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 간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 간공은 기원전 566년 정나라의 군주로 즉위하여 기원전 530년 사망할 때까지 재위했다. 희공의 아들로, 5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자사 등 섭정들의 보좌를 받았다. 초나라와 진나라 사이에서 외교적 균형을 유지하며 주변 제후국들과의 관계를 맺었고, 자공, 자전, 자서 등 신하들의 정권 장악 시도와 반란을 겪었다. 자산이 정권을 잡은 후 법치주의를 확립하고 농업 생산력을 증진하는 등 개혁 정치를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30년 사망 - 키루스 2세
    키루스 2세는 아케메네스 왕조를 창건하고 페르시아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어 메디아, 리디아, 신바빌로니아를 정복했으며, 유대인 해방과 관용 정책, 키루스 실린더로 유명하지만 마사게타이족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
  • 기원전 530년 사망 - 정 희공
    정 희공은 춘추 시대 정나라의 임금으로, 외교 활동과 통치를 펼쳤으나 권력욕과 사치, 재상과의 갈등으로 암살당해 정나라의 흥망성쇠에 영향을 미쳤다.
  • 정나라의 군주 - 정 환공
    정 환공은 기원전 806년 정나라에 봉해지고 서주 사도가 되었으며, 견융의 침입 때 주 유왕을 보호하려다 전사했다.
  • 정나라의 군주 - 정 여공
    정 여공은 춘추 시대 정나라의 군주로, 송나라의 옹립으로 즉위했으나 여러 차례 망명과 복위를 거듭하며 혼란스러운 정국을 이끌었고, 제나라 환공의 패권 다툼에 휘말리는 등 복잡한 외교 관계를 맺었다.
정 간공
기본 정보
칭호공 (주나라 제도에 따른 작위는 백)
왕조
재위 기간기원전 566년 - 기원전 530년
수도신정
희가
시호간공
출생기원전 570년
사망기원전 530년
부친희공

2. 사적

정 희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원전 566년, 재상 자사 (공자 비)가 희공을 살해하고 5세의 간공을 국군으로 옹립했다.[1]

기원전 565년부터 기원전 536년까지 진나라, 초나라, 제나라 등 여러 나라들과 외교 활동을 벌였다.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비고
기원전 565년진나라, 제나라, 노나라, 송나라, 위나라 등과 형구에서 회동초나라의 침공으로 굴복[2]
기원전 564년진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제후들과 희에서 동맹 체결초나라의 침공으로 굴복[3]
기원전 563년초나라를 따라 송나라, 위나라, 노나라 침공진나라, 제나라, 노나라, 송나라, 위나라, 조나라 등의 연합군이 정나라 공격
기원전 562년보 성 북쪽에서 진나라 중심의 제후 동맹 체결초나라와 함께 송나라 공격
기원전 559년진나라 중심의 연합군에 참여하여 진나라 공격[6]
기원전 557년진나라, 노나라, 송나라, 위나라, 조나라 등과 취량에서 회동[7]
기원전 555년진나라, 노나라, 송나라, 위나라, 조나라 등과 노제에서 회동 후 제나라 침공
기원전 553년진나라, 제나라, 노나라, 송나라, 위나라 등과 단연에서 맹약 체결[10]
기원전 552년진나라, 제나라, 노나라, 송나라, 위나라 등과 상임에서 회동[11]
기원전 551년진나라, 제나라, 노나라, 송나라, 위나라 등과 사수에서 회동[12]
기원전 549년진나라, 노나라, 송나라, 위나라, 조나라 등과 이의에서 회동[13]
기원전 548년진나라, 노나라, 송나라, 위나라, 조나라 등과 이의에서 회동[14]
기원전 547년초나라 군대의 침입으로 성균에 도달
기원전 546년송나라에서 제후들의 맹약 체결 (진나라와 초나라의 대립 관계 해소)[16]
기원전 545년송나라 맹약에 따라 초나라 방문[17]
기원전 544년자전 사망, 간호 (자피)가 상경 취임[18]
기원전 543년대부들과 맹약 체결
기원전 541년공손초가 공손흑과 다투고 오나라로 추방, 대부 6명과 맹약 체결[20]
기원전 539년진나라와 초나라 방문[22]
기원전 538년초나라 영왕에게 붙잡혀 강남에서 사냥, 초나라 중심의 제후들이 신에서 회동
기원전 536년정나라에서 형서 주조 (형정)[24]



기원전 530년 3월, 간공은 사망했다.[25] 아들 정공이 뒤를 이어 정나라 임금(정공)으로 즉위했다.[26]

2. 1. 즉위와 초기 섭정 (기원전 566년 ~ 기원전 563년)

정 희공 5년(기원전 566년) 12월, 아버지 희공이 재상 자사에게 시해당하자, 자사의 옹립으로 5세의 어린 나이에 정나라 임금이 되었다.[27][28] 나이가 어려 자사, 자국, 자이 세 사람이 국정을 맡았다.[29]

