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특별시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특별시의회는 서울특별시의 입법기관으로, 조례 제정, 예산 심의, 행정 감시 등의 권한을 행사한다. 의결권, 통제권, 청원처리권, 자율권을 가지며, 112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1952년 지방의회 선거가 처음 실시되었으나, 군사 정변으로 인해 해산되었다가 1991년 부활했다. 현재는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교섭 단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를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회 - 부민관
    부민관은 1935년에 완공되어 다목적 강당으로 사용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친일 행위의 장소로 이용되고 해방 후에는 여러 용도로 사용되다가 2002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정치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선거는 2014년에 치러졌으며, 새정치민주연합이 다수당이 되어 지역구 106곳과 비례대표 10명을 선출했다.
  • 서울특별시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는 2018년에 실시되었으며,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여 총 102석을 차지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서울특별시의회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서울특별시의회
원어명서울特別市議會
로마자 표기Seoul Teukbyeolsi Uihoe
한자 표기서울特別市議會
설치일1956년 9월 5일
회의 장소부민관
웹사이트서울특별시의회 (한국어)
서울특별시의회 (영어)
의회 구성
의회 종류단원제
의회제10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석수112석
임기4년
선거 제도병립식 비례대표제
투표 제도소선거구제 (101석)
비례대표제 (11석)
마지막 선거2022년 6월 1일
지도부
의장김현기
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남창진
부의장 소속 정당국민의힘
부의장우형찬
부의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정당별 의석
정당 구성국민의힘 (76)
|border=darkgray}} 더불어민주당 (36)
기타
서울특별시의회 회의장

2. 권한

서울특별시의회는 입법기관이자 주민 대표 기관으로서 주민 복지, 지역사회 개발 등 주민의 이해와 관련된 중요한 사항이나 정책을 결정하는 의결권, 행정 감사 및 통제권, 청원 처리권, 자율권 등을 가진다.


  • '''의결권:''' 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교육청의 정책, 입법, 주민 부담, 기타 서울시정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결정하는 권한이다. 조례, 의견, 의결, 승인, 동의 등의 형태로 권한을 행사한다.
  • '''통제권:''' 서울특별시의회는 집행부(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독주나 부당한 처사를 시정하고 감사하기 위해 서울시정에 대한 통제 권한을 행사한다. 시장, 교육감 등의 출석, 답변, 의견 진술 요구, 서류 제출 요구, 현장 확인, 행정사무 감사 또는 조사 등이 의회의 주요 통제 수단이다.
  • '''청원처리권:''' 서울 시민이나 서울특별시에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이 서울특별시 행정 집행에 대한 불만이나 희망을 진술하고 시정을 요구하면 이를 처리하는 권한이다. 법령에 어긋나거나, 재판에 간섭하거나, 국가원수를 모독하는 것을 제외하고 피해 구제, 비리 공무원 처벌, 법령 개폐, 공공시설 운영, 서울특별시 및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권한에 속하는 모든 사항이 청원 대상이 된다.
  • '''자율권:''' 서울특별시의회는 의사와 내부 사항을 독자적으로 결정·운영할 권한을 가진다. 내부 조직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 회의 및 의사 진행을 자율적으로 행할 권리, 의원 신분에 관해 심의·결정할 권리 등이 있다.

3. 운영

한국에서 지방의회 선거는 1952년 5월 10일에 처음 실시되었지만, 서울특별시에서는 1956년 8월 10일에 처음으로 시의회 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1960년 12월 두 번째 선거가 실시된 후, 5·16 군사 정변으로 군사 정권이 들어서면서 지방 자치가 중단되고 시의회는 해산되었다. 이후 1987년 민주화와 함께 지방 자치가 부활, 1991년 6월 시의회 의원 선거 이후 30년 만에 서울특별시의회가 부활하였다.

이후 4년마다 선거가 실시되고 있다(단, 1995년 선거는 특례로 의원 임기가 3년이었다). 시의회 청사는 1975년까지 국회의사당으로 사용되었던 1935년 준공된 구 경성부민관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현재 시의회는 의원 정수가 112명이며, 이 중 101석이 단순 소선거구제, 11석이 비례대표제이다.

