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는 2018년에 치러졌으며, 지역구 110석과 비례대표 10석을 선출했다.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여 지역구 97석, 비례대표 5석을 확보, 총 102석을 차지했다. 자유한국당은 지역구 3석, 비례대표 3석으로 총 6석을 얻었고, 바른미래당과 정의당은 각각 비례대표 1석을 얻었다.
wikitable
2. 지역구 선거구
선거구명 관할 지역 종로구 제1선거구 청운효자동, 사직동, 삼청동, 부암동, 평창동, 무악동, 교남동, 가회동 종로구 제2선거구 종로1·2·3·4가동, 종로5·6가동, 이화동, 혜화동, 창신1동, 창신2동, 창신3동, 숭인1동, 숭인2동 중구 제1선거구 소공동, 명동, 광희동, 을지로동, 신당동, 신당제5동, 동화동, 황학동, 중림동 중구 제2선거구 회현동, 필동, 장충동, 다산동, 약수동, 청구동 용산구 제1선거구 남영동, 청파동, 원효로1동, 원효로2동, 효창동, 용문동, 한강로동, 이촌1동, 이촌2동 용산구 제2선거구 후암동, 용산2가동, 이태원1동, 이태원2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성동구 제1선거구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성동구 제2선거구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성동구 제3선거구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행당1동, 행당2동 성동구 제4선거구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 광진구 제1선거구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광진구 제2선거구 능동, 구의2동, 광장동, 군자동 광진구 제3선거구 구의1동, 구의3동, 자양1동, 자양2동 광진구 제4선거구 자양3동, 자양4동, 화양동 동대문구 제1선거구 용신동, 제기동, 청량리동 동대문구 제2선거구 회기동, 휘경1동, 휘경2동, 이문1동, 이문2동 동대문구 제3선거구 전농1동, 전농2동, 답십리1동 동대문구 제4선거구 답십리2동, 장안1동, 장안2동 중랑구 제1선거구 면목3·8동, 면목4동, 면목7동, 망우3동 중랑구 제2선거구 면목본동, 면목2동, 면목5동, 상봉2동 중랑구 제3선거구 중화1동, 중화2동, 묵1동, 묵2동 중랑구 제4선거구 상봉1동, 망우본동, 신내1동, 신내2동 성북구 제1선거구 성북동, 삼선동, 동선동, 돈암2동, 안암동, 보문동 성북구 제2선거구 정릉1동, 정릉2동, 정릉3동, 정릉4동, 길음1동 성북구 제3선거구 돈암1동, 길음2동, 종암동, 월곡1동, 월곡2동 성북구 제4선거구 장위1동, 장위2동, 장위3동, 석관동 강북구 제1선거구 번1동, 번2동, 수유2동, 수유3동 강북구 제2선거구 수유1동, 우이동, 인수동 강북구 제3선거구 삼양동, 송천동, 삼각산동 강북구 제4선거구 미아동, 송중동, 번3동 도봉구 제1선거구 창1동, 창4동, 창5동 도봉구 제2선거구 쌍문1동, 쌍문3동, 창2동, 창3동 도봉구 제3선거구 쌍문2동, 쌍문4동, 방학3동 도봉구 제4선거구 방학1동, 방학2동, 도봉1동, 도봉2동 노원구 제1선거구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노원구 제2선거구 공릉1동, 공릉2동 노원구 제3선거구 하계1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 노원구 제4선거구 하계2동, 중계2·3동, 상계6·7동 노원구 제5선거구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노원구 제6선거구 상계1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은평구 제1선거구 녹번동, 응암1동, 응암2동, 응암3동 은평구 제2선거구 증산동, 수색동, 신사1동, 신사2동, 역촌동 은평구 제3선거구 갈현1동, 갈현2동, 진관동 은평구 제4선거구 구산동, 불광1동, 불광2동, 대조동 서대문구 제1선거구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서대문구 제2선거구 연희동, 홍제1동, 홍제2동 서대문구 제3선거구 홍제3동, 홍은1동, 홍은2동 서대문구 제4선거구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북가좌1동, 북가좌2동 마포구 제1선거구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마포구 제2선거구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마포구 제3선거구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마포구 