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대 색빌 자작 조지 저메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대 색빌 자작 조지 저메인은 영국의 군인, 정치인으로, 1737년 군 경력을 시작하여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에 참전했다. 민덴 전투에서 지휘 부실로 면직된 후,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미국 담당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미국 독립 전쟁을 지휘했으나, 전략적 실패로 평가받는다. 노스 내각 붕괴 후 귀족 작위를 받고 상원에 입성했으며, 178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5년 사망 - 제임스 오글소프
    제임스 오글소프는 영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식민지 건설가로서, 조지아 식민지를 건설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감옥 및 해군 개혁, 노예제도 반대 등 박애주의 활동을 펼쳤다.
  • 1785년 사망 - 이벽
    이벽은 조선 후기 학자이자 한국 천주교회 개척자로, 천주교 서적을 통해 교리를 독학하고 권철신, 정약용 등과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여 전교 활동을 펼치다 체포 후 사망했으며, 순교 여부는 논란이 있으나 한국 천주교회 초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영국 육군 대장 - 헨리 클린턴
    헨리 클린턴은 영국 육군 장교이자 정치인으로, 미국 독립 전쟁 중 북미 지역 영국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며, 주요 전투에 참여하고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콘월리스와의 불화와 패배로 해임된 후 영국 의회 의원을 지내다 지브롤터 총독으로 임명되기 전 사망한 인물이다.
  • 영국 육군 대장 - 제1대 말버러 공작 존 처칠
    존 처칠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 뛰어난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고 앤 여왕 시대에 대장군으로 활약하며 프랑스에 대항하는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으나, 정치적 갈등과 부패 혐의로 실각한 잉글랜드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 1716년 출생 - 에티엔 모리스 팔코네
    18세기 프랑스의 조각가 에티엔 모리스 팔코네는 르무아네의 제자가 되어 왕립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대리석 및 도자기 조각상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러시아에서 표트르 1세의 기마상을 제작하고 예술 이론에도 기여했지만 과장된 경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1716년 출생 - 원매 (청나라)
    원매는 청나라 중기의 시인이자 미식가, 수필가로 자연의 성정을 중시하는 성령설을 주창하여 새로운 시풍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은거 생활을 하며 수원식단, 자불어, 수원시화 등 다양한 저술을 남기고 여성 문학을 옹호하며 여제자들을 길러내는 등 진보적이면서도 데카당스적인 면모를 보였다.
제1대 색빌 자작 조지 저메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조지 저메인
조지 로므니에 의한 초상화, 1766년.
존칭 접두사각하
이름제1대 색빌 자작 조지 저메인
로마자 표기George Sackville Germain, 1st Viscount Sackville
다른 이름로드 조지 색빌
출생 이름조지 색빌
출생일1716년 1월 26일
사망일1785년 8월 26일
사망 장소서식스 스톤랜드 롯지
국적영국
정당토리당 (노스파)
모교더블린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
배우자다이애나 샘브룩 (1754년 결혼, 1778년 사망)
자녀5명, 그 중 찰스 포함
부모라이오넬 색빌, 제1대 도싯 공작
엘리자베스 콜리어
정치 경력
직위미국 및 식민지 장관
임기 시작1775년 11월 10일
임기 종료1782년 2월
군주조지 3세
총리노스 경
이전다트머스 백작
이후웰보어 엘리스
직위제1 상무경
임기 시작1775년 11월 10일
임기 종료1779년 11월 6일
군주조지 3세
총리노스 경
이전다트머스 백작
이후칼라일 백작
의회 경력
의원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하원 의원
선거구(도버 선거구 →)
이스트 그린스테드 선거구
임기 시작1741년 - 1761년
1761년 3월 - 1761년 12월
1767년
임기 종료1782년
의원아일랜드 왕국 하원 의원
선거구포탈링턴 선거구
임기 시작1733년
임기 종료1761년
기타 정보
서훈추밀원

