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라르 드 네르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라르 드 네르발은 1808년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낭만주의 시인, 소설가이자 번역가이다. 그는 독일 낭만주의와 신비주의의 영향을 받아 꿈과 현실,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탐구하며 상징주의와 초현실주의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주요 작품으로 『동방 여행』, 『실비』, 『불의 딸들』, 『오렐리아』 등이 있으며, 말년에는 정신 질환과 가난으로 인해 자살했다. 네르발의 작품은 사후 20세기에 재평가되어 마르셀 프루스트, 앙드레 브르통 등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에서도 일제강점기부터 소개되어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어-프랑스어 번역가 - 장 이폴리트
    장 이폴리트는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헤겔 연구의 권위자로서, 『헤겔 정신현상학의 생성과 구조』, 『논리와 실존』, 『마르크스와 헤겔』 등의 저서를 통해 헤겔과 마르크스 연구에 기여했으며, 미셸 푸코, 질 들뢰즈, 자크 데리다 등 후대 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808년 출생 - 앤드루 존슨
    가난한 환경에서 독학으로 정치 경력을 쌓아 대통령이 된 앤드루 존슨은 남북전쟁 이후 온건한 재건 정책으로 의회와 갈등을 겪고 탄핵 소추를 받았으나 부결되었으며, 이후 상원의원으로 활동한 논쟁적인 인물이다.
  • 1808년 출생 - 빌헬름 바이틀링
    빌헬름 바이트링은 19세기 독일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혁명가로서, 정의자 동맹에서 활동하며 초기 공산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기독교적 메시아니즘과 공산주의를 결합한 사상으로 노동자 운동을 전개했으나 후기에는 정치 활동에서 은퇴하여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 1855년 사망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정수론, 해석학, 미분기하학, 측지학, 정전기학, 천문학, 광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독일의 수학자이자 과학자로, '수학의 왕자'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역사상 가장 위대한 수학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 1855년 사망 - 마리아노 아리스타
    마리아노 아리스타는 멕시코 독립 전쟁 등에 참전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851년 멕시코 대통령이 되었으나 재정 문제와 반란으로 사임하고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제라르 드 네르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펠릭스 나다르의 제라르 드 네르발 초상 사진
제라르 드 네르발, 나다르 촬영
본명제라르 라브뤼니
출생1808년 5월 22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사망1855년 1월 26일 (46세)
사망지파리, 프랑스
직업수필가, 시인, 번역가, 여행 작가
사조낭만주의
대표 작품동방 기행 (1851년)
불의 딸들 (1854년)
오렐리아 (1855년)
참고사항

2. 생애

제라르 드 네르발(Gérard de Nerval)은 1808년 5월 22일 파리에서 태어났다.[2] 본명은 제라르 라브뤼니(Gérard Labrunie)였다. 그의 아버지 에티엔 라브뤼니(Étienne Labrunie)는 나폴레옹 군대의 군의관이었고,[4] 어머니 마리 마르게리트 앙투아네트 로랑(Marie Marguerite Antoinette Laurent)은 의류 판매원의 딸이었다.[3]

1808년 6월, 제라르가 태어난 직후 아버지는 징집되어 독일과 오스트리아를 순회하는 군대를 따라갔다.[5] 어머니는 남편을 따라 전장에 나갔다가 열병과 전쟁 스트레스로 인해 25세에 사망했다.[5] 제라르는 어머니가 세상을 떠날 당시 두 살이었다. 제라르는 ‘나는 어머니를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 그녀는 옛 게르만족의 여인들처럼 군대에 복무 중인 아버지를 따라가고자 했다. 그리고 차가운 독일 땅에서 피로와 열병으로 사망했다’고 기록했다.

어머니를 잃은 제라르는 파리에서 멀지 않은 발루아 지역의 작은 마을 모르트퐁텐에 사는 외삼촌 앙투안 부셰(Antoine Boucher)에게 맡겨져 자랐다.[6] 1814년 아버지가 귀환하면서 제라르는 파리로 이사하여 아버지와 함께 살았지만, 종종 모르트퐁텐에 있는 외삼촌 집과 생제르맹앙레에 있는 제라르 뒤블랑(Gérard Dublanc)의 집에서 지내기도 했다.[2]