제4선거구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양천구 제1선거구 목2동, 목3동, 목4동, 목5동 양천구 제2선거구 목1동, 신정1동, 신정2동, 신정6동, 신정7동 양천구 제3선거구 신월1동, 신월3동, 신월4동, 신월5동, 신월7동 양천구 제4선거구 신월2동, 신월6동, 신정3동, 신정4동 강서구 제1선거구 화곡1동, 화곡2동, 화곡8동 강서구 제2선거구 화곡3동, 우장산동, 발산1동 강서구 제3선거구 공항동, 방화1동, 방화2동 강서구 제4선거구 등촌3동, 가양1동, 가양2동, 방화3동 강서구 제5선거구 염창동, 등촌1동, 가양3동 강서구 제6선거구 등촌2동, 화곡본동, 화곡4동, 화곡6동 구로구 제1선거구 구로3동, 구로4동, 가리봉동 구로구 제2선거구 신도림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5동 구로구 제3선거구 고척1동, 고척2동, 개봉1동, 개봉2동, 개봉3동 구로구 제4선거구 오류1동, 오류2동, 수궁동 금천구 제1선거구 가산동, 독산1동, 독산2동, 독산3동, 독산4동 금천구 제2선거구 시흥1동, 시흥2동, 시흥3동, 시흥4동, 시흥5동 영등포구 제1선거구 영등포본동, 도림동, 문래동, 신길3동 영등포구 제2선거구 영등포동, 당산1동, 당산2동, 양평1동, 양평2동 영등포구 제3선거구 여의동, 신길1동, 신길4동, 신길5동, 신길7동 영등포구 제4선거구 신길6동, 대림1동, 대림2동, 대림3동 동작구 제1선거구 노량진1동, 노량진2동, 상도2동, 상도4동 동작구 제2선거구 상도3동, 대방동, 신대방1동, 신대방2동 동작구 제3선거구 상도1동, 사당3동, 사당4동, 사당5동 동작구 제4선거구 흑석동, 사당1동, 사당2동 관악구 제1선거구 보라매동, 은천동, 중앙동, 청룡동, 신림동 관악구 제2선거구 성현동, 청림동, 행운동, 낙성대동, 인헌동, 남현동 관악구 제3선거구 신사동, 조원동, 미성동, 난곡동, 난향동 관악구 제4선거구 서원동, 신원동, 서림동, 삼성동, 대학동 서초구 제1선거구 잠원동, 반포1동, 반포3동, 반포4동 서초구 제2선거구 반포본동, 반포2동, 방배본동, 방배1동, 방배4동 서초구 제3선거구 서초2동, 서초4동, 양재1동, 양재2동, 내곡동 서초구 제4선거구 서초1동, 서초3동, 방배2동, 방배3동 강남구 제1선거구 신사동, 논현1동, 압구정동, 청담동 강남구 제2선거구 논현2동, 역삼1동, 역삼2동 강남구 제3선거구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1동, 일원2동 강남구 제4선거구 일원본동, 수서동, 세곡동 강남구 제5선거구 대치1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 강남구 제6선거구 삼성1동, 삼성2동, 대치2동 송파구 제1선거구 풍납1동, 풍납2동, 잠실4동, 잠실6동 송파구 제2선거구 방이1동, 방이2동, 오륜동, 송파1동, 송파2동 송파구 제3선거구 삼전동, 잠실본동, 잠실2동, 잠실3동, 잠실7동 송파구 제4선거구 석촌동, 가락1동, 문정2동 송파구 제5선거구 오금동, 가락본동, 가락2동, 문정1동 송파구 제6선거구 거여1동, 거여2동, 마천1동, 마천2동, 장지동, 위례동 강동구 제1선거구 강일동, 고덕1동, 고덕2동, 암사1동, 암사2동, 암사3동 강동구 제2선거구 상일동, 명일1동, 명일2동, 길동 강동구 제3선거구 천호1동, 천호2동, 천호3동 강동구 제4선거구 성내1동, 성내2동, 성내3동, 둔촌1동, 둔촌2동
3. 지역구 선거 결과
3. 1. 종로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모두 승리하였다. 특히, 종로구 제2선거구에서는 임종국 후보가 64.83%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압승했다.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 제1선거구 유권자: 65,948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더불어민주당 고병국 22,198 54.22% 자유한국당 남재경 14,916 36.43% 바른미래당 정동희 3,821 9.33% 합계 40,935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 제2선거구 유권자: 69,015 정당 후보 득표수 득표율 더불어민주당 임종국 24,587 64.83% 자유한국당 이시훈 11,395 30.04% 무소속 김수근 1,943 5.12% 합계 37,925
3. 2. 중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중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두 선거구 모두에서 승리했다. 민주평화당 후보들은 두 선거구 모두에서 3위를 기록했다.