간공 원년(기원전 565년), 여러 공자들이 희공을 시해한 자사를 죽이려 모의했으나, 자사가 미리 알고 음력 4월 경진일에 자호(子狐), 자희(子熙), 자후(子侯), 자정(子丁)을 죽였다. 자호의 두 아들 손격(孫擊)과 손악(孫惡)은 위나라로 달아났다.[30][27]

같은 해 4월 경인일에 자국과 자이채나라를 공격해 채나라 사마 공자 섭(燮)을 사로잡았다. 5월에는 진나라가 주최한 회맹에, 이때 얻은 전리품을 바치기 위해 간공이 직접 참여했다. (다른 나라들은 진나라의 겸양으로 대부들을 보냈다.) 이는 진나라에 잘 보이기 위해 진나라의 적국인 초나라의 속국을 공격한 것이었다.[31]

겨울, 초나라가 채나라를 공격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자낭을 보내 정나라를 공격했다. 자사, 자국, 자이는 초나라에 항복하려 했고, 자공, 자교, 자전은 진나라의 구원을 기다리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자사가 자전의 반박을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초나라와 화평했다.[32]

간공 3년(기원전 563년) 6월, 자이초나라 자낭과 함께 송나라를 구원했다. 초나라의 명령으로 황이(皇耳)를 보내 송나라를 구원하려는 위나라를 먼저 공격했으나, 위나라의 손문자(손임보)에게 패배하여 황이가 손괴에게 사로잡혔다.[35]

10월 무진일, 자사에게 원한을 품은 위지(尉止)와 사씨(司氏)의 사신(司臣), 도씨(堵氏)의 도여보(堵女父), 후씨(侯氏)의 후진(侯晉), 자사씨(子師氏)의 자사복(子師僕)이 간공 원년에 자사에게 살해당한 공자들의 무리에 의지해 반란을 일으켜 조정으로 쳐들어와 자사, 자국, 자이를 죽였다. 자사의 아들 자서와 자국의 아들 자산이 집안을 수습하고 반란군과 싸웠고, 자교가 이들을 도왔다. 그 결과 위지와 자사복을 죽이고 반군을 진압했다. 후진은 진나라로 달아났고, 도여보와 사신과 위편(위지의 아들)과 사제(사신의 아들)는 송나라로 달아났다. 자공은 반란을 눈치챘으나 자사가 죽으면 자신이 대신할 것을 노리고 알려주지 않았으며, 실제로 자공이 자사를 대신하였다. 자공은 집정이 된 자신의 말에 백관들이 복종하도록 맹세를 강요했으나, 자산의 말을 듣고 그만두었다.[36]

2. 2. 자사의 죽음과 자공 집정 (기원전 563년 ~ 기원전 554년)

간공 3년(기원전 563년), 자이초나라와 함께 송나라를 구원했으나, 위나라에 패배했다.[35] 같은 해 10월, 자사에게 원한을 품은 위지(尉止)와 사씨(司氏)의 사신(司臣) 등이 반란을 일으켜 자사, 자국, 자이를 죽였다. 자사의 아들 자서와 자국의 아들 자산이 집안을 수습하고 반란군과 싸웠고, 자교가 이들을 도왔다. 결국 위지와 자사복은 죽임을 당했고, 나머지 반란 가담자들은 진나라와 송나라로 달아났다.[36] 자공은 반란을 미리 알았지만, 자사가 죽으면 자신이 그 자리를 대신할 수 있다고 여겨 알리지 않았고, 결국 자사를 대신하여 집정하였다. 자공은 집정이 된 후 백관들에게 자신에게 복종할 것을 강요하는 맹세를 하게 했으나, 자산의 말을 듣고 그만두었다.[36]

이후 진나라는 송나라, 위나라, 조나라 등을 포함한 연합군을 이끌고 다시 정나라를 공격하여 호뢰, 오, 제 세 지역에 성을 쌓았다. 초나라는 자낭을 보내 정나라를 구원했고, 이에 연합군과 초군 모두 퇴각했다.[37]

2. 3. 자전과 자서 집정 (기원전 554년 ~ 기원전 543년)

기원전 554년, 간공 12년에 자공(공자 가)이 전횡을 일삼다가 자전과 자서에게 살해당했다.[45] 위나라지의 난 때 반란을 사전에 대처하지 않은 것과 전년에 초나라 군대를 끌어들인 것이 죄목이었다.[45] 자공은 자기 가문의 군대와 친분이 있던 자혁(정단, 혹 연단, 정 목공의 손자며 자연의 아들) · 자량(정 목공의 손자며 자공 - 공자 지 - 의 아들)의 군대로 자신을 지켰으나, 자전과 자서가 자공을 공격해 죽였다.[45] 자혁과 자량은 초나라로 달아났다.[45] 간공은 자전을 자공을 대신해 국정을 맡게 하고, 자서에게는 자전을 대신하게 했다.[45] 경의 빈 자리는 자산으로 채웠다.[45]

간공은 진나라와 연합하여 제나라, 진나라 등을 공격하며 세력 확장을 시도했다.

