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균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균여는 고려 시대의 승려로, 불교 대중화에 힘쓰며 향가 《보현십원가》 11수를 지어 불교 교리를 쉽게 풀어낸 인물이다. 그는 종파 통합을 위해 노력하고, 광종에 의해 귀법사 주지로 초빙되기도 했다. 균여는 《수현방궤기》 등 많은 저서를 남겼으며, 《보현십원가》는 보현보살의 십종원왕에 의해 지어진 11수의 향가로, 향찰로 기록되었으며 10구체 형식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23년 출생 - 스자쿠 천황
    다이고 천황의 아들인 스자쿠 천황은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후지와라노 다다히라의 보좌를 받았으나, 재위 기간 동안 조헤이·덴교의 난과 자연재해가 잇따랐고, 자식 없이 동생에게 양위한 후 출가하여 사망하였다.
  • 923년 출생 - 정종 (고려 3대)
    태조 왕건의 아들인 정종은 혜종 사후 왕위에 올라 서경 천도를 추진하고 광군사를 조직하여 국방력을 강화했으나, 재위 4년 만에 광종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황주 변씨 - 변이중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변이중은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1573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소모사로 의병 모집과 군량 조달에 힘썼으며 화차 제작을 주도하여 권율 장군을 지원했고 사후 이조참판에 추증, 장성 봉암서원에 제향되었다.
  • 황주 변씨 - 변희봉
    변희봉은 1965년 MBC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약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준 대한민국의 배우로, 특히 영화 《괴물》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 췌장암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973년 사망 - 오토 1세
    오토 1세는 작센 왕조 출신으로 동프랑크 왕국의 왕이었으며, 강력한 왕권 구축, 마자르족 격퇴, 제국 교회 체제 확립 등의 업적을 통해 신성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어 중세 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973년 사망 - 전홍종
    전홍종은 오대십국 시대 오월의 제3대 국왕으로, 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급진적인 개혁 추진으로 정변으로 폐위된 후 유폐 생활을 했다.
균여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균여
한글균여
한자均如
가타카나규니ョ
로마자 표기Gyunyeo
승려 정보
이름균여
원어 이름均如
속명속성은 변(邊)씨
출생일923년 음력 8월 8일
출생지고려 황해도 황주(黃海道 黃州)
입적일973년 음력 6월 (향년 51세)
부모아버지 변환성(邊煥性)
어머니 점명(占命)
스승식현(識賢)·탄문(坦文)
직업고려의 승려
출가937년

2. 생애

균여는 황해도 황주 출신으로, 어머니는 점명(占命)이다. 얼굴이 못생겨 부모에게 버려졌으나, 두 까마귀가 날개로 그를 덮는 것을 본 부모가 회개하여 다시 데려다 길렀다고 한다. 7세 무렵부터 《원만게(圓滿偈)》를 즐겨 읽었고, 15세 때 부흥사 식현화상(識賢和尙)에게 학문을 배웠으며, 이후 영통사에서 의순(義順)의 문인으로 수도에 힘썼다. 937년(15세)에 승려가 된 후 부흥사 식현 화상에게서 학문을 닦았다.

937년 이후 영통사에서 수도하면서 불교 보급에 노력하여, 보현십원가(普賢十種願生歌, 약칭) 11수의 향가를 지었다. 이 노래 속에 불교 교리를 쉽게 풀어 넣어 대중이 불교에 친근하도록 했다.

불교계 종파 통합에도 힘썼다. 의상이 개창한 북지 부석사의 희랑 문하와, 관혜가 고려 국왕의 지원을 받아 번성시킨 남악 지리산 문하가 격렬하게 대립하자, 양측의 화해를 조율하였다. 관혜(觀惠)의 남악파(南岳派)와 희랑(希朗)의 북악파(北岳派) 통합을 위해 인유(仁裕)와 함께 대찰(大刹) 승려들을 설득하고 민간을 순회하며 설교하여 종파 간 분쟁을 끝냈다.

고려 광종 때 시관(試官)이 되어 유능한 승려들을 많이 선발했다. 958년(광종 9)에는 시관이 되어 유능한 승려들을 많이 선발했고, 법계(法階)는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에 이르렀다. 한때 오관산(五冠山) 마하갑사(摩詞岬寺)에 있었으며, 963년(광종 14) 왕이 그를 위해 창건한 귀법사 주지로 있다가 973년에 사망하였다. 국왕 광종이 송악 귀법사를 건립했을 때 초빙되었다.

