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상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상기는 1678년에 태어나 이익의 문하에서 성리학과 실학 사상을 수학한 조선 시대의 실학자이다. 그는 백리척을 활용하여 팔도도를 제작하고 국경, 군현, 관방 등에 대한 변천사를 기록했으며, 《인자비감》, 《농포문답》, 《심의설》 등의 저서를 남겼다. 특히, 서양식 지도 제작법의 영향을 받아 축척식 지도를 제작하여 《동국여지도》를 완성했으며, 아들 정항령과 함께 제작한 《동국대지도》는 영조에게 바쳐졌다. 정상기는 임진왜란 이후 쇠퇴했던 조선의 지도 제작을 부흥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과학적 방법론과 실학 사상을 바탕으로 정확하고 실용적인 지도를 제작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지도 제작자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한국의 지도 제작자 - 김정호
    김정호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대동여지도를 비롯한 여러 지도와 지리지를 제작하여 조선 시대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95016 김정호가 명명되었다.
  • 조선의 지리학자 - 김정호
    김정호는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제작자로, 대동여지도를 비롯한 여러 지도와 지리지를 제작하여 조선 시대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95016 김정호가 명명되었다.
  • 조선의 지리학자 - 김담
    김담은 조선 세종, 문종, 세조 시대의 문신이자 천문학자, 지리학자, 월력 연구가로, 이순지 등과 함께 조선 전기의 천문학과 역법 발전에 기여했으며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 편찬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고 청렴하고 근신한 성품으로 칭송받아 사후 문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78년 출생 - 옹정제
    옹정제는 청나라의 제5대 황제로, 황위 계승 분쟁 속에서 즉위하여 황권 강화, 재정 개혁, 영토 확장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형제 숙청과 사상 탄압에 대한 비판도 받는 인물이다.
  • 1678년 출생 - 안토니오 비발디
    안토니오 비발디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로, 베네치아 피에타 고아원에서 다수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로 널리 알려져 바로크 및 후대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빈곤 속에서 사망 후 20세기에 재평가되었다.
정상기
지도
기본 정보
정상기 초상
정상기 초상
한자 이름鄭尚驥
로마자 표기Jeong Sang-gi
농포(農圃)
본관하동 정씨
출생1678년 (숙종 4년)
사망1752년 (영조 28년)
관력
주요 관직동지중추부사
기타사헌부 감찰
사헌부 지평
홍주 판관
가족 관계
아버지정석달(鄭碩達)
자녀5남 3녀
업적
주요 업적동국지도 제작

2. 생애

농포 정상기는 1678년에 태어나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어려운 환경 속에서 학문에 정진했다. 성호 이익의 문하에서 실학 사상을 배우며 경세치용(經世致用) 학풍에 영향을 받았다.

그는 "선비가 비록 궁하게 되어도 뜻을 굽히면 안 된다"라고 말하며, 백성을 다스리는 것, 군사를 다스리는 것, 산천, 경제, 성곽, 의약, 기계, 농경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백성들의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연구했다. 또한 점을 치거나 문자를 써서 사람들의 마음을 혼란하게 하는 것을 경계했으며, 잊혀 가던 선비들의 웃옷 제작법을 문헌을 통해 복원하여 널리 알리고자 했다.[2]

정상기는 전국을 답사하며 지리 정보를 수집하고, 백리척(百里尺)을 활용한 과학적인 방법으로 지도를 제작하는 업적을 남겼다. 만년에는 아들 정항령의 공으로 벼슬을 받기도 했다.[2] 1752년 향년 75세로 사망하였으며 묘비명은 스승인 성호 이익이 작성하였다.

