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의회는 2014년에 치러진 지방선거로, 12개의 지역구와 비례대표 선거를 통해 고양시의회 의원을 선출했다. 지역구 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과 새누리당이 주요 정당으로 경쟁했으며, 정의당 후보도 일부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각각 2석씩을 확보했다. 선거 결과, 고양시의회는 새정치민주연합 15석, 새누리당 14석, 정의당 2석으로 구성되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고양시의회는 총 12개의 지역구 선거구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각 선거구별로 2~3명의 시의원을 선출했다.
2.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관할 지역 선출 의원 수 고양시 가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신동, 흥도동, 고양동, 관산동, 화정2동 3 고양시 나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주교동, 성사1동, 성사2동, 화정1동 3 고양시 다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화전동, 대덕동 2 고양시 라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신1동, 행신3동 2 고양시 마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능곡동, 행주동, 행신2동 2 고양시 바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식사동, 중산동, 정발산동, 풍산동, 고봉동 3 고양시 사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1동, 백석2동, 마두2동 2 고양시 아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마두1동, 장항1동, 장항2동 2 고양시 자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1동, 탄현동 2 고양시 차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2동, 일산3동 2 고양시 카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주엽1동, 주엽2동 2 고양시 타선거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 송포동, 송산동 2
2. 1. 고양시 가선거구
고양시 가선거구는 덕양구 원신동, 흥도동, 고양동, 관산동, 화정2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3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
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고양시 가선거구 | 덕양구 원신동, 흥도동, 고양동, 관산동, 화정2동 | 3 |
2. 2. 고양시 나선거구
고양시 나선거구는 덕양구 주교동, 성사1동, 성사2동, 화정1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3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고양시 나선거구 | 덕양구 주교동, 성사1동, 성사2동, 화정1동 | 3 |
2. 3. 고양시 다선거구
고양시 다선거구는 덕양구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화전동, 대덕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2명의 고양시의회 의원을 선출한다.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고양시 다선거구 | 덕양구 효자동, 신도동, 창릉동, 화전동, 대덕동 | 2 |
2. 4. 고양시 라선거구
고양시 라선거구는 덕양구 행신1동, 행신3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2. 5. 고양시 마선거구
고양시 마선거구는 덕양구 능곡동, 행주동, 행신2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고양시 마선거구 | 덕양구 능곡동, 행주동, 행신2동 | 2 |
2. 6. 고양시 바선거구
고양시 바선거구는 일산동구 식사동, 중산동, 정발산동, 풍산동, 고봉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3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2. 7. 고양시 사선거구
고양시 사선거구는 일산동구 백석1동, 백석2동, 마두2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2. 8. 고양시 아선거구
고양시 아선거구는 일산동구 마두1동, 장항1동, 장항2동을 관할한다. 의원 정수는 2명이다.2. 9. 고양시 자선거구
고양시 자선거구는 일산서구 일산1동, 탄현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2. 10. 고양시 차선거구
고양시 차선거구는 일산서구 일산2동, 일산3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2. 11. 고양시 카선거구
고양시 카선거구는 일산서구 주엽1동, 주엽2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2. 12. 고양시 타선거구
고양시 타선거구는 일산서구 대화동, 송포동, 송산동을 관할 지역으로 하며, 2명의 시의원을 선출한다.선거구명 | 관할 지역 | 선출 의원 수 |
---|---|---|
고양시 타선거구 | 일산서구 대화동, 송포동, 송산동 | 2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의회 지역구 선거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각축을 벌였으며, 일부 지역구에서는 정의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3. 지역구 선거 결과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가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우영택 후보가 35.4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새정치민주연합 윤용석 후보가 25.16%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정의당 김혜련 후보는 16.41%를 얻어 당선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 한상환 후보는 12.70%, 새누리당 김길성 후보는 6.49%를 기록했다. 무소속 박종웅 후보는 2.50%, 무소속 조관형 후보는 1.29%를 얻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나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권순영 후보가 13,974표(32.64%)를 얻어 당선되었고, 새정치민주연합 장제환 후보가 9,757표(22.79%)를, 정의당 박시동 후보가 6,067표(14.17%)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새누리당 오영숙 후보는 5,894표(13.77%), 새정치민주연합 이선민 후보는 3,608표(8.42%), 무소속 김경태 후보는 1,738표(4.06%), 무소속 한명섭 후보는 1,013표(2.36%), 무소속 송재은 후보는 752표(1.75%)를 얻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다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고종국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유선종 후보가 당선되었다. 