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눗방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눗방울은 최소 400년 이상 오락으로 사용되어 온 얇은 비누 막으로 된 구체이다. 표면 장력의 원리를 이용하여 둥근 형태를 유지하며, 플라토 법칙에 따라 여러 비눗방울이 합쳐질 때 표면적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변한다. 비눗방울은 놀이, 예술, 교육, 과학 실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수한 용액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색깔, 얼음, 만질 수 있는 비눗방울,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눗방울 | |
|---|---|
| 기본 정보 | |
![]() | |
| 정의 | 공기를 가두는 얇은 비눗물 막 |
| 물리적 특성 | |
| 최소 표면적 | 주어진 공기 부피를 둘러싸는 최소 표면적을 가짐 |
| 모양 | 구형 (중력과 공기 저항이 없을 때) |
| 무지개 빛깔 | 빛의 간섭으로 인해 발생 |
| 제조 및 사용 | |
| 비눗물 | 일반적으로 물과 비누 (예: 세제, 샴푸) 혼합 |
| 도구 | 플라스틱 고리, 빨대 등 다양한 도구 사용 |
| 용도 | 어린이 놀이, 예술, 과학 연구 등 |
| 과학적 원리 | |
| 표면 장력 | 비눗방울 형성을 가능하게 함 |
| 빛의 간섭 | 무지개 빛깔을 생성함 |
| 추가 정보 | |
| 지속 시간 | 쉽게 터지기 때문에 수명이 짧음 |
| 환경 요인 | 바람, 습도, 먼지 등이 수명에 영향 |
| 예술적 표현 | 사진, 공연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용 |
2. 역사
비눗방울은 적어도 400년 이상 오락으로 사용되었으며, 17세기의 플랑드르 회화에서 아이들이 점토 파이프로 비눗방울을 불고 있는 모습이 그 증거이다. 런던에 본사를 둔 A. & F. 피어스(Pears)는 1886년 존 에버렛 밀레이의 비눗방울 놀이를 하는 아이 그림을 사용하여 유명한 비누 광고 캠페인을 만들었다. 시카고 회사인 Chemtoy는 1940년대에 비눗방울 용액을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그 이후로 비눗방울 용액은 아이들에게 인기를 끌었다. 한 산업 추산에 따르면, 소매업체는 연간 약 2억 병을 판매한다.[19]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부터 비눗방울 장수가 존재했으며, '후키타마야 사본타마'와 같은 구호와 함께 어린이들의 장난감으로 판매되었다.
1970년 7월, 후생성은 중성 세제(합성 세제)를 삼켰을 경우 간이나 신장에 장애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어린이의 비눗방울 놀이에 사용하지 않도록 통보했다. 그러나 1971년, ABS가 포함된 비눗방울액을 잘못 마신 어린이에게 목소리 변화, 구토, 얼굴 발진 등의 증상이 나타나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2. 1. 한국 전통 놀이 문화 속 비눗방울
한국의 전통 놀이 문화에서도 비눗방울은 친숙한 소재였다. 과거에는 무환자나무 열매나 칡뿌리 등을 찧어 천연 비눗물을 만들어 사용했다.[17] 『수정만고』 28권에는 비눗방울 장수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이를 통해 에도 시대부터 비눗방울 놀이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1677년(엔포 5년)에 처음으로 비눗방울 장수가 나타났다는 기록도 있다. (고지엔, 『브리태니커 국제 대백과사전』)3. 원리
비눗방울이 둥근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표면장력 때문이다. 표면장력이란 액체의 표면이 스스로 수축하여 가능한 작은 면적을 가지려는 힘을 말한다. 액체가 기체와 접하는 표면을 자유표면이라고 하며, 장력은 물체 안의 임의의 면에서 양쪽 부분이 서로를 면에 수직으로 끌어당기는 힘이다.