2. 초기 생애 및 교육

제1대 색빌 자작 조지 저메인은 라이오넬 색빌 제1대 도싯 공작과 엘리자베스 콜리어의 셋째 아들로, 헤이마켓에서 태어났다.[22] 그의 대부인 조지 1세는 그의 세례에 참석했다.[1] 그는 런던의 웨스트민스터 스쿨에서 교육을 받았고,[2] 1734년 아일랜드에서 변호사 자격 면허를 취득했다. 1733년에 B.A. 학위를, 1734년 7월에 M.A. 학위를 취득했다.[22] 1737년 더블린의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했다.[2] 그의 아버지가 1730년부터 1737년까지, 그리고 1750년부터 1755년까지 아일랜드 총독 직을 맡았기 때문에, 더블린에 있는 동안 그는 유명한 작가인 조나단 스위프트와 친구가 되었다.[3] 그는 또한 나중에 군대에서 그의 경력을 돕게 될 존 리고니어 제1대 리고니어 백작을 만났다.[4] 색빌은 1751년 아일랜드 그랜드 로지의 그랜드마스터로 선출되어 2년 동안 재임했다.[5]

3. 군 경력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어거스터스. 조슈아 레이놀즈 그림, 1759년경.


조지 저메인은 1737년 7월 제7 기병 연대(후에 제6 드라군 근위대) 대위로 군 경력을 시작했다. 1740년 글로스터셔 보병 연대 중령으로 전속되었고, 1743년에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독일로 파견되었다. 같은 해 명예 대령으로 진급했다.

1745년 퐁트누아 전투에서 저메인은 부상을 입고 프랑스군에게 포로로 잡혔다.


1745년 퐁트누아 전투에서 컴벌랜드 공작의 보병 부대를 이끌며 용맹을 떨쳤다. 그는 연대를 이끌고 프랑스 진영 깊숙이 진격했으나, 부상을 입고 포로가 되어 루이 15세의 막사로 이송되었다. 석방 후 귀국하여 스코틀랜드에서 제20 보병 연대 대령으로 복무했다.

1747년과 1748년에는 컴벌랜드 공작 휘하에서 제7 아일랜드 기병대 대령으로 네덜란드에서 종군했다.

7년 전쟁이 발발하자 저메인은 다시 현역으로 복귀하여, 1755년에 소장으로 승진했고 규율을 감독하는 직무에 올랐다.[22] 1758년, 저메인은 제 4연대를 지휘하는 말보로 공작 찰스 스펜서의 부대에 중장으로 참전했다. 이 부대는 독일 브라운슈바이크 페르디난트의 동맹군과 합류했다. 말보로 공작이 죽자 저메인이 영국군의 지휘관이 되었다.

민덴 전투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 페르디난트


그랜비 후작 존 마너스 (조슈아 레이놀즈의 그림, 1766년).


1759년 8월 1일 민덴 전투에서 영국군과 동맹군은 프랑스군의 중앙에 공격을 성공했다. 그 공격 부대는 프랑스 기병대가 다가오는 가운데 가까운 거리에서 일제 사격으로 격파했다. 프랑스군이 철수를 시작하자 페르디난트는 영국 기병대에게 돌격을 명령했지만, 저메인은 작전 지휘관인 그랜비 경과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그랜비 경에게 ‘영광의 승리’를 줄 수 있는 허가를 하지 않았고, 연합군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둘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그 결과 저메인은 면직되어 귀국을 당했다.[35]

저메인은 명령 불복종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을 거부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저메인은 군법 회의를 열 것을 요구했고 1760년에 그 요청이 수용되었다. 군법 회의 결과 유죄를 선고받았고, 장군직에 있는 고관으로서는 전례 없는 무거운 판결을 받았다. 판결은 저메인의 불명예 제대를 승인하고 저메인은 ‘영국군의 임무에 부적합하다’라고 나와있었으며, 이 판결문을 영국군 모든 연대가 열람할 수 있도록 기록 했다.[12] 국왕은 추밀원 지도자 명단에서 그의 이름을 제외시켰다.[13]

3. 1.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조지 저메인은 1737년 7월 제7 기병 연대(후에 제6 드라군 근위대) 대위로 군 경력을 시작했다. 1740년 글로스터셔 보병 연대 중령으로 전속되었고, 1743년에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기 위해 독일로 파견되었다. 같은 해 명예 대령으로 진급했다.

