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1군 (일본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1군 (일본군)은 1944년 2월 18일 편성되어 중부 태평양 방면을 작전 지역으로 삼은 일본군 부대이다. 남부 마리아나, 북부 마리아나, 트루크 지구집단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사이판에 사령부를 두었으나, 사이판 전투와 괌 전투에서 패배하며 지휘부가 괴멸되었다. 이후 추크 제도에 주둔한 제52사단을 중심으로 재편성되어 종전 시까지 현지에서 군대를 유지했으며, 1945년 10월 이후 무장 해제 후 본토로 귀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육군의 군 - 제38군 (일본군)
제38군은 1942년 일본군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 주둔하며 창설되어 해당 지역 방위를 담당했고, 1945년 명호 작전에 참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체되었으며, 여러 문제로 비판받았다. - 일본 육군의 군 - 대만군 (일본군)
대만군은 1895년 일본 제국이 대만을 점령한 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대만에 주둔하며 중국 본토 작전에 투입되거나 연합군 공격에 대비한 방어 체계를 구축했던 일본군의 군급 부대이다. - 1944년 설립 - 영국 태평양 함대
영국 태평양 함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선에서 활동한 영국 해군의 함대로, 1944년에 창설되어 1948년에 해산되었으며, 미국 해군의 지휘를 받아 팔렘방 정유소 공격, 오키나와 전투 지원, 일본 본토 공격 등의 작전을 수행하고 일본 항복 문서 조인식에 참여했다. - 1944년 설립 - 골든 글로브상
골든 글로브상은 할리우드 외신기자협회가 설립되어 시작된 영화 및 텔레비전 시상식으로, 다양한 작품과 배우들에게 상을 수여하며 세계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지만, 논란과 보이콧을 겪은 후 재단으로 재편되어 현재는 영화와 텔레비전 각 부문에서 다양한 상을 시상하고 전 세계에 방송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31군 (일본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명칭 | 일본 제31군 |
원어 명칭 | 第31軍 (일본어) |
통칭 | 비(備) |
종류 | 보병 |
역할 | 군단 |
소속 | 일본 제국 육군 |
규모 | 군 |
주둔지 | 트루크 |
부대 연혁 | |
창설일 | 1944년 2월 18일 |
해체일 | 1945년 8월 15일 |
국가 | 일본 제국 |
지휘부 | |
최종 상급 부대 | 대본영 육군부 |
담당 지역 | |
담당 지역 | 남양 군도 |
최종 위치 | 동부 지청 추크 제도웨노 촌 (현재의 미크로네시아 연방추크 주) |
주요 전투 | |
주요 전투 | 오퍼레이션 헤일스톤 사이판 전투 괌 전투 |
1945년 최종 예하 부대 (편성) | |
상위 부대 | 대본영 |
예하 부대 | 남부 마리아나 제도 부대 제29사단 독립 보병 제48여단 북부 마리아나 제도 부대 제43사단 독립 보병 제47여단 제1전차사단 제9전차연대 트루크 수비대 제52사단 독립 보병 제50여단 독립 보병 제51여단 독립 보병 제52여단 |
이미지 | |
![]() |
2. 연혁
1944년 2월 18일 일본군 제31군은 대본영의 지휘 하에 편성되어 남양청 북부지청 관내의 남부 마리아나 지구집단과 북부 마리아나 지역 집단, 동부 지청 관내의 트루크 지구집단, 그리고 기타 직할 부대로 구성되었다. 총병력은 80,000명에 달했으며, 중부 태평양 방면을 작전지역으로 하였다.
사이판에 사령부를 두고 미군의 침공에 대비하고 있었으나, 오바타 히데요시 사령관이 팔라우 방면으로 출장 간 사이에 사이판 전투가 시작되었다. 사령관 일행은 사이판으로 돌아갈 수 없어 괌에서 지휘하게 되었다. 사이판 전투는 일본군의 패배로 끝났고, 현지에서 사령관을 대신하여 지휘를 맡았던 이케다 케이지 참모장은 자결했다. 이후 1944년 괌 전투에서도 일본군은 패배했고, 오바타 군사령관과 후임 참모장인 타무라 요시모토도 자결하면서 제31군 사령부는 괴멸되었다.
그 후 추크 제도에 주둔하고 있던 제52사단을 중심으로 제31군을 재편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현지 자활을 통해 군대를 유지했다. 해일 작전 이후, 트루크에 주둔한 일본군은 고립되었고, 미군은 다른 태평양 섬들을 점령하며 일본으로 진격했다. 고립된 트루크 및 기타 중앙 태평양 섬의 일본군은 식량이 부족해져 1945년 8월 일본 항복 전까지 기아에 시달렸다.
