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되었으며,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에 대한 첫 번째 평가이자, 민선 7기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 교육감을 선출하는 선거였다.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 영주 자격을 취득한 외국인 등이 투표권을 행사했으며, 광역단체장 17명, 기초단체장 226명, 광역의원 824명, 기초의원 2927명, 교육감 17명, 교육의원 5명을 선출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고, 자유한국당은 참패했으며, 정의당은 약진했다. 총 투표율은 60.2%로, 1995년 제1회 지방선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대한민국의 선거 - 201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8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국회의원의 사직 등으로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진 선거로, 총 12개 선거구에서 더불어민주당이 11곳, 자유한국당이 1곳에서 승리했으며, 문재인 정부에 대한 중간 평가 성격을 가진다.
  • 대한민국의 지방 선거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되었으며, 새누리당, 새정치민주연합, 교육감 선거가 진행되었고, 투표율은 56.8%였다.
  • 대한민국의 지방 선거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지방자치법 개정 후 지방의회 선거에 이어 처음으로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동시에 치러지면서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의 시작을 알렸으며,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을 선출하고 68.4%의 투표율을 기록, 여당의 부진과 지역주의, 저조한 여성 당선자 비율을 나타냈다.
  • 2018년 6월 - 2018년 북미정상회담
    2018년 북미정상회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사상 최초의 정상회담으로, 공동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비핵화 조치와 상응 조치에 대한 이견으로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미해결 과제를 남겼다.
  • 2018년 6월 - 2018년 튀르키예 총선
    2018년 튀르키예 총선은 튀르키예 대국민의회 의원 600명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로, 정의개발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지만 과반에는 미치지 못해 민족주의자 운동당과의 인민동맹을 통해 과반 의석을 확보했으며, 공화인민당, 좋은당 등은 국민동맹을 구성, 인민민주당은 10% 봉쇄 조항을 넘어서며 의회에 진출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도 정보
2018년 대한민국 전국 동시 지방 선거 결과 지도
기본 정보
선거 이름2018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국가대한민국
선거 유형지방 선거
이전 선거2014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이전 선거 연도2014년
다음 선거202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다음 선거 연도2022년
선거일2018년 6월 13일
투표율60.2% 3.4%p
선출 의석광역단체장 17명
광역의원 824명
기초단체장 226명
기초의원 2,927명
교육감 17명
교육의원 5명
추가 정보재보궐선거는 공직선거법에 따라 선거일 전 30일까지 실시 사유 확정시 진행
주요 정당별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
리더추미애
광역단체장14석
광역단체장 증감5석
기초단체장151석
기초단체장 증감71석
광역의원652석
광역의원 증감303석
기초의원1,640석
기초의원 증감483석
이전 선거 결과광역단체장 9석
기초단체장 80석
광역의원 349석
기초의원 1,157석
추미애
정당자유한국당
리더홍준표
광역단체장2석
광역단체장 증감6석
기초단체장53석
기초단체장 증감64석
광역의원137석
광역의원 증감279석
기초의원1,009석
기초의원 증감404석
이전 선거 결과광역단체장 8석
기초단체장 117석
광역의원 416석
기초의원 1,413석
홍준표
정당민주평화당
리더조배숙
광역단체장0석
기초단체장5석
기초단체장 증감5석
광역의원3석
광역의원 증감3석
기초의원49석
기초의원 증감49석
이전 선거 결과신생 정당
조배숙
정당정의당
리더이정미
광역단체장0석
기초단체장0석
광역의원11석
광역의원 증감11석
기초의원26석
기초의원 증감15석
이전 선거 결과광역단체장 0석
기초단체장 0석
광역의원 0석
기초의원 11석
이정미
정당바른미래당
리더박주선
유승민
광역단체장0석
기초단체장0석
광역의원5석
광역의원 증감5석
기초의원21석
기초의원 증감21석
이전 선거 결과신생 정당
박주선, 유승민
정당민중당
리더김종훈
김창한
광역단체장0석
기초단체장0석
광역의원0석
기초의원11석
기초의원 증감11석
이전 선거 결과신생 정당

2. 배경

이번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17년 5월 9일에 열린 19대 대선에서 9년 5개월 만에 정권이 교체되며 2017년 5월 10일에 출범한 문재인 정부에 대한 첫 평가전이자, 민선 7기의 기초단체장, 광역단체장, 기초의원, 광역의원, 교육감을 뽑는 선거이다.

