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의당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의당은 2013년 창당된 대한민국의 정당으로, 사회민주주의를 지향하며 진보적 가치를 추구한다. 2012년 통합진보당 분당 이후 진보정의당으로 출발하여 당명 변경 및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쳤다. 2017년 심상정 후보가 대선에 출마하여 6.2%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2018년에는 민주평화당과 교섭단체를 구성했으나 노회찬 의원의 사망으로 해산되었다. 2022년 대선에서 심상정 후보가 2.37% 득표, 2024년 총선에서 녹색당과 선거 연대를 했으나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당내에서는 다양한 이념적 분파가 존재하며, 사회민주주의와 진보적 가치를 바탕으로 경제 민주화, 복지 국가 건설, 환경 보호, 소수자 인권 보호 등을 주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의당 (대한민국)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은 2018년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이 대한민국 국회에서 원내교섭단체 구성을 위해 결성한 연합체였으나, 노회찬 의원의 사망으로 의원 수가 20명 미만이 되어 해산되었다.
  • 정의당 (대한민국) - 녹색정의당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 원내정당 - 통합진보당
    통합진보당은 2011년 여러 정당의 통합으로 결성되어 2012년 총선에서 제3당으로 도약했으나, 부정, 분열, 내란음모 혐의 등의 논란 끝에 2014년 헌법재판소의 해산 결정으로 대한민국 헌정 사상 최초로 해산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 원내정당 -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은 2017년 당명 변경 이후 2020년 미래통합당으로 합당하며 소멸한 대한민국의 보수 정당으로, 자유무역과 미국, 일본과의 협력을 중시하며, 4대강 사업 추진 등의 행보를 보였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 원내정당 - 개혁신당
    개혁신당은 2023년 이준석 전 대표의 창당 선언으로 시작되어 2024년 4월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내 진입에 성공했으며, 중도적 이념 스펙트럼을 가진 인사들이 공존하며 다양한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운다.
  •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 원내정당 - 조국혁신당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주도하여 창당된 조국혁신당은 검찰 독재 저지를 목표로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전략을 통해 12석을 확보, 원내 제3당이 되었으며 윤석열 탄핵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자유주의적 진보 성향을 표방하며 경제적 진보주의, 정부 주도의 경제 개입, 북한과의 평화적 협력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조국 대표의 유죄 판결 확정 이후 김선민이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고 있다.
정의당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정의당 로고
당명정의당
로마자 표기Jeonguidang
한자 표기正義黨
창립일2012년 10월 21일
해산일2024년 4월 30일
슬로건노동의 희망, 시민의 꿈
당 색상노란색
과거:
}} 녹색
본부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70, 5층
청년 조직청년정의당
웹사이트정의당 공식 웹사이트
국제 연맹진보동맹 (옵서버)
아시아 지역 연맹아시아 사회민주주의 네트워크
당원 수 (2020년)53,080명
권리당원 수26,578명
주요 인물
대표권영국
부대표문정은
엄정애
정책위원회 의장김용신
사무총장나순자
비상대책위원장이은주
원내대표이은주
정책위의장장혜영
사무총장신언직
정치 성향
이념진보주의(대한민국)
자유주의(대한민국)
사회민주주의
정치적 위치중도좌파 ~ 좌파
의회 현황
국회 의석}}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회 의석}}
기초의회 의석}}
관련 정당
분당통합진보당(구 진보신당 및 국민참여당 계열)
합당노동정치연대
노동당 (일부)
국민회의 (일부)
전신진보정의당

2. 역사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사용된 정의당의 첫 번째 로고


2013년 7월 16일, 진보정의당은 제2차 당대회에서 정의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29] 2015년 11월 22일, 제4차 당대회에서 노동당 전 대표 나경채와 국민당 준비위원회 대표 김세균이 공동대표로 선출되었고, 심상정은 당 대표직을 유지했다.[30] 김세균은 2016년 9월 공동대표직에서 물러났다.

2016년 4월 총선에서 성산구 지역구에 노회찬이 당선되면서 정의당 의석수는 1석 증가했다. 비례대표 투표에서는 7.2%를 득표하여 총 6명의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2017년 대선에서 심상정은 당내 경선에서 승리하여 정의당 후보로 출마, 6.2%를 득표하며 1987년 민주화 이후 가장 성공적인 좌파 대선 후보가 되었다. 심상정 후보는 한국노총의 지지를 받아 노동[31] 및 사회 문제를 중심으로 선거운동을 펼쳤고, 토론 과정에서 동성결혼을 지지하는 유일한 후보였다.[32]

2017년 7월, 당대표 선거를 통해 이정미가 박원석을 누르고 신임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33]

2018년 3월 31일, 정의당은 민주평화당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이라는 교섭단체를 구성하기로 결정했고, 4월 2일에 공식 등록되었다. 당시 원내대표였던 노회찬이 국회 교섭단체 대표를 맡았다.[34] 그러나 2018년 7월 23일, 노회찬의 갑작스러운 서거로 교섭단체는 자동 해산되었고, 전국적으로 애도와 추모 물결이 이어졌다.[35] 이후 정의당은 2019년 4월 13일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를 누르고 노회찬의 창원 지역구 의석을 지켰다.

2019년 7월, 당대표 선거를 통해 심상정이 신임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36]

202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심상정 의원이 후보로 출마하여 2.37%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다. 202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에서 패배한 이후 의석수가 크게 감소하여 진보당보다 더 적은 의석을 확보했다.

국회에서 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 시 정의당은 찬성표를 던졌다. 이에 대해 정의당 내 '새로운 진보' 등 온건파는 검찰의 탄압을 간과한 것이라며 비판했다.[37]

2024년 1월, 정의당은 2024년 대한민국 총선을 앞두고 녹색당과 선거연대를 구성했다.[28] 이 선거연대는 "녹색당-정의당"이라는 이름으로 선거에 참여했으나,[28]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

2. 1. 창당 추진 (2012)

통합진보당 부정 경선 사건 이후, 심상정, 노회찬, 유시민 등은 '진보정치혁신모임'을 결성하여 통합진보당과 결별하고 신당 창당을 추진했다.[108] 2012년 9월 16일, '진보정치혁신모임'은 '새진보정당추진회의'를 결성하고, 노회찬 의원과 조준호통합진보당 공동대표를 공동대표로 선출하였다.

새진보정당추진회의는 2012년 10월 7일 창당발기인대회를 열어 당명을 '진보정의당'으로 결정하고, '진보정의당 창당준비위원회'를 결성했다.[147][148] 2012년 10월 21일 창당대회를 통해 심상정 의원을 대한민국 18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하였으나,[112] 심상정은 2012년 11월 26일 정권교체와 야권 단일화를 위해 대통령 후보직을 사퇴하였다.[149]

2. 2. 정의당으로 당명 변경 (2013)

2013년 7월 21일, '2013 진보정의당 혁신전당대회'에서 당명을 '진보정의당'에서 '정의당'으로 변경하고,[147][148] 천호선국민참여당 최고위원을 당 대표로 선출하였다.[121][122]

2014년 1월, 당 PI를 새로 정하면서 상징색을 분홍에서 노랑으로 변경하였다.[104]

2. 3. 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 (2014)

제6회 지방선거에서 정의당은 야권연대를 통해 광역자치단체장 1명(울산광역시)과 기초자치단체장 3명(인천광역시 남동구, 동구 및 과천시장)에 집중하는 '1+3 계획'을 세웠다. 노동당과도 후보를 중복시키지 않는 전략이었다.[150] 그러나 낮은 정당 인지도와 진보정당 표 분산, 인천 지역 구청장 선거에서의 접전 끝 패배 등으로 인해 기초자치단체장은 물론 시의원, 구의원 등을 뽑는 기초자치단체의원 선거에서도 초선은 한 명도 없이 11명만이 당선되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지방선거 직후 치러진 7.30 재보궐선거에서 정의당은 당의 지명도와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151] 김득중 후보가 출마한 평택 을을 제외한 수도권의 모든 선거구와 광주에 당대표인 천호선, 전 대표였던 노회찬을 비롯해 부대표인 문정은, 부대표 겸 당대변인이었던 이정미 등을 내세우며 새정치민주연합에 당대당 야권연대를 제안했다.[152]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이 이를 거부하면서 당대당 야권연대는 무산되었다.