고종국 후보는 5,595표(41.90%)를 얻어 1위를 차지했고, 유선종 후보는 4,826표(36.14%)를 얻어 2위를 기록했다. 이 외에 새누리당 김영빈 후보는 2,379표(17.81%), 무소속 김훈래 후보는 552표(4.13%)를 얻었다.정당 득표수 득표율 새누리당 5,595 41.90% 새정치민주연합 4,826 36.14% 새누리당 2,379 17.81% 무소속 552 4.13% 합계 13,352 100%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라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강주내 후보와 새누리당 선재길 후보가 당선되었다. 강주내 후보는 15,899표(47.32%)를 득표하였고, 선재길 후보는 14,487표(43.12%)를 득표하였다. 무소속 최태봉 후보는 2,027표(6.03%), 무소속 심동철 후보는 1,179표(3.50%)를 얻어 낙선하였다.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새정치민주연합 강주내 15,899 47.32% 새누리당 선재길 14,487 43.12% 무소속 최태봉 2,027 6.03% 무소속 심동철 1,179 3.50% 합계 33,592 100%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마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이규열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원용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규열 후보는 15,118표(46.51%)를 얻었고, 원용희 후보는 13,781표(42.39%)를 얻었다. 통합진보당 전민선 후보는 3,605표(11.09%)를 얻어 낙선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바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김미현 후보, 새정치민주연합 김경희 후보, 새정치민주연합 이화우 후보가 당선되었다.정당 득표수 득표율 새누리당 21,554 34.28% 새정치민주연합 19,915 31.67% 새정치민주연합 7,743 12.31% 새누리당 6,854 10.90% 무소속 2,557 4.06% 정의당 1,995 3.17% 무소속 1,397 2.22% 무소속 858 1.36% 합계 62,873 100%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사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김필례 후보와 새누리당 김영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필례 후보는 13,358표(44.54%)를 얻었고, 김영식 후보는 12,958표(43.2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철 후보는 3,675표(12.25%)를 얻는데 그쳤다.정당 득표수 득표율 새정치민주연합 13,358 44.54% 새누리당 12,958 43.20% 무소속 3,675 12.25% 합계 29,991 100%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아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소영환 후보와 새누리당 이영휘 후보가 당선되었다.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새정치민주연합 소영환 10,998 44.84% 새누리당 이영휘 7,490 30.53% 새누리당 정홍원 4,247 17.31% 무소속 송기영 1,311 5.34% 무소속 박희경 480 1.95% 합계 24,526 100%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자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고은정 후보와 새누리당 김완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고은정 후보는 13,616표(43.35%)를 얻었으며, 김완규 후보는 13,378표(42.60%)를 득표하였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차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김운남 후보가 55.2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새누리당 이영훈 후보는 33.16%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이경술 후보는 11.63%를 득표했다.정당 득표수 득표율 새정치민주연합 14,846 55.20% 새누리당 8,920 33.16% 새누리당 3,128 11.63% 합계 26,894 100%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카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이윤승 후보와 새누리당 박상준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윤승 후보는 13,240표(45.52%)를 득표하였고, 박상준 후보는 11,811표(40.61%)를 득표하였다. 새누리당 김경희 후보는 2,220표(7.63%), 정의당 송유옥 후보는 1,809표(6.22%)를 얻어 낙선하였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타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이길용 후보가 19,945표(52.34%)를 얻어 당선되었고, 새누리당 임형성 후보는 17,554표(46.07%)를 얻어 당선되었다. 새정치당 유용남 후보는 603표(1.58%)를 얻는 데 그쳤다.
3. 1. 고양시 가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가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우영택 후보가 35.4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새정치민주연합 윤용석 후보가 25.16%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정의당 김혜련 후보는 16.41%를 얻어 당선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 한상환 후보는 12.70%, 새누리당 김길성 후보는 6.49%를 기록했다. 무소속 박종웅 후보는 2.50%, 무소속 조관형 후보는 1.29%를 얻었다.
3. 2. 고양시 나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나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권순영 후보가 13,974표(32.64%)를 얻어 당선되었고, 새정치민주연합 장제환 후보가 9,757표(22.79%)를, 정의당 박시동 후보가 6,067표(14.17%)를 얻어 당선되었다. 그 외에 새누리당 오영숙 후보는 5,894표(13.77%), 새정치민주연합 이선민 후보는 3,608표(8.42%), 무소속 김경태 후보는 1,738표(4.06%), 무소속 한명섭 후보는 1,013표(2.36%), 무소속 송재은 후보는 752표(1.75%)를 얻었다.