비눗방울은 극소 곡면의 물리적인 예시로, 주어진 부피를 포함하는 최소의 표면적 형태를 취한다. 1884년에 H. A. 슈바르츠는 구형 비눗방울이 주어진 부피의 공기를 가두는 최소 면적 방법임을 증명했다.[1] 2000년에는 두 개의 합쳐진 비눗방울이 서로 다른 크기의 두 개의 주어진 부피의 공기를 최소 표면적으로 가두는 최적의 방법임을 증명했는데, 이를 ''이중 비눗방울 추측''이라고 한다.[1]
구조 기술자 프라이 오토는 비눗방울 막을 이용하여 여러 점 사이에 퍼지는 최소 표면적 시트의 기하학을 결정하고, 이를 혁신적인 인장 구조로 변환했다.[2]
3. 1. 표면 장력과 극소 곡면
비눗방울은 복잡한 수학적 문제인 극소 곡면의 물리적 예시이다. 비눗방울은 주어진 부피를 포함하는 최소의 표면적 형태를 취한다. 진정한 극소 곡면은 양쪽에 동일한 압력을 가지며, 평균 곡률이 0이 되는 비누막으로 더 적절하게 설명된다. 비눗방울은 닫힌 비누막이다. 외부와 내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비눗방울은 ''일정한'' 평균 곡률을 가진 표면이다.1884년부터 구형 비눗방울이 주어진 부피의 공기를 가두는 최소 면적 방법이라는 것이 알려졌지만 (H. A. 슈바르츠의 정리), 두 개의 합쳐진 비눗방울이 서로 다른 크기의 두 개의 주어진 부피의 공기를 최소 표면적으로 가두는 최적의 방법임을 증명한 것은 2000년이었다. 이것은 ''이중 비눗방울 추측''이라고 불린다.[1]
이러한 특성 때문에, 비눗방울 막은 실용적인 문제 해결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어 왔다. 구조 기술자 프라이 오토는 여러 점 사이에 퍼지는 최소 표면적 시트의 기하학을 결정하기 위해 비눗방울 막을 사용했으며, 이 기하학을 혁신적인 인장 구조로 변환했다.[2] 유명한 예는 몬트리올 엑스포 67에서 그의 서독 파빌리온이다.
3. 2. 플라토 법칙
세 개 이상의 비눗방울이 만나는 지점에서는, 세 개의 비눗방울 벽만 한 선을 따라 만나도록 정렬된다. 표면 장력이 세 표면 각각에서 동일하므로, 만나는 각도는 120°이다. 네 개의 비눗방울 벽만 한 점에서 만날 수 있으며, 비눗방울 벽의 삼중선이 만나는 선은 cos−1(−1/3) ≈ 109.47°로 구분된다. 이 모든 규칙은 플라토 법칙으로 알려져 있으며, 거품이 비눗방울로 어떻게 구성되는지 결정한다.[1]3. 3. 안정성
비눗방울의 수명은 표면을 구성하는 매우 얇은 물 층, 즉 마이크로미터 두께의 비누 막이 얼마나 쉽게 파열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6]이는 다음과 같은 요인에 민감하다.
- 비누 막 내의 배수: 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진다. 이는 글리세롤을 첨가하여 물의 점도를 높임으로써 늦출 수 있다. 그래도 비눗방울의 경우 매우 높은 모세관 길이인 약 4m라는 높이 제한이 있다.
- 증발: 젖은 환경에서 비눗방울을 불거나 물에 설탕을 첨가하여 증발을 늦출 수 있다.
- 먼지와 지방: 비눗방울이 물체에 닿으면 일반적으로 비누 막이 파열된다. 이러한 표면을 물(가급적 비누가 포함된)로 적셔주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실험 후 연구자들은 다음 용액이 가장 오래 지속되는 비눗방울을 만드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6]
3. 4. 젖음
비눗방울이 고체 또는 액체 표면에 닿으면 젖음 현상이 관찰된다. 고체 표면에서 비눗방울의 접촉각은 고체의 표면에너지에 따라 달라진다.[7][8] 비눗방울은 친수성 표면보다 초발수성을 나타내는 고체 표면에서 더 큰 접촉각을 갖는다. 액체 표면에서 비눗방울의 접촉각은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작은 비눗방울일수록 접촉각이 작다.[9][10]3. 5. 부유 (Floatation)
비눗방울 안의 기체는 주로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밀도가 낮다. 수증기는 물 분자가 증발하면서 형성되는 기체이다. 물 분자가 증발하면 액체 상태에서 벗어나 기체 상태로 들어가는데, 이때 물 분자는 액체 상태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게 된다. 이는 물 분자가 서로에게 끌리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증발할 때, 이 인력에서 벗어나 더 멀리 이동한다.물 분자가 더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밀도가 낮아진다. 이것이 수증기가 공기보다 밀도가 낮은 이유이다. 비눗방울 안의 기체는 주로 수증기이므로 공기보다 밀도가 낮다.
