되면서, 자신의 지위에 위기감을 느낀 내아통군사 호진사 등의 반발을 샀다. 947년 12월 30일(948년 2월 12일), 호진사 등은 야음을 틈타 정변을 일으켜 전홍종을 연금하고, 이복 동생인 전홍숙(충의왕)을 옹립하였다. 호진사는 얼마 지나지 않아 병사하였으나, 전홍종의 연금 상태는 계속되었다.

951년(광순 원년), 충의왕은 전홍종을 동부 월주로 옮기고, 그곳에 궁전을 지어 후대하였다. 이후 정변을 방지하기 위해 신하들이 살해를 권했지만, 충의왕은 울면서 거절했다.

971년 사망하였으며, 향년 44세였다. 충손왕(忠遜王)이라는 시호가 주어졌다. 그의 아들 전유치·전곤·전이는 충의왕에게 거두어져 양자로 길러졌으며, 송나라에 귀순한 후 함께 진사가 되어 관료로서 송나라를 섬겼다.

2. 1. 왕위 계승 이전

928년에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4] 전홍종의 아버지 전원관(후에 문목왕으로 불림)[5]전류(무숙왕)의 후계자였으며, 전류는 오월의 건국왕이었다.[7] 어머니는 전원관의 첩인 부씨 부인이었고, 부씨는 이전에 전원관의 장남 전홍준을 낳았다.[8] 전홍종은 전원관의 일곱째 아들이었다. 전홍종이 태어났을 때, 전원관은 어떤 남자가 금 상자를 바치는 꿈을 꾸었고, 그래서 전홍종에게 "만금" (1만 의 금)이라는 별명을 붙였다.[5]

전홍종은 초기에 오월 왕실 경호대 장교로 복무했고, 명예직인 임시 삼공 중 하나인 ''사공'' (司空) 칭호를 받았다. 944년, 형 전홍좌(충헌왕)의 통치 기간에 월주 (현대 사오싱, 저장성)로 파견되어 동부 본부를 위로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명예직인 임시 ''태위'' (太尉, 역시 삼공 중 하나) 칭호를 받았다.[5] 947년, 전홍좌는 그를 오월의 수도 전당으로 소환하여 재상으로 임명했다.[9]

2. 2. 오월 국왕 즉위와 통치

947년(천복 12년), 전홍좌(충헌왕)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이 어렸기 때문에 동생인 전홍종이 왕위를 계승했다. 당시 의 태종 야율요골이 후진을 멸망시켜 중원을 점령하고 있어서, 오월도 요나라의 신하를 자처하고 있었지만, 요나라군 철수 후에는 후한의 신하를 자처하였다.

전홍좌 재위 시에는 왕이 어려 여러 장수들이 전횡을 부렸는데, 전홍종은 즉위하여 이들을 억제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그러나 개혁이 성급하게 진행되면서, 자신의 지위에 위기감을 느낀 내아통군사 호진사 등의 반발을 샀다. 947년 12월 30일(948년 2월 12일), 그들은 야음을 틈타 정변을 일으켜 전홍종을 연금하고, 이복 동생인 전홍숙(충의왕)을 옹립하였다. 호진사는 얼마 지나지 않아 병사하였으나, 전홍종의 연금 상태는 계속되었다.

951년(광순 원년), 전홍숙은 전홍종을 동부 월주로 옮기고, 그 땅에 궁전을 지어 그를 후대하였다.

2. 3. 호진사의 정변과 폐위

947년(천복 12년), 전홍좌(錢弘佐)가 사망하여, 그의 아들이 어렸기 때문에 동생인 전홍종이 왕위를 계승했다. 당시 요나라의 황제 야율덕광이 후진(後晉)을 멸망시켜 중원을 점령하고 있어서, 오월도 요나라의 신하를 자처했다. 하지만 요나라 군이 철수한 후에는 후한의 신하를 자처했다.[1]

전홍좌의 재위 당시에는 그가 어렸기 때문에 여러 장군들의 전횡이 있었다. 전홍종은 즉위하여 여러 장군을 억제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그러나 개혁이 성급하게 진행되었고, 스스로 지위에 위기감을 느낀 내아통군사 호진사(胡進思) 등의 반발을 불렀다.[1]