1745년 퐁트누아 전투에서 컴벌랜드 공작의 보병 부대를 이끌며 용맹을 떨쳤다. 그는 연대를 이끌고 프랑스 진영 깊숙이 진격했으나, 부상을 입고 포로가 되어 루이 15세의 막사로 이송되었다. 석방 후 귀국하여 스코틀랜드에서 제20 보병 연대 대령으로 복무했다.

1747년과 1748년에는 컴벌랜드 공작 휘하에서 제7 아일랜드 기병대 대령으로 네덜란드에서 종군했다.

3. 2. 7년 전쟁

7년 전쟁이 발발하자 저메인은 다시 현역으로 복귀하여, 1755년에 소장으로 승진했고 규율을 감독하는 직무에 올랐다.[22] 1758년, 저메인은 제 4연대를 지휘하는 말보로 공작 찰스 스펜서의 부대에 중장으로 참전했다. 이 부대는 독일 브라운슈바이크 페르디난트의 동맹군과 합류했다. 말보로 공작이 죽자 저메인이 영국군의 지휘관이 되었다.

3. 2. 1. 민덴 전투

1759년 8월 1일 민덴 전투에서 영국군과 동맹군은 프랑스군의 중앙에 공격을 성공했다. 그 공격 부대는 프랑스 기병대가 다가오는 가운데 가까운 거리에서 일제 사격으로 격파했다. 프랑스군이 철수를 시작하자 페르디난트는 영국 기병대에게 돌격을 명령했지만, 저메인은 작전 지휘관인 그랜비 경과 사이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그랜비 경에게 ‘영광의 승리’를 줄 수 있는 허가를 하지 않았고, 연합군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둘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그 결과 저메인은 면직되어 귀국을 당했다.[35]

저메인은 명령 불복종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을 거부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저메인은 군법 회의를 열 것을 요구했고 1760년에 그 요청이 수용되었다. 군법 회의 결과 유죄를 선고받았고, 장군직에 있는 고관으로서는 전례 없는 무거운 판결을 받았다. 판결은 저메인의 불명예 제대를 승인하고 저메인은 ‘영국군의 임무에 부적합하다’라고 나와있었으며, 이 판결문을 영국군 모든 연대가 열람할 수 있도록 기록 했다.[12] 국왕은 추밀원 지도자 명단에서 그의 이름을 제외시켰다.[13]

4. 정치 경력

저메인은 1741년 이후 여러 차례 의회 의원을 역임했다. 더블린과 웨스트민스터(런던)에서 두 곳 모두에서 동시에 여러 번의 임기를 맡았지만, 당파에 치우치지는 않았다.

1760년조지 3세가 왕좌를 이어받자 정치적 명예 회복을 시작했다. 7년 전쟁이 유럽에서 정체되어 있었지만, 부정적인 영향은 없었다. 프랑스에 승리를 거둠으로써 식민지 제국이 된 영국은 전쟁을 망각하고 있었다. 영국이 전쟁으로 지게 된 막대한 부채 상환이 어려워지면서 불안정한 내각으로 이어졌고, 정당의 이합집산을 계속되었다. 1763년 국왕 조지 3세는 눈에 띄지 않게 저메인을 추밀원 고문으로 돌려보냈다.

처음에 그는 조지 그렌빌의 추종자였지만, 점점 노스 경의 지지로 돌아서게 되었고, 1769년에는 그 입장을 분명히 했다. 1769년 저메인의 아내 엘리자베스가 사망하면서, 상속인이 없었기 때문에 모든 유산을 저메인이 상속했다. 이것은 저메인의 재정 상태를 개선시켰을 뿐만 아니라, 명성을 올릴 기회도 제공하게 됐다. 1770년 이후 조지 저메인 경이 되었다.

