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시 더글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시 더글러스(Jesse Douglas, 1897–1965)는 미국의 수학자로, 특히 변분법 분야에 기여했다. 그는 1936년 주어진 경계에 대한 최소 표면의 존재를 묻는 플라토 문제를 해결한 공로로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 중 한 명이 되었다. 더글러스는 또한 변분법의 역 문제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1943년 미국 수학회로부터 보처 기념상을 수상했다. 그는 뉴욕 시립 대학교(CCNY)에서 정교수로 재직하며 사망할 때까지 학부생들에게 고급 미적분학을 가르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 시립 대학교 - 헌터 칼리지
헌터 칼리지는 1870년 설립되어 여성 교육에 헌신하며 명성을 얻은 뉴욕 시립 대학교 소속의 명문 공립 대학으로,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맨해튼에 메인 캠퍼스를 두고 있다. - 뉴욕 시립 대학교 - 브루클린 칼리지
브루클린 칼리지는 1930년 뉴욕 브루클린에 설립된 뉴욕 시립 대학교 시스템 소속의 공립 리버럴 아츠 칼리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참전 용사 고등 교육 기여, 냉전 시대 학문 자유 옹호,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 제공,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 배출 등의 특징을 가진다. - 필즈상 수상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필즈상 수상자 - 폴 코언
폴 코언은 강제법을 개발하여 연속체 가설과 선택 공리가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에서 독립적임을 증명한 미국의 수학자로, 이 업적으로 필즈상을 수상했으며 해석학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미국의 수학자 - 시어도어 카진스키
미국 수학자이자 "유나바머"로 알려진 시어도어 카진스키는 뛰어난 수학적 재능으로 대학 조교수를 지냈으나 산업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18년간 우편 폭탄 테러를 감행, 체포되어 가석방 없는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사망했다. - 미국의 수학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제시 더글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시 더글러스 |
출생일 | 1897년 7월 3일 |
출생지 | 미국, 뉴욕시 |
사망일 | 1965년 9월 7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시 |
국적 | 미국 |
연구 분야 | |
학문 분야 | 변분법, 미분기하학 |
주요 업적 | 플라토의 문제 해결, 페트르–더글러스–노이만 정리 |
학력 및 경력 | |
출신 대학 | 뉴욕 시립 대학교 (BA), 컬럼비아 대학교 (PhD) |
지도 교수 | 에드워드 카스너 |
직장 | 뉴욕 시립 대학교 시티 칼리지, MIT |
수상 | |
수상 내역 | 필즈상 (1936), 뵈처 기념상 (1943) |
개인 정보 | |
배우자 | Jessie Nayler (1940년 결혼, 1955년 이혼) |
자녀 | Lewis Philip Douglas |
2. 생애 및 경력
제시 더글러스는 1936년에 라르스 발레리안 알포르스와 함께 필즈상을 처음으로 받았다.[3] 그는 1760년 라그랑주가 제기한 Plateau 문제(비눗방울 문제)를 1930년에 해결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문제는 주어진 경계에 대해 최소 표면이 존재하는지 묻는 변분법 문제이다. 더글러스는 변분법의 역 문제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1943년 미국 수학회에서 보처 기념상을 받았다.
2. 1. 초기 생애
제시 더글러스는 뉴욕 시에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 아버지는 루이스 더글러스이고 어머니는 사라 코멜이다. 뉴욕 시립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마치고 1916년에 수학 우등으로 졸업했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1920년에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2. 2. 학문적 경력
그는 뉴욕 시에서 유대인 가정[1]에서 태어났다. 뉴욕 시립 대학교에서 학부 과정을 마치고 1916년에 수학 우등으로 졸업했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여 1920년에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1936년에 수여된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 2명 중 한 명이었다.[3] 1930년에 주어진 경계에 대해 최소 표면이 존재하는지 묻는 Plateau 문제를 해결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라그랑주가 1760년에 제기한 이후 해결되지 않은 이 문제는 변분법의 일부이며, ''비눗방울 문제''로도 알려져 있다. 더글러스는 또한 변분법의 역 문제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 미국 수학회는 1943년에 그에게 보처 기념상을 수여했다.