2. 1. 투표 제도

1999년 6월 14일 이전에 출생한 만 19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은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7개 선거가 동시에 실시되며, 유권자는 1인 7표를 행사한다. 1차 투표 용지는 교육감,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3장이며, 2차 투표 용지는 광역자치단체의원, 기초자치단체의원, 비례대표 광역자치단체의원, 비례대표 기초자치단체의원 선거 4장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기초자치단체장과 기초자치단체의원을 선출하지 않고 교육의원을 선출하므로 1인 5표를, 세종특별자치시는 기초자치단체와 광역자치단체가 통합되어 있어 1인 4표를 행사한다. 재외투표와 선상투표는 실시되지 않지만, 재외국민 중 주민등록표에 3개월 이상 계속 올라가 있고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다면 투표가 가능하다. 외국인은 만 19세 이상, 영주 체류자격 취득일 후 3년이 지나고 해당 지방자치단체 외국인등록대장에 올라간 경우에 한하여 투표할 수 있다.

2. 2. 선거구 확정

대한민국 공직선거법상 2017년 12월 13일 이전까지 국회에서 의원 정수가 확정되고,[16] 이에 따라 선거구가 획정되어야 했으나, 기한을 넘겨 지연되었다.[17][18]

결국 2018년 2월까지도 선거구 획정은 무산되었으며, 3월 2일 광역의원, 기초의원 예비 후보자 등록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3월 5일에 국회 본회의에서 선거구와 의원 정수를 획정하는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19]

개정 공직선거법에 따라 세종과 제주를 제외한 광역의원 지역구 정수는 663명에서 690명(27명 증가)으로 늘었으며, 기초의원의 총 정수는 2,898명에서 2,927명(29명 증가)으로 조정되었다.

2. 3. 일정

선거관리위원회가 공시한 제7회 지방선거의 주요 사무 일정은 다음과 같다.[20]

날짜일정
2월 13일 (화)시도지사 및 교육감 예비후보자 등록신청 개시일
3월 2일 (금)시도의원, 구·시의원 및 장 예비후보자 등록신청 개시일
4월 1일 (일)군의원 및 장 예비후보자 등록신청 개시일
5월 24일 (목) ~ 25일 (금)후보자 등록 신청
5월 31일 (목)선거기간 개시
6월 8일 (금) ~ 9일 (토)사전투표[21]
6월 13일 (수)본투표


3. 참여 정당



호대한애국당대한애국당은 원외정당보다 우선하며 원외정당은 가나다 순서로 채워진다. 무소속은 정당 후순으로 배정되며, 복수의 무소속 후보는 추첨에 따라 배정된다.코리아국제녹색당노동당녹색당새누리당우리미래진리대한당친박연대한국국민당한반도미래연합홍익당


4. 후보자

5월 24일부터 5월 25일까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후보 등록이 진행되었으며, 총 9,361명이 후보로 등록하였다.[1]

4. 1. 주요 정당별 후보

'''굵게''' 표시된 후보는 광역시장 또는 도지사로 당선된 후보이다.