이후 동작 을에서 기동민 후보가 노회찬 후보에게 후보직을 양보하고, 수원 병과 수원 정에 출마했던 천호선 후보와 이정미 후보가 사퇴하면서 부분적인 야권연대가 이루어졌다. 7.30 재보궐선거 결과 노회찬 후보가 나경원 후보에게 929표 차로 패배하고 광주나 김포 을 등에서도 유의미한 지지를 얻는 데 실패했지만, 당의 인지도가 크게 확산되면서 재보선 이후 4천여 명이 정의당에 가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 4. 진보결집과 통합 (2015)

2015년 10월 27일 정의당, 국민모임, 진보결집+, 노동정치연대 4단체는 진보결집에 합의하고 정의당의 이름으로 통합 당대회를 열기로 결정했다.[29]

2015년 11월 22일, 정의당 제4차 임시 당대회에서 진보결집+, 국민모임, 노동정치연대와의 통합을 결의했다. 이어진 통합 당대회에서 나경채 노동당 전 대표와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를 공동대표로, 이병렬 노동정치연대 집행위원을 부대표로 추가 선출했다.[30]

2. 5. 당명 변경 시도 (2016)

2016년 9월 27일 제3기 2차 임시 당대회에서 "민주사회당"이 새 당명으로 잠정 결정되었다.[153] 그러나 당원 투표 결과, 찬성 31%, 반대 69%로 당명 변경안이 부결되어 정의당이라는 당명을 계속 사용하게 되었다.[154]

당명 개정을 위해 진행된 1차 투표에서는 '민주사회당', '사회민주당', '정의당', '사회민주노동당', '평등사회당'이 후보로 올랐다.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당명득표수득표율비고
1민주사회당12238.9%결선투표 진출
2사회민주당7122.6%결선투표 진출
3정의당 (기존 당명 유지)6621%
4사회민주노동당288.9%
5평등사회당278.6%



1차 투표 결과, '민주사회당'과 '사회민주당'이 결선 투표에 진출하였다. 결선 투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당명득표수득표율비고
1민주사회당20166.6%당원 총투표 진출
2사회민주당10133.4%



결선 투표 결과, '민주사회당'으로의 당명 개정을 당원 총투표에 부치기로 결정되었다. 2016년 10월 6일부터 10월 11일까지 진행된 당원 총투표 결과, 찬성 30.79%, 반대 69.21%로 부결되어 '정의당'이라는 당명을 유지하게 되었다.[153]

2. 6. 19대 대선과 이후 (2017-2018)

19대 대선을 앞두고 당내 경선에서 심상정 후보가 정의당의 대선 후보로 결정되었다. 선거 결과 심상정 후보는 두 자릿수 득표에는 실패했으나, 역대 대선에 출마한 진보정당 후보들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토론 등에서 존재감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155]

2017년 7월 11일 당직 선거 개표 결과 이정미 후보가 박원석 후보를 누르고 새 대표로 당선되었다.[156] 2017년 11월에는 김종대 의원이 이국종 교수를 비판하는 글을 올리면서 정의당에 대한 비판이 쇄도했다.[157]

민주평화당과 함께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이라는 공동교섭단체를 결성했다. 이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에 이어 3위를 기록하였다. 정의당은 광역·기초단체장을 1명도 배출하지 못했지만, 광역의원 비례대표 선거의 정당득표율에서 8.97%를 얻었다.[158] 리얼미터 여론조사 결과 정의당의 지지율은 7주째 상승, 3주 연속 최고치를 경신하며 자유한국당의 지지율과 오차범위 내로 다가선 것으로 2018년 7월 12일 나타났다.[159]

그러나 노회찬 정의당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원 댓글 조작 사건에 연루되면서 주춤해졌다는 평가가 나왔다.[160] 2018년 7월 23일 노 의원의 사망 소식으로 인해 정의당은 충격에 빠졌다.[161] 그러면서 민주평화당과의 교섭단체도 해체되었다. 정의당은 "본질적 목적에 부합하지 않은 특검의 노회찬 표적수사에 유감의 뜻을 표한다"며 드루킹 특검을 비판하였다.[162]

노회찬 의원 사후, 정의당 입당과 후원금이 증가했다고 한다. 정의당은 고인 장례 중에 구체적인 수치를 확인·공개하지 않기로 하였다.[163]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정의당의 지지율은 15%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하였으며,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을 제치고 2위를 차지했다.[164] 한편 정의당은 국회 특수활동비 폐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노 전 원내대표 몫으로 나온 7월 특활비는 사용하지 않고 불용 처리했다.[165]

2. 7. 2018년 이후 ~ 현재

2021년, 김종철 대표가 장혜영 의원을 성추행한 사건으로 대표직에서 물러났다.[166]

2022년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심상정 의원이 정의당 후보로 출마했으나, 2.37%의 득표율로 낙선했다. 같은 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패배하여 광역의원 및 기초의원 수가 크게 줄었고, 기초의원 당선자 수는 8명으로 진보당(20석)보다 적었다.

이후 전당대회를 통해 이정미 전 대표가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166]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에서 정의당은 찬성표를 던졌다. 이에 대해 당내 온건파 그룹은 '새로운 진보' 등을 중심으로 검찰 탄압을 간과한 것이라며 비판했다.[167]

2024년 1월, 2024년 총선을 앞두고 녹색당과 선거연대를 구성하고,[28] '녹색정의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105] 그러나 총선에서 의석을 얻지 못하고 패배한 후, 다시 '정의당'으로 당명을 환원했다.[106]

3. 성향

정의당은 '한국형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며, 사회민주주의, 자유주의, 진보주의 등 다양한 이념적 분파가 존재한다. 좌우 척도에서는 중도좌파 계열 정당이라고 평가받으나, 한국의 정치 지형에서는 좌익 성향이라고 평가받기도 한다. 그러나 유럽 기준으로는 온건한 편이다.[145][146]

정의당은 재벌 중심 경제 개혁, 경제 민주화, 복지 국가 건설, 성소수자 권리 옹호 등 진보적 의제를 추진한다. 재정 건전성을 중시하고 복지 국가 건설을 위한 증세를 주장하며, 기본소득에는 반대하지만, 노동권 분야에서는 적극적이다.[51][52] 또한, 국가보안법 폐지를 주장한다.[53]

3. 1. 이념

정의당은 '한국형 사회민주주의'를 당의 이념으로 내세우고 있다. 당원 대상 조사에서도 사회민주주의가 47.1%로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144] 정의당은 여러 언론에서 "자유주의" 또는 "진보주의" 등으로 묘사되지만,[143][142] 한국 정치 지형에서는 좌익 성향으로 평가받기도 한다.[145][146] 그러나 유럽의 중도좌파 정당에 비해서는 온건한 입장을 취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145][146]

