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6군사정보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6군사정보여단은 미국 육군의 정보 부대로, 1944년 앨라배마주 캠프 루커에서 창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를 거치며 여러 차례 부대 재편 및 주둔지 변경을 겪었다. 2023년 현재 독일 비스바덴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제1, 2, 24, 709 군사정보대대와 제323군사정보대대(예비군)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에는 아부 그라입 교도소 포로 학대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부대 마크와 휘장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스바덴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 - 제501군사정보여단
제501군사정보여단은 한국 전쟁 중 창설된 미 육군 군사정보 여단으로, 정보 수집 및 분석 임무를 수행하며 공로부대표창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여받았고, 현재 험프리스 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예하 부대를 지휘하며 524 군사정보대대는 아프가니스탄 파병을 통해 작전 영구 자유 작전을 지원했다. -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 - 제500군사정보여단
제500군사정보여단은 1952년 창설되어 극동사령부 예하 한국 전쟁 참전 부대 지원으로 시작, 냉전 시대 소련 및 공산권 정보 수집 및 분석을 거쳐 현재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 지원과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는 미국 육군 정보 부대이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187보병연대 (미국)
제187보병연대는 "락카산"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미국 육군의 보병 연대로, 여러 주요 군사 작전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에서 4명의 명예 훈장 수훈자를 배출했고 현재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어 활약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에 참전한 미국의 부대 및 편성 - 제75레인저연대
제75레인저연대는 미군의 정예 연대급 부대로, '레인저'라는 명칭은 정예부대의 상징으로 여겨져 각 전쟁마다 강인한 부대들에게 붙여졌으며, 주요 군사 작전에 투입되어 혁혁한 공을 세웠고, 현대에는 신속한 deployment에 특화된 3개의 레인저 대대로 편성되어 있다.
제66군사정보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개요 | |
![]() | |
이름 | 제66군사정보여단 |
원어 이름 | 66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66th MIB, "Six-Six-M-I") |
표어 | Power Forward (전진) |
창설 | 1986년 |
해체 | 1995년 |
재창설 | 2008년 |
국가 | 미국 |
병과 | 군사정보대 |
종류 | 여단 |
역할 | 미국 유럽 육군에 대한 군사첩보 지원 |
규모 | 알 수 없음 |
본부 | 루시우스 D. 클레이 막사, 독일 |
별명 | 알 수 없음 |
군가 | 알 수 없음 |
마스코트 | 스핑크스 |
웹사이트 | 제66군사정보여단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지휘관 | 대령 스티븐 J. 커티스 |
식별표 | [[파일:66 MI Bde DUI.jpg|100px|center]] |
식별표 설명 | 부대 식별 표장 |
지휘 관계 | |
행정 통제 | 정보보안사령부 |
작전 통제 | 미국 유럽 육군 |
참전 | |
참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사막폭풍 작전 발칸 반도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전투 훈장 | 북부 프랑스 |
2. 역사
제66군사정보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 7월 1일, 앨라배마주 캠프 러커에서 제66방첩대 파견대로 창설되었다. 전쟁 종전 후 1945년 11월 12일 뉴저지주 캠프 킬머에서 해산되었으나, 냉전이 시작되면서 1949년 11월 10일 서독 슈투트가르트에서 같은 이름으로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부대는 여러 차례 개편을 거치며 제66방첩단(1952년), 제66군사정보단(1960년)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86년 10월 16일에는 아우크스부르크로 이전하며 제66군사정보여단으로 승격 및 재편성되었다.
냉전 종식 후 1995년 잠시 활동을 중단하기도 했으나, 1998년 다름슈타트로 이전하고 2002년 활동을 재개하였다. 2008년 7월에는 최종적으로 여단으로 재지정 및 승격되었으며, 주둔지를 비스바덴의 비스바덴 육군 비행장으로 옮겨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부대의 상세한 연혁과 시대별 활동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2. 1. 창설과 초기 활동
제66군사정보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차례의 재편성과 활동 중단, 재개를 거쳤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날짜 | 내용 |
---|---|
1944년 6월 21일 | 미국 육군 내 제66 방첩대대로 창설 명령 |
1944년 7월 1일 | 앨라배마주 캠프 러커에서 활동 개시 |
1945년 11월 12일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뉴저지주 캠프 킬머에서 활동 중단 |
1949년 11월 10일 |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제66방첩대 파견대로 재편성되어 활동 재개 |
1951년 9월 20일 | 정규 육군에 배정 |
1952년 12월 20일 | 66th Counter Intelligence Corps Group영어 (제66 방첩단)으로 개편 및 재지정 |
1960년 1월 1일 | 제66 군사정보단으로 개편 및 재지정 |
1961년 7월 25일 | 제66 정보단으로 재지정 |
1966년 10월 15일 | 제66 군사정보단으로 재지정 |
1986년 10월 16일 | 독일 아우크스부르크로 이전, 제66군사정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HHC)로 개편 및 재지정 |
1992년 10월 16일 | 제66 군사정보여단 본부 및 본부 파견대(HHD)로 개편 및 재지정 |
1995년 7월 16일 | 냉전 종식 후 임시 부대로 재지정, 독일에서 활동 중단 |
1998년 10월 8일 | 독일 다름슈타트 데거 단지로 부대 이동 (활동 중단 상태) |
2002년 2월 28일 | 제66 군사정보단 본부 및 본부 파견대로 재지정 (활동 재개 준비) |
2002년 10월 16일 | 정식 부대로 재지정, 독일 다름슈타트에서 활동 재개 |
2008년 7월 | 제66 군사정보여단으로 재지정 및 비스바덴 비스바덴 육군 비행장으로 이전 |
2. 2. 냉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산되었던 제66부대는 냉전이 시작되면서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 1949년 11월 10일, 서독 슈투트가르트에서 제66방첩대 파견대로 재편성되어 활동을 재개하였으며,[1][2] 1951년 9월 20일에는 정규 육군 부대로 정식 배속되었다.[2]이후 부대는 다음과 같이 여러 차례 개편 및 재지정을 거쳤다.