3. 지휘부
직책 이름 기간 참모장 이게타 게이지 소장 1944년 2월 25일 ~ 1944년 7월 6일 참모장 다무라 요시토모 소장 1944년 7월 14일 ~ 1944년 8월 11일
3. 1. 사령관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
1 | 오바타 히데요시 육군 중장 | 1944년 2월 25일 | 1944년 8월 11일 |
2 | 다무라 요시토모 육군 소장 | 1944년 8월 11일 | 1944년 8월 22일 |
3 | 무기쿠라 도시사부로 육군 중장 | 1944년 8월 22일 | 1945년 9월 1일 |
- 오바타 히데요시 육군 중장은 1944년 2월 25일부터 1944년 8월 11일까지 재직하였으며, 괌에서 전사하였다.
- 무기쿠라 슌자부로 육군 중장은 1944년 8월 22일부터 사령관 대리로 재직하였다. 1945년 1월 20일부터 정식 사령관으로 1945년 8월 15일까지 재직하였다.
3. 2. 참모장
순서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비고 |
---|---|---|---|---|
1 | 이게타 게이지 소장 | 1944년 2월 25일 | 1944년 7월 6일 | 사이판에서 전사 |
2 | 다무라 요시토모 소장 | 1944년 7월 14일 | 1944년 8월 11일 | 괌에서 전사 |
3 | 1944년 8월 11일 | 결원 |
3. 3. 참모 부장
공평광무 소장은 1944년 6월 19일부터 7월 18일까지 제31군 참모 부장을 역임하다 사이판 섬에서 전사했다.3. 4. 최종 사령부 구성
- 사령관: 무기쿠라 순자부로 중장
- 고급 참모: 伊藤盛逸|이토 모리이즈일본어 대령
- 고급 부관: 鈴木次郎|스즈키 지로일본어 중령
- 경리 부장: 岡林直樹|오카바야시 나오키일본어 대령
- 군의관 부장: 大石一朗|오오이시 이치로일본어 대령
4. 최종 소속 부대
- 제52사단
- 독립 혼성 제9연대: 아모 우마하치(天羽馬八|아모 우마하치일본어) 대령(종전시 소장, 최종 위치: 파간섬)
- 독립 혼성 제10연대: 이마가와 요시오(今川芳男|이마가와 요시오일본어) 소령(최종 위치: 로타섬)
- 독립 혼성 제13연대: 치카모리시게하루(近森重治|지카모리 시게하루일본어) 대령(최종 위치: 웨이크섬)
- 남양 제1지대: 오오이시 치사토(大石千里|오이시 지사토일본어) 대령(최종 위치: 밀레섬)
- 남양 제2지대: 하라다 요시카즈(原田義和|하라다 요시카즈일본어) 소장(최종 위치: 쿠사이섬)
- 남양 제4지대: 히다마 사타케(飛田正武|히다마 사타케일본어) 대령(최종 위치: 노모이 제도)
4. 1. 남부 마리아나 부대
- 제29보병사단
- 제48독립보병여단
4. 2. 북부 마리아나 부대
- 제43보병사단
- 제47독립보병여단
4. 3. 트루크 수비 부대
- 제52보병사단
- 독립혼성 제50여단: 기타무라 쇼조 소장 (최종 위치: 메레용 섬)
- 독립혼성 제51여단: 이주인 가네노부 소장 (최종 위치: 트루크 제도)
- 독립혼성 제52여단: 와타나베 마사오 중장 (최종 위치: 폰페이섬)
- 독립혼성 제11연대: 나카무라 스케노 대좌 (최종 위치: 엔더비 섬)
4. 4. 기타 부대
- 남부 마리아나 부대
- * 제29보병사단
- * 제48독립보병여단
- 북부 마리아나 부대
- * 제43보병사단
- * 제47독립보병여단
- 트루크 수비 부대
- * 제52보병사단
- * 제50독립보병여단
- * 제51독립보병여단
- * 제52독립보병여단
- 독립혼성 제50여단: 기타무라 쇼조 소장 (최종 위치: 메레용 섬)
- 독립혼성 제51여단: 이주인 가네노부 소장 (최종 위치: 트루크 제도)
- 독립혼성 제52여단: 와타나베 마사오 중장 (최종 위치: 폰페이섬)
- 독립혼성 제9연대: 아마하 바하치 대좌 (종전 시 소장) (최종 위치: 파간 섬)
- 독립혼성 제10연대: 이마가와 요시오 소좌 (최종 위치: 로타섬)
- 독립혼성 제11연대: 나카무라 스케노 대좌 (최종 위치: 엔더비 섬)
- 독립혼성 제13연대: 치카모리 시게하루 대좌 (최종 위치: 웨이크 섬)
- 남양 제1지대: 오이시 센리 대좌 (최종 위치: 미레 섬)
- 남양 제2지대: 하라다 요시카즈 소장 (최종 위치: 쿠사이 섬)
- 남양 제4지대: 토비타 마사타케 대좌 (최종 위치: 모트록 섬)
4. 5. 공병, 선박 관련 부대
- 독립공병 제9연대: 가나자와 요시시게 중좌
- 선박공병 제16연대: 츠네카와 마사시 소좌
- 제58정박장사령부: 나카노 탄 중좌
- 제60정박장사령부: 사이토 하지메 대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