정의당은 공식적으로 사회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지지하며, 당의 상징은 '노동'과 '자유'의 첫 글자 'L'에서 유래했다.[46] 사회 보수주의를 거부하고 성소수자 권리 문제에 대해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며, 더불어민주당에 비해 '사회자유주의' 정당으로 여겨진다.[48]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분야내용
경제재벌 중심 경제 시스템 변화, 경제 민주화, 기본적인 공공요금에 대한 공공 소유, 협동조합을 포함한 사회 경제 확대, 노동권 강화, 복지 국가 건설, 증세를 통한 재정 확보[54]
환경지속 가능한 발전, 기후 정의, 동물 복지, 재생 에너지 개발, 원자력 에너지 반대[54][55]
사회모든 형태의 차별 철폐, 소수자 참여 확대, 직장 내 성평등, 여성의 낙태 선택권 보장, 혐오범죄 단속 법안, 다양한 가족 구조 인정,[54] 다문화주의, 반차별주의 지지
외교한반도 평화, 양측의 패권주의 거부, 미국중국 간의 갈등에 중립, 일본 자위대의 한반도 진입 반대,[60]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러시아에 대한 국제 제재 찬성, 우크라이나에 대한 살상 무기 지원 반대,[66][67] 북한 인권 문제 중시


4. 당내 분파

2024년 대한민국 총선 "녹색정의당" 로고


한겨레에 따르면 정의당 내에는 크게 '인천연대', '함께서울', '새진보', '변혁' 네 개의 계파가 존재한다.[71]

당의 주류는 심상정, 장혜영, 류호정민주당/사회민주주의가 아닌 "자유주의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개별 의견 그룹 특징은 명확하지 않다.[72] 이들은 대안적 자유주의자이지만, 자유주의 민주당을 상당히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과거 노회찬 또한 2018년 자살로 사망하기 전까지 정의당 주류에 속한 자유주의자였다.[73]

당 주류는 사회문화적으로 자유주의/진보 성향을 띠며, 민주당과 차별화된 정체성을 제시하지만 동시에 온건한 경제 정책을 지지한다. 당내 일부 노동 운동가들은 당 주류를 향해 "노동중심성 실종"이라고 비판한다. 이에 대해 당 주류는 사회문화적 자유주의/진보 가치가 노동 정치와 상반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표명한다.[74]

"전환"(전환|한국어)은 정의당 내의 좌파 정치 그룹이다. 2021년에 결성되었으며, 정의당 내 최대 좌파 조직이다. '균등사회네트워크', '노동정치연대', '민주사회주의자들', '모멘텀'이 통합되어 만들어졌다. 진보주의민주사회주의를 지지하며, 민주노동당 전 수석부대표 양경규와 정의당 전 부대표 김윤기 등이 멤버로 있다.[75]

전환은 총선을 앞두고 "숙제는 진보좌파 연대"라며 정의당과 녹색당 등 다른 좌파 정당과의 연대를 강조하고 있다.

5. 역대 지도부

김세균
나경채대표→상임대표
공동대표
공동대표2015년 7월 18일~2017년 7월 11일
2015년 11월 22일~2016년 9월 27일
2015년 11월 22일~2017년 7월 11일4이정미당대표2017년 7월 11일~2019년 7월 13일5심상정당대표2019년 7월 13일~2020년 10월 12일6김종철당대표2020년 10월 12일~2021년 1월 25일(임시)김윤기당대표권한대행2021년 1월 25일~2021년 1월 29일강은미비상대책위원장2021년 1월 30일~2021년 3월 24일7여영국당대표2021년 3월 24일~2022년 6월 2일(임시)이은주비상대책위원장2022년 6월 2일~2022년 10월 28일8이정미당대표2022년 10월 28일~2023년 11월 6일(임시)배진교당대표권한대행2023년 11월 6일~2023년 11월 15일김준우비상대책위원장2023년 11월 15일~2024년 5월 27일9권영국당대표2024년 5월 27일~



대수원내대표임기
1강동원2012년 10월 25일~2013년 5월 2일
2심상정2013년 6월 13일~2015년 6월 9일
3정진후2015년 6월 9일~2016년 5월 29일
4노회찬2016년 5월 30일~2018년 7월 23일
(임시)윤소하2018년 7월 23일~2018년 8월 21일
5윤소하2018년 8월 21일~2020년 5월 29일
6배진교2020년 5월 30일~2020년 9월 1일
7강은미2020년 9월 9일~2021년 5월 4일
8배진교2021년 5월 4일~2022년 5월 4일
9이은주2022년 5월 4일~2023년 5월 8일
10배진교2023년 5월 9일~2024년 2월 14일
(임시)심상정2024년 2월 20일~2024년 4월 11일
장혜영2024년 4월 11일~2024년 5월 29일



'''2012. 9. 16.~2012. 10. 7.'''


'''2012. 10. 21.~2013. 7. 21.'''
'''2013. 7. 21.~2015. 7. 18.'''
'''2015. 7. 18.~2017. 7. 11'''
'''2017. 7. 11.~2019. 7. 13.'''
'''2019. 7. 13.~2020. 10. 12.'''
'''2020. 10. 12.~2021. 1. 25.'''
'''2021. 1. 25.~2021. 1. 30.'''
'''2021. 1. 30.~2021. 3. 24.'''
'''2021. 3. 24.~2022. 6. 2.'''
'''2022. 6. 2.~2022. 10. 28.'''
'''2022. 10. 28.~2023. 11. 6.'''
'''2023. 11. 15.~ 2024. 5'''
'''2024. 05. 28. ~ '''

순위기호이름온라인투표현장투표ARS투표합산비고
득표율득표율득표율
11노회찬2,762313863,179결선투표 진출
42.7%32%46.3%43%
23심상정1,985492782,312
30.7%50.5%33.4%31.2%
34조성주1,136101211,267rowspan=2 |
17.6%10.3%14.5%17.1%
42노항래588748643rowspan=2 |
9.1%7.2%5.8%8.7%
합계-



2015년 7월 6일부터 7월 11일까지 당직선거를 진행해 당 대표와 부대표 3명, 전국위원 28명, 당 대의원 295명을 선출했다. 선거 과정 중 조성주 정치발전소 공동대표의 출마선언이 화제가 되며 돌풍을 일으켰으나 양강의 벽을 넘지 못하고 결국 노회찬 전 대표와 심상정 전 원내대표가 결선투표에 진출했다.

순위기호이름온라인투표현장투표ARS투표합산비고
득표율득표율득표율
12심상정3,014425953,651당 대표
53.2%79.2%47.9%52.5%
21노회찬2,651116463,308rowspan=2 |
46.8%20.8%52.1%47.5%
합계-



이후 7월 13일부터 7월 18일까지 결선투표를 진행한 결과, 심상정 후보가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순위이름온라인 투표현장 투표ARS 투표총 득표비고
득표율득표율득표율득표율
1이정미5,658691,4457,172당 대표
55.7%66.3%57.2%56.05%
2박원석4,508351,0815,624rowspan=2 |
44.3%33.7%42.8%43.95%
합계



2017년 정의당은 7월 6일부터 7월 11일까지 제4기 동시당직선거를 진행해 당 대표로는 이정미 부대표가 선출되었다.

득표순위이름득표수득표율비고
1심상정16,17783.6%당 대표
2양경규3,17816.4%
총투표수19,505



2019년 정의당은 7월 8일부터 7월 13일까지 당직선거를 진행해 당 대표로는 심상정 전 대표가 선출되었다.

2020년 4월 15일 대한민국 제21대 총선에서 정의당은 6석을 차지했다.

8월 13일, 정의당 혁신위는 대표단회의 집단지도체제로 전환, 청년정의당 설치, 강령 개정, 당원입법청원 등 혁신안을 확정해 당대회에 제출하였다.

8월 30일, 최종표결 결과 정의당 당대회는 대표 단일지도체제를 대표, 원내대표, 부대표 5인, 청년정의당 대표 등으로 구성된 대표단회의 단일지도체제로 전환하고, 당내당인 청년정의당과 당무감사위원회를 설치하는 등을 골자로 당헌당규안 등 혁신위가 제출한 혁신안을 모두 통과시키고, 9월 내에 중앙당직에 한해 조기 당직선거를 실시할 것을 의결한 뒤, 당의 비전에 대한 특별결의문을 채택하였다.

9차 당대회 결정에 따라 정의당은 9월 23일부터 9월 27일까지 6기 동시당직선거를 실시하였다.