《수현방궤기(搜玄方軌記)》 10권, 《공목장기(孔目章記)》 8권, 《오십요 문답기》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3. 사상과 활동

균여는 어려서부터 불교 경전을 즐겨 읽었으며, 15세에 부흥사 식현화상에게서 학문을 배웠고, 영통사에서 의순의 문인으로 수도하였다. 불교 대중화를 위해 향가 보현십원가 11수를 지어 불교 교리를 쉽게 풀어 설명했다.

958년(광종 9)에는 시관(試官)이 되어 유능한 승려들을 많이 선발했다. 법계(法階)는 대화엄수좌원통양중대사(大華嚴首座圓通兩重大師)에 이르렀다. 한때 오관산(五冠山) 마하갑사(摩詞岬寺)에 있었으며, 963년(광종 14) 왕이 그를 위해 창건한 귀법사의 주지로 있다가 973년에 입적하였다.

그는 《수현방궤기(搜玄方軌記)》 10권, 《공목장기(孔目章記)》 8권, 《오십요 문답기》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3. 1. 종파 통합 노력

균여는 불교계의 종파 통합에 힘을 기울여, 관혜(觀惠)의 남악파(南岳派)와 희랑(希朗)의 북악파(北岳派) 통합을 위해 노력했다. 인유(仁裕)와 함께 대찰(大刹)의 승려를 찾아 설득하고 민간을 순회하며 설교하여 종파 간의 분쟁을 끝내게 했다. 의상이 개창한 북지 부석사에 거주하던 희랑의 문하와, 관혜가 고려 국왕의 지원을 받아 번성한 남악 지리산의 문하가 격렬하게 대립하자, 양측의 화해를 조율하여 국왕 광종이 송악 귀법사를 건립했을 때 초빙되었다.

4. 저술

균여는 불교 대중화를 위해 향가 <보현십원가> 11수를 지어 불교 교리를 쉽게 풀어냈다. 이 향가는 불교 문학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되며, 혁련정이 지은 <균여전>에 수록되어 있다.

그는 《수현방궤기(搜玄方軌記)》 10권, 《공목장기(孔目章記)》 8권, 《오십요 문답기》 등 많은 저서를 남겼다. 지엄에 관한 『수현방궤기』, 『공목장기』, 『오십요문답기』, 법장에 관한 『탐현기석』, 『교분기석』, 『지귀장기』, 『삼보장기』, 의상에 관한 『일승법계도원통기』, 『십구장기』, 『입법계품초기』 등, 선배들의 저작에 관한 많은 주석을 저술했다.

5.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균여는 불교를 대중화하기 위해 향가 <보현십원가>(원래 이름은 <보현십종원왕가>) 11수를 지어 불교 교리를 쉽게 풀어냈다. 이 노래는 불교 문학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혁련정이 지은 <균여전>에 수록되어 있다.

균여는 937년 이후 영통사에서 수도하면서 <보현십원가>를 지어 불교 보급에 힘썼다. <보현십원가>는 11수의 향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노래는 불교의 교리를 담고 있어 대중들이 쉽게 불교를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1. 보현십원가의 구성

균여가 지은 향가 11수는 보현보살(普賢菩薩)의 십종원왕(十種願往)을 바탕으로 한다. 노래는 모두 향찰로 적혀 있으며, 10구체 형식이다. '보현'의 원래 범음(梵音)은 삼만다발타라(三曼多跋陀羅, Samantabhadra)이며, '보'는 덕이 두루 미침을, '현'은 인자하고 지혜로움을 뜻한다. 보현보살은 문수보살(文殊菩薩)과 함께 석가(釋迦)를 모시며, 흰 코끼리를 타고 부처의 오른쪽에 있다. 연명의 덕이 있어 '연명보살'이라고도 불린다.

<보현십원가> 11수는 혁련정이 지은 <균여전> 제7가행화세분(歌行化世分)에 실려 있다. 11수의 제목은 다음과 같다.

  •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
  • <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
  • <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
  • <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
  • <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
  • <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
  • <청불주세가(請佛住世歌)>
  • <상수불학가(常隨佛學歌)>
  • <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
  • <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
  • <총결무진가(總結无盡歌)>

6. 가계


  • 아버지: 변환성
  • 어머니: 점명

7. 등장 작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