아버지는 1731년부터 1737년까지, 1751년부터 1756년까지 2기에 걸쳐 아일랜드 총독을 역임했으며[22], 그 1기에서 색빌은 1733년 포타링턴 선거구에서 아일랜드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어, 1760년까지 재임했다[23]。또한, 1737년 4월 23일에 아일랜드 추밀원 서기관으로 임명되어, 이후 1785년까지 재임했다[22]。 아버지가 5개 항구 관리자도 겸임했기 때문에, 1741년 영국 총선에서 아버지의 영향력으로 도버 선거구에서 그레이트브리튼 하원 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 컴벌랜드 공의 부하를 맡았기 때문에, 의회에서 컴벌랜드 공에 의한 군의 지휘가 비판받을 때 그를 변호했다.

1751년에 아버지가 아일랜드 총독으로 재임명되자, 색빌은 1751년 9월 19일에 아일랜드 추밀원 추밀 고문관으로 임명되었으며, 또한 1751년부터 1755년까지 아일랜드 담당 장관을 역임했지만, 이 시기의 색빌과 조지 스톤을 "아일랜드의 실질적인 통치자"로 묘사하며, 야당으로부터 격렬한 공격을 받았다고 했다. 그 외에도 1750년부터 1753년까지 프리메이슨의 일원으로서 아일랜드 그랜드 로지의 그랜드 마스터를 역임했다[24]

1755년에 잉글랜드로 귀국했다. 이 시점에서는 호러스 월폴이 색빌의 연설을 칭찬하고, 아버지가 5개 항구 관리자로서의 영향력과 집안의 이스트 그린스테드 선거구에서의 영향력을 색빌에게 위임했으며, 게다가 어머니 쪽 친족과 육군에서의 활약으로 스코틀랜드 정계에서도 많은 친구가 있었기 때문에,정계에서도 육군에서도 장래가 유망했지만, 이는 4년 후에 일시적으로 모두 무너질 것이었다.

1754년 영국 총선 후, 색빌은 초대 뉴캐슬 공작 토머스 펠럼-홀스로부터 친구 중 한 명으로 간주되었다. 제1차 뉴캐슬 공작 내각 시절 대 피트와 헨리 폭스의 권력 다툼에서 폭스가 컴벌랜드 공을 싫어했기 때문에, 색빌이 대 피트에게 접근했지만, 폭스도 색빌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그의 지지를 얻으려 했고, 대 피트가 해임되어 폭스가 내각을 구성하려고 했을 때 색빌에게 국무 대신 자리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색빌은 대 피트를 정권에서 제거하는 것이 비현실적이라고 판단하여 폭스의 제안을 거절했으며, 왕세자 조지(후의 국왕 조지 3세)가 제3대 뷰트 백작 존 스튜어트에게 보낸 편지(1757년 6월)에서 색빌의 결정을 칭찬했다. 대 피트는 색빌을 전시 대신으로 임명하려 했지만, 국왕 조지 2세에게 거부당했으며, 같은 해 10월에 컴벌랜드 공이 군무에서 은퇴하자 대 피트는 색빌을 군수국 부국장으로 임명했다.

1770년 11월에 조지 그렌빌이 사망하자, 이번에는 로킹엄 후작이 저메인을 자신의 파벌로 끌어들이려 했고, 1771년 1월부터 2월까지 자신의 파벌 모임에 저메인을 초청했지만, 저메인은 로킹엄 휘그의 정견에 찬성하지 않았고, 1772년 말에 영국 동인도 회사의 규제를 둘러싼 법안에서 노스 내각을 지지하여 야당이었던 로킹엄 파벌을 실망시켰다.

그 후 2년 동안 특정 파벌에 속하지 않았지만, 1773년 5월에 로버트 클라이브를 옹호하는 등 의회에서 활발하게 연설을 하였고, 이 시기를 저메인의 연설가로서의 영향력이 가장 컸던 시기라고 평가하며, 특히 1774년 초의 미주 식민지에 관한 연설을 영향력이 가장 큰 연설로 꼽았다.