2. 1. 유년기

1678년에 태어나, 일곱 살 때 아버지를 여의었다. 가세가 기울고 병약하여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하였다.[2]

어려서부터 고상한 마음과 원대한 포부를 가지고 학문에 매진하였으며, 옛 성현들처럼 학문을 깊고 원대하게 탐구할 것을 다짐하고 많은 책을 읽었다. 뒤늦게 자신보다 3년 연하인 성호 이익에게 가르침을 청해 그의 문인이 되었다. 이익을 통해 퇴계 이황, 남명 조식에게 뿌리를 둔 남인 성리학과 실학 사상을 배웠다.[2]

2. 2. 학문적 성장

1678년에 태어났으나, 일곱 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가세가 기울어 병약했기에 과거를 단념하고 학문 연구에 뜻을 두었다. 어려서부터 고상한 마음과 원대한 포부로 학문에 매진, 옛 성현들처럼 학문을 깊고 원대하게 탐구할 것을 다짐하며 독서에 힘썼다. 뒤늦게 자신보다 3년 연하인 성호 이익에게 가르침을 청해 그의 문하생이 되었다. 이익을 통해 농포는 퇴계 이황, 남명 조식에게서 이어지는 남인 성리학실학 사상을 수학하였다.[2]

성호 이익의 제자들 중 뛰어난 제자 중 한 명으로, 경세치용학파가 이때에 이르러 절정을 이루었는데, 정상기는 특히 지리학자의 대표적인 인물로 성장하였다.[2]

2. 3. 전국 답사와 지도 제작

정상기는 오랫동안 조선 8도 전국을 답사하고, 과학적인 백리척(百里尺) 축척법을 이용하여 팔도도(八道圖)를 도별로 제작하였다. 그는 팔도도에 역대 국경 변천사와 군현(郡縣)의 연혁(沿革), 관방(關防) 성곽(城郭), 해로(海路), 궁실(宮室) 등에 대한 변천을 기술하였다.[2]

2. 4. 만년

아들 정항령(恒齡)이 영조를 시종(侍從)한 공으로 말년에 특별히 통정대부 행첨지중추부사(通政大夫行僉知中樞府事)의 벼슬을 받았다.[2] 1752년(영조 28년) 8월 5일 향년 75세로 사망하였다. 묘비문은 성호 이익이 지었다.

저서로는 인자비감(人子備鑑), 농포문답(農圃問答), 심의설(深衣設), 도검편(鞱鈐篇), 향거요람(鄕居要覽), 치군요람(治郡要覽)이 있고, 작품으로는 동국여지도(東國與地圖) 등이 있다.

3. 사상 및 활동

정상기는 백성을 다스리는 것과 군사를 다스리는 것, 산천, 경제, 성곽, 의약, 기계, 잠적, 농경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실용적인 학문을 추구했다.[2] 백성들의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했으며, 미신적인 행위를 경계하고, 잊혀져 가던 선비들의 복식 제작법을 복원하는 등 전통문화를 보존하는 데에도 힘썼다.[2] 또한 사람들에게 수행(修行), 섭양(攝養), 근업(勤業)의 3조목을 들어 가르쳤다.[2]

4. 저서 및 작품

정상기는 지리학, 농업, 의례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저술을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인자비감, 농포문답, 심의설, 도검편, 향거요람, 치군요람 등이 있다.

동국여지도와 동국대지도를 제작하였으며, 아들 정항령이 이를 완성하여 영조에게 바쳤다.

4. 1. 저서


  • 인자비감
  • 농포문답
  • 심의설
  • 도검편
  • 향거요람
  • 치군요람

4. 2. 작품



정상기는 동국여지도와 동국대지도를 제작하였다. 아들 정항령이 완성하여 영조에게 바쳤다.

5.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차남정항령1700년?아버지 정상기의 동국대지도 제작을 이어받아 완성하고 조선 영조에게 바쳤다.


6. 평가

정상기는 임진왜란 이후 쇠퇴했던 조선의 지도 제작을 부흥시키는 데 크게 공헌했다.

7. 기타

아들 정항령 또한 조선실학자이자 성리학자, 지도 제작자였다.[1]

참조

[1] 서적 조선인물실록 1 도서출판 자작나무 1996-07-10
[2] 웹인용 농포 정상기 http://www.hdjeong.c[...] 2012-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