중구 제1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박순규 후보가 53.1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정희창 후보는 29.05%, 민주평화당 최판술 후보는 17.80%를 득표했다.
중구 제2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박기재 후보가 57.6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이혜경 후보는 33.66%, 민주평화당 채성만 후보는 8.65%를 득표했다.
3. 3. 용산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용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두 선거구 모두에서 승리했다. 특히, 용산구 제2선거구에서는 노식래 후보가 61.55%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용산구 제1선거구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김제리 | 더불어민주당 | 38,052 | 56.27% |
김용호 | 자유한국당 | 20,524 | 30.35% |
권혁문 | 바른미래당 | 7,886 | 11.66% |
권오혁 | 민중당 | 1,157 | 1.71% |
합계 | 67,619 |
용산구 제2선거구 | |||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노식래 | 더불어민주당 | 27,770 | 61.55% |
박희영 | 자유한국당 | 17,343 | 38.44% |
합계 | 45,113 |
3. 4. 성동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동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성동구 제3선거구의 김기대 후보와 제4선거구의 김달호 후보는 70%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성명 | 정당 | 득표율 |
---|---|---|---|
성동구 제1선거구 | 이동현 | 더불어민주당 | 52.29% |
성동구 제2선거구 | 정지권 | 더불어민주당 | 67.04% |
성동구 제3선거구 | 김기대 | 더불어민주당 | 71.49% |
성동구 제4선거구 | 김달호 | 더불어민주당 | 70.73% |
3. 5. 광진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광진구 선거구에서는 네 곳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광진구 제1선거구의 전병주 후보는 65.3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당선인 | 정당 | 득표율 |
---|---|---|---|
광진구 제1선거구 | 전병주 | 더불어민주당 | 65.38% |
광진구 제2선거구 | 오현정 | 더불어민주당 | 63.04% |
광진구 제3선거구 | 김호평 | 더불어민주당 | 57.91% |
광진구 제4선거구 | 김재형 | 더불어민주당 | 61.50% |
3. 6. 동대문구
동대문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동대문구 제2선거구의 오중석 후보는 69.94%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동대문구 제1선거구 | 송정빈 | 더불어민주당 | 23,590 | 61.41 |
동대문구 제2선거구 | 오중석 | 더불어민주당 | 34,433 | 69.94 |
동대문구 제3선거구 | 김인호 | 더불어민주당 | 25,291 | 68.28 |
동대문구 제4선거구 | 김수규 | 더불어민주당 | 30,066 | 61.94 |
3. 7. 중랑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중랑구에서는 모든 선거구에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중랑구 제1선거구에서는 이영실 후보가 62.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제2선거구에서는 김태수 후보가 63.4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제3선거구에서는 강대호 후보가 62.58%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고, 제4선거구에서는 전석기 후보가 65.1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선거구 | 성명 | 득표율 | 정당 |
---|---|---|---|
중랑구 제1선거구 | 이영실 | 62.99% | 더불어민주당 |
중랑구 제2선거구 | 김태수 | 63.48% | 더불어민주당 |
중랑구 제3선거구 | 강대호 | 62.58% | 더불어민주당 |
중랑구 제4선거구 | 전석기 | 65.10% | 더불어민주당 |
3. 8. 성북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성북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성북구 제1선거구의 김춘례 후보는 62.83%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성북구 제2선거구의 최정순 후보는 53.33%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성북구 제3선거구의 강동길 후보는 65.21%의 득표율을, 성북구 제4선거구의 이경선 후보는 58.4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당선되었다.선거구 | 성명 | 정당 | 득표율 |
---|---|---|---|
성북구 제1선거구 | 김춘례 | 더불어민주당 | 62.83% |
성북구 제2선거구 | 최정순 | 더불어민주당 | 53.33% |
성북구 제3선거구 | 강동길 | 더불어민주당 | 65.21% |
성북구 제4선거구 | 이경선 | 더불어민주당 | 58.45% |
3. 9. 강북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북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강북구 제3선거구의 최선 후보는 68.74%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강북구 제1선거구 | 김동식 | 더불어민주당 | 58.38% |
강북구 제2선거구 | 이상훈 | 더불어민주당 | 61.85% |
강북구 제3선거구 | 최선 | 더불어민주당 | 68.74% |
강북구 제4선거구 | 안광석 | 더불어민주당 | 65.56% |
3. 10. 도봉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도봉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도봉구 제1선거구의 김용석 후보와 제2선거구의 김광수 후보는 70%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
도봉구 제1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김용석 | 30,594 | 71.02% |
도봉구 제2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김광수 | 28,604 | 70.33% |
도봉구 제3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김창원 | 21,913 | 62.16% |
도봉구 제4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송아량 | 29,676 | 58.70% |
3. 11. 노원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노원구에서는 여섯 개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노원구 제3선거구의 봉양순 후보와 제4선거구의 김생환 후보는 70%가 넘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제1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오한아 후보가 60.91%를 득표하여 당선되었고, 제2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은주 후보가 63.79%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제3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봉양순 후보가 72.71%를 득표, 제4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생환 후보가 73.58%를 득표하여 각각 당선되었다. 제5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채유미 후보가 52.64%로 당선, 제6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송재혁 후보가 62.15%로 당선되었다.