당 대표 후보로는 노회찬 원내대표 비서실장을 지낸 김종철 대변인, 인천 동구청장을 지낸 배진교 원내대표, 땅콩회항 사건으로 유명한 대한항공 사무장 출신의 박창진 갑질근절특별위원장, 대한민국 제7회 지방 선거 당시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했던 김종민 부대표가 출마했다.

순위이름ARS투표온라인투표합산비고
1김종철5923,4144,006결선투표 진출
22.8%30.7%29.79%
2배진교4933,2303,723결선투표 진출
19.0%29.0%27.7%
3박창진7632,1772,940rowspan=2 |
29.4%19.5%21.9%
4김종민5752,2052,780rowspan=2 |
22.2%19.8%20.7%
합계



당직선거 결과 부대표로는 김윤기, 김응호, 배복주, 박인숙, 송치용 후보가 선출되었고, 청년정의당 창당준비위원장으로는 강민진 대변인이 선출되었다.

당대표 선거에서는 김종철 대변인과 배진교 원내대표가 결선투표에 진출하였다. 이후 10월 3일, 박창진 후보가 현실성을 내세우며 배진교 후보 지지를 선언했고, 다음날인 10월 4일에는 김종민 후보가 선명성을 내세우며 김종철 후보 지지를 선언했다.

순위이름온라인투표ARS투표합산비고
1김종철1,9905,3997,389당 대표
59.0%54.4%55.6%
2배진교1,3834,5255,908rowspan=2 |
41.0%45.6%44.4%
합계



이후 10월 5일부터 10월 9일까지 결선투표를 진행한 결과, 김종철 대변인이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2021년 1월 25일 김종철 대표의 장혜영 의원 성추행 사건으로 김종철 대표가 직위해제되자 보궐선거가 확정되었다. 보궐선거 후보로는 여영국 전 의원이 독자출마하였으며, 투표는 3월 18일부터 3월 21일까지 실시되었으며 3월 23일에 당선자를 발표하였다.

이름ARS투표온라인투표합산비고
찬성반대찬성반대찬성반대
여영국3,5072626,1284869,635748당 대표
총 투표수10,766총 투표율46.17%
득표율92.80%무효383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연달아 역대 최저득표율을 기록하자, 6기 지도부는 총사퇴하고 이은주 원내대표를 위원장으로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되었다.

8월 31일부터 9월 4일까지 진행된 총투표 결과, 찬성 40.75%, 반대 59.25%로 부결되었다.

대선 및 지방선거 참패로 비대위가 구성되고 당대회에서 재창당을 결의한 상황에서, 정의당의 방향성을 두고 다양한 후보들이 출마했으나 국정감사로 인해 주목도는 크게 떨어졌다.

당 대표 후보로는 이정미 전 대표, 김윤기 전 부대표, 조성주 정책위 부의장, 정호진 전 수석대변인, 이동영 수석대변인 등이 출마했다.

순위이름ARS투표온라인투표합산비고
1이정미1,2453,5284,773결선투표 진출
58.3%46.5%49.91%
2김윤기2091,4801,689결선투표 진출
9.8%19.5%17.66%
3조성주2329241,127rowspan=2 |
10.9%12.2%12.09%
4정호진2298981,127rowspan=2 |
10.7%11.8%11.78%
5이동영132687819rowspan=2 |
6.2%9.1%8.56%
합계



10월 14일부터 10월 19일까지 진행된 당직선거 결과, 당대표 선거에서는 이정미 전 대표가 과반에 9표 모자른 1위로 김윤기 전 부대표와 함께 결선투표에 진출하게 되었다.

순위이름ARS투표온라인투표합산비고
1이정미2,0413,3855,426당 대표
66.4%61.2%63.05%
2김윤기1,0312,1493,180rowspan=2 |
33.6%38.8%36.95%
합계



이후 10월 23일부터 10월 28일까지 결선투표를 진행한 결과, 이정미 전 대표가 당 대표로 선출되었다.

6. 역대 당대회

대수당대회
12012년 10월 21일, 창당대회. 노회찬진보신당 대표와 조준호 전 민주노총 위원장을 공동대표로 선출. 심상정 전 진보신당 상임대표를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
22013년 6월 16일, 7가지 대국민 약속 채택. 최고위 제도를 대표단 체제로 변경하고 당명 변경 결의.
32013년 7월 21일, 혁신 전당대회. 당명을 정의당으로 개정. 천호선국민참여당 최고위원을 당 대표로 선출.
42015년 3월 22일, 현실주의 진보정치, 민주주의 진보정치, 민생우선 진보정치를 표방한 신강령 채택.
-2015년 7월 6일 ~ 7월 11일 당직선거. 노회찬 전 대표와 심상정 전 원내대표가 결선투표 진출, 7월 13일 ~ 7월 18일 결선투표 결과 심상정 후보 당선.
52015년 11월 22일, 제4차 임시 당대회. 진보결집+, 국민모임, 노동정치연대와의 통합 결의. 나경채 노동당 전 대표와 김세균 국민모임 공동대표를 공동대표로, 이병렬 노동정치연대 집행위원을 부대표로 추가 선출.
62016년 9월 25일, 제5차 임시 당대회. 당명 개정 투표 진행, 민주사회당사회민주당 결선투표 진출.
-2016년 10월 6일 ~ 10월 11일, 민주사회당으로의 당명 개정 당원총투표 실시, 부결.
-2017년 7월 6일 ~ 7월 11일, 제4기 동시당직선거. 이정미 부대표 당선.
72017년 10월 21일, 창당 5주년 기념 정기 당대회.
-2019년 7월 8일 ~ 7월 13일 당직선거. 심상정 전 대표 당선.
(임시)2019년 12월 27일, 전자회의로 임시 당대회 진행, 정기 당대회 2020년 2월 9일로 연기 의결.
(임시)2020년 1월 31일, 전자회의로 임시 당대회 진행, 코로나19로 인해 정기 당대회 총선 이후로 연기 의결.
82020년 8월 23일 ~ 8월 30일, 온라인으로 9차 정기 당대회 진행. 대표단회의 단일지도체제 전환, 청년정의당 및 당무감사위원회 설치 등 혁신안 통과.
-2020년 9월 23일 ~ 9월 27일, 6기 동시당직선거. 김종철 대변인과 배진교 원내대표 결선투표 진출, 10월 5일 ~ 10월 9일 결선투표 결과 김종철 대변인 당선.
-2021년 3월 18일 ~ 3월 21일, 김종철 대표의 장혜영 의원 성추행 사건으로 보궐선거. 여영국 전 의원 당선.
92021년 12월 19일, 정기 당대회. 대선 강령 및 대선 승리 특별결의문 채택.
-2022년 8월 31일 ~ 9월 4일, "비례대표 국회의원 총사퇴 권고" 당원총투표 발의, 부결.
102022년 9월 17일, 제11차 정기 당대회. 창당 10년 평가서 승인, 당헌 개정, 재창당 결의.
-2022년 10월 14일 ~ 10월 19일 당직선거. 이정미 전 대표와 김윤기 전 부대표 결선투표 진출, 10월 23일 ~ 10월 28일 결선투표 결과 이정미 전 대표 당선.


7. 주요 선거 결과

정의당은 주요 선거에서 다양한 결과를 얻었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1+3 계획'을 세워 울산광역시 광역자치단체장 1명과 인천광역시 남동구, 동구, 과천시 기초자치단체장 3명 당선을 목표로 했다. 노동당과 후보를 중복시키지 않는 전략을 펼쳤으나,[150] 낮은 인지도와 진보 표 분산으로 인해 기초자치단체 의원 11명 당선에 그쳤다.

