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사정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사정계는 결정학에서 결정의 대칭성을 분류하는 7가지 결정계 중 하나이다. 삼사정계는 점군과 공간군으로 분류되며, 두 개의 점군과 두 개의 공간군이 존재한다. 삼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는 사장석, 알바이트, 휘석, 터키석, 규회석, 암블리고나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피나코이달 형태를 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결정계 - 입방정계
    입방정계는 단순 입방, 체심 입방, 면심 입방의 세 가지 브라베 격자를 가지며, 다양한 결정 구조를 포함하여 물질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결정계 - 사방정계
    사방정계는 세 결정축이 직교하나 길이가 다른 결정계로, 직육면체 단위격자를 가지며, 감람석, 아라고나이트, 황철석 등의 광물을 포함하고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화학에 관한 - 칼륨
    칼륨은 은백색의 무른 알칼리 금속으로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전해질이며, 비료 생산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물과의 격렬한 반응 및 폭발성 과산화물 생성 가능성으로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며, 자연계에 세 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 화학에 관한 - 파울리 배타 원리
    파울리 배타 원리는 1925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시한 양자역학 원리로, 동일한 페르미온은 동일한 양자 상태에 존재할 수 없으며, 원자의 전자 배치, 화학 결합, 천체 특성 등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물리학에 관한 - 전력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며, 발전소에서 생산되어 송전 및 배전을 통해 소비자에게 공급되고, 에너지 저장 기술을 통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산업, 상업, 가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비된다.
  • 물리학에 관한 - N형 반도체
    N형 반도체는 전자를 주된 전하 운반체로 사용하는 반도체이다.
삼사정계
지도 정보
결정계
이름삼사정계
a ≠ b ≠ c
각도α ≠ β ≠ γ ≠ 90°
대칭성1 또는 1
브라베 격자1개
기타
결정학적 군1과 1

2. 삼사정계의 결정 분류

삼사정계 결정은 페디얼(Pedial)과 피나코이달(Pinacoidal) 두 가지로 분류된다.[4]

분류쇼엔플리스국제오비폴드콕세터예시유형
페디얼(Pedial)[4]C1111[ ]+규선석거울상이성질체, 극성
피나코이달 (Pinacoidal)[4]Ci (= S2)[2+,2+]규회석중심 대칭


2. 1. 점군 (Point Group)

삼사정계에는 두 가지 점군이 존재한다. 점군은 결정의 대칭성을 나타내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삼사정계의 점군에는 페디얼과 피나코이달이 있으며, 각각 하나의 공간군만 연관되어 있다.

#점군유형예시공간군
이름[2]외르슈플라이스국제오비폴드콕세터
1페디얼(Pedial)C1111[ ]+거울상 이성질체 극성탄타이트(Tantite)P1
2피나코이달(Pinacoidal)Ci (S2)[2+,2+]중심 대칭월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P


2. 1. 1. 페디얼 (Pedial)

쇼엔플리스 표기법으로는 C1, 국제 표기법으로는 1, 오비폴드 표기법으로는 11, 콕세터 표기법으로는 [ ]+으로 표기한다.[1][2][4] 거울상 이성질체를 가지며 극성을 띤다.[1][4] 공간군은 P1이 유일하다.[1]

2. 1. 2. 피나코이달 (Pinacoidal)

쇼엔플리스 표기법으로는 Ci (S2), 국제 표기법으로는 1, 오비폴드 표기법으로는 1×, 콕세터 표기법으로는 [2+,2+]로 표기한다.[1][2][4] 중심 대칭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1][2][4] 공간군은 P1 (단 하나)이다.[1][2] 피나코이달은 삼사정계 정상형(triclinic normal)으로도 알려져 있다.[4]

사장석, 알바이트, 휘석, 터키석, 규회석, 암블리고나이트 등의 광물이 피나코이달 형태에 해당한다.[4]

2. 2. 공간군 (Space Group)