3. 1. 회기

서울특별시의회는 정례회와 임시회를 합하여 연간 회의일수를 150일 이내로 한다. 회의일수는 연장이 필요한 경우 본회의 의결을 거쳐 연장할 수 있다.[1] 정례회는 연 2회 운영되며, 임시회는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소집한다.[1]

지방의회는 연중 계속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간 동안만 활동한다. 의회 고유의 기능을 행사하기 위하여 일정한 장소에 모이는 행위를 집회라 한다.[2]

회기는 의회의 의결로 결정한다. 정례회는 매년 2회 열리는데, 1차 정례회는 매년 6월 20일에, 2차 정례회는 매년 11월 10일에 열린다. 임시회는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열린다.[3] 연간 총 회의일수는 임시회와 정례회를 합하여 140일을 초과할 수 없다.[3]

임시회는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이 요구하면 의장은 요구일로부터 15일 이내에 소집해야 한다. 임시회 집회 요구가 있으면 의장은 집회일 7일 전에 집회공고를 하고, 이를 전 의원에게 통지하여 집회가 이루어진다.[4] 정기회는 별도의 집회요구 없이 공고절차만 거쳐 집회한다.[4] 이와 같이 집회와 동시에 의회의 의정활동이 시작되는데, 이러한 의정활동을 할 수 있는 기간을 회기라 한다.[4]

3. 2. 소집

서울특별시의회는 정례회와 임시회를 합하여 연간 회의 일수를 150일 이내로 하며, 회의 일수는 연장이 필요한 경우 본회의 의결을 거쳐 연장할 수 있다. 정례회는 연 2회 운영되며, 임시회는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재적 의원 3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 소집한다.[1]

임시회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재적 의원 1/3 이상의 요구가 있을 경우 의회 의장은 요구일로부터 15일 이내에 소집하여야 하며, 집회일 7일 전에 집회 공고를 하고 전 의원에게 통지해야 한다. 정례회는 별도의 집회 요구 없이 공고 절차만 거쳐 집회한다.[1]

1차 정례회는 매년 6월 20일에, 2차 정례회는 매년 11월 10일에 집회한다.[1]

4. 조직

서울특별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 그리고 여러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성된다.[2] 상임위원회에는 운영위원회, 행정자치위원회, 기획경제위원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보건복지위원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도시계획관리위원회, 교통위원회, 교육위원회가 있다. 특별위원회로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윤리특별위원회가 있다.[2]

한국에서 지방의회 선거는 1952년에 처음 실시되었지만, 서울특별시에서는 1956년에 처음으로 시의회 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1960년에 두 번째 선거가 실시되었으나, 5·16 군사 정변으로 군사 정권이 들어서면서 지방 자치가 중단되고 시의회는 해산되었다. 이후 민주화를 거쳐 1991년 시의회 의원 선거가 다시 실시되면서 30년 만에 서울특별시의회가 부활하였다.

서울특별시의회는 4년마다 선거를 실시하며(1995년 선거는 예외적으로 3년 임기), 시의회 청사는 1975년까지 국회의사당으로 사용되었던 경성부민관(1935년 준공)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의원 정수는 112명이며, 이 중 101석은 단순 소선거구제, 11석은 비례대표제로 선출된다. 의회는 정례회와 임시회를 개최하며, 연간 회의 일수는 150일 이내로 제한된다. 의회 연장을 위해서는 본회의 동의가 필요하다. 1차 정례회는 6월 20일에, 2차 정례회는 11월 10일에 열린다.

4. 1. 의장단

서울특별시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을 두고 있다.[5]