기체의 밀도는 온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기체의 온도가 상승하면 기체 분자가 더 빠르게 움직인다. 이는 분자가 퍼져 밀도가 낮아지게 한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기체의 온도가 낮아지면 기체 분자가 더 느리게 움직여 분자가 뭉쳐져 밀도가 높아지게 된다.
비눗방울 안의 기체 온도는 주변 물의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물이 따뜻할수록 비눗방울 안의 기체도 따뜻해진다. 이는 물이 차가울 때보다 물이 따뜻할 때 비눗방울 안의 기체 밀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제작 방법
일반적으로 비누 등의 수용액(비눗물)에 빨대와 같은 가는 관의 한쪽 끝을 담가 입구에 얇은 막을 만든다. 가는 관을 들어 올려 다른 쪽 입으로 바람을 불어넣어 막을 부풀려 비눗물 구체를 만든다. 더 세게 불거나, 가는 관을 적당히 움직여 비눗물로 된 구를 떼어내면 비눗방울을 공중에 띄울 수 있다. 부는 방법에 따라 큰 비눗방울을 조금 만들거나, 비교적 작은 비눗방울을 많이 만들 수도 있다.

4. 1. 재료
시판 비눗방울 용액을 사용하거나, 주방 세제에 물과 글리세린, 설탕 등을 섞어 직접 만들 수 있다. 한 산업 추산에 따르면, 소매업체는 연간 약 2억 병의 비눗방울 용액을 판매한다.비눗방울을 만들기 위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 비눗물: 시판 제품도 있지만, 비누(주방용 중성 세제), 폴리비닐 알코올, 글리세린, 설탕, 검 시럽 등을 물로 희석하여 직접 만들 수도 있다. 가정용 액체 세제만으로도 제작 가능하다. 비눗방울을 오래 유지하기 위한 배합 방법이 몇 가지 고안되어 있다.[2]
- 빨대: 입으로 불어 비눗방울을 생성하는 도구이다. 시판되는 것도 있다.[2]
- 틀: 입으로 부는 방법 외에 철사로 만든 틀에 비눗막을 붙여, 그 틀을 움직이거나 입으로 불어 비눗방울을 날리는 방법도 있다. 비눗물을 많이 스며들게 하기 위해, 틀에 털실 등을 감는 경우가 많다.[2]
4. 2. 도구
빨대를 이용하여 비눗물에 얇은 막을 만든 후, 바람을 불어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다. 부는 방법에 따라 크고 작은 비눗방울을 다양하게 만들 수 있다.비눗방울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도구는 다음과 같다.
- '''빨대''': 입으로 불어 비눗방울을 만드는 도구이다.
- '''틀''': 철사 등으로 만든 틀에 비눗물을 묻혀 사용한다. 틀을 움직이거나 입으로 불어 비눗방울을 만든다. 틀에 털실 등을 감아 비눗물이 잘 스며들게 하기도 한다.
- '''버블건''': 방아쇠를 당기거나 손잡이를 돌리면 많은 비눗방울이 나오는 장치이다.
- '''비눗방울 발생 장치''': 행사나 무대 등에서 대량의 비눗방울을 자동으로 만들어 날리는 장치이다. 주변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물만으로 거품을 발생시키는 특수 장치도 있다.


5. 응용
비눗방울은 교육, 과학 실험,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교육 분야에서 비눗방울은 어린 아이들에게 유연성, 색 형성, 반사, 오목 및 볼록 표면, 투명성, 다양한 모양, 탄성, 크기 비교 등 여러 개념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이다.[15] 나탈리 하르첼 박사는 비눗방울 놀이가 아이들의 운동 기술과 협응력을 담당하는 뇌 영역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15]
과학 실험에서 수소를 채운 비눗방울은 연소 시 큰 폭발음을 내는 현상을 보여준다. (단, 수소 발생원에 불이 붙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정전기를 이용하면 장갑을 낀 손으로 비눗방울을 풍선처럼 다룰 수 있으며, 빙점 이하 온도에서는 비눗방울 막이 어는 현상도 관찰할 수 있다.