948년 새해 즈음에 전홍종은 자신이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두 명의 관료, 허청쉰(何承訓|허청쉰중국어)과 수이치우 자오취안(水丘昭券|수이치우 자오취안중국어)과 함께 호진사를 본부에서 내쫓는 것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수이치우는 호진사가 군대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다고 생각했고, 따라서 전홍종은 망설였다. 허청쉰은 그 소식이 새어나갈까 두려워, 오히려 그 소식을 호진사 자신에게 흘려보내기로 결정했다. 어느 날 밤, 전홍종이 연회를 열었을 때, 호진사는 전홍종이 그를 상대로 행동하려 한다고 생각하여 그의 군사들을 모아 왕의 저택으로 향했다. 그는 저택을 포위하고 왕을 가택 연금했으며, 왕의 이름으로 칙령을 내려 왕이 뇌졸중에 걸려 동생 전홍초에게 왕위를 물려준다고 주장했다. 그가 전홍초에게 왕위를 제안하러 갔을 때, 전홍초는 전홍종의 생명을 보존한다는 조건으로 동의했다. 호진사가 동의하자 전홍초가 왕위를 차지했다(충의왕(忠義王)으로서). 쿠데타의 일환으로 호진사는 수이치우와 전홍종의 삼촌(부인의 형제) 부광현(鄜光鉉|부광현중국어)을 살해했다.[1]

947년 12월 30일, 호진사 등은 야연을 틈타 정변을 일으켜 전홍종은 연금되었고, 이복 동생인 전홍숙(錢弘俶)이 옹립되었다. 호진사는 곧 병사했지만, 전홍종의 연금 상태는 계속되었다.[1]

2. 4. 폐위 이후의 삶

947년(천복 12년) 12월 30일, 내아통군사 호진사 등은 밤을 틈타 정변을 일으켜 전홍종은 연금되고, 이복 동생인 전홍숙이 옹립되었다. 호진사는 얼마 지나지 않아 병사했지만, 전홍종의 연금 상태는 계속되었다.[1]

951년(광순 원년), 전홍숙은 전홍종을 동부월주(東府越州)로 옮기고, 그 땅에 궁전을 지어 후하게 대우했다. 전홍숙은 전홍종을 위해 궁궐과 정원을 더 지었고, 모든 것을 제공했다.[1] 월주에 도착한 직후, 전홍종은 첫 아들을 얻었고, 전홍숙은 그를 매우 총애하여 양자로 삼아 전유치(錢惟治)라고 이름을 지었다.[12] 이후 전홍종은 전곤(錢昆)과 전이(錢易) 두 아들을 더 두게 된다.[13]

전홍종은 명절에 종종 도사 복장을 하고 첩, 악사들을 데리고 산에 올라가 큰 소리로 북을 쳤다. 경비병들이 이를 전홍숙에게 보고하자, 전홍숙은 "내 동생은 할 일이 없어서 괴로워한다. 그는 북을 칠 수 없으면 행복하지 않을 것이다."라며 개의치 않았다.[12]

전홍종은 973년에 사망했으며, 충손왕(忠遜王)이라는 시호가 주어졌다. 말년에 그의 이름은 송나라의 송 태조의 아버지 조홍윤의 (이름을 피하는 것)를 피하기 위해 전종으로 바뀌었다.[12]

3.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전원관
어머니노국부인(魯国夫人) 부씨(鄜氏)
아들전유지(錢惟治|전유지중국어)
아들전곤 (錢昆|전곤중국어)
아들전이 (錢易|전이중국어)


4. 평가

錢弘倧|전홍종중국어오월의 제4대 국왕이다. 전홍좌에 비해 통치 능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3] 문서
[4] 문서
[5]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the Ten Kingdoms
[6]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the Ten Kingdoms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the Ten Kingdoms
[9] 서적 Zizhi Tongjian
[10] 서적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11] 서적 Zizhi Tongjian
[12] 서적 History of Song Yuan dynasty
[13] 서적 History of So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