3. 3. 고양시 다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다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고종국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유선종 후보가 당선되었다. 고종국 후보는 5,595표(41.90%)를 얻어 1위를 차지했고, 유선종 후보는 4,826표(36.14%)를 얻어 2위를 기록했다. 이 외에 새누리당 김영빈 후보는 2,379표(17.81%), 무소속 김훈래 후보는 552표(4.13%)를 얻었다.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5,595 | 41.90% |
새정치민주연합 | 4,826 | 36.14% |
새누리당 | 2,379 | 17.81% |
무소속 | 552 | 4.13% |
합계 | 13,352 | 100% |
3. 4. 고양시 라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라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강주내 후보와 새누리당 선재길 후보가 당선되었다. 강주내 후보는 15,899표(47.32%)를 득표하였고, 선재길 후보는 14,487표(43.12%)를 득표하였다. 무소속 최태봉 후보는 2,027표(6.03%), 무소속 심동철 후보는 1,179표(3.50%)를 얻어 낙선하였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
새정치민주연합 | 강주내 | 15,899 | 47.32% | |
새누리당 | 선재길 | 14,487 | 43.12% | |
무소속 | 최태봉 | 2,027 | 6.03% | |
무소속 | 심동철 | 1,179 | 3.50% | |
합계 | 33,592 | 100% |
3. 5. 고양시 마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마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이규열 후보와 새정치민주연합 원용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규열 후보는 15,118표(46.51%)를 얻었고, 원용희 후보는 13,781표(42.39%)를 얻었다. 통합진보당 전민선 후보는 3,605표(11.09%)를 얻어 낙선했다.3. 6. 고양시 바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바선거구에서는 새누리당 김미현 후보, 새정치민주연합 김경희 후보, 새정치민주연합 이화우 후보가 당선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새누리당 | 21,554 | 34.28% |
새정치민주연합 | 19,915 | 31.67% |
새정치민주연합 | 7,743 | 12.31% |
새누리당 | 6,854 | 10.90% |
무소속 | 2,557 | 4.06% |
정의당 | 1,995 | 3.17% |
무소속 | 1,397 | 2.22% |
무소속 | 858 | 1.36% |
합계 | 62,873 | 100% |
3. 7. 고양시 사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사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김필례 후보와 새누리당 김영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필례 후보는 13,358표(44.54%)를 얻었고, 김영식 후보는 12,958표(43.20%)를 얻어 당선되었다. 무소속 정철 후보는 3,675표(12.25%)를 얻는데 그쳤다.```wikitable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새정치민주연합 | 13,358 | 44.54% |
새누리당 | 12,958 | 43.20% |
무소속 | 3,675 | 12.25% |
합계 | 29,991 | 100% |
3. 8. 고양시 아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아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소영환 후보와 새누리당 이영휘 후보가 당선되었다.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새정치민주연합 | 소영환 | 10,998 | 44.84% |
새누리당 | 이영휘 | 7,490 | 30.53% |
새누리당 | 정홍원 | 4,247 | 17.31% |
무소속 | 송기영 | 1,311 | 5.34% |
무소속 | 박희경 | 480 | 1.95% |
합계 | 24,526 | 100% |
3. 9. 고양시 자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자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고은정 후보와 새누리당 김완규 후보가 당선되었다. 고은정 후보는 13,616표(43.35%)를 얻었으며, 김완규 후보는 13,378표(42.60%)를 득표하였다.3. 10. 고양시 차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차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김운남 후보가 55.2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며, 새누리당 이영훈 후보는 33.16%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새누리당 이경술 후보는 11.63%를 득표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새정치민주연합 | 14,846 | 55.20% |
새누리당 | 8,920 | 33.16% |
새누리당 | 3,128 | 11.63% |
합계 | 26,894 | 100% |
3. 11. 고양시 카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카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이윤승 후보와 새누리당 박상준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윤승 후보는 13,240표(45.52%)를 득표하였고, 박상준 후보는 11,811표(40.61%)를 득표하였다. 새누리당 김경희 후보는 2,220표(7.63%), 정의당 송유옥 후보는 1,809표(6.22%)를 얻어 낙선하였다.3. 12. 고양시 타선거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고양시 타선거구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이길용 후보가 19,945표(52.34%)를 얻어 당선되었고, 새누리당 임형성 후보는 17,554표(46.07%)를 얻어 당선되었다. 새정치당 유용남 후보는 603표(1.58%)를 얻는 데 그쳤다.4. 비례대표 선거 결과
4. 1. 정당 투표 결과
새누리당은 191,856표를 얻어 45.75%의 득표율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으며, 새정치민주연합은 185,310표(44.19%)로 그 뒤를 이었다. 정의당은 28,752표(6.85%)를 얻었으나 비례대표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통합진보당은 13,381표(3.19%)를 득표했다.
4. 2. 비례대표 당선자
# | width="100" bgcolor="" | | width="100" bgcolor="" | |
---|---|---|
1 | 고부미 | 조현숙 |
2 | 김홍두 | 김효금 |
5. 전체 결과
wikitext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 고양시의회는 새정치민주연합 15석, 새누리당 14석, 정의당 2석으로 구성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지역구와 비례대표에서 고르게 의석을 확보하며 고양시의회에서 다수당 지위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진보 진영에 대한 시민들의 지지를 보여주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새누리당은 지역구에서는 선전했지만, 비례대표에서 새정치민주연합에 밀려 전체 의석수에서 뒤처졌다.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새정치민주연합 | 13 | 2 | 15 |
새누리당 | 12 | 2 | 14 |
정의당 | 2 | 0 | 2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