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승기는 대한민국의 스켈레톤 선수이다. 2014년 스켈레톤 국가대표 선발전에 최연소로 참가했으며, 2016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서 8위를 기록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올림픽기를 들고 입장했고, 201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9위를 차지했다.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출전하여 10위를 기록했으며, 202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위를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6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스켈레톤 참가 선수 - 울라디슬라우 헤라스케비치
울라디슬라우 헤라스케비치는 우크라이나의 스켈레톤 선수이며, 2018년과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 2016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 스켈레톤 참가 선수 - 하나 나이제
하나 나이제는 대한민국 스켈레톤 선수로,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독일 대표로 여자 스켈레톤 금메달을 획득하고 FIS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 스켈레톤 월드컵 좋은 성적을 거두며 한국 스켈레톤의 위상을 높였다. - 상지대관령고등학교 동문 - 김소희 (스키 선수)
대한민국의 알파인 스키 선수 김소희는 2014년과 2018년 동계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출전했으며, 외할머니의 권유로 스키를 시작하여 단국대학교에 진학했고 독실한 기독교 신자이다. - 상지대관령고등학교 동문 - 박규림
박규림은 풍성초등학교, 대관령중학교, 상지대관령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정승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정승기 |
로마자 표기 | Jeong Seung-gi |
출생일 | 1999년 3월 17일 |
출생지 | 파주시 |
국적 | 대한민국 |
신장 | 1.78m |
체중 | 82kg |
선수 정보 | |
종목 | 스켈레톤 |
소속팀 | 강원도청 |
데뷔 | 2019년 12월 8일 레이크플래시드(15위) |
코치 | 김재명 고시 가즈히로 제프 페인 |
프로 전향 | 2014년 |
메달 기록 | |
세계 선수권 대회 | 2023 장크트모리츠 남자 동메달 |
합계 | 포디움 0회, 2위 3회, 3위 2회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국제 봅슬레이 스켈레톤 연맹 선수 정보 |
2. 경력
정승기는 2019년 3월 캐나다 휘슬러에서 열린 2019년 IBS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9위에 올랐다. 같은 해 12월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2019–20년 1차 월드컵에서 15위, 2020년 1월 독일 빈터베르크에서 열린 3차 월드컵에서 9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2월에는 독일 알텐베르크에서 열린 2020년 IBS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6위에 올랐다.
2021년 2월 알텐베르크에서 열린 2021년 IBS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1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11월 26일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열린 2021–22년 2차 월드컵에서는 4위, 12월 31일 라트비아 시굴다에서 열린 6차 월드컵에서 3위에 오르며 첫 월드컵 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2월에는 201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윤성빈과 함께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10위를 기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선수 경력
경기도 파주시에서 태어났으며, 두일중학교 재학 시절인 2014년에 대한민국 스켈레톤 국가대표 선발전에 최연소인 15세의 나이로 참가했다. 이후 본격적으로 스켈레톤 선수가 되기 위해 대관령중학교로 전학갔으며, 상지대관령고등학교로 진학했다.[2]2014년 11월 북아메리카컵에 참가하여 공식적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2016년에는 청소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고, 같은 해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2016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 참가하여 8위를 기록했다. 이후 자국 평창군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스켈레톤 유망주 자격으로 강찬영, 유영, 신혜숙, 이준서, 김윤만, 장유진, 김귀진과 함께 올림픽기를 들고 개막식에 입장했다.[2]
2019년 3월 캐나다 휘슬러에서 열린 201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9위에 올랐으며, 같은 해 12월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2019–20년 1차 월드컵을 통해 월드컵 첫 경기를 가졌고, 전체 15위를 기록했다. 2020년 1월 독일 빈터베르크에서 열린 3차 월드컵에서 9위에 오르며 월드컵 상위 10권에 처음으로 진입했다. 같은 해 2월에는 독일 알텐베르크에서 열린 202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6위를 기록했다.
2021년 2월 알텐베르크에서 열린 202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21위를 기록했다. 같은 해 11월 26일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열린 2021–22년 2차 월드컵에서 1m 41.73초를 기록했으나 독일의 크리스토퍼 그로테어, 중화인민공화국의 겅원창, 영국의 맷 웨스턴이 모두 1m 46.04초를 기록하며 공동 우승을 달성하면서 차순위인 4위에 올랐다. 이후 12월 31일 라트비아 시굴다에서 열린 6차 월드컵에서 라트비아의 토마스 두쿠르스와 마르틴스 두쿠르스의 뒤를 이어 3위에 오르며 첫 월드컵 메달을 획득했다.
2022년 2월 대표팀 동료이자 201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윤성빈과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열린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며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그는 합계 4m 03.74초를 기록하여 전체 10위를 하며 지난 대회 우승자인 윤성빈을 제치고 10위를 기록했다.
2. 2. 국제 대회 경력
2014년 11월 북아메리카컵을 통해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2016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에서 열린 2016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 참가하여 8위를 기록했다.[1] 이후 대한민국 평창군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스켈레톤 유망주 자격으로 개막식에 참가하여 올림픽기를 들고 입장했다.[1]2019년 3월 캐나다 휘슬러에서 열린 201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9위에 올랐다.[1] 같은 해 12월 미국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2019–20년 1차 월드컵에서 15위를 기록하며 월드컵 첫 경기를 가졌다.[1] 2020년 1월 독일 빈터베르크에서 열린 3차 월드컵에서 9위에 오르며 처음으로 월드컵 상위 10위권에 진입했다.[1] 같은 해 2월 독일 알텐베르크에서 열린 202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6위를 기록했다.[1]
2021년 2월 알텐베르크에서 열린 202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21위를 기록했다.[1] 같은 해 11월 26일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에서 열린 2021–22년 2차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했고, 12월 31일 라트비아 시굴다에서 열린 6차 월드컵에서 3위에 오르며 첫 월드컵 메달을 획득했다.[1]
2022년 2월에는 대한민국의 윤성빈과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열린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10위를 기록했다.[1]
2. 3. 올림픽
2018년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스켈레톤 유망주 자격으로 강찬영, 유영, 신혜숙, 이준서, 김윤만, 장유진, 김귀진과 함께 올림픽기를 들고 입장했다.[2]2022년 2월 대표팀 동료이자 201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윤성빈과 함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열린 202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하며 처음으로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다. 정승기는 합계 4분 03.74초를 기록하여 전체 10위를 하며 지난 대회 우승자인 윤성빈을 제치고 10위를 기록했다.
종목 | 남자 스켈레톤 |
---|---|
2022 베이징 | 10위 |
2. 4. 세계 선수권 대회
2019년 3월에 캐나다 휘슬러에서 열린 201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9위에 올랐으며 첫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상위 10위권에 진입했다.[1] 2020년 2월에는 독일 알텐베르크에서 열린 202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6위를 기록했다.[1] 2021년 2월 알텐베르크에서 열린 202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21위를 기록했다.[1]종목 | 남자 스켈레톤 |
---|---|
2019 휘슬러 | 9위 |
2020 알텐베르크 | 16위 |
2021 알텐베르크 | 20위 |
2023 생모리츠 | 3위 |
2024 빈터베르크 | 미정 |
2025 레이크플래시드 | 미정 |
2. 5. 스켈레톤 월드컵
1513
9
11
9
15
-
11
-
-
-
-
-
-
25
9
7
4
22
11
16
3
11
13
2
2
3
13
4
7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