2014년 7.30 재보선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에 야권연대를 제안했으나 거부당했다.[152] 동작구 을에서 기동민 후보가 노회찬 후보에게 양보하고, 수원시에서 정의당 후보들이 사퇴하면서 부분적인 야권연대가 이루어졌다. 노회찬 후보는 나경원 후보에게 패배했지만, 당 인지도가 확산되어 4천여 명이 당에 가입하는 성과를 얻었다.

2021년 재보선에서는 김종철 대표의 장혜영 의원 성추행 사건으로 인해 김종철 대표가 직위 해제되는 사건이 있었다.

2022년 대선에서 심상정 후보는 2.37%의 득표율로 낙선했다. 같은 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광역의원과 기초의원 수가 모두 감소했고, 기초의원 8명 당선에 그쳐 진보당보다 낮은 성적을 기록했다. 이후 전당대회에서 이정미 전 대표가 대표로 선출되었다.[166]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체포동의안에 찬성 표결을 한 것에 대해 당내 온건파 그룹은 반발하였다.[167]

2024년 총선을 앞두고 녹색당과 연합하여 '''녹색정의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으나, 총선 결과 모든 후보가 당선에 실패하여 원외 정당이 되었다. 이후 당명을 다시 정의당으로 환원하였다.

7. 1. 대통령 선거

19대 대선을 앞두고 당내 경선에서 심상정 후보가 정의당의 대선 후보로 결정되었다. 선거 결과 심상정 후보는 두 자릿수 득표에는 실패했으나, 역대 대선에 출마한 진보정당 후보들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토론 등에서 존재감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155]

년도월일후보자명득표수 (득표율)당락
2017년5월 9일제19대 대통령 선거심상정2,017,458 (6.17%)낙선 (5위)
2022년3월 9일제20대 대통령 선거심상정803,358 (2.37%)낙선 (3위)


7. 2. 국회의원 선거

선거대표지역구비례대표의석 수위치상황
득표수%득표수%
2016년심상정395,3571.651,719,8917.246석4위야당
2020년심상정492,1001.712,697,9569.676석3위야당
2024년김준우, 김찬휘107,0290.37609,3132.150석원외 정당국회 밖



2016년 4월 제20대 총선에서는 지역구에서 노회찬(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선거구)과 심상정(경기도 고양시갑 선거구(덕양구 일부와 일산동구 일부)) 2명이 당선되었고, 비례대표에서는 4명이 당선되어 총 6석을 얻었다.[134]

2020년 실시 제21대 총선에서 6석을 획득하여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미래한국당·정의당에 이어 제5당이 되었다. 이후 미래한국당, 시대전환의 해산으로 국회 제3당이 되었다.

2024년 2월 3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녹색당과 연합하여 '''녹색정의당'''으로 당명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총선 결과 모든 후보가 당선에 실패하여 원외 정당이 되었으며, 이후 당명을 다시 정의당으로 환원하였다.

7. 3. 지방선거

정의당은 창당된 지 2년이 채 되지 않은 상황에서 지방선거를 맞았다. 야권연대를 통해 광역자치단체장 1명(울산광역시)과 기초자치단체장 3명(인천광역시 남동구, 동구 및 과천시)에 집중하고, 노동당과도 후보를 중복시키지 않는 전략을 세웠다.[150] 그러나 낮은 정당 인지도, 진보정당 표 분산, 인천 지역 구청장 선거 패배 등으로 인해 기초자치단체장은 물론 시의원, 구의원 등을 뽑는 기초자치단체의원 선거에서도 초선 없이 11명만이 당선되었다.

6.4 지방선거 직후에 있던 7.30 재보선에 총력을 기울였다.[151] 김득중 후보가 출마한 평택시 을을 제외한 수도권 모든 선거구와 광주에 당대표 천호선, 전 대표 노회찬을 비롯해 이정미 등을 내세우며 새정치민주연합에 당대당 야권연대를 제안했다.[152] 새정치연합이 거부하여 무산되었으나, 동작구 을에서 기동민 후보가 노회찬에게 양보하고, 수원시 병수원시 정에 출마했던 정의당 천호선 후보와 이정미 후보가 사퇴하면서 부분적인 야권연대가 이루어졌다. 노회찬이 나경원에게 929표 차로 패배하고 광주, 김포시 을 등에서도 의미있는 지지를 얻지 못했지만, 당 인지도가 확산되면서 재보선 이후 4천여 명이 정의당에 가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광역의원과 기초의원 수가 모두 감소하였다. 기초의원 8명만 당선되어 20석을 당선시킨 진보당보다 낮은 성적을 받았다.

지방 선거
선거년월일광역 단체장기초 단체장광역 의회기초 의회
합계지역구비례대표득표율
(비례대표)
합계지역구비례대표
제6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2014년6월 4일000003.60%11101
제7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2018년6월 13일00111108.97%26179
제8회 전국 동시 지방 선거2022년002024.52%871


8. 논란과 비판

정의당은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왔다.

클로저스 성우 교체 논란 당시 정의당 문화예술위원회가 김자연 성우를 옹호하는 논평을 내면서 메갈리아 옹호 논란이 일었다.[171] 이로 인해 누리꾼들의 비판과 탈당 선언이 이어졌고, 정의당은 논평을 철회했으나 당내 혼란은 가중되었다.[172]

19대 대선 기간에는 '노동이 당당한 나라'라는 슬로건과 달리 당내 노동자들이 차별적인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73] 정의당은 포괄임금제 의혹을 부인하고, 중앙당과 광역시도당 간 임금격차에 대해 해명했다.[173]

2018년에는 공식 소개 영상이 일본 애니메이션 《크로스로드》를 표절했다는 논란이 일었다.[136] 정의당은 영상을 삭제하고 공식 사과하며 저작권 침해 사실을 인정했다.[137][174]

또한, 공식 트위터에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협상 관련 부적절한 표현을 사용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175]

8. 1. 메갈리아와의 연관성 논란

클로저스 성우 교체 논란에 대해 정의당 문화예술위원회는 "개인의 정치적 의견은 그 개인의 직업 활동을 제약하는 근거가 될 수 없으며 그것을 이유로 직업활동에서 배제되는 것은 부당하다"라며 넥슨을 비판하고 김자연 성우를 옹호하는 논평을 냈다. 이로 인해 논란이 촉발되었다. 누리꾼들은 정의당이 메갈리아를 옹호한다고 비판하였고, 당 홈페이지 게시판에는 탈당하겠다는 글이 연이어 올라왔다.[171] 이후 정의당은 사태를 수습하고자 5일 만에 논평을 철회했으나, 이는 오히려 당내 혼란을 부추겼다. 한창민 정의당 대변인은 "2008년 당을 두 동강 냈던 친북, 종북 논란 후 이런 사태는 처음인 것 같다"라며 "실제로 평소보다 많은 탈당계가 접수되고 있다"고 우려하기도 하였다.[172]

8. 2. 당내 열정페이 의혹

19대 대선 때 '노동이 당당한 나라'라는 슬로건을 걸었던 정의당에서 정작 내부 노동자들은 차별적인 대우를 받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2016년 3월 이병진 정의당 노동조합 초대위원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정의당 서울시당과 경기도당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도당 당직자들은 중앙당 급여의 60~90%에 해당하는 급여를 받고 있다. 4대 보험과 상여금 등의 혜택도 없다"며 "당 내부의 노동차별을 없애야 할 때다"고 지적하였고, "대체휴무제를 명문화해야 하고, 상황에 따라 고용된 반상근 또는 계약직 당직자라도 고용형태의 변경을 요구하면서 눈치보지 않아야한다"고 언급해 논란이 촉발됐다.[173] 특히 심상정 후보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를 향해 비판했던 '포괄임금제'를 정의당 내부에서 적용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불거졌다.[173]