1822년 제라르는 샤를마뉴 콜레주에 입학하여 테오필 고티에와 친구가 되었다.[9] 이곳에서 그는 시에 대한 열정을 키웠고, 특히 서사시에 매료되었다. 16세에 나폴레옹의 패배를 묘사한 Napoléon ou la France guerrière, élégies nationales|나폴레옹 또는 전쟁의 프랑스, 국가적 비가프랑스어라는 제목의 시를 썼으며,[9] 이후에는 풍자시를 통해 당시의 정치 상황을 비판하기도 했다.[10]

19세에 그는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파우스트''를 번역하는 야심찬 작업을 시작했다.[11] 그의 번역은 1828년에 출판되어 그의 문학적 명성을 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12] 이를 계기로 빅토르 위고는 자신의 아파트로 제라르를 초대하기도 했다.[13]

제라르는 위고의 희곡 ''에르나니'' 공연을 지지하며 낭만주의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3] 1832년에는 학생 시위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잠시 투옥되기도 했다.[14] 이후 그는 독일 시와 프랑스 시에 대한 두 개의 선집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4]

1830년대에 제라르는 생트뵈브가 주도하는 ''세낙르(Cénacle)''와 조각가 뒤제느르가 만든 쁘띠-세낙르(Petit-Cénacle) 등 여러 문학 그룹에 참여했다.[15] 그는 위고의 뒤를 따라 희곡을 쓰기 시작했으며, ''어릿광대 왕자(Le Prince des sots)''와 ''라라 또는 속죄(Lara ou l'expiation)''는 오데옹 극장에서 공연되어 호평을 받았다.[16] 그는 그의 가족 소유의 부동산 이름에서 영감을 받아 제라르 드 네르발(Gérard de Nerval)이라는 필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6][17]

1834년, 제라르는 외할아버지로부터 상당한 유산을 상속받았다. 그는 남프랑스, 이탈리아 등을 여행하고 돌아와 낭만주의 예술가 그룹과 함께 생활했다.[18] 1835년에는 문학 잡지 ''Le Monde Dramatique''를 창간했지만, 빚 때문에 1836년에 매각해야 했다.[18] 이후 그는 저널리즘 분야에서 경력을 시작했다.

1837년, 오페라 코믹에서 ''Piquillo''가 공연되었는데, 네르발은 이 작품에 참여했지만 대본에는 뒤마의 이름만 올라 있었다. 이 작품에서 주연을 맡은 여배우 제니 콜롱(Jenny Colon)에게 네르발은 깊이 빠져들었다.[18] 그녀는 그의 짝사랑의 대상이었으며,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많은 여성 인물들의 영감이 되었다고 여겨진다.[18]

네르발은 알렉상드르 뒤마와 계속 협력하여 희곡을 제작했다. 1838년에는 독일을 여행하며 ''Léo Burckart''와 ''L'Alchimiste''를 작업했다.[18] 1839년에는 비엔나를 방문하여 피아니스트 Marie Pleyel을 만났다. 1840년에는 프랑스로 돌아와 테오필 고티에의 칼럼을 맡았고, ''파우스트'' 세 번째 판을 출판한 후 벨기에를 여행했다.

1841년 2월, 네르발은 첫 번째 신경쇠약을 겪고 생트 콜롱 교정시설에서 치료를 받았다.[18] 두 번째 신경쇠약 이후에는 몽마르트르에 있는 에스프리 블랑슈 박사의 진료소에서 치료를 받았다.

1842년, 네르발은 근동으로 여행을 떠나 알렉산드리아, 카이로, 베이루트, 콘스탄티노플 등을 방문했다.[18] 1843년 파리로 돌아온 그는 자신의 여행에 대한 기사를 발표하기 시작했고, 1851년에 『동방 여행(Voyage en Orient)』을 출판했다.

1844년부터 1847년까지 네르발은 벨기에, 네덜란드, 런던을 여행하며 여행기를 집필했다. 동시에 단편 소설과 오페라 대본을 쓰고, 하인리히 하이네의 시를 번역했다. 그의 말년은 재정적, 정서적 어려움으로 점철되었지만, 그는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자 노력했다.

