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도지사를 보좌하는 직책으로,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 환경부지사 등의 명칭으로 변경되어 왔다. 1945년 제주도 부도사, 1946년부터 1948년까지 제주도 민정관이 있었으며, 1961년에는 제주도 기획조정관이 설치되었다. 1963년 부지사 직책이 도입되어 1995년까지 제주도 부지사가 임명되었고, 이후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 환경부지사, 환경·경제부지사로 분리되어 운영되다 2014년부터 행정부지사와 정무부지사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행정부지사는 진명기, 정무부지사는 김애숙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 - 구만섭
    구만섭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총무처, 행정안전부, 대통령비서실 등에서 근무하며 천안시 부시장,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국가기록원장, 행정안전부 차관보 등을 역임했고, 현재 대통령비서실 지방시대비서관으로 재직 중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 - 박정하 (정치인)
    박정하는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이명박 정부 대통령실 대변인과 제주특별자치도 정무부지사를 지낸 대한민국의 재선 국회의원으로, 국민의힘 소속으로 국토교통위원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청 - 제주특별자치도지사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행정 수반으로, 1945년 미군정 시기부터 현재까지 역대 도지사들이 재임했으며,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부터는 주민 직선으로 선출된다.
  • 제주특별자치도청 - 기당미술관
    기당미술관은 강구범씨의 소장품 기탁으로 1987년 개관한 개인 소장품 기반의 미술관으로, 변시지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야외전시장 등을 갖추고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대한민국의 관직과 칭호 -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
    대한민국의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검찰총장을 보좌하며, 검찰총장의 부재 시 직무를 대행하며, 정권의 성격과 검찰 개혁 추진 상황에 따라 그 역할과 위상이 변화해왔다.
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
기본 정보
제주특별자치도청
제주특별자치도청
관할제주특별자치도
직위 정보
직위명제주특별자치도 부지사
임명권자대한민국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이 임명
임기2년 (연임 가능)
정원2명 (행정부지사, 정무부지사)
봉급고위공무원단 가등급 상당의 보수
역할과 권한
주요 역할도지사 유고 시 권한 대행
도정의 주요 정책 결정 참여
소관 분야 업무 총괄
행정부지사도정의 전반적인 기획 및 조정
행정事務 총괄
소관 실·국·본부 지휘·감독
정무부지사정무 관련 업무 담당
소관 실·국 지휘·감독
임명 및 자격
임명 자격지방자치법 제110조
지방자치법 시행령 제77조
결격 사유지방공무원법 제31조
직무등급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관련 법규
근거 법률헌법 제122조
지방자치법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관련 법규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하는 직위의 직무등급

2. 역대 부지사

2. 1. 제주도 부도사 (1945년 ~ 1946년)

1945년 8월 16일부터 1945년 9월 22일까지 재임한 센다 센페이(千田專平)는 조선총독부 최후의 제주도 부도사였다. 해방 이후 1945년 9월 10일부터 1946년 7월 31일까지는 김문희가 부도사로 임명되었다.

2. 2. 제주도 민정관 (1946년 ~ 1948년)

미군정 시기 제주도 민정관은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임기비고
1대셔먼 A. 스타우트/Thurman A. Stout영어1946년 8월 1일 ~ 1947년 4월 2일미육군 중령, 제9연대장 겸임
2대러셀 D. 베로스/Russel D. Barros영어1947년 4월 2일 ~ 1947년 12월 3일미육군 대령
3대존 슈가 맨스필드/John Sugar Mansfield영어1947년 12월 3일 ~ 1948년 5월 15일미육군 중령



이들 민정관의 재임 시기에는 제주 4.3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미군정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2. 3. 제주도 기획조정관 (1961년 ~ 1963년)

5.16 군사정변 이후 설치된 제주도 기획조정관이다.[3]

초대 기획조정관은 이중헌(李重憲)이 임명되었다.[3]

대수이름임기비고
직무대행김벽파(金碧波)1961년 5월 20일 ~ 1961년 7월 20일총무국장으로 직무대리
직무대행김병우(金乘祐)1961년 9월 25일 ~ 1963년 9월 24일총무국장으로 직무대리
1대이중헌(李重憲)1963년 9월 25일[3] ~ 1963년 12월 15일


2. 4. 제주도 부지사 (1963년 ~ 1995년)

1963년 12월 16일 이중헌(李重憲)이 초대 부지사로 임명되면서 제주도에 부지사 직책이 도입되었다. 이후 1995년 7월 10일 28대 김태환(金泰煥) 부지사까지 임명되었다.