1774년 초에는 보스턴 차 사건으로 인해 보스턴 항만법과 매사추세츠 정부법 등의 대책법이 가결되었지만[31], 저메인은 1774년 5월 2일의 연설에서 이러한 정책을 옹호하며 "가까이에 앉아있는 명예로운 신사(헨리 시모어 콘웨이)는 논쟁이 사소한 일, 즉 세금에 관한 것이라고 말했다. 누가 이러한 주제에 대해 논쟁하겠는가? 단지 세금을 포기하는 것만으로 미국을 진정시킬 수 있다면, [...] 그 방책에 달려들어 평화, 그리고 모국과 식민지의 의사소통을 촉진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러나 지금 세금을 포기한다면, [...] 우리는 그레이트 브리튼의 헌법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여기서 입장을 굳건히 지키지 않는다면, 우리 중 가장 유능한 사람이라도 (본국의) 주권을 지지할 근거를 찾지 못할 것이다. [...] 여기서 물러난다면, 그들은 모든 권리를 주장하며 우리의 의회(Parliament영어)를 그들의 의회(assembly영어)로 대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4. 1. 명예 회복

1760년 조지 3세가 왕좌를 이어받자 조지 저메인은 정치적 명예 회복을 시작했다.[27] 7년 전쟁이 유럽에서 정체되어 있었지만, 부정적인 영향은 없었다. 프랑스에 승리함으로써 식민지 제국이 된 영국은 전쟁을 망각하고 있었다. 영국이 전쟁으로 지게 된 막대한 부채 상환이 어려워지면서 불안정한 내각으로 이어졌고, 정당의 이합집산을 계속되었다. 1763년 국왕 조지 3세는 눈에 띄지 않게 저메인을 추밀원 고문으로 돌려보냈다.[28]

1765년 10월 10일 부친이 사망하자[22] 노울 파크의 토지를 상속받았다.[22] 1769년 저메인의 아내 엘리자베스가 사망하면서, 상속인이 없었기 때문에 모든 유산을 저메인이 상속했다. 이것은 저메인의 재정 상태를 개선시켰을 뿐만 아니라, 명성을 올릴 기회도 제공하게 됐다. 1770년 2월 16일, 의회 입법을 거쳐 성을 저메인으로 개명했다.[22] 이후 조지 저메인 경이 되었다.

1770년 12월, 전 서플로리다 총독 과의 결투 사건이 일어났다.[22]. 존스턴은 원래 입이 험한 인물이었는데, 어느 날 "자신의 명예는 돌보지 않으면서 왜 국가의 명예를 돌보느냐"라며 저메인을 비판했고, 저메인이 사과를 요구했으나 존스턴이 거부하자 두 사람은 하이드 파크에서 결투를 벌이게 되었다. 존스턴이 쏜 총알이 저메인의 권총 총신에 맞자, 저메인은 "(맞은 것이) 당신 자신이 아니라 다행이다"(I am glad, my lord, it was not yourself영어)라고 말했고, 이것을 계기로 존스턴은 저메인과 화해했으며, 후에 저메인의 행동을 칭찬했다. 호레이스 월폴은 "조지 서크빌 경이 무엇이었든 간에, 조지 저메인 경은 영웅이다"(Lord George Germain is a hero, whatever Lord George Sackville may have been영어)라고 평했으며,[22] 『』도 이 결투가 민덴 전투로 인한 "겁쟁이"라는 나쁜 이미지를 씻어냈다고 평했다.

조지 존스턴의 초상. 그림

4. 2. 미국 담당 국무장관

제1대 색빌 자작 조지 저메인은 1775년 11월 10일, 미국 담당 국무장관에 임명되어 미국 독립 전쟁 진압의 주요 책임을 맡았다.[15] 당시 노스 내각은 3명의 국무장관을 두고 있었는데, 각기 유럽(북부 담당), 미국, 그리고 나머지 지역(남부 담당)을 담당했다. 저메인은 장군들을 승진시키거나 해임하고, 물자와 보급품을 관리했으며, 전쟁의 전략적 계획에 관여했다.[15]

저메인과 총리인 노스 경은 직면한 전쟁에 대해 세 가지 가정을 세웠다. 첫째, 미군은 영국군에게 이길 수 없다. 둘째, 이 전쟁은 과거 유럽 전투와 비슷하다. 셋째, 영국의 승리로 식민지의 동맹이라는 목표에 도달할 것이다. 그러나 이 가정들은 모두 뒤집어졌다.