3. 12. 은평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은평구에서는 네 개의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은평구 제2선거구의 이병도 후보는 64.98%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3. 13. 서대문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대문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서대문구 제1선거구의 신원철 후보는 67.02%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제2선거구에서는 김호진 후보가 61.82%를 득표하였고, 제3선거구에서는 이승미 후보가 54.23%를 득표했다. 제4선거구에서는 조상호 후보가 67.10%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3. 14. 마포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마포구의 네 선거구에서는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마포구 제4선거구의 김기덕 후보는 73.36%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성명 | 정당 | 득표율 |
---|---|---|---|
마포구 제1선거구 | 김상훈 | 더불어민주당 | 59.96% |
마포구 제2선거구 | 이세열 | 더불어민주당 | 68.08% |
마포구 제3선거구 | 정진술 | 더불어민주당 | 65.35% |
마포구 제4선거구 | 김기덕 | 더불어민주당 | 73.36% |
3. 15. 양천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양천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양천구 제1선거구의 신정호 후보와 제4선거구의 김희걸 후보는 6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득표율 | 후보 | 정당 |
---|---|---|---|
양천구 제1선거구 | 60.52% | 신정호 | 더불어민주당 |
양천구 제2선거구 | 56.02% | 문영민 | 더불어민주당 |
양천구 제3선거구 | 60.97% | 우형찬 | 더불어민주당 |
양천구 제4선거구 | 62.40% | 김희걸 | 더불어민주당 |
3. 16. 강서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강서구에서는 여섯 개의 선거구에서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강서구 제1선거구의 박상구 후보와 제5선거구의 이광성 후보는 70%에 육박하는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강서구 제1선거구 | 박상구 | 더불어민주당 | 69.07% |
강서구 제2선거구 | 문장길 | 더불어민주당 | 59.21% |
강서구 제3선거구 | 경만선 | 더불어민주당 | 65.42% |
강서구 제4선거구 | 김용연 | 더불어민주당 | 65.03% |
강서구 제5선거구 | 이광성 | 더불어민주당 | 71.52% |
강서구 제6선거구 | 장상기 | 더불어민주당 | 64.91% |
3. 17. 구로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구로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구로구 제1선거구의 장인홍 후보는 77.36%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후보 | 정당 | 득표율 |
---|---|---|---|
구로구 제1선거구 | 장인홍 | 더불어민주당 | 77.36% |
구로구 제2선거구 | 이호대 | 더불어민주당 | 72.55% |
구로구 제3선거구 | 황규복 | 더불어민주당 | 60.22% |
구로구 제4선거구 | 김인제 | 더불어민주당 | 63.28% |
3. 18. 금천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금천구에서는 두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했다. 금천구 제1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채인묵 후보가 72.3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자유한국당 구춘원 후보를 상대로 승리했다. 금천구 제2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최기찬 후보가 69.48%의 득표율로 자유한국당 이현재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3. 19. 영등포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영등포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영등포구 제2선거구의 김정태 후보는 66.26%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영등포구 제1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최웅식 후보가 63.57%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오용만 후보는 26.82%, 바른미래당 노명욱 후보는 9.59%를 득표했다.
영등포구 제3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정재웅 후보가 54.35%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김경석 후보는 34.10%, 바른미래당 정이선 후보는 11.54%를 득표했다.
영등포구 제4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양민규 후보가 67.31%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신동철 후보는 32.68%를 득표했다.