역대 제주도 부지사의 명단과 임기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임기
1대이중헌(李重憲)1963년 12월 16일 ~ 1964년 1월 10일
2대하형모(河衡模)1964년 1월 11일 ~ 1966년 5월 9일
직무대행[4]강성준(姜成俊)1966년 5월 10일 ~ 1966년 6월 25일
3대강성준(姜成俊)1966년 5월 25일[4] ~ 1968년 6월 4일
4대김대근(金大根)1968년 6월 5일 ~ 1971년 8월 6일
5대김학중(金學重)1971년 8월 7일 ~ 1973년 7월 8일
6대최병한(崔炳翰)1973년 7월 9일 ~ 1974년 8월 26일
7대유기천(劉基天)1974년 8월 27일 ~ 1975년 8월 28일
8대임병건(嚴秉建)1975년 8월 29일 ~ 1976년 7월 23일
9대심재홍(沈載鴻)1976년 7월 24일 ~ 1976년 10월 20일
10대원병의(元秉義)1976년 10월 21일 ~ 1978년 2월 17일
11대전병우(全炳宇)1978년 2월 18일 ~ 1978년 7월 31일
12대김종구(金鍾求)1978년 8월 1일 ~ 1979년 1월 11일
13대신기악(申基獄)1979년 1월 12일 ~ 1980년 7월 9일
직무대행강경주(姜京周)1980년 7월 10일 ~ 1980년 7월 31일
14대강경주(姜京周)1980년 8월 1일 ~ 1981년 12월 18일
15대노건일(盧健一)1981년 12월 19일 ~ 1982년 12월 26일
16대김원석(金原奭)1982년 12월 27일 ~ 1983년 12월 26일
17대이군보(李君普)1983년 12월 27일 ~ 1985년 7월 7일
18대김영환(金英煥)1985년 7월 8일 ~ 1985년 12월 12일
18대박부찬(朴富贊)1985년 12월 13일 ~ 1987년 12월 31일
20대김태옥(金泰玉)1987년 12월 31일 ~ 1988년 6월 3일
21대유철희(柳喆熙)1988년 6월 4일 ~ 1989년 8월 31일
22대진만현(陣滿鉉)1989년 9월 1일 ~ 1991년 1월 9일
23대이상칠(李相七)1991년 1월 10일 ~ 1991년 12월 31일
24대박찬무(朴贊武)1992년 1월 1일 ~ 1992년 5월 15일
25대안길현(安吉鉉)1992년 5월 16일 ~ 1993년 3월 15일
26대이만의(李萬儀)1993년 3월 16일 ~ 1994년 8월 31일
27대김정규(金丁奎)1994년 9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28대김태환(金泰煥)1995년 1월 1일 ~ 1995년 7월 10일


2. 5. 제주도 행정부지사 (1995년 ~ 2006년)

1995년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도지사를 보좌하여 행정 사무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5] 역대 행정부지사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임기비고
직무대행김태환(金泰煥)1995년 7월 10일[6] ~ 1995년 7월 13일
1대김태환(金泰煥)1995년 7월 13일[7] ~ 1995년 8월 13일
2대김태환(金泰煥)1995년 8월 14일 ~ 1997년 3월 31일
3대양종수(梁鍾守)1997년 4월 1일 ~ 1999년 2월 12일
4대이경무(李慶茂)1999년 2월 13일 ~ 1999년 8월 3일
5대박찬식(朴贊植)1999년 8월 4일 ~ 2000년 2월 14일
6대김효성(金鎬成)2000년 2월 15일 ~ 2002년 1월 20일
7대서유창(徐有昌)2002년 1월 21일 ~ 2003년 3월 31일
8대권영철(權寧喆)2003년 4월 1일 ~ 2004년 9월 30일
직무대행[8]김한욱(金漢昱)2004년 10월 1일 ~ 2005년 1월 5일
9대김한욱(金漢昱)2005년 1월 6일[9] ~ 2006년 6월 30일