구스타브 도레(Gustave Doré)의 그림, ''라 뤼 드 라 비외이 랑테른: 제라르 드 네르발의 자살(La rue de la vieille lanterne: The Suicide of Gérard de Nerval)'', 1855


네르발은 애완 바닷가재를 키우며 파리의 팔레 로얄에서 산책을 시키는 등 기이한 행동을 보이기도 했다.[19] 그는 사회주의에 관심을 가졌으며, 그 기원을 18세기 계몽주의자와 신비주의 작가들에게서 찾았다.[21]

1855년 1월 26일, 점점 가난해지고 방황하던 네르발은 파리의 비외유 랑테른 거리 지하실 창문 막대기에 목을 매 자살한 채 발견되었다.[22] 그의 자살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가난과 정신 질환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샤를 보들레르는 네르발이 "찾을 수 있는 가장 어두운 거리에서 자신의 영혼을 내놓았다"고 말했다.

그의 장례식은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에서 거행되었으며, 친구들인 테오필 고티에와 아르센 우사이가 비용을 지불하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장되었다.[22]

3. 작품 세계

네르발의 작품은 낭만주의적 경향을 띠면서도, 꿈과 현실,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탐구하며 상징주의초현실주의의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그의 작품에는 잃어버린 어머니, 이상적인 여성, 고대 신화, 연금술 등 다양한 주제가 혼합된 독특한 세계관이 나타난다. 네르발은 종종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기 어려운 모호한 방식으로 글을 썼으며, 이는 독자들에게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19]

네르발은 하인리히 하이네의 시를 번역하여 1848년에 번역 작품집을 출판하기도 했다. 그의 말년은 심각한 재정적, 정서적 어려움 속에서 보냈지만, 담당 의사 에밀 블랑슈의 조언에 따라 글쓰기를 통해 강렬한 감정을 털어내려고 노력했다. 이때가 바로 그가 자신의 최고 작품들을 쓴 시기이다.[20] 사회주의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그 기원을 18세기 계몽주의자와 니콜라 에드메 레티프(Nicolas-Edme Rétif)와 같은 신비주의 작가들에게서 찾았다.[21] 그의 모든 작품은 신비주의, 상징주의, 특히 연금술적인 것에 강하게 물들어 있었다.

실비키메라》의 "키메라"에 수록된 '엘 데스디샤도'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썼다.[33]

:나는 어둠 속의 자, – 홀아비, – 비탄에 잠긴 자이다|나는 어둠 속의 자, – 홀아비, – 비탄에 잠긴 자이다프랑스어

:폐허가 된 탑에 사는 아퀴텐의 왕자:|폐허가 된 탑에 사는 아퀴텐의 왕자:프랑스어

:나의 유일한 별은 죽었고, – 나의 수금은 별들로 수놓아져,|나의 유일한 별은 죽었고, – 나의 수금은 별들로 수놓아져,프랑스어

:쓸쓸함의 검은 태양을 품고 있다.|쓸쓸함의 검은 태양을 품고 있다.프랑스어

:무덤의 어두운 밤에, 나를 위로해 주었던 당신이여,|무덤의 어두운 밤에, 나를 위로해 주었던 당신이여,프랑스어

:포실리포와 이탈리아의 바다를 내게 허락하소서,|포실리포와 이탈리아의 바다를 내게 허락하소서,프랑스어

:황폐해진 내 마음을 기쁘게 했던 그 꽃과,|황폐해진 내 마음을 기쁘게 했던 그 꽃과,프랑스어

:장미가 얽혀 자라는 격자무늬 울타리를.|장미가 얽혀 자라는 격자무늬 울타리를.프랑스어

3. 1. 주요 작품

Voyage en Orient프랑스어』 (동방여행기, 1851년): 중동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쓴 기행문으로,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는 독특한 서술 방식이 특징이다.[19]