연도사건비고
기원전 549년간공은 자서를 거느리고 진나라에 조현했다. 이때 자산의 편지를 자서가 받아 진나라의 중군 원수 범선자에게 주어 공물을 줄이도록 요청하여 승낙받았다. 또 진나라초나라 편에 서서 정나라와 사이가 나빴기에, 진나라를 치도록 허락을 받았다.
기원전 549년간공은 진나라와 송나라 · 위나라 · 조나라 · 거나라 · 주나라 · 설나라 · 기나라 · 소주나라와 함께 연합하여 전년에 진나라를 공격한 제나라를 공격하여 보응하려고 이의에 모였으나, 초나라가 제나라를 구원하여 정나라를 쳤기에 이 연합군은 정나라를 구원했다.
기원전 548년진나라가 다시 제나라를 공격하려 해 전년의 연합군을 이의에서 재소집하고 간공도 이에 참여했으나, 제나라에서 진나라를 공격한 임금 제 장공이 시해되자 연합군은 물러났다.
기원전 548년진나라에서 전년에 허락받은 대로 공손 사지(자전)와 공손 교(자산)에게 병거 7백 승을 딸려보내 진나라를 치게 했고, 정군은 진나라 도성을 기습해 진나라 임금 애공은 달아나고 성은 함락되었다. 정나라는 진나라를 임시로 다스리다가 진후가 항복하자 정사를 모두 진나라에 돌려주고 귀국했다.



기원전 546년, 송나라 대부 상술의 발의로 남북의 두 강국 진나라와 초나라가 화의를 맺고 각자의 속국들과 함께 송나라에서 회맹을 맺은 미병지회에 정나라는 대부 양소를 보내 참여하여 국제 정세 안정을 모색했다.[58]

2. 4. 자산의 집정과 개혁 정치 (기원전 543년 ~ 기원전 530년)

간공 21년(기원전 545년)에 초 강왕이 죽자, 간공은 기원전 544년 초나라에 사신으로 갔다.[61][62] 간공이 초나라에 가 있는 동안 정나라에서는 공손사지(자전)가 죽고 그 아들 한호(자피)가 뒤를 이어 상경이 되었다.[64]

참조

[1]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7年
[2]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8年
[3]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9年
[4]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10年
[5]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11年
[6]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14年
[7]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16年
[8]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18年
[9]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19年
[10]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20年
[11]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21年
[12]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22年
[13]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24年
[14]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25年
[15]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26年
[16]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27年
[17]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28年
[18]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29年
[19] 서적 春秋左氏伝 襄公30年
[20] 서적 春秋左氏伝 昭公元年
[21] 서적 春秋左氏伝 昭公2年
[22] 서적 春秋左氏伝 昭公3年
[23] 서적 春秋左氏伝 昭公4年
[24] 서적 春秋左氏伝 昭公6年
[25] 서적 春秋左氏伝 昭公12年
[26] 서적 史記 鄭世家
[27] 서적 사기 鄭世家 :zh:史記/卷042
[28] 서적 역주 춘추좌씨전 전통문화연구회
[29] 서적 위와 같음
[30] 서적 위와 같음
[31] 서적 위와 같음
[32] 서적 위와 같음
[33] 서적 위와 같음
[34] 서적 위와 같음
[35] 서적 위와 같음
[36] 문서 위와 같음
[37] 문서 위와 같음
[38] 문서 위와 같음
[39] 문서 위와 같음
[40] 문서 위와 같음
[41] 문서 위와 같음
[42] 문서 위와 같음
[43] 문서 위와 같음
[44] 문서 위와 같음
[45] 문서 위와 같음
[46] 문서 위와 같음
[47] 문서 위와 같음
[48] 문서 위와 같음
[49] 문서 위와 같음
[50] 문서 위와 같음
[51] 문서 346쪽, 361쪽 ~ 363쪽
[52] 문서 위와 같음
[53] 문서 위와 같음
[54] 서적 역주 춘추좌씨전 전통문화연구회
[55] 문서 위와 같음
[56] 문서 위와 같음
[57] 문서 위와 같음
[58] 문서 위와 같음
[59] 문서 위와 같음
[60] 문서 위와 같음
[61] 문서 위와 같음
[62] 문서 위와 같음
[63] 문서 위와 같음
[64] 문서 위와 같음
[65] 문서 위와 같음
[66] 문서 위와 같음
[67] 문서 자석은 자서의 아우며 공자 비(자사)의 아들로, 사씨 문중이다.
[68] 문서 위와 같음
[69] 문서 위와 같음
[70] 문서 위와 같음
[71] 문서 위와 같음
[72] 문서 위와 같음
[73] 문서 위와 같음
[74] 문서 위와 같음
[75] 문서 위와 같음
[76] 문서 위와 같음
[77] 문서 위와 같음
[78] 문서 위와 같음
[79] 문서 위와 같음
[80] 문서 위와 같음
[81] 문서 위와 같음
[82] 서적 역주 춘추좌씨전 전통문화연구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