이에 대해 정의당은 "당의 취업규칙(2016.06.10.)에 따르면 정의당은 시간외 근로수당 등 각종 수당을 합한 포괄임금제 방식이 아닌, 호봉에 따른 기본급여 외에 직급수당, 상여금과 복리후생 성격의 수당 등이 구성된 임금체계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포괄임금제 의혹을 부인했다. 또한 중앙당과 광역시도당 간 임금격차에 대해 "(해당 시도당 위원장이) 독립적 인사권한을 행사하고 있고 보수체계도 지역별로 다르다"고 해명했다.[173]

8. 3. 일본 애니메이션 표절 논란

2018년 8월 27일, 정의당은 공식 소개 영상을 유튜브(YouTube)에 게시했다. 그러나 이 영상이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의 Z회 CF용 애니메이션 《크로스로드》를 표절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누리꾼들은 영상 속 장면들이 《크로스로드》와 매우 유사하며, 트레이싱 기법으로 제작되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136]

이에 정의당은 8월 29일 해당 영상을 삭제하고,[136] 8월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공식 사과했다. 정의당은 "창작자인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권익을 침해하고 그분의 작품을 사랑하는 많은 팬 분들에게 심려를 끼치게 된 점에 대해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라고 밝혔다. 또한 "홍보팀 담당자가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열렬한 팬이었던 탓에 무단으로 트레이싱을 했지만, 해당 영상의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하고 배포해버린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라며 저작권 침해 사실을 인정했다.[137] 정의당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개인과 집단이 자신의 창작물에 대해 가지는 권리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깨닫고, 창작자의 권리 보전과 권익 향상을 위해 더욱더 노력하겠다"라고 덧붙였다.[174]

8. 4. 공식 트위터 부적절 표현 논란

정의당은 공식 트위터에 2020년도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을 결정하는 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과 관련하여 "한국은 미국의 패권을 위해 돈 대주고 '몸 대주는' 속국이 아니다."라고 표현해 논란이 일었다.[175]