  • 『Sylvie프랑스어』 (실비, 1853년): 유년 시절을 보낸 발루아 지방을 배경으로 한 소설로, 과거와 현재, 현실과 꿈이 교차하는 서정적인 작품이다.
  • 『Aurélia ou le rêve et la vie프랑스어』 (오렐리아, 1855년): 자전적인 소설로, 정신 질환을 겪으면서 경험한 환상과 현실을 기록했다.
  • 『Les Filles du feu프랑스어』 (불의 딸들, 1854년): 단편 소설과 시를 모은 작품집으로, 이상적인 여성에 대한 열망과 신화적 상상력이 돋보인다.
  • 『La Main de gloire, histoire macaronique프랑스어』 (1832년)
  • 『Raoul Spifame, seigneur des Granges프랑스어』 (1839년, 전기소설)
  • 『Histoire véridique du canard프랑스어』 (1845년)
  • 『Scènes de la vie orientale프랑스어』 (1846년~1847년)
  • 『Le Marquis de Fayolle프랑스어』 (1849년, 미완)
  • 『Le Diable rouge, almanach cabalistique pour 1850프랑스어』 (1850년)
  • 『Les Confidences de Nicolas프랑스어』 (1850년)
  • 『Les Nuits du Ramazan프랑스어』 (1850년)
  • 『Les Faux Saulniers, histoire de l’abbé de Bucquoy프랑스어』 (1851년)
  • 『Contes et facéties프랑스어』 (1852년)
  • 『La Bohème galante프랑스어』 (1852년)
  • 『Lorely, souvenirs d’Allemagne프랑스어』 (1852년)
  • 『Les Illuminés프랑스어』 (1852년)
  • 『Petits Châteaux de Bohême프랑스어』 (1853년)
  • 『Promenades et souvenirs프랑스어』 (1854년)
  • 『La Pandora프랑스어』 (1854년)

4. 사상

네르발은 18세기 계몽주의 사상과 신비주의 작가들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에 관심을 가졌다.[10] 그는 특히 드루즈파 등 비밀 종교 의식에 관심을 가졌으며,[10] 그의 작품에는 신비주의, 상징주의, 연금술적 요소가 강하게 나타난다.[10]

5. 후대의 평가 및 영향

20세기에 들어 네르발의 작품은 재평가되기 시작했다. 1920년대부터 프랑스에서 네르발에 대한 연구가 간헐적으로 진행되었고, 1960~1970년대에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오늘날 프랑스 사람들은 네르발을 '가장 프랑스적인 서정시인' 중 한 명으로 꼽는다.[2]

마르셀 프루스트는 네르발을 19세기 최고의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특히 프루스트는 《실비》에서 잃어버린 시간과 되찾은 시간을 탐구한 부분에 감탄했는데, 이는 프루스트의 대표작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주요 테마가 되었다. 앙드레 브르통은 네르발이 꿈의 중요성을 탐구했다는 점을 들어 초현실주의 예술의 선구자로 꼽았다.[27] 앙토냉 아르토는 네르발의 예지적인 시를 횔덜린, 니체, 반 고흐의 작품과 비교했다.[27]

칼 융은 네르발의 《오렐리아》를 "엄청난 규모"의 작품으로 평가하고, 네르발의 예지적인 경험을 집단 무의식 및 아니마 문디와의 진정한 만남으로 인정했다.[28] 움베르토 에코는 《소설의 숲을 거닐다》에서 네르발의 《실비》를 "걸작"이라고 부르며 시간적 모호성의 사용을 분석했다.

헨리 밀러는 네르발을 "뛰어난 프랑스 시인"이라고 칭송했으며, 해롤드 블룸은 그를 "순수한 파우스트적 인간의 예"라고 평가했다.[30]

20세기 프랑스 작곡가 드니즈 로제는 그녀의 노래 몇 곡에 네르발의 텍스트를 사용했다.[31] 영국의 록 밴드 트래픽은 1974년 앨범 독수리가 날 때에 재즈 록 트랙 "꿈꾸는 제라르"(Dream Gerrard)를 포함시켰는데, 가사는 비비안 스탠셜이 네르발의 전기를 읽은 후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생드니, 베티지생피에르, 크레피앙발루아 등 여러 프랑스 마을에는 네르발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6. 한국에서의 수용

일제 강점기에 한국에 처음 소개된 제라르 드 네르발의 작품은 해방 이후에도 꾸준히 번역, 출간되었다. 특히 일본 작가 나카무라 신이치로는 네르발 연구에 몰두하여 그의 작품을 번역하고 소개하면서 한국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다음은 나카무라 신이치로가 번역한 네르발의 작품들이다.

작품명번역 및 출판
『새벽의 여왕과 정령의 왕의 이야기』하쿠스이샤 1943, 각가와문고 1952, 복간 1989
『보헤미아의 작은 성』소겐샤 1950, 구 카와데분코 1955
『불의 딸』아오키쇼보 1941, 각가와쇼텐 1948, 신초문고 1951 복간 1993
『세계명시집 12 제라르 드 네르발』헤이본샤 1968, 「소가사」「서정」「환상시편」



다음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번역 및 출간된 네르발의 작품들이다.

