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양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양역은 고려 충렬왕 때 춘양현이 설치된 데서 유래된 역으로, 1955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 열차가 운행하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 구조이다. 춘양역 주변에는 춘양면 시가지와 관광지가 있으며, '억지춘양'이라는 관용어구의 유래와 관련된 설화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화군의 건축물 - 현동역
현동역은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를 신축했으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봉화군의 건축물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봉화군의 교통 - 현동역
현동역은 1956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를 신축했으나, 화물 취급이 중지되고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며, 영동선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봉화군의 교통 - 임기역
임기역은 경상북도 영주시에 위치한 영동선 상의 지상역으로, 숲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역이었으나 현재는 무배치간이역으로 운영 중이다. - 1955년 개업한 철도역 - 용동역
용동역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했던 호남선의 역으로, 개업 후 여러 변경을 거쳐 화물과 여객 취급 중지 후 2006년 폐역되었으며, 단선과 섬식 승강장을 갖춘 2면 3선의 지상역으로 강경역과 함열역 사이에 있었다. - 1955년 개업한 철도역 - 동두천중앙역
동두천중앙역은 경원선 수도권 전철 1호선에 위치한 고가역으로, 1955년 어수동역으로 개업 후 역명 변경을 거쳐 2006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과 주변의 다양한 시설들로 인해 지역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춘양역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역명 | 춘양역 |
| 한자 표기 | 春陽驛 |
| 로마자 표기 | Chunyang Station |
| 부역명 | 의양리 |
|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운곡길 22-2 |
| 관리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
| 역 등급 | 2급 |
| 역 구조 | 지상역 |
| 승강장 | 1면 2선 |
| 개업일 | 1955년 7월 1일 |
| 관리역 | 관리역 |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 여부 | 비치 |
| 노선 정보 | |
| 소속 노선 | 영동본선 |
| 영업 거리 | 영주 기점 37.9 km |
| 이전 역 | 법전 |
| 이전 역 거리 | 5.2 km |
| 다음 역 | 녹동 |
| 다음 역 거리 | 4.8 km |
| 이미지 | |
![]() | |
![]() | |
2. 역명 유래
고려 충렬왕 때 복주목 속현으로 춘양현으로 설치된 데서 비롯되었다.
1955년 6월 30일 신축 역사가 준공되었다.
춘양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3. 역사
1955년 7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6]
1973년 3월 26일 민수용 무연탄 도착취급역으로 지정되었다.[7]
1997년 10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8]
1997년 12월 23일 신 역사가 준공되었다.
1998년 1월 20일 신 역사로 이전하였다.
2004년 9월 1일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9]
2013년 4월 12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7년 12월 15일 강릉선 KTX 운행 관련 다이어 개정으로 백두대간협곡열차가 춘양, 봉화에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
2020년 2월 3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4. 역 구조
4.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5. 역 주변
역 주변에는 다방이 많은 춘양면 시가지가 있다. 또한, '옥치춘양시장' 외에 한수정, 만산고택 등의 관광지가 있다.[1][2]
6. 억지춘양
억지춘양한국어 또는 억지춘향한국어은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을 억지로 해서 간신히 해내는 것을 의미하는 한국어 관용구이다.[3][4] 이 말의 유래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는 춘양역과 관련이 있다.
6. 1. 유래
한국어의 관용적 표현 중 하나로 ‘억지춘양’ 또는 ‘억지춘향’이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의 유래는 여러 가지로 추측되는데, 그 중 하나가 바로 춘양역과 관계가 있다. 본래 일제강점기 당시 영암선(영동선의 전신)을 부설할 때는 춘양을 통과하지 않기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해방 후 자유당 집권 당시 정치인이었던 봉화군 출신 정문흠의 요구로 인해 갑자기 수정되어 춘양을 경유하도록 철로가 S자로 굽어져서 부설된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다.[10] 또는, 영동선 건설 당시 산고개를 뚫을 터널 기술이 부족한 관계로 마을을 통과하는 것이 불가피했기 때문이었다는 이야기도 있다."억지춘향한국어" 또는 "억지춘양한국어"이라는 관용어구는 “이치에 맞지 않는 일을 억지로 해서 간신히 해내는 것”을 의미한다.[3][4] 그 어원 중 하나는 영동선 건설 당시 국회의원을 지낸 정문흠의 “자기편들기” 영향 때문이라고 한다. 정문흠의 영향으로 영동선(구 영암선)의 선형은 법동-녹동 구간에서 직선이 아니고, 원래의 건설 계획에는 없는 춘양면을 통과하기 위해 “Ω”자 모양으로 크게 곡선을 이루게 되었고, 춘양역도 이 구간에 건설되었다는 것이다.[5][2]
이 단어에는 춘양산 소나무인 고급 목재 “춘양목”이 춘양역을 통해 전국으로 운반되었는데, 그 명성이 높아지자 다른 지역의 목재도 “춘양목”이라고 속이기 시작했다는 어원과, 『춘향전』의 이야기 내용에서 유래했다는 어원도 있다.[2][3]
7.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봉화 춘양면에서 2년 살아보니... 이게 진짜 많습니다
https://www.ohmynews[...]
2022-08-21
[2]
웹사이트
[자박자박 소읍탐방] 솔향기 그윽한 봉화 춘양, 억지로라도 한번 가보시더
https://www.hankooki[...]
2018-12-04
[3]
웹사이트
"수청을 들라!" 억지춘향의 유래
https://www.ytn.co.k[...]
2017-03-06
[4]
웹사이트
바로 알고 바로 쓰는 우리말글살이[64] 억지춘향과 억지춘양
http://www.yjinews.c[...]
2012-05-21
[5]
웹사이트
이래서 '억지 춘양'이라는 건가
https://www.ohmynews[...]
2014-06-13
[6]
간행물
교통부 고시 제416호
대한민국관보
1955-06-28
[7]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7호
대한민국관보
1973-03-26
[8]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1997-51호, 1997-52호
대한민국관보
1997-09-19
[9]
간행물
철도청 고시 제2004-34호
대한민국관보
2004-08-26
[10]
뉴스
봉화 하면? '춘양목과 억지춘양'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9-0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