1776년, 저메인은 존 버고인 장군과 함께 새러토가 방면 작전을 계획하고 지원하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윌리엄 하우 장군에게 내린 명령이 분명하지 않아서 작전은 실패로 돌아갔다.[15] 1781년에는 찰스 콘월리스 장군과 헨리 클린턴 장군에 대한 명령이 얽혀 요크타운 전투의 패배로 이어졌다.[16]

요크타운 소식은 1781년 11월 25일 런던에 전달되었고, 메신저는 먼저 런던 팰 맬에 있는 저메인의 저택으로 갔다.[16] 저메인은 다른 장관들에게 이 소식을 전했고, 그들은 함께 노스 경에게 갔는데, 그는 "오 신이여, 모든 것이 끝났어"라고 외쳤다고 한다.[17] 저메인은 노스 대신 큐에 있던 국왕에게 이 소식을 전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17] 항복 소식은 야당을 자극했고, 정부 다수는 고위 장관들의 사퇴 요구와 함께 다음 몇 달 동안 줄어들기 시작했다. 저메인은 찰스턴, 뉴욕, 서배너 및 캐나다에 있는 기존 영국 기지를 사용하여 미국 해안선과 국경을 괴롭힘으로써 전쟁을 계속하는 계획을 세웠다.[18] 그는 또한 뉴포트를 재점령하여 뉴잉글랜드에 교두보를 마련할 것을 옹호했다.[18]

한국의 역사학계에서는 저메인의 강경 정책이 미국 독립 전쟁을 장기화시키고, 결국 영국의 패배를 초래한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평가한다.

4. 3. 독립 전쟁 이후

1782년 노스 경 내각이 붕괴되자 저메인은 각료직과 의석을 포기했다.[19] 색빌 경의 전쟁 처리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었고, 일부 의원들은 저메인을 상원에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전례없는 반대를 제기했다.[20]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상원에 받아들여졌으며, 서로우 경의 든든한 옹호를 받았다.[21] 건강이 악화되면서 이러한 논란은 약화되었고, 저메인은 서섹스 스톤랜드 롯지의 집으로 은퇴하여 1785년에 사망했다.[21]

저메인은 야당의 표적이 되었고, 결국 귀족 작위를 받는 조건으로 사임하도록 설득당했다. 1782년 2월에는 서식스 주에 속한 '''볼브루크 남작'''과 노샘프턴 주에 속한 '''드레이턴의 자작 색빌'''이 되었다.[19] 이는 저메인이 개인적으로 반감을 사는 야당의 파벌을 끌어들여 노스 정부가 존속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치로 여겨졌다.[20] 그는 웰보어 엘리스로 교체되었다. 저메인의 퇴임에도 불구하고 노스 정부는 곧 1782년 2월에 붕괴되었고, 뒤이어 정치적 불안정의 시기가 이어졌다.[20] 노스 정부 붕괴 직후, 카리브해에서 벌어진 생토 해전에서 결정적인 영국 해군의 승리 소식이 전해졌다. 만약 노스 정부가 여전히 집권하고 있었다면 이는 정부에 큰 힘이 되었을 것이며, 전쟁 후반기 영국의 성공은 부분적으로 노스와 저메인이 취한 전략적 배치 덕분이었다.[20] 셸번 내각은 1783년 전쟁을 종식시키고 미국의 독립을 인정한 파리 조약에 합의했다.

서식스주 스톤랜드 로지


귀족원에서는 당파성이 옅어졌고, 찰스 제임스 폭스의 동인도 법안에 반대하여, 소 피트의 동인도 법안을 지지했지만, 아일랜드의 통상 문제에서는 소 피트에 반대했다. 1785년 8월 26일에 스톤랜드 로지에서 병사했고, 아들 찰스가 작위를 계승했다.[22]

5. 유산

제1대 색빌 자작 조지 저메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곳은 다음과 같다.