3. 20. 동작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동작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동작구 제3선거구의 박기열 후보는 69.61%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동작구 제1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정환 후보가 59.6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제2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경우 후보가 62.8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제3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박기열 후보가, 제4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유용 후보가 각각 59.9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3. 21. 관악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관악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관악구 제1선거구의 송도호 후보는 74.14%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했다.3. 22. 서초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초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네 선거구 중 세 곳에서 승리했다.서초구 제1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혜련 후보가 44.60%를 득표하여 자유한국당 김진영 후보(40.15%)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바른미래당 최원선 후보는 15.23%를 얻었다.
서초구 제2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경영 후보가 46.78%를 득표하여 자유한국당 김휘조 후보(36.57%)와 바른미래당 이숙자 후보(16.63%)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서초구 제3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병훈 후보가 49.98%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최호정 후보는 38.62%, 바른미래당 최재원 후보는 9.85%, 노동당 유검우 후보는 1.53%를 얻었다.
서초구 제4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추승우 후보가 49.56%를 득표하여 자유한국당 이형선 후보(38.17%)와 바른미래당 김한솔 후보(12.25%)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3. 23. 강남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강남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각각 세 곳에서 승리하여 팽팽한 접전을 벌였다. 강남구 제1선거구, 제5선거구, 제6선거구에서는 자유한국당 후보가, 강남구 제2선거구, 제3선거구, 제4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승리했다.강남구 제1선거구에서는 자유한국당 성중기 후보가 48.1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권정오 후보는 39.23%, 바른미래당 김상문 후보는 12.65%를 득표했다.
강남구 제2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평남 후보가 51.8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김명옥 후보는 35.93%, 바른미래당 선락규 후보는 10.47%, 무소속 조용기 후보는 1.75%를 득표했다.
강남구 제3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최영주 후보가 56.9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김현기 후보는 43.00%를 득표했다.
강남구 제4선거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김태호 후보가 60.80%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한국당 유만희 후보는 39.19%를 득표했다.
강남구 제5선거구에서는 자유한국당 김진수 후보가 43.3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문성준 후보는 39.95%, 바른미래당 김선규 후보는 16.72%를 득표했다.
강남구 제6선거구에서는 자유한국당 이석주 후보가 43.5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환 후보는 41.44%, 바른미래당 조준규 후보는 14.96%를 득표했다.
3. 24. 송파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송파구에서는 여섯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송파구 제1선거구의 노승재 후보는 62.43%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3. 25. 강동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강동구에서는 네 선거구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승리했다. 특히, 강동구 제1선거구의 이준형 후보는 68.15%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선거구 | 정당 | 후보 | 득표율 |
---|---|---|---|
강동구 제1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이준형 | 68.15% |
강동구 제2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김종무 | 58.16% |
강동구 제3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송명화 | 66.78% |
강동구 제4선거구 | 더불어민주당 | 황인구 | 66.49% |
4. 비례대표 선거 결과
4. 1. 정당 투표 결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50.92%의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하며 5명의 당선자를 배출했다. 자유한국당은 25.24%로 2위, 바른미래당은 11.48%로 3위를 기록했다. 정의당은 9.6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명의 당선자를 배출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 수 |
---|---|---|---|
더불어민주당 | 2,523,110 | 50.92% | 5 |
자유한국당 | 1,250,856 | 25.24% | 3 |
바른미래당 | 569,224 | 11.48% | 1 |
정의당 | 480,371 | 9.69% | 1 |
민주평화당 | 43,839 | 0.88% | 0 |
녹색당 | 37,974 | 0.76% | 0 |
민중당 | 17,249 | 0.34% | 0 |
대한애국당 | 15,726 | 0.31% | 0 |
우리미래 | 8,223 | 0.16% | 0 |
친박연대 | 5,802 | 0.11% | 0 |
국제녹색당 | 2,559 | 0.05% | 0 |
4. 2. 비례대표 당선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서울특별시의회 비례대표 당선자는 다음과 같다.
5. 전체 결과
wikitable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style="background:#0066CC;"| | 더불어민주당 | 97 | 5 | 102 |
style="background:#FF0000;"| | 자유한국당 | 3 | 3 | 6 |
style="background:#00BFFF;"| | 바른미래당 | 0 | 1 | 1 |
style="background:#FFD700;"| | 정의당 | 0 | 1 | 1 |
```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는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마무리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지역구 110석 중 102석, 비례대표 10석 중 5석을 차지하며 총 107석을 확보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지역구 6석, 비례대표 3석으로 총 9석을 얻는 데 그쳤다. 바른미래당과 정의당은 각각 비례대표 1석씩을 확보했다.
6. 의의 및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