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문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문흠은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제2, 3, 4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동흥중학교를 졸업하고 3.1 운동 이후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했으며, 귀국 후 경흥군 금융조합장과 대한농민회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한 후 자유당에 입당하여 당무위원, 경상북도당위원장 등 주요 직책을 거쳤다. 자유당 소속으로 제3, 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국회의원 시절 영동선 철도 노선 변경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논란이 되었으며, 86세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주 정씨 - 제이영
    1980년대 미니멀 아트를 통해 고향 풍경을 간결하게 표현하고 1990년대 이후 오브제, 드로잉, 낙서 등으로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탐구하는 대한민국의 미술가 제이영은 소비주의 비판과 동양적 사의를 담은 작품으로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 청주 정씨 - 정탁 (익경공)
    정탁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고려 우왕 때 예의판서를 지냈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 1등과 정사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태종 때 청성군에 봉해졌으며 세종 때 우의정까지 올랐다.
  • 봉화군 출신 - 이성민 (배우)
    이성민은 1968년 경상북도 봉화 출생으로 연극 무대에서 시작하여 영화와 드라마 조연을 거쳐 주연 배우로 활동하며,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봉화군 출신 - 강석훈 (1964년)
    강석훈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대우경제연구소 금융팀장, 성신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를 거쳐 제19대 국회의원과 박근혜 정부 경제수석, 윤석열 정부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산업은행 회장으로 재직 중인 윤석열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다.
  • 전주초등학교 동문 - 정동영
    언론인 출신 정치인 정동영은 MBC 기자와 앵커를 거쳐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 열린우리당 의장, 통일부 장관, 대통합민주신당 대통령 후보, 민주평화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2024년 5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 전주초등학교 동문 - 정낙훈
    정낙훈은 충청남도 공주 출신으로 군수, 충청북도지사, 농림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정문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정문흠
출생일1892년 9월 1일
출생지조선 경상도 봉화
사망일1976년 3월 1일
사망지대한민국 경상북도 봉화
국적대한민국
본관청주(淸州)
직업정치인
학력
학력1911년 청나라 만주 지린성 룽징 둥싱 중학교 졸업
경력
경력자유당 당무위원 겸 정책심의위원장
정당
정당무소속
의정 활동
의원 선수3
의원 대수2·3·4
웹사이트
웹사이트두산백과
대한민국헌정회

2. 생애

경상북도 봉화군 출신으로, 1959년 자유당 총무, 1966년 자유당 정책심의회 회장을 역임했다.[2]

2. 1. 독립운동과 해방 이전

3·1 운동 이후 만주에서 독립 운동을 했고, 1923년 만주 동흥중학교(東興中學校)를 졸업했다. 이후 귀국하여 함경북도 경흥군 금융조합장을 역임했다.[2]

2. 2. 정치 활동

대한농민회 최고위원을 역임했다.[2] 제2대 총선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다.[1] 이후 자유당에 입당하여 당무위원, 경상북도당위원장, 원내총무, 정책심의위원장 등 주요 직책을 거쳤다.[2] 제3대 및 제4대 총선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1]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협력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2. 3. 사망

1976년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했다. 향년 86세였다.[4]

3. 논란 및 비판

정문흠은 영동선 철도 노선 변경 과정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영동선 철도 노선 변경 논란 (억지춘양)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영동선 철도 노선 변경 논란 (억지춘양)

억지춘양한국어이라는 관용 표현의 어원 중 하나는, 법전역에서 영동선의 녹동역까지의 선형이 춘양역이 있는 춘양면을 경유하기 위해 "Ω" 자 형태로 크게 우회하는 것이다.[5] 이는 당시 국회의원을 지낸 정문흠의 "아전인수"격 영향이라고 한다.[6]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48년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대한독립촉성국민회10,431표 (35.91%)2위낙선
1950년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무소속13,530표 (39.77%)1위당선초선
1954년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자유당7,458표 (21.67%)1위당선재선
1958년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자유당24,285표 (61.09%)1위당선3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10-04
[2] 웹사이트 정문흠(鄭文欽) https://encykorea.ak[...] 2023-10-04
[3] 웹사이트 자료일람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s://db.history.g[...] 韓国史データベース 2023-10-04
[4] 웹사이트 前議員(전의원) 鄭文欽(정문흠)씨 https://newslibrary.[...] 1976-03-03
[5] 웹사이트 이래서 '억지 춘양'이라는 건가 https://www.ohmynews[...] 2023-10-06
[6] 웹사이트 [자박자박 소읍탐방] 솔향기 그윽한 봉화 춘양, 억지로라도 한번 가보시더 https://www.hankooki[...] 2018-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