2. 6. 제주특별자치도 행정부지사 (2006년 ~ 현재)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가 출범하면서 행정부지사는 더 많은 권한을 가지게 되었다. 역대 행정부지사 및 임기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임기비고
1대김한욱(金漢昱)2006년 7월 1일 ~ 2007년 12월 28일
직무대행강택상(姜宅相)2007년 12월 29일 ~ 2007년 12월 31일도 경영기획실장으로 직무대리
2대이상복(李相福)2008년 1월 1일 ~ 2010년 2월 9일
3대황인평(黃仁平)2010년 2월 10일 ~ 2010년 10월 4일
직무대행차우진(車宇鎭)2010년 10월 5일 ~ 2010년 10월 22일도 경영기획실장으로 직무대리
4대김상인(金相仁)2010년 10월 25일 ~ 2011년 6월 30일
5대김형선(金炯善)2011년 7월 1일 ~ 2014년 4월 23일
6대방기성2014년 4월 24일 ~ 2015년 1월 28일
7대권영수2015년 1월 29일 ~ 2016년 11월 30일
8대전성태2016년 12월 1일 ~ 2020년 1월 19일
9대최승현(崔勝鉉)2020년 1월 20일 ~ 2021년 6월 25일
10대구만섭2021년 6월 25일 ~ 2023년 1월 12일
11대김성중(金成仲)2023년 1월 13일 ~ 2024년 6월 26일
12대진명기(秦明基)2024년 6월 28일 ~



현직 행정부지사는 진명기이다.

2. 7. 제주도 정무부지사 (1995년 ~ 2006년, 2014년 ~ 현재)

1995년 7월 1일 제주도 정무부지사 직무대행으로 김계홍(金啓洪)이 임명되었고, 같은 해 8월 1일 강지순(姜志淳)이 초대 정무부지사로 임명되었다. 이후 문태수(文泰秀), 김승석(金承錫), 이영길(李榮吉), 김영보(金榮保) 등이 정무부지사를 역임하였다. 2001년에는 김재봉(金在奉), 김영택(金英澤)이, 2003년에는 김경택(金璟宅)이 정무부지사로 임명되었다. 2004년에는 이계식(李啓植)이 서리를 거쳐 정무부지사로 임명되었고, 2006년에는 최창수(崔昌株)가 마지막 정무부지사를 역임하였다.

2014년 7월 7일 박정하(朴正河)가 정무부지사 서리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8월 7일 정무부지사로 정식 임명되었다. 이후 김방훈(金方勳), 안동우(安東佑), 김성언(金成彦)이 정무부지사를 역임하였다. 2020년 9월 1일 고영권(高榮權)이 임명되었으며, 2021년 8월 12일부터 9월 16일까지는 허법률이 직무대행을 맡았다. 고영권(高榮權)은 2021년 9월 17일 다시 정무부지사로 임명되어[10] 2022년 6월 30일까지 재임하였다. 2022년 8월 25일에는 김희현(金熹鉉)이, 2024년 3월 29일에는 김애숙이 정무부지사로 임명되어 현재 재직 중이다.

정무부지사는 대외 협력, 정무적 판단, 도지사 보좌 등의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

2. 8. 제주도 환경부지사 (2006년 ~ 2010년)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환경부지사가 신설되었다. 환경부지사는 환경 보전, 관광, 투자 유치 등의 업무를 담당했다.

역대 제주도 환경부지사는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임기비고
서리유덕상/柳德相한국어2006년 7월 25일 ~ 2006년 8월 16일
1대유덕상/柳德相한국어2006년 8월 17일 ~ 2009년 7월 6일
2대양조훈/梁祚勳한국어2009년 7월 7일 ~ 2010년 6월 30일
직무대행차우진/車宇鎭한국어2010년 7월 13일 ~ 2010년 7월 27일
3대김부일/金富一한국어2010년 7월 28일 ~ 2011년 1월 17일


2. 9. 제주특별자치도 환경·경제부지사 (2011년 ~ 2014년)

제주특별자치도 환경·경제부지사는 환경부지사와 경제 관련 업무를 통합한 부지사 직책이다. 2011년 1월 18일부터 2014년 7월 6일까지 존속했다.

대수이름임기
1대김부일(金富一)2011년 1월 18일 ~ 2012년 7월 26일
2대김선우2012년 7월 27일 ~ 2014년 7월 6일


3. 현직 부지사

현직 행정부지사는 진명기이며, 정무부지사는 김애숙이다.

참조

[1] 웹인용 고위공무원단에 속하는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하는 직위의 직무등급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1-19
[2] 웹인용 지방자치법 시행령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1-19
[3] 뉴스 http://newslibrary.n[...] 1963-09-25
[4] 뉴스 http://newslibrary.n[...] 1966-05-25
[5] 뉴스 愼 제주지사,정무부지사 공모통해 임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5-07-03
[6] 뉴스 https://news.naver.c[...]
[7] 뉴스 https://news.naver.c[...]
[8] 뉴스 http://news.khan.co.[...]
[9] 뉴스 https://news.naver.c[...]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