프라이 오토는 비눗방울의 최소 표면적 원리를 이용하여 혁신적인 인장 구조를 설계했으며, 몬트리올 엑스포 67의 서독 파빌리온이 그 예시이다.[2] 비눗방울 막은 복잡한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컴퓨터로 활용되기도 한다.[3][4][5]
5. 1. 놀이 및 예술
비눗방울은 어린이들의 놀이뿐만 아니라, 예술 공연에도 활용된다. 17세기 플랑드르 회화에서 아이들이 점토 파이프로 비눗방울을 부는 모습이 나타날 정도로 비눗방울은 오랫동안 오락으로 사용되었다. 1886년 런던의 A. & F. 피어스는 존 에버렛 밀레이의 비눗방울 놀이를 하는 아이 그림을 사용하여 비누 광고 캠페인을 벌였다. 1940년대에는 시카고 회사인 Chemtoy가 비눗방울 용액을 판매하기 시작했고, 이후 비눗방울 용액은 아이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소매업체는 연간 약 2억 병의 비눗방울 용액을 판매한다. 주방 세제에 물과 글리세린, 설탕 등을 첨가하여 비눗방울 용액을 직접 만들기도 한다.
비눗방울 공연은 예술과 오락을 결합한 것으로,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일부 공연자는 시판 비눗방울 액체를 사용하지만, 자신만의 용액을 만들어 쓰는 공연자도 있다. 어떤 예술가들은 거대한 비눗방울이나 튜브를 만들어 물체나 사람을 감싸기도 한다. 또 다른 예술가들은 큐브, 사면체 등 다양한 모양과 형태의 비눗방울을 만들기도 한다. 때로는 비눗방울을 맨손으로 다루기도 하며, 시각적 효과를 위해 연기, 증기, 헬륨을 채우거나 레이저 조명, 불과 결합하기도 한다. 천연 가스와 같은 가연성 가스로 비눗방울을 채워 불을 붙이기도 한다.[1]
세계적인 버블 아티스트로는 톰 노디, 판 양, 놀라운 버블 맨 등이 있다.[2]
5. 2. 교육
비눗방울은 어린 아이들에게도 광범위한 개념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고 탐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연성, 색상 형성, 반사 또는 거울 표면, 오목 및 볼록 표면, 투명성, 다양한 모양(원, 사각형, 삼각형, 구, 정육면체, 사면체, 육각형), 탄성, 비교 크기, 그리고 이 페이지에 나열된 비눗방울의 더욱 난해한 특성들을 가르칠 수 있다.[15] 비눗방울은 2세부터 대학교까지 개념을 가르치는 데 유용하다. 스위스 대학교의 나탈리 하르첼 박사는 어린 아이들의 오락 목적으로 인공 비눗방울을 사용하는 것이 운동 기술 및 협응력을 담당하는 아이의 뇌 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어릴 때 비눗방울에 노출된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더 나은 운동 기술을 보인다는 이론을 세웠다.[15]5. 3. 과학 실험
비눗방울 막은 구체뿐만 아니라 철사 틀 안에서처럼 사실상 어떤 모양으로든 닫힐 수 있다. 따라서 매우 다양한 최소 면을 설계할 수 있다. 실제로는 비눗방울 막을 수학적 모델링으로 계산하는 것보다 물리적으로 만드는 것이 더 쉬울 때도 있다. 이것이 비눗방울 막이 시스템의 복잡성에 따라 기존 컴퓨터보다 성능이 뛰어난 아날로그 컴퓨터로 간주될 수 있는 이유이다.[3][4][5]- 과학 실험 등에서 수소의 연소를 보여줄 때, 수소 봄베를 사용하여 금속판 등의 위에 수소 채운 비눗방울을 만들고 점화하면 큰 폭발음을 내며 연소한다. 수소 발생원에 '''인화'''에 주의해야 한다.
- 후프 등을 이용하여 비눗방울 안에 들어갈 수도 있다.
-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가볍게 준비 운동을 하는 등 정전기를 일으켜, 비눗방울을 풍선처럼 능숙하게 만질 수 있다.
- 비눗방울은 빙점 아래로 내려가면 표면의 얇은 비누막이 얼게 된다. 이 때문에 작은 것은 거의 예쁘게 둥근 채로 얼어 떨어진다. 또한 기온, 기압, 성질 등의 이유로 비교적 큰 것은 만들기 어렵다(만들려고 하면 도중에 파열되어 얇은 비누막이 흩날린다).