광역시/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기타
서울박원순김문수안철수김종민김진숙 (민중당)[1], 인제윤 (대한애국당)[1], 신지예 (녹색당)[1]
부산광역시오거돈서병수이성권 (1968년)|이성권한국어박주미Lee Jong-hyuk|ko|이종혁 (1956년)|이종혁lt (무소속)[1]
대구광역시임대윤|임대윤한국어권영진김형기
인천광역시박남춘유정복|유정복한국어문병호|문병호한국어김응호
광주광역시이용섭전덕영나경채윤민호 (민중당)[1]
대전광역시허태정박성효|박성효한국어남충희|남충희한국어김윤기
울산광역시송철호김기현이영희김창현 (1962년)|김창현한국어 (민중당)[1]
세종이춘희송애영허철호
경기도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민중당)[1]
강원도최문순정창수|정창수한국어
충청북도이시종박경국|박경국한국어신용한
충청남도양승조이인제
전라북도송하진신재봉임정엽권태홍이광석 (민중당)[1]
전라남도김영록박매호민영삼노형태이성수 (민중당)[1]
경상북도오중기|오중기한국어이철우권오을박창호유재희 (대한애국당)[1]
경상남도김경수김태호김유근
제주문대림|문대림한국어김방훈장성철원희룡 (무소속)[1], 고은영 (녹색당)[1]


4. 2. 광역자치단체장 후보

인제윤 (대한애국당)
신지예 (녹색당)부산광역시오거돈서병수이성권 (1968년)|이성권한국어박주미이종혁 (1956년)|이종혁한국어 (무소속)대구광역시임대윤|임대윤한국어권영진김형기인천광역시박남춘유정복|유정복한국어문병호|문병호한국어김응호광주광역시이용섭전덕영나경채윤민호 (민중당)대전광역시허태정박성효|박성효한국어남충희|남충희한국어김윤기울산광역시송철호김기현이영희김창현 (1962년)|김창현한국어 (민중당)세종이춘희송애영허철호경기도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민중당)강원도최문순정창수|정창수한국어충청북도이시종박경국|박경국한국어신용한충청남도양승조이인제전라북도송하진신재봉임정엽권태홍이광석 (민중당)전라남도김영록박매호민영삼노형태이성수 (민중당)경상북도오중기|오중기한국어이철우권오을박창호유재희 (대한애국당)경상남도김경수김태호김유근제주문대림|문대림한국어김방훈장성철원희룡 (무소속)
고은영 (녹색당)






'''광역단체장 선거 정당별 당선자 수''' (17명)
1421
--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무소속






당선자명과 소속정당 및 득표수·률
시·도당선자명정당득표수득표율
수도권서울특별시박원순
2,610,76852.79%
인천광역시박남춘
766,18657.66%
경기도이재명
3,358,77556.40%
충청도대전광역시허태정
393,16556.41%
세종특별자치시이춘희
96,89671.30%
충청북도이시종
468,75061.15%
충청남도양승조
615,76962.55%
전라도광주광역시이용섭
573,99584.07%
전라북도송하진
681,18770.57%
전라남도김영록
795,15077.08%
경상도부산광역시오거돈
940,38255.23%
대구광역시권영진
619,16553.73%
울산광역시송철호
317,34152.88%
경상북도이철우
732,78552.11%
경상남도김경수
940,30252.81%
강원도최문순
518,37264.73%
제주특별자치도원희룡무소속(보수계)178,25551.72%
광역단체장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14)
자유한국당(2)
:무소속(1)






정당별 득표와 당선자 수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더불어민주당13,672,99155.73%14
자유한국당7,602,31230.98%2
민주평화당295,7011.21%0
정의당502,7522.05%0
바른미래당1,912,6437.80%0
민중당199,4020.81%0
대한애국당11,2220.05%0
녹색당95,0620.39%0
가자코리아23,0120.09%0
우리미래11,5990.05%0
친박연대4,0210.02%0
무소속204,9750.84%1
합계24,535,692100.00%17


5. 선거 과정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회의원, 기초의회의원 및 교육감을 선출하는 선거였다.