4. 1. 1. 역대 의장단

시의회대수이름정당임기부의장/정당
초대임시이원찬민주당1956년 9월 1일[5] - 1956년 9월 6일colspan=2 |
1대김진용무소속1956년 9월 6일 - 1957년 9월 3일이행득/자유당
2대박명준자유당1957년 9월 4일 - 1958년 10월 14일이중구/무소속
3대1958년 10월 14일 - 1959년 10월 13일이행득/자유당
4대홍순우민주당1959년 10월 14일 - 1960년 8월 12일김석근/무소속
2대5대한상기민주당1960년 12월 22일 - 1961년 5월 20일방동석/무소속
4대임시[6]권회영민주자유당1991년 7월 4일 - 1991년 7월 8일colspan=2 |
6대김찬회민주자유당1991년 7월 8일 - 1993년 7월 7일조정순/민주자유당이재진/신민주연합당
7대백창현민주자유당1993년 7월 8일 - 1995년 6월 30일오유근/민주자유당문일권/민주당
4대8대문일권민주당1995년 7월 8일 - 1997년 1월 7일김기영/민주당이성구/민주자유당
9대새정치국민회의1997년 1월 8일 - 1998년 6월 30일이선재/새정치국민회의유기종/한나라당
5대10대김기영새정치국민회의1998년 7월 9일 - 1999년 11월 19일최종오/새정치국민회의이성구/한나라당
11대최종오새정치국민회의1999년 11월 19일 - 2000년 7월 8일유대운/새정치국민회의
12대이용부새천년민주당2000년 7월 9일 - 2002년 5월 26일민연식/새천년민주당이양한/한나라당
임동규/한나라당
6대13대이성구한나라당2002년 7월 9일 - 2004년 2월 2일유대운/새천년민주당백의종/한나라당
14대임동규한나라당2004년 2월 5일 - 2004년 7월 8일정창희/한나라당
15대2004년 7월 9일 - 2006년 6월 30일박주웅/한나라당민연식/새천년민주당
7대16대박주웅한나라당2006년 7월 12일 - 2008년 7월 11일이종필/한나라당김기성/한나라당
17대김귀환한나라당2008년 7월 12일 - 2008년 11월 10일김진수/한나라당임승업/한나라당
18대김기성한나라당2008년 11월 25일 - 2010년 4월 13일임승업/한나라당
하태종/한나라당
8대19대허광태민주당2010년 7월 13일 - 2012년 7월 12일양준욱/민주당진두생/한나라당
20대김명수민주통합당2012년 7월 13일 - 2014년 3월 4일성백진/민주통합당김진수/새누리당
권한대행성백진새정치민주연합2014년 3월 4일 - 2014년 6월 30일
9대21대박래학새정치민주연합2014년 7월 16일 - 2016년 6월 30일김인호/새정치민주연합강감창/새누리당
22대양준욱더불어민주당2016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조규영/더불어민주당김진수/새누리당
10대23대신원철더불어민주당2018년 7월 12일 - 2020년 6월 30일김생환/더불어민주당박기열/더불어민주당
24대김인호더불어민주당2020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김기덕/더불어민주당김광수/더불어민주당
11대25대김현기국민의힘2022년 7월 4일 - 2024년 6월 30일남창진/국민의힘우형찬/더불어민주당
26대최호정국민의힘2024년 7월 1일 -이종환/국민의힘김인제/더불어민주당


4. 2. 위원회

서울특별시의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성된다.[2]

; 상임위원회

  • 운영위원회
  • 행정자치위원회
  • 기획경제위원회
  • 환경수자원위원회
  • 문화체육관광위원회
  • 보건복지위원회
  • 도시안전건설위원회
  • 도시계획관리위원회
  • 교통위원회
  •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4. 3. 사무기구

서울특별시의회는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사무처를 두고 있다.[7] 사무처 산하에는 언론홍보실, 의정담당관실, 의사담당관실, 시민권익담당관실, 입법담당관실, 예산정책담당관실, 전문위원이 있다.[8]

5. 현재 구성

현재 서울특별시의회는 총 112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민의힘이 76석, 더불어민주당이 36석을 차지하고 있다.[9]

정당의석 수
국민의힘76
더불어민주당36
합계112



의원 112명 중 101명은 각 지역구에서 단순 소선거구제로 선출되며, 나머지 11명은 비례대표로 선출된다. 시의회는 매년 정례회와 임시회를 개최하며, 연간 회의 일수는 150일을 넘지 않는다. 필요한 경우 본회의 동의를 얻어 회의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정례회는 1년에 두 번 열리는데, 1차 정례회는 6월 20일에, 2차 정례회는 11월 10일에 시작된다.