더글러스는 뉴욕 시립 대학교 (CCNY)의 정교수가 되었으며,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서 가르쳤다. 당시 CCNY는 학부 학위만 제공했으며 그는 고급 미적분학 과정을 가르쳤다. 1930년부터 1937년까지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그 사이 프린스턴 고등연구소를 거쳐, 1955년부터 뉴욕 시립 대학교 시티 칼리지의 교수를 역임했다. 강의에서는 학부생을 담당하여 실해석을 가르쳤다.
3. 주요 업적
제시 더글러스는 1936년에 최초로 수여된 필즈상 수상자 2명 중 한 명이다.[3] 그는 1930년에 Plateau 문제를 해결한 공로를 인정받았는데, 이 문제는 변분법의 일부로 ''비눗방울 문제''라고도 불리며 1760년 라그랑주가 제기한 이후 해결되지 않고 있었다. 더글러스는 변분법의 역 문제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1943년 미국 수학회에서 보처 기념상을 수상했다.
3. 1. 플라토 문제 해결
더글러스는 1930년에 주어진 경계에 대해 최소 표면이 존재하는지 묻는 Plateau 문제를 해결한 공로로 1936년에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 2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3] 1760년 라그랑주가 제기한 이후 해결되지 않은 이 문제는 변분법의 일부이며, ''비눗방울 문제''로도 알려져 있다. 더글러스는 변분법의 역 문제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 미국 수학회는 1943년에 그에게 보처 기념상을 수여했다.3. 2. 변분법의 역 문제 연구
더글러스는 1930년에 주어진 경계에 대해 최소 표면이 존재하는지 묻는 Plateau 문제를 해결한 공로로 1936년에 최초의 필즈상 수상자 2명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3] 라그랑주가 1760년에 제기한 이후 해결되지 않은 이 문제는 변분법의 일부이며, ''비눗방울 문제''로도 알려져 있다. 더글러스는 변분법의 역 문제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 미국 수학회는 1943년에 그에게 보처 기념상을 수여했다.4. 수상 및 영예
더글러스는 1936년에 라르스 발레리안 알포르스와 함께 최초로 필즈상을 수상한 두 명 중 한 명이었다.[3] 그는 1930년에 주어진 경계에 대해 최소 표면이 존재하는지 묻는 Plateau 문제를 해결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라그랑주가 1760년에 제기한 이후 해결되지 않은 이 문제는 변분법의 일부이며, ''비눗방울 문제''로도 알려져 있다. 더글러스는 또한 변분법의 역 문제에도 중요한 기여를 했다. 미국 수학회는 1943년에 그에게 보처 기념상을 수여했다.
5. 주요 논문
연도 | 제목 | 학술지 | 권(호) | 페이지 |
---|---|---|---|---|
1931 | 플라토 문제의 해 [1] | 미국 수학회 논문집 | 33(1) | 263–321 |
1939 | 그린 함수와 플라토 문제 [2] | 미국 수학 저널 | 61 | 545-589 |
1939 | 플라토 문제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 [3] | 미국 수학 저널 | 61 | 590-608 |
1939 | 변분법의 역 문제의 해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보 | 25 | 631-637 |
1940 | 표면의 선형 요소의 새로운 특수 형태 | 미국 수학회 논문집 | 48 | 101-116 |
6. 관련 서적
- M. 스트루베, ''플라토 문제와 변분법'', ISBN 0-691-08510-2
- R. 보넷, A. T. 포멘코, ''플라토 문제 (현대 수학 발전 연구)'', ISBN 2-88124-702-4
- M. 자퀴타, S. 힐데브란트, "변분법", 제1권 및 제2권, 슈프링어 출판사
- ''플라토 문제 - 제시 더글러스와 티보어 라도를 기리며'', (리버 엣지, 뉴저지, 1992).
참조
[1]
서적
''Peter Lax, Mathematician: An Illustrated Memoir''
American Mathematical Soc.
2014
[2]
웹사이트
Jesse Douglas (1897–1965)
http://www-history.m[...]
[3]
웹사이트
Jesse Douglas (1897–1965): A Biographical Memoir
https://www.nasonlin[...]
2024-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