참조

[1] 웹사이트 주호영 "野, 무책임한 선심성 정책 남발…정의당도 포퓰리즘 비판" https://www.newsis.c[...] 2022-09-22
[2] 웹사이트 '노란봉투법'에 진보정당 명운 건 정의당…"'옐로 윈터' 만들겠다" https://www.hani.co.[...] 2022-09-15
[3] 웹사이트 About https://socdemasia.c[...]
[4] 웹사이트 List of Participants - Denpasar Seminar, 19-20 September 2016 - Progressive Alliance http://progressive-a[...] 2016-09-22
[5] 웹사이트 List of Participants - Conference in Ulaanbaatar, 25–26 May 2017 - Progressive Alliance http://progressive-a[...] 2017-05-18
[6] 웹사이트 자료공간 | 선거/법규/정당 | 자료공간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https://www.nec.go.k[...] 2023-04-20
[7] 뉴스 결국 두 쪽으로 갈라서는 진보당… 新당권파 "신당 창당할 것" https://www.chosun.c[...] 2021-01-08
[8] 뉴스 통합진보당 탈당 러시 시작, 노회찬 심상정 유시민 내일 탈당 http://www.redian.or[...] 2021-01-08
[9] 뉴스 Minor opposition party picks Rep. Shim Sang-jung as new chief https://en.yna.co.kr[...] 2020-03-11
[10] 뉴스 KOREA'S 'INCEL PRESIDENT' IS FAR FROM ALONE https://melmagazine.[...] 2022-01-08
[11] 뉴스 The 'frightened dog' and the 'rocket man': Trump-Kim war of words causes rising tensions http://www.cbc.ca/ne[...] CBC 2018-01-27
[12] 뉴스 The substance of a Korean Green New Deal is still being defined https://www.eco-busi[...] 2020-07-09
[13] 웹사이트 The political framework of South korea https://www.nordeatr[...] Nordea 2019
[14]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6-2017 https://books.google[...] CQ Press 2017-04-25
[15] 웹사이트 South Korea: Economic and Political Overview https://www.nordeatr[...] Nordea 2018-01-27
[16] 뉴스 A South Korean lawmaker has come under fire for her outfit. Her offense? She wore a dress https://edition.cnn.[...] 2020-08-07
[17] 뉴스 S Korea presidential poll: Choosing the lesser of two evils https://www.aljazeer[...] 2022-12-22
[18] 뉴스 South Korea's populist turn https://www.eastasia[...] 2022-03-07
[19] 뉴스 Why South Koreans kill themselves https://asiatimes.co[...] 2022-03-10
[20] 뉴스 This South Korean Pastor 'Blessed' a Queer Festival. He's Now Being Investigated. https://www.vice.com[...] 2021-11-09
[21] 뉴스 [Election 2022] Lee narrows gap with Yoon in poll https://www.koreaher[...] 2022-03-10
[22] 뉴스 Ahn is by far the richest presidential candidate https://www.koreatim[...] 2022-03-10
[23] 서적 Shrimp to Whale: South Korea from the Forgotten War to K-Pop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24] 뉴스 Hanwha Total's chemical leak affects 650 people in South Korea https://www.straitst[...] 2019-05-21
[25] 뉴스 [INTERVIEW] 'I will end the era of super-presidents:' Sim Sang-jung https://www.koreatim[...] 2022-03-13
[26] 뉴스 Lee, Sim express disapproval of 2015 comfort women deal: group https://www.koreaher[...] 2022-03-13
[27] 웹사이트 "불평등에 맞서지 않았던 정의당, 의석 늘리려는 욕심쟁이 당으로 비쳐" https://www.hani.co.[...] 2022-08-27
[28] 웹사이트 정의당, '녹색정의당' 당명 개정 추진···총선 독자노선 https://m.khan.co.kr[...] 2024-03-19
[29] 웹사이트 제2차 당대회(혁신당대회) 회의자료 및 결과 http://www.justice21[...]
[30] 뉴스 진보 4개 정당·단체 통합 '정의당' 출범 http://news.khan.co.[...] 2016-04-16
[31] 웹사이트 심상정, '개혁ㆍ노동 대통령' 강조 http://news.naver.co[...] 해럴드경제 2017-09-15
[32] 웹사이트 심상정이 꼽은 기억에 남는 순간 'TV토론 성소수자 1분 찬스 발언' http://news.naver.co[...] Kyunghyang Shinmun 2017-09-15
[33] 웹사이트 이정미 정의당 당대표 당선... '포스트 노-심 시대' 시작 http://news.naver.co[...] OhmyNews 2017-09-15
[34] 웹사이트 정의당, 오늘 사상 첫 국회교섭단체 된다…전국위 최종 승인 http://news.naver.co[...] Naver 2018-03-31
[35] 웹사이트 "회찬이형! 잘 가시오!" 노회찬 가는 길 끝까지 함께한 2천여 시민들 http://www.ohmynews.[...] OhmyNews 2019-04-19
[36] 뉴스 http://www.ohmynews.[...] 2019-07-13
[37] 웹사이트 https://m.khan.co.kr[...] 2023-03-04
[38] 웹사이트 [알고보니] 한국은 어쩌다 '갈등공화국'이 되었나 (인터뷰) https://imnews.imbc.[...] 2022-03-20
[39] 뉴스 Justice Party candidate accepts outcome, vows to work for change https://news.koreahe[...] 2022-03-10
[40] 뉴스 'Sexism exists': S.Korea feminist presidential candidate's lonely crusade https://www.france24[...] AFP 2022-03-08
[41] 뉴스 Political community shocked by Seoul mayor's death https://koreatimes.c[...] 2020-07-10
[42] 웹사이트 https://vop.co.kr/A0[...] 2022-02-24
[43] 논문 Changes in the Justice Party: Focus on Transition from Mass Party to Parliamentary Party https://www.kci.go.k[...]
[44] 서적 https://books.google[...] e지식의 날개 2018-07-20
[45] 웹사이트 "'진보' 타이틀도 버릴 수 있다" 조성주가 이준석을 부른 이유 https://www.ohmynews[...] 2023-05-02
[46] 웹사이트 https://www.justice2[...]
[47] 웹사이트 Moon to send orchids of congratulations to main opposition presidential candidate http://www.koreahera[...] 2021-11-11
[48] 웹사이트 https://www.labortod[...] 매일노동뉴스 2021-11-04
[49] 웹사이트 https://www.donga.co[...] The Dong-A Ilbo 2021-01-11
[50] 웹사이트 http://www.ohmynews.[...] OhmyNews 2021-03-02
[51] 뉴스 [인터뷰]정의당 이정미 "기본소득으론 국민 삶 문제 해결 안돼" https://newsis.com/v[...] 2021-10-02
[52] 뉴스 https://www.hani.co.[...] 2021-07-06
[53] 웹사이트 https://www.joongang[...] 2021-05-20
[54] 웹사이트 http://www.justice21[...] 2013-06-23
[55] 뉴스 'Sexism exists': S.Korea feminist presidential candidate's lonely crusade https://www.france24[...] AFP 2022-03-08
[56] 웹사이트 https://m.yna.co.kr/[...] 2022-03-01
[57] 웹사이트 https://m.hani.co.kr[...] 2020-06-10
[58] 웹사이트 https://m.seoul.co.k[...] 2019-11-19
[59] 뉴스 https://www.hankooki[...] 2023-01-02
[60] 웹사이트 https://www.nocutnew[...] 2019-07-11
[61] 웹사이트 미국 연방대법원에서 온 반가운 소식 (정의당 브리핑) http://janghyeyeong.[...]
[62] 웹사이트 EAI 동아시아연구원 https://www.eai.or.k[...]
[63] 웹사이트 https://m.khan.co.kr[...] 2022-02-13
[64] 웹사이트 https://www.pressian[...] 2022-10-27
[65] 웹사이트 https://www.hani.co.[...] 2021-10-29
[66] 웹사이트 尹 '우크라 무기 지원' 시사 파장…美 환영했지만 러시아는 반발 https://www.dnews.co[...] 2023-04-20
[67] 웹사이트 https://www.kukinews[...] 2023-04-20
[68] 뉴스 http://www.hani.co.k[...] 2020-09-28
[69] 뉴스 https://www.chosun.c[...] 2020-09-28
[70] 웹사이트 https://www.seoul.co[...] 2023-06-05
[71] 뉴스 https://h21.hani.co.[...] 한겨례 2022-06-17
[72] 뉴스 Political community shocked by Seoul mayor's death https://www.japantim[...] 2022-02-13
[73] 웹사이트 Iconic liberal lawmaker found dead amid bribery allegations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8-07-23
[74] 웹사이트 https://www.khan.co.[...] 2022-07-12
[75] 웹사이트 https://www.pressian[...] Pressian 2022-09-26
[76] 뉴스 http://www.redian.or[...]
[77] 뉴스 https://www.hani.co.[...] 한겨례 2015-11-03
[78] 뉴스 https://h21.hani.co.[...] 한겨례 2022-06-21
[79] 뉴스 https://m.hani.co.kr[...] 한겨례 2022-07-10
[80] 뉴스 https://www.facebook[...]
[81] 뉴스 https://m.khan.co.kr[...] Kyunghyang Shinmun 2023-03-04
[82] 웹사이트 https://www.hani.co.[...] 2023-07-06
[83] 뉴스 https://www.hani.co.[...] 한겨례 2020-09-27
[84] 웹사이트 Resigned due to sexually assaulting Jang Hye-yeong, a Justice Party member of Parliament. http://www.hani.co.k[...]
[85] 기타 Resigned
[86] 기타 As Leader of Emergency Response Committee, As Leader of Emergency Response Conference Until 30 January.
[87] 기타 As Interim Floor Leader Until 21 August.
[88] 웹사이트 2019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19年度政党の活動概況と会計報告) https://www.nec.go.k[...] 中央選挙管理委員会 2020-10
[89] 웹사이트 정의당 강령 http://www.justice21[...] 정의당 2013-06-23