- 1952년 12월 20일: 제66방첩단(66th CIC Group)으로 개편 및 재지정[1][2]
- 1960년 1월 1일: 제66군사정보단으로 개편 및 재지정[2]
- 1961년 7월 25일: 제66정보단으로 재지정[2]
- 1966년 10월 15일: 제66군사정보단으로 재지정[2]
- 1986년 10월 16일: 바이에른주 아우크스부르크로 이전하고 제66군사정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개편 및 재지정[1][2]
2. 3. 현대
1986년 10월 16일, 부대는 아우크스부르크로 이전하며 제66군사정보여단으로 재편성되었고, 구체적으로는 본부 및 본부중대로 지정되었다. 이후 1992년 10월 16일에는 제66 군사정보여단 본부 및 본부 파견대로 다시 개편되었다.1995년 7월 16일, 임시부대로 재지정됨과 동시에 독일에서의 활동을 잠시 중단하였다. 그러나 1998년 10월 8일 다름슈타트의 데거 단지로 부대 위치를 옮겼다.
2002년에는 다시 변화가 있었다. 2월 28일 제66 군사정보단 본부 및 본부 파견대로 재지정되었고, 같은 해 10월 16일에는 정식부대로 다시 지정되어 독일에서의 활동을 재개하였다.
2008년 7월, 부대는 제66군사정보여단으로 최종 재지정 및 승격되었으며, 주둔지를 데거 단지에서 비스바덴 육군 비행장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편성
제66군사정보여단의 편성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왔다. 예를 들어, 2002년에는 제533군사정보대대가 해산되었고,[7][8] 2009년에는 제24군사정보대대(ISR)가 창설되고 제302군사정보대대가 해산되었다.[9]
3. 1. 현재 (2023년 기준)
2023년 5월 현재, 여단은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7][8]- '''제66군사정보여단''', 독일 비스바덴
- * 제1군사정보대대 (항공 정보 수집), 비스바덴 육군 비행장
- * 제2군사정보대대, 비스바덴 육군 비행장 (전 지역에 걸친 분견대 유럽)
- * 제24군사정보대대 (ISR), 비스바덴 육군 비행장[9]
- * 제323군사정보대대 (육군 예비군), 메릴랜드주 포트 미드
- * 제709군사정보대대, 영국 RAF 멘위스 힐[10]
3. 2. 과거
- 제1군사정보대대 (항공 선전)
- 제109군사정보단 (임시)
- 제105군사정보대대 (임시): 제307군사정보대대로 서수 변경됨.
- 제302군사정보대대: 2009년 해산함.
- 제323군사정보대대 (예비대)
- 제307군사정보대대 (옛 제105군사정보대대): 제709군사정보대대로 서수 변경됨.
- 제533군사정보대대: 2002년 해산함.
- 제709군사정보대대 (옛 제307군사정보대대)
4. 논란
(내용 없음)
4. 1. 아부 그라입 포로 학대 사건
제66군사정보여단 소속 군인들은 아부 그라입 구금 시설에서 발생한 포로 학대 사건에 다양한 수준으로 관여하였다. 이들의 관여는 심문, 정보 분석, 구금자 학대 행위 목격 등을 포함한다.[11]5. 부대 상징
제66군사정보여단은 부대의 정체성과 임무를 나타내는 고유한 상징물들을 사용한다. 주요 상징물로는 부대 마크(어깨 소매 휘장)와 부대 휘장(고유 부대 휘장)이 있으며, 각각의 디자인과 상징에는 부대의 역사와 군사 정보 임무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5. 1. 부대 마크 (Shoulder sleeve insignia)
'''설명'''위쪽을 향하는 꼭짓점을 가진 은회색 육각형 바탕에 약 0.32cm 두께의 오리엔탈 블루 테두리가 있으며, 전체 높이는 약 7.62cm, 너비는 약 6.67cm이다. 오리엔탈 블루 육각형 안에는 노란색 스핑크스가 있고, 그 위에는 검은색 자루를 가진 은회색 단검이 겹쳐져 있다.