5. 1. 교섭단체

서울특별시의회는 10명 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정당이나,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10명의 의원이 모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9]

6. 역대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선거 결과

1952년 5월 10일 한국에서 최초로 지방의회 선거가 실시되었지만, 서울특별시에서는 한국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선거가 실시되지 못했다. 휴전 후 1956년 8월 10일에 처음으로 시의회 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군사 쿠데타로 수립된 군사 정권에 의해 지방 자치가 중단되고 시의회는 해산되었다. 이후 민주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지방 자치가 부활하였고, 1991년 시의회 의원 선거 이후 30년 만에 서울특별시의회가 부활하였다.

이후 4년마다 선거가 실시되고 있다(단, 1995년 선거는 특례로 의원 임기가 3년이었다).

2018년 6월 13일 서울특별시의회 선거 결과 요약[3]
정당지역구비례대표총 의석 수
득표수%의석 수±득표수%의석 수±의석 수±
더불어민주당3,022,90561.8997252,523,11050.925010225
자유한국당1,400,92728.683211,250,85625.2432623
바른미래당419,6358.590신규569,22411.481신규1신규
정의당480,3719.691111
민주평화당10,6680.220신규43,8390.880신규0신규
녹색당37,9740.760000
민중당12,9890.270신규17,2490.340신규0신규
대한애국당7890.020신규15,7260.310신규0신규
기타 정당1,5370.030000
무소속14,5600.300000
합계4,884,010100.001004,954,933100.0010110


6. 1. 제1대 서울특별시의회

1956년 8월 13일에 실시된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47명의 제1대 서울특별시의원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당40
자유당1
농민회1
무소속5


6. 2. 제2대 서울특별시의회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54명의 제2대 서울특별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당19
신민당17
한국독립당1
무소속17


6. 3. 제3대 서울특별시의회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132명의 제3대 서울특별시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합계
민주자유당110
신민주연합당21
민주당1


6. 4. 제4대 서울특별시의회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47명의 제4대 서울특별시의원을 선출했다. 이 선거에서는 비례대표제가 처음 도입되었으며, 지역구 의원 133명과 비례대표 의원 14명을 선출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style="background:#3C83DC;"|민주당1228130
style="background:#F62D2D;"|민주자유당11617



정당별 득표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style="background:#F62D2D;"|민주자유당1,744,16936.7%6
style="background:#3C83DC;"|민주당2,311,72548.6%8
style="background:#EBEB00;"|자유민주연합152,4663.2%0
style="background:grey;"|무소속546,15611.5%-


6. 5. 제5대 서울특별시의회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04명의 제5대 서울특별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서 지역구 의원 94명과 비례대표 의원 10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colspan="2"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새정치국민회의78583
한나라당15520
자유민주연합101



정당별 득표
colspan="2"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1,414,17941.8%5
새정치국민회의1,718,88850.8%5
자유민주연합152,2384.5%0
국민신당12,5700.4%0
무소속88,8522.6%-


6. 6. 제6대 서울특별시의회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02명의 제6대 서울특별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서 지역구 의원 92명과 비례대표 의원 10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82587
새천년민주당10414
민주노동당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수
한나라당1,786,58751.81%5
새천년민주당1,277,36237.04%4
민주노동당209,0426.06%1
자유민주연합85,1372.46%0
녹색평화당61,4091.78%0
사회당28,5300.82%0


6. 7. 제7대 서울특별시의회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06명의 제7대 서울특별시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서 지역구 의원 96명과 비례대표 의원 10명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
정당지역구비례대표합계
한나라당966102
열린우리당022
민주당011
민주노동당011



비례대표 선거 결과
정당득표수득표율 (%)당선자수
한나라당2,243,47357.176
열린우리당837,32921.342
민주당409,80110.441
민주노동당391,2099.971
국민중심당19,5220.490
희망사회당9,6420.240
시민당7,5830.190
한국의미래를준비하는당5,1120.130


참조

[1] 간행물 부민관 (府民館)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3-12
[2] 웹사이트 Organization (English) http://www.smc.seoul[...]
[3] 웹사이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http://info.nec.go.k[...]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4] 웹사이트 정당별의원정보 https://www.smc.seou[...]
[5] 뉴스 사투리없는멋장이들 경향신문 1956-09-06
[6] 뉴스 野圈의원 議長 선거「白紙투표」江原 동아일보 1991-07-09
[7] 문서 지방관리관으로 보한다.
[8]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9] 웹인용 서울특별시의회 교섭단체 구성·운영 조례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