시도별 투표율


시군구별 투표율


6월 8일과 9일 양일간 실시된 사전 투표는 20.14%의 투표율을 기록했는데, 이는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보다 8.65%p 높아진 수치이다.[22][23] 본 투표일인 6월 13일에는 60.2%의 최종 투표율을 기록하여,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151곳, 자유한국당이 53곳, 민주평화당이 5곳, 무소속 후보가 17곳에서 당선되었다.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정당별 당선자 수 (명)
colspan=2|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민주평화당무소속
전국 합계15153517
수도권서울특별시 (25)24100
인천광역시 (10)9100
경기도 (31)29200
충청도대전광역시 (5)5000
충청북도 (11)7400
충청남도 (15)11400
전라도광주광역시 (5)5000
전라북도 (14)10022
전라남도 (22)14035
경상도부산광역시 (16)13201
대구광역시 (8)0701
울산광역시 (5)5000
경상북도 (23)11705
경상남도 (18)71001
강원도 (18)11502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당파별 분포 지도.



:출처 [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018년 7월 23일 확인

KBS, MBC, SBS 지상파 3사는 공동으로 출구조사를 실시하여 투표 종료 시각인 오후 6시에 발표했다.[25]

5. 1. 여론 조사

대표지역구비례
대표지역구비례
대표지역구비례
대표지역구비례
대표지역구전국 합계6054711324110141216수도권서울특별시975330101000인천광역시322110100000경기도1287130201000충청도대전광역시192010000000세종특별자치시161010000000충청북도262310000000충청남도312710100000전라도광주광역시202000100000전라북도342000100011전라남도504001100110경상도부산광역시383420000000대구광역시412320000000울산광역시152410000000경상북도723830001009경상남도3131920100002강원도323920000000제주특별자치도254110111004



: '''굵은 글씨'''는 획득 의석으로 제1당이 된 것을 나타냅니다.

: 출처: 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018년 7월 23일 확인

광역의회 비례대표 정당 지역별 득표율(%)
colspan=2|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정의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민중당
전국 평균51.4227.768.977.811.520.97
수도권서울특별시50.9225.249.6911.480.880.34
인천광역시55.2726.439.236.630.420.92
경기도52.8125.4711.447.780.660.42
충청도대전광역시55.2126.427.808.900.51
세종특별자치시59.0117.4312.8510.69
충청북도51.0631.178.266.710.660.58
충청남도52.4731.557.706.401.06
전라도광주광역시67.471.3812.774.388.234.59
전라북도68.103.6312.883.739.341.24
전라남도69.062.528.703.5011.513.56
경상도부산광역시48.8136.735.446.730.430.69
대구광역시35.7846.144.3410.780.48
울산광역시47.0033.286.455.245.32
경상북도34.0549.983.898.260.630.96
경상남도45.3138.867.665.321.32
강원도48.8833.746.936.580.610.74
제주특별자치도54.2518.0711.877.471.60



: 출처: http://info.nec.go.kr/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018년 7월 23일 확인

5. 2. 투표율

2018년 6월 8일과 9일 이틀 동안 실시된 사전 투표는 총 20.14%의 투표율을 기록했다.[22][23] 이는 2017년 19대 대통령 선거의 사전 투표율 26.06%보다는 낮지만, 2014년 제6회 지방 선거보다는 8.65%p 높아진 수치이다.[23]

1995년 제1회 지방선거에서 투표율 68.4%를 기록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60%대로 다시 진입하는 기록도 세웠다.

시간대별 제7회 지방 선거 투표율
구분일자7시8시9시10시11시12시13시14시15시16시17시18시
사전 투표6월 8일0.3%0.7%1.2%2.0%2.9%3.7%4.5%5.4%6.3%7.1%7.9%8.8%
6월 9일9.1%9.5%10.1%11.0%12.0%13.0%14.0%15.1%16.3%17.5%18.7%20.1%
본 투표6월 13일2.2%4.6%7.7%11.5%15.7%19.7%43.5%46.8%50.1%53.2%56.1%60.2%



지역별 제7회 지방 선거 사전 투표율[22]
구분전국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사전 투표20.1%19.1%17.2%16.4%17.6%23.7%19.7%21.5%24.8%17.5%22.3%20.8%19.6%27.8%31.7%24.5%23.8%22.2%