5. 4. 첨단 기술 연구
비눗방울의 최소 표면적 원리는 건축, 구조 설계 등에 응용될 수 있다. 구조 기술자 프라이 오토는 여러 점 사이에 퍼지는 최소 표면적 시트의 기하학을 결정하기 위해 비눗방울 막을 사용했으며, 이 기하학을 혁신적인 인장 구조로 변환했다.[2] 몬트리올 엑스포 67에서 그의 서독 파빌리온이 유명한 예시이다.비눗방울 막이 만드는 구조는 구체뿐만 아니라 철사 틀 안에서처럼 사실상 어떤 모양으로든 닫힐 수 있다. 따라서 매우 다양한 최소 면을 설계할 수 있다. 실제로는 비눗방울 막을 수학적 모델링으로 계산하는 것보다 물리적으로 만드는 것이 더 쉬울 때도 있다. 이것이 비눗방울 막이 시스템의 복잡성에 따라 기존 컴퓨터보다 성능이 뛰어난 아날로그 컴퓨터로 간주될 수 있는 이유이다.[3][4][5]
6. 특수 비눗방울
특수 비눗방울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색깔 비눗방울
비누 막은 매우 얇아 빛의 광학적 간섭을 일으켜 무지개빛을 낸다. 하지만, 인공적으로 색깔을 넣는 것은 어려웠다.
- 바이런, 멜로디 & 이노크 스웨틀랜드는 UV 조명 아래에서 빛나는 특허받은 무독성 비눗방울(Tekno Bubbles)을 발명했다.[12] 이 비눗방울은 일반 조명에서는 투명하지만, UV 빛을 받으면 빛난다.
- 일반 염료는 비누 분자가 아닌 물 분자에 붙기 때문에, 색깔 있는 염료를 넣어도 색깔 비눗방울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람 사브니스 박사는 비누 분자에 붙어 밝은 색을 내는 락톤 염료를 개발했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락톤이 그 예이다.
- 팀 키호는 압력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색깔을 잃는 비눗방울을 발명하여 Zubbles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무독성이며 얼룩이 지지 않는다.
- 2010년, 일본 우주 비행사 야마자키 나오코는 미세 중력 환경에서 색깔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얼어붙는 비눗방울

- -15°C 이하의 온도에서 비눗방울을 불면 표면에 닿으면서 얼어붙는다. 내부 공기는 확산되어 빠져나가고, 비눗방울은 자체 무게로 찌그러져 부서진다.
- -25°C 이하에서는 공중에서 얼어 땅에 떨어지면서 부서질 수 있다. 따뜻한 공기로 불면 처음에는 거의 완벽한 구형으로 얼지만, 공기가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부분적으로 찌그러진다.
- 매우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비눗방울은 작고 빠르게 얼며, 크게 만들면 부서진다.[13]
- 작은 비눗방울은 눈 위에 놓은 후 2초 안에 얼어붙는다(기온 약 -10°C~-14°C).[14]
만질 수 있는 비눗방울일반 비눗방울은 수 초에서 수십 초 만에 터지지만, 다당류 등을 사용하여 굳어지는 듯한 비눗방울액이 시판되고 있다.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비눗방울큰 링 모양의 도구로 만든 비눗방울 막 안에 사람이 들어가는 형태가 많다. 비눗방울 쇼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시판 제품도 있다. (토모다 상회·http://www.tomoda.ne.jp/hitosetu.html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비눗방울 키트)
6. 1. 색깔 비눗방울
비누 막은 가시광선의 파장만큼 얇아서 광학적 간섭이 발생한다. 이는 무지개빛을 생성한다. 그러나 인공적으로 색깔 있는 비눗방울을 만드는 것은 어려운 과제였다.
바이런, 멜로디 & 이노크 스웨틀랜드는 UV 조명 아래에서 빛나는 특허받은 무독성 비눗방울(Tekno Bubbles)을 발명했다.[12] 이 비눗방울은 일반 조명 아래에서는 투명하게 보이지만, UV 빛에 노출되면 빛난다.