'''상징'''
군사 정보 병과의 색상인 오리엔탈 블루와 은회색은 각각 충성심과 결단력을 나타낸다. 노란색 또는 금색은 탁월함을 상징한다. 육각형 테두리는 부대의 숫자(66)를 반영한다. 스핑크스는 전통적인 군사 정보 상징으로, 관찰, 지혜, 신중한 침묵을 의미한다. 칼집에서 뽑힌 단검은 부대 임무에 내재된 공격적이고 방어적인 요구 사항과 물리적 위험 요소를 나타낸다.
'''배경'''
이 부대 마크는 1987년 8월 27일 제66군사정보여단을 위해 처음 승인되었다. 2002년 7월 17일에 사용이 중지되었으나, 2003년 6월 18일부로 제66군사정보단에 대한 정책 예외로 재지정되었으며, 이때 설명과 상징이 업데이트되었다. (TIOH 도면 번호 A-1-740)
5. 2. 부대 휘장 (Distinctive unit insignia)
'''설명'''금색 금속과 에나멜로 만들어졌으며, 전체 너비는 약 3.02cm이다. 검은색과 흰색 6개의 체커 섹션으로 구성된 육각형(한쪽 모서리가 위를 향함) 위에, 금색과 파란색(동양식) 9개 섹션의 체커로 구성된 더 작은 육각형(평평한 면이 위를 향함)이 있다. 중앙 사각형에는 왼쪽을 바라보는 금색 스핑크스 머리가 새겨져 있으며, 그 위에는 "HONOR VALOR AND SECURITY"라는 파란색(동양식) 글자가 새겨진 금색 두루마리가 놓여 있다.
'''상징'''
흑백은 전 세계의 낮과 밤을 상징하며, 이는 계몽과 지식을 나타낸다. 체커 무늬는 부대의 대정보 작전에 있어 전술적 및 전략적 능력을 의미한다. 전통적인 군사정보의 상징인 스핑크스는 관찰, 지혜, 그리고 신중한 침묵을 나타낸다. 육각형 안에 또 다른 육각형이 있는 디자인("6-6")은 부대의 숫자 명칭인 66을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배경'''
이 독특한 부대 휘장은 본래 1969년 7월 16일에 제66군사정보단을 위해 승인되었다. 이후 부대가 1986년 10월 8일 제66군사정보여단으로 재지정되면서 휘장도 함께 변경되었다. 이 휘장은 설명이 업데이트되어 2002년 10월 16일부터 다시 제66군사정보단을 위해 재지정되었다.[13]
6. 역대 지휘관
현재 여단장은 Steven J. Curtis|스티븐 J. 커티스eng 대령이다.[12]
참조
[1]
웹사이트
66th MI Public Website
http://www.inscom.ar[...]
2012-03-28
[2]
웹사이트
Units and Commands, Organizational chart of U.S. Army Europe
https://web.archive.[...]
US Army
2012-04-18
[3]
웹사이트
New 66th MI commander 'powers forward'
https://web.archive.[...]
Herald Union
2012-03-27
[4]
웹사이트
66th MI Soldiers are INSCOM's best
http://www.army.mil/[...]
US Army
2012-03-27
[5]
웹사이트
Local Employment Opportunities
https://web.archive.[...]
2012-03-28
[6]
웹사이트
INSCOM honors fallen Soldier
http://www.inscom.ar[...]
US Army INSCOM
2012-03-27
[7]
웹사이트
66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https://www.inscom.a[...]
2020-09-02
[8]
웹사이트
66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https://www.inscom.a[...]
2020-09-02
[9]
웹사이트
24th MI Battalion
https://www.inscom.a[...]
2020-09-02
[10]
웹사이트
709th MI Battalion
https://www.inscom.a[...]
66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2022-01-29
[11]
웹사이트
Fay Report: Investigation of Intelligence Activities at Abu Ghraib
http://news.findlaw.[...]
2012-04-10
[12]
웹사이트
66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https://www.inscom.a[...]
2024-08-22
[13]
웹사이트
66th Military Intelligence Group
https://web.archive.[...]
The Institute of Heraldry
2011-07-02
[14]
웹사이트
Lineage and Honors of the 66th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http://www.history.a[...]
U.S. Army Center for Military History
2011-07-02
[15]
웹사이트
66th MI Public Website
http://www.inscom.ar[...]
U.S. Army INSCOM
2012-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