작품명번역 및 출판
『동방의 여행』「동방기행」시노다 토모키(篠田知和基) 역, 고쿠쇼칸코카이 세계 환상 문학 대계(2분책), 1984
『세련된 방랑 생활』「아름다운 방랑」 모리시타 타츠오(森下辰夫) 역, 다이수이쇼인 1948
『로렐라이――독일의 추억』「로렐라이」시노다 토모키(篠田知和基) 역, 시오샤 1994
『환시자들』「환시자 또는 사회주의의 선구자들」 이리자와 야스오(入沢康夫) 역, 겐다이시오샤(상하), 1968
『불의 딸』이리자와 야스오(入沢康夫) 역, 신집세계의 문학 8: 추오코론샤, 1970
시노다 토모키(篠田知和基) 역, 시오샤 1987, 신판 1994
「불의 딸들」 나카무라 신이치로·이리자와 야스오 역, 치쿠마문고, 2003
「불의 딸들」 노자키 요스케(野崎歓) 역, 이와나미문고, 2020
『시멜들』『네르발 전시집』 시노다 토모키(篠田知和基) 역, 시오샤 1981, 신판 1994
『오렐리아, 또는 꿈과 인생』「꿈과 인생」 사토 마사아키(佐藤正彰) 역, 이와나미문고 1937, 복간 1983, 츠쿠마쇼보 1948, 소겐문고 1952
「오렐리아」이나오 나가(稲生永) 역, 신집세계의 문학 8: 추오코론샤, 1970
「오렐리아 꿈과 삶」 시노다 토모키(篠田知和基) 역, 시오샤 1986
『어리석은 왕』시노다 토모키(篠田知和基) 역, 시오샤 1972, 신판 1980·1994



츠쿠마쇼보에서는 네르발 전집을 구판 전3권(1975-76년)과 신판 전6권(1997-2003년)으로 간행하였다. 그의 작품은 한국의 문학 연구자들에게도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문학 세계와 사상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네르발의 사회주의적 경향과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관심에 주목하며, 그의 작품을 통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대와 지지를 강조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Gérard de Nerval at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 서적 Gérard de Nerval
[3] 서적 Nerval
[4] 서적 Gérard de Nerval
[5] 서적 Gérard de Nerval
[6] 서적 Gérard de Nerval
[7] 서적 Gérard de Nerval
[8] 서적 Gérard de Nerval
[9] 서적 Gérard de Nerval
[10] 서적 Gérard de Nerval
[11] 서적 Gérard de Nerval
[12] 서적 Nerval par les témoins de sa vie éditions Minard
[13] 서적 Gérard de Nerval
[14] 서적 The Facts on File Companion to the French Novel Infobase Publishing 2006
[15] 서적 Nerval
[16] 웹사이트 litterature-pour-tous.com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Gérard de NERVAL http://www.terresdec[...] 2003-08-28
[18] 서적 Les Lettres d'amour de Nerval : mythe ou réalité ?
[19] 잡지 Nerval: A Man and His Lobster https://harpers.org/[...] 2008-10-12
[20] 서적 Portraits et Souvenirs Littéraires Charpentier
[21] 서적 Bad Books: Rétif de la Bretonne, Sexuality, and Pornography Rowman & Littlefield 2013
[22] 서적 Haussmann: His Life and Times and the Making of Modern Paris Ivan R. Dee 2002
[23] 서적 Gérard de Nerval: Selected Writings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24] 웹사이트 Le Catalogue: Gerard de Nerval http://www.la-pleiad[...]
[25] 웹사이트 Conversations of Goethe with Eckermann http://www.hxa.name/[...] 2016-03-25
[26] 서적 First Nights: Five Musical Premiere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0
[27] 서적 Selected Writings Penguin
[28] 서적
[29] 서적 The Time of the Assassins, A Study of Rimbaud New York
[30] 서적 Genius: A Mosaic of One Hundred Exemplary Creative Minds 2002
[31]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Women Composers Books & Music (USA) 1987
[32] 블로그 Traffic: Dream Gerrard http://liberalenglan[...] 2013-09-22
[33] 서적 Sylvie & The Chimeras Sunny Lou Publishing 2023
[34] 서적 暁の女王と精霊の王の物語 冨山房
[35] 서적 暁の女王と精霊の王の物語 角川文庫
[36] 서적 シュルレアリスム宣言・溶ける魚 岩波文庫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