뉴브런즈윅주 세크빌 타운은 1762년 로드아일랜드와 매사추세츠 남부에서 온 정착민("뉴잉글랜드 농부")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765년에 제1대 색빌 자작을 기리기 위해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1772년에는 노바스코샤 주의회에 대표를 보낼 정도로 인구가 늘었으며, 1784년 뉴브런즈윅주에 편입되었다. 1903년에 법인화되었다.

저메인의 유산은 대영제국의 식민지 확장과 지배의 역사를 보여준다. 이는 한국의 근대사 경험과 맞물려 복잡한 의미를 갖는다.

6. 가족

1754년 9월 3일, 제1대 색빌 자작 조지 저메인은 존 샘브룩과 엘리자베스 포레스터의 딸인 다이애나 샘브룩(Diana Sambrooke영어)과 결혼하여[22] 2남 2녀를 두었다.[33]


  • 다이애나 색빌(Diana Sackville영어, 1756년 7월 8일 – 1814년 8월 29일): 존 크로스비, 제2대 글랜도어 백작과 결혼
  • 찰스 색빌(1767년 8월 27일 – 1843년 7월 29일): 나중에 이름을 찰스 색빌-저메인으로 변경했다.
  • 조지 색빌 (1770년 12월 7일 – 1836년 5월 31일)
  • 엘리자베스: 헨리 허버트 국회의원과 결혼


그는 동성애자로 알려져 있었다.[22]

참조

[1] 문서 Weintraub p.31
[2] 서적 Alumni Dublinenses : a register of the students, graduates, professors and provosts of Trinity College in the University of Dublin (1593–1860) Alex Thom and Co
[3] 문서 Weintraub p.31
[4] 문서 Weintraub p.31
[5] 서적 A New Encyclopedia of Freemasonry Cosimo, Inc.
[6] 웹사이트 Gay Men in Regency England - an extract from Love and Marriage in the Age of Jane Austen https://yalebooksblo[...] 2024-05-22
[7] 웹사이트 Happy Fourth of July—thanks to two loutish British lords | WORLD https://wng.org/sift[...]
[8] 웹사이트 Homosexuality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http://rictornorton.[...]
[9] 문서 Weintraub p.30-31
[10] 문서 Weintraub p.32
[11] 간행물 London Gazette 1758-01-24
[12] 문서 The Proceedings of a General Court-Martial... upon the trial of Lord George Sackville London
[13] 간행물 London Gazette 1760-04-22
[14] 간행물 London Gazette 1765-12-17
[15] 문서 Weintraub p.26
[16] 문서 Whiteley p.195
[17] 문서 Whiteley p.195-196
[18] 문서 Weintraub p.308
[19] 간행물 London Gazette 1782-02-05
[20] 문서 Fleming p. 155
[21] 문서 "Report on the Manuscripts of Mrs. Stopford-Sackville, of Drayton house" https://archive.org/[...] 2021-12-30
[22] 서적 Complete peerage of England, Scotland, Ireland,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Kingdom, extant, extinct or dormant (S to T) https://archive.org/[...] George Bell & Sons
[23] 웹사이트 Biographies of Members of the Irish Parliament 1692-1800 https://ulsterhistor[...] 2020-07-14
[24] 백과사전 Sackville, Lionel https://doi.org/10.3[...] 2020-07-14
[25] 간행물 London Gazette 1758-01-24
[26] 간행물 London Gazette 1760-04-22
[27] 웹사이트 East Grinstead https://www.historyo[...] 2020-07-14
[28] 간행물 London Gazette 1765-12-17
[29] 웹사이트 Hythe https://www.historyo[...] 2020-07-14
[30] 웹사이트 GERMAIN, Sir John, 1st Bt. (1650-1718), of Drayton, Northants. https://www.historyo[...] 2020-07-14
[31] 백과사전
[32] 간행물 London Gazette 1782-02-05
[33] 웹사이트 Dorset, Duke of (GB, 1708 - 1843) http://www.cracrofts[...] 2020-07-14
[34] 웹사이트 HERBERT, Henry Arthur (1756-1821), of Muckross, co. Kerry. https://www.historyo[...] 2020-07-14
[35] 간행물 London Gazette 1760-04-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