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방정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방정계는 결정학에서 브라베 격자, 점군, 공간군을 포함하는 결정 시스템 중 하나이다. 정방정계 브라베 격자는 단순 정방정계와 체심 정방정계 두 가지가 있으며, 2차원에서는 정방 격자만 존재한다. 정방정계에 속하는 점군은 7가지이며, 국제 기호, 쇼엔플리스 표기법, 오비폴드 표기법, 콕세터 표기법 등으로 표기된다. 각 점군에 해당하는 공간군은 원시 격자 유형과 체심 격자 유형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정계 - 입방정계
입방정계는 단순 입방, 체심 입방, 면심 입방의 세 가지 브라베 격자를 가지며, 다양한 결정 구조를 포함하여 물질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결정계 - 삼사정계
삼사정계는 결정학에서 7가지 결정계 중 하나로, 두 개의 점군과 두 개의 공간군으로 분류되며 사장석, 알바이트, 휘석 등을 포함한다. - 화학에 관한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화학에 관한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물리학에 관한 - 전력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송전 및 배전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에너지 저장 기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산업, 상업,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된다. - 물리학에 관한 - N형 반도체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주된 전하 운반체로 사용하는 반도체이다.
정방정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계 | 결정계 |
격자계 | 정방정계 |
브라베 격자 | |
격자 유형 | 단순 정방 체심 정방 |
격자 상수 | a = b ≠ c, α = β = γ = 90° |
점군 | |
점군 | 4 4̅ 4/m 422 4mm 4̅2m 4/mmm |
공간군 | |
공간군 수 | 68 |
공간군 기호 | P4 P4₁ P4₂ P4₃ I4 I4₁ P4̅ I4̅ P4/m P4₂/m P4/n P4₂/n I4/m I4₁/a P422 P42₁2 P4₁22 P4₁2₁2 P4₂22 P4₂2₁2 P4₃22 P4₃2₁2 I422 I4₁22 P4mm P4bm P4₂cm P4nc P4₂mc P4cc P4nb P4n₂b I4mm I4cm I4₁md I4₁cd P4̅2m P4̅2c P4̅m2 P4̅c2 P4̅b2 P4̅n2 P4̅m2 P4̅2m P4̅c2 P4̅n2 I4̅m2 I4̅c2 I4̅2m I4̅2d P4/mmm P4/mcc P4/nbm P4/nnc P4/mbm P4/mnc P4/nmm P4/mcn P4₂/mmc P4₂/mcm P4₂/nbc P4₂/ncn P4₂/mbc P4₂/mnm P4₂/nmc P4₂/nmb I4/mmm I4/mcm I4₁/amd I4₁/acd |
특징 | |
대칭 요소 | 1개의 4회 회전축 또는 4회 반전축 1개 이상의 2회 회전축 또는 거울면 |
관련 결정계 | 입방정계 사방정계 육방정계 |
대표적인 광물 | 금홍석 방연광 저어콘 아나타제 |
같이 보기 | |
관련 문서 | 결정계 격자계 브라베 격자 결정학적 점군 공간군 |
2. 브라베 격자
정방정계에는 단순 정방정계와 체심 정방정계 두 가지 브라베 격자가 있다. 체심 정방정계 격자는 더 작은 단위세포를 가진 단순 정방정계 격자와 같고, 면심 정방정계 격자는 더 작은 단위세포를 가진 체심 정방정계 격자와 같다.[1]
이름 | 단순 | 체심 |
---|---|---|
피어슨 기호 | tP | tI |
단위세포 |
2차원에는 정방 브라베 격자가 하나뿐인데, 바로 정방격자이다.
2. 1. 단순 정방정계
정방정계정방정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