일반적인 염료는 계면활성제가 아닌 물 분자에 부착되기 때문에 비눗방울 혼합물에 색깔 있는 염료를 첨가해도 색깔 있는 비눗방울을 만들 수 없다. 람 사브니스 박사는 계면활성제에 달라붙어 밝은 색깔의 비눗방울을 만들 수 있는 락톤 염료를 개발했다. 크리스탈 바이올렛 락톤이 그 예이다. 팀 키호는 압력이나 산소에 노출되면 색깔을 잃는 색깔 있는 비눗방울을 발명했는데, 현재 온라인에서 Zubbles라는 이름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무독성이며 얼룩이 지지 않는다. 2010년, 일본 우주 비행사 야마자키 나오코는 미세 중력 환경에서 색깔 있는 비눗방울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연했다.
6. 2. 얼어붙는 비눗방울
비눗방울은 -15°C 이하의 온도에서 공기 중으로 불면 표면에 닿으면서 얼어붙는다. 이때 내부 공기는 점차 확산되어 빠져나가고, 비눗방울은 자체 무게로 찌그러져 부서진다. -25°C 이하에서는 공중에서 얼어붙어 땅에 떨어지면서 부서질 수 있다. 따뜻한 공기로 비눗방울을 불면 처음에는 거의 완벽한 구형으로 얼지만, 공기가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부분적으로 찌그러진다. 이렇게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지는 비눗방울은 크기가 작고, 빠르게 얼어붙으며, 크게 만들면 부서진다.[13]
작은 비눗방울은 눈 위에 놓은 후 2초 안에 얼어붙는다(기온 약 -10°C~-14°C).[14]
비눗방울은 어는점 아래에서는 표면의 얇은 비누막이 언다. 작은 비눗방울은 거의 둥근 모양으로 얼어 떨어지지만, 큰 비눗방울은 기온, 기압, 성질 등의 영향으로 만들기 어렵다(만드는 도중 터져 얇은 비누막이 흩날린다).
6. 3. 만질 수 있는 비눗방울
일반적인 비눗방울은 수 초에서 수십 초 만에 터져버린다. 그래서 다당류 등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비눗방울이 굳어지는 듯한 비눗방울액이 시판되고 있다.6. 4.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비눗방울
큰 링 모양의 비눗방울 형성 도구로 만든 비눗방울 막 안에 사람이 들어가는 형태가 많다. 비눗방울 쇼 등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시판 제품도 있다. (토모다 상회·http://www.tomoda.ne.jp/hitosetu.html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비눗방울 키트)참조
[1]
논문
Proof of the double bubble conjecture
2000-07-17
[2]
뉴스
Jonathan Glancey, The Guardian November 28, 2012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11-28
[3]
논문
The Soap Film: An Analogue Computer
[4]
논문
The Soap Film: An Analogue Computer
[5]
논문
Soap Film Letters
[6]
뉴스
What’s the best recipe for bubble mixture? Scientists have the answer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22-09-22
[7]
논문
Contact angle of a hemispherical bubble: An analytical approach
http://centaur.readi[...]
[8]
논문
Wetting of soap bubbles on hydrophilic, hydrophobic, and superhydrophobic surfaces
[9]
논문
M.A.C. Teixeira, S. Arscott, S.J. Cox and P.I.C. Teixeira, Langmuir 31, 13708 (2015)
http://pubs.acs.org/[...]
[10]
웹사이트
O despertar da bolha
https://ciencias.uli[...]
2016-02-09
[11]
웹사이트
Blow the Biggest Bubbles
https://www.scientif[...]
[12]
웹사이트
Interview with Byron and Melody Swetland - The Inventors of Tekno Bubbles
http://inventors.abo[...]
Inventors.about.com
1999-10-05
[13]
사진첩
Frozen Frosted Fun
http://hopecarter.ph[...]
2014
[14]
사진
Freezing soap bubbles on snow
https://plus.google.[...]
2017-01-23
[15]
논문
The Structure of Singularities in Soap-Bubble-Like and Soap-Film-Like Minimal Surfaces
[16]
문서
16세기 스페인어에서의 비누 단어 jabón
[17]
서적
日本遊戯史
第一書房
1983-10
[18]
서적
カラー図説 日本大歳時記 座右版
講談社
1983
[19]
뉴스
学研が危険な付録 中性洗剤のシャボン玉
中國新聞
1971-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