삼사정계에는 총 2개의 공간군이 존재한다: P1, P1.[1] 이들은 각각 점군의 대칭성에 병진 대칭성을 추가하여 결정 내부의 원자 배열을 설명한다.[1]

#점군 분류외르슈플라이스 표기법국제 표기법오비폴드콕세터 표기법유형예시공간군
1페디얼(Pedial)C1111[ ]+거울상 이성질체, 극성탄타이트(Tantite)P1
2피나코이달(Pinacoidal)Ci (S2)[2+,2+]중심 대칭월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P1



각각의 점군에 대응하는 공간군은 하나씩이다.[1] 피나코이달은 삼사정계 정상형(triclinic normal), 페디얼은 삼사정계 반면체형(triclinic hemihedral)으로도 알려져 있다.[1]

광물의 예시로는 사장석, 알바이트, 휘석, 터키석, 규회석, 암블리고나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모두 피나코이달 형태(P1)이다.[1]

3. 주요 광물 예시

사장석, 미사장석, 로도나이트, 터키석, 규회석, 암블리고나이트 등은 삼사정계에 속하는 대표적인 광물이며,[3] 모두 피나코이달 형태이다.

3. 1. 사장석 (Plagioclase)

사장석(Plagioclase)은 조장석(Albite, 알바이트)과 회장석(Anorthite)의 고용체(Solid solution) 광물로, 화성암변성암에서 흔히 발견된다. 사장석은 피나코이달(1) 형태의 단사 정규형 광물에 속한다.[1]

3. 2. 미사장석 (Microcline)

광물의 예로는 모두 단사 정규형인 사장석, 미사장석, 로도나이트, 터키석, 월라스토나이트 및 암블리곤석이 있다.[1]

3. 3. 규회석 (Wollastonite)

규회석은 삼사정계의 피나코이달 결정형에 속하며, 중심 대칭을 갖는 광물이다.[4] 공간군은 P이다.[1]

결정계점군공간군
삼사정계피나코이달P


3. 4. 터키석 (Turquoise)

터키석은 삼사정계에 속하는 광물이다. 삼사정계에는 페디얼(Pedial)과 피나코이달(Pinacoidal) 두 종류가 있는데, 터키석은 피나코이달 형태를 띤다.[4] 피나코이달은 삼사정계 정상형(triclinic normal)으로도 불린다.

3. 5. 암블리고나이트 (Amblygonite)

광물의 예시로는 사장석, 미사장석, 로도나이트, 터키석, 월라스토나이트와 함께 피나코이달 형태를 띄는 암블리고나이트가 있다.[3]

3. 6. 로도나이트 (Rhodonite)

광물의 예로는 사장석, 미사장석, 로도나이트, 터키석, 월라스토나이트, 암블리곤석이 있으며, 모두 단사 정규형([1])이다.

4. 추가 정보

단사정계 결정계의 결정 종류, 예시, 외르슈플라이스 표기법, 국제 표기법, 점군, 국제 결정학 표 (International Tables for Crystallography)의 공간군 번호,[1] 오비폴드, 유형 및 공간군은 다음과 같다. 총 2개의 공간군이 있다.

#점군유형예시공간군
이름[2]외르슈플라이스국제오비폴드콕세터
1페디얼(Pedial)C1111[ ]+거울상 이성질체 극성탄타이트(Tantite)P1
2피나코이달(Pinacoidal)Ci (S2)[2+,2+]중심 대칭월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P



각각 하나의 공간군만 연관되어 있다. 피나코이달은 단사 정규형으로도 알려져 있다. 페디얼은 단사 반면체이기도 하다.

광물의 예로는 모두 단사 정규형()인 사장석, 미사장석, 로도나이트, 터키석, 월라스토나이트 및 암블리곤석이 있다.

참조

[1] 서적 International Tables for Crystallography International Union of Crystallography
[2] 웹사이트 The 32 crystal classes https://www.tulane.e[...] 2018-06-19
[3] 서적 International Tables for Crystallography International Union of Crystallography
[4] 웹사이트 The 32 crystal classes http://www.cartage.o[...] 2009-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