[90] 뉴스 Why South Koreans kill themselves https://asiatimes.co[...] 2020-07-29
[91] 뉴스 This South Korean Pastor 'Blessed' a Queer Festival. He's Now Being Investigated. https://www.vice.com[...] 2020-10-02
[92] 뉴스 [Election 2022] Lee narrows gap with Yoon in poll https://www.koreaher[...] 2021-12-08
[93] 뉴스 Ahn is by far the richest presidential candidate https://www.koreatim[...] 2022-02-14
[94]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6-2017 https://books.google[...] CQ Press 2017-04-25
[95] 웹사이트 The 'frightened dog' and the 'rocket man': Trump-Kim war of words causes rising tensions http://www.cbc.ca/ne[...] CBC 2017-09-24
[96] 웹사이트 South Korea: Economic and Political Overview https://www.nordeatr[...] Nordea 2017
[97] 뉴스 Minor opposition party picks Rep. Shim Sang-jung as new chief https://en.yna.co.kr[...] 2015-07-18
[98] 뉴스 左派政党・正義党代表、同党女性議員へのセクシャルハラスメントで解任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1-10-18
[99] 뉴스 韓国左派政党、「君の名は。」新海誠監督の映像を盗用で謝罪 広報映像スタッフが「熱烈なファンでつい…」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10-18
[100] 웹사이트 List of Participants - Denpasar Seminar, 19-20 September 2016 - Progressive Alliance http://progressive-a[...] 2016-09-22
[101] 웹사이트 List of Participants - Conference in Ulaanbaatar, 25–26 May 2017 - Progressive Alliance http://progressive-a[...] 2017-05-18
[102] 기타 2012년 4월에 행해진 [[제19대 총선거 (대한민국)|총선거]]에서 비례대표 후보를 선출하기 위해 행해진 당내 예비선에서, 당시 주류파에 속해 있던 후보를 당선시키기 위해 대리투표 등의 대규모 부정행위가 행해진 사건. 자세한 내용은 [[통합진보당#비례대표 후보 예비선 부정]] 참조.
[103] 뉴스 千皓宣、「正義党の国家運営ビジョンは、韓国型社会民主主義」 http://www.labornetj[...] 2013-07-23
[104] 뉴스 {{ko|노란 새옷 입은 정의당 "따뜻한 복지국가 만들 것"정의당, 새로운 통합이미지 발표}}(黄色い新しい服を着た正義党"暖かな福祉国家とする"正義党、新しい統合イメージ発表) http://www.ohmynews.[...] 2014-01-14
[105] 웹사이트 "이곳이 최전선" 녹색정의당이 삼척으로 가는 이유 https://www.ohmynews[...] 2024-02-02
[106] 뉴스 韓国野党の重鎮・沈相ジョン議員 政界引退へ=5期目当選ならず https://jp.yna.co.kr[...] 2024-04-11
[107] 뉴스 姜基甲 事実上新党創党宣言「再創党では信頼回復は難しい」 http://www.labornetj[...] 2012-08-06
[108] 뉴스 新党権派、決別方法を議論 http://www.labornetj[...] 2012-08-08
[109] 웹사이트 新進歩政党、「10月21日に創党、韓国政治を3分割」 http://www.labornetj[...] 2012-09-27
[110] 웹사이트 진보정의당 창당추진위 결성 등 관련(進歩正義党創党推進委結成など関連) http://www.jinbo-sea[...] 進歩正義党創党準備委員会 2012-10-07
[111] 웹사이트 魯・沈・柳、『進歩正義党』と党名を確定 http://www.labornetj[...] 2012-10-08
[112] 뉴스 진보정의당 대선후보에 심상정..4년중임개헌 제시(進歩正義党 大選候補に沈相ジョン。。。四年重任制改憲提示) http://www.yonhapnew[...] 2012-10-21
[113] 뉴스 シム・サンジョン 大統領選候補 辞退 "文在寅中心に政権交替" http://japan.hani.co[...] 2012-11-26
[114] 뉴스 文-沈、大統領選挙で初の民主-進歩政党野党圏政策連合 http://www.labornetj[...] 2012-12-02
[115] 뉴스 安全企画部Xファイル、魯会燦議員職を喪失 http://www.labornetj[...] 2013-02-14
[116] 웹사이트 『安全企画部Xファイル』事件の詳しい内容については[[魯会燦#安全企画部Xファイル事件(サムスンXファイル事件)]]を参照。
[117] 뉴스 安哲秀氏 国会議員に初当選 http://world.kbs.co.[...] 2013-04-24
[118] 뉴스 강동원 의원 탈당…진보정의당 “다음 차례 누구냐”(カン・ドンウォン議員脱党・・・進歩正義党“次の順番は誰か”) http://www.hani.co.k[...] 2013-05-02
[119] 뉴스 새정치민주연합, 1년간 金·安투톱체제로 새정치 이식(新政治民主連合、1年間 金・安2トップ体制で新政治意識) http://www.newsis.co[...] 2014-03-26
[120] 뉴스 進歩正義党、進歩政治革新の反省を込めた7大約束を採択 http://www.labornetj[...] 2013-06-16
[121] 뉴스 ‘정의당’ 천호선 체제로…“연대 모색”(‘正義党'チョン・ホソン体制へ・・・・”連帯模索”) http://www.hani.co.k[...] 2013-07-21
[122] 뉴스 進歩正義党は「正義党」、進歩新党は「労働党」…各自の道へ http://www.labornetj[...] 2013-07-21
[123] 뉴스 正義党「統合新党とは統合しない...自分の道を行く」千皓宣代表「選挙戦略の全般的な再検討中...来週糸口をつかむ」 http://www.labornetj[...] 2014-03-05
[124] 뉴스 정의당 “서울시장·경기지사 후보 안낸다”(正義党“ソウル市長・京畿知事候補立てない”) http://www.hani.co.k[...] 2014-03-10
[125] 뉴스 인천 시장·구청장 후보 11명 야권 단일화(仁川市長・区庁長候補11名野党圏一本化) http://www.hani.co.k[...] 2014-05-16
[126] 뉴스 「6・4地方選挙」 自治体首長 全滅…生存の岐路に立った進歩政党 http://japan.hani.co[...] 2014-06-05
[127] 뉴스 4년 전 결과와 비교 진보정당 지방의원 1/3로 격감(4年前結果と比べ進歩政党地方議員1/3へ激減) http://www.redian.or[...] 2014-06-05
[128]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中央選挙管理委員会 選挙統計システム) http://info.nec.go.k[...]
[129] 뉴스 '단일화 반전' 선거 구도 변화…野연대 확산될 듯(‘一本化反転’選挙構図・・・野党連帯拡散されそう) http://www.yonhapnew[...] 2014-07-24
[130] 뉴스 奇東旻「セヌリ党審判ために魯会燦に譲歩」 http://www.labornetj[...] 2014-07-24
[131] 뉴스 国会議員の再・補欠選  与党が過半数確保の圧勝 http://world.kbs.co.[...] 2014-08-02
[132] 뉴스 정의당 새 대표에 심상정…결선 투표서 ‘역전승’(正義党の新しい代表にシム・サンジョン・・・決選投票で‘逆転勝') http://news.khan.co.[...] 2015-07-18
[133] 뉴스 韓国4革新野党が「正義党」結成 http://japan.hani.co[...] 2015-11-22
[134] 뉴스 제20대 선거결과(第20代選挙結果) http://www.yonhapnew[...]
[135] 뉴스 正義党、広域比例3位に躍進…緑の党はソウル・済州で“突風” http://japan.hani.co[...] 2018-06-16
[136] 웹사이트 正義党の広報映像、日本のアニメ盗作疑惑 http://m.hankooki.co[...] 2018-08-30
[137] 웹사이트 正義党 公式紹介映像、日CF盗作。責任痛感 謝罪 https://news.v.daum.[...] 2018-08-30
[138] 웹사이트 元徴用工判決めぐる日本の反応 韓国で広がる反発・批判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11-05
[139] 웹사이트 韓国野党「日本議員の強制徴用判決への抗議は非常識」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8-11-07
[140] 웹사이트 http://www.justice21[...]
[141] 웹사이트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 613지방선거민주노총과 진보정당의 지방선거 공동요구안과 민주노총후보, 지지후보 발표의 기자회견 http://nodong.org/st[...]
[142] bulleted list
[143] bulleted list
[144] bulleted list
[145] bulleted list
[146] bulleted list
[147] 웹사이트 새진보추진위원회, 10월 7일 창당발기인대회 http://www.redian.or[...] 2012-09-27
[148] 뉴스 통합진보당 탈당파, 대선 후보 내기로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10-07
[149] 일반
[150] 웹사이트 노동당과 정의당 등, 지방선거 공동대응과 연대 발표 http://www.redian.or[...] 2014-05-13
[151] 웹사이트 정의당, 재보선 적극 대응 수원 천호선, 동작 노회찬 등 출마 http://www.redian.or[...] 2014-07-07
[152] 웹사이트 정의당, 새정치연합에 7.30재보선 당대당 협의 제안 http://www.polinews.[...] 2014-07-09
[153] 웹사이트 http://www.womennews[...]
[154] 뉴스 정의당→민주사회당 당명변경 무산…도로 '정의당'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6-10-12
[155] 뉴스 국민들은 바른정당, 정의당에도 기회를 줬다 http://www.nocutnews[...]
[156] 뉴스 정의당 새 대표 이정미 “정치판 흔들겠다” http://www.hani.co.k[...] 2017-07-11
[157] 뉴스 정의당 “이국종 교수에 부담 안긴 점 죄송”…김종대 파문 진화 http://www.hani.co.k[...] 2017-11-23
[158] 뉴스 정의당, 광역비례 3위 약진…녹색당은 서울·제주서 ‘돌풍’ http://www.hani.co.k[...] 2018-06-14
[159] 뉴스 정의당 지지율 12.4%…한국당과 오차범위 내 '접전' http://news1.kr/arti[...] 뉴스1 2018-07-12
[160] 웹사이트 잘 나가는 정의당, '노회찬 변수'에 주춤 http://www.ytn.co.kr[...]
[161] 뉴스 정의당, '노회찬 투신 보도'에 패닉…"사실 파악 중"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7-23
[162] 뉴스 정의당 “특검의 노회찬 의원 표적수사, 유감”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8-07-23
[163] 뉴스 "노회찬 죽음 헛되지 않도록"…정의당 입당·후원금 증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7-25
[164] 뉴스 정의당 지지율 15% 또 최고치…자유한국당 제치며 2위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8-08-03
[165] 뉴스 특활비 포기 못한 민주·한국 http://news.khan.co.[...] 2018-08-08
[166] 웹사이트 https://m.khan.co.kr[...]
[167] 뉴스 정의당의 자리, 내년 총선에도 있을까 https://m.khan.co.kr[...]
[168] 일반
[169] 일반
[170] 일반
[171] 뉴스 정의당, 탈당 후폭풍…이유는 ‘메갈’ 옹호 http://www.sedaily.c[...] 서울경제 2016-07-25
[172] 뉴스 '메갈 티셔츠' 논란이 쓰나미가 된 정의당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6-07-31
[173] 뉴스 정의당, 당내 '열정페이' 논란에 시끌…'사실 아냐' http://www.asiae.co.[...] 아시아경제 2017-04-29
[174] 뉴스 [영상] 정의당 홍보 영상 日 애니 등 표절…“공식사과” http://news.kbs.co.k[...] KBS 뉴스
[175] 뉴스 정의당 "'몸 대주는' 속국 아냐" 논란…한국·바른미래 "천박해"(종합)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9-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