역대 지방 선거와 제7회 지방 선거 지역별 투표율 비교
구분전국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제7회60.2%59.9%58.8%57.3%55.3%59.2%58.0%64.8%61.7%57.8%63.2%59.3%58.1%65.3%69.3%64.7%65.8%65.9%
제6회56.8%58.6%55.6%52.3%53.7%57.1%54.0%56.1%62.7%53.3%62.2%58.8%55.7%59.9%65.6%59.5%59.8%62.8%
제5회54.5%53.9%49.5%45.9%50.9%49.8%52.9%55.1%미실시51.8%62.3%58.8%56.5%59.3%64.3%59.4%61.8%65.1%
제4회51.6%49.8%48.5%48.5%44.3%46.3%49.4%52.8%미실시46.7%58.7%54.7%55.8%57.9%64.3%61.5%57.8%67.3%
제3회48.9%45.8%41.8%41.4%39.3%42.3%42.3%52.3%미실시44.6%59.4%55.8%56.2%55.0%65.6%60.4%56.5%68.9%
제2회52.7%47.1%46.7%46.8%43.2%45.1%44.4%57.6%미실시50.0%64.3%60.9%59.5%57.8%68.2%64.9%61.1%73.7%
제1회68.4%66.2%66.2%64.0%62.0%64.8%66.9%미실시미실시63.2%74.8%72.7%73.8%73.7%76.1%76.7%73.1%80.5%


5. 3. 출구 조사

KBS, MBC, SBS의 지상파 3사 공동 출구조사는 6월 13일 투표일 당일 실시되었으며, 오후 6시 투표종료시각을 기해 일제히 발표되었다.[25]

지역예측 1위예측 2위
서울특별시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박원순김문수
인천광역시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박남춘유정복
경기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이재명남경필
강원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최문순정창수
대전광역시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허태정박성효
세종특별자치시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이춘희송아영
충청남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양승조이인제
충청북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이시종박경국
광주광역시더불어민주당정의당
이용섭나경채
전라남도더불어민주당민주평화당
김영록민영삼
전라북도더불어민주당민주평화당
송하진임정엽
부산광역시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오거돈서병수
대구광역시자유한국당더불어민주당
권영진임대윤
울산광역시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송철호김기현
경상남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
김경수김태호
경상북도자유한국당더불어민주당
이철우오중기
제주특별자치도무소속더불어민주당
원희룡문대림



지역예측 1위예측 2위
서울특별시교육감진보보수
조희연박선영
인천광역시교육감진보보수
도성훈고승의
경기도교육감진보보수
이재정임해규
강원도교육감진보보수
민병희신경호
대전광역시교육감중도진보
설동호성광진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진보중도
최교진최태호
충청남도교육감진보보수
김지철명노희
충청북도교육감진보보수
김병우심의보
광주광역시교육감중도진보
이정선장휘국
전라남도교육감진보진보
장석웅고석규
전라북도교육감진보중도
김승환서거석
부산광역시교육감진보보수
김석준김성진
대구광역시교육감보수진보
강은희김사열
울산광역시교육감진보보수
노옥희김석기
경상남도교육감진보보수
박종훈박성호
경상북도교육감보수보수
임종식안상섭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진보보수
이석문김광수


6. 선거 결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선거로,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교육감을 선출했다.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첫 전국 단위 선거로,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다. 특히, 전통적인 보수 강세 지역이었던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에서 승리하며 전국 정당으로 발돋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7] 반면, 자유한국당대구광역시경상북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패배하며 참패했고, 홍준표 대표는 선거 결과에 책임을 지고 사퇴, 당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되었다.[27] 바른미래당안철수 서울시장 후보의 낙선으로 당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졌고, 지도부는 총사퇴했다.[29] 민주평화당은 호남 지역을 기반으로 일부 의석을 확보했지만 전국 정당으로 성장하는 데는 실패했다.[30] 정의당은 역대 최고 득표율을 기록하며 약진했다.[28]

각 정당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민중당무소속
합계4,0131,717737872,541385
광역자치단체장1714200001
기초자치단체장22615153451012
지역구 광역의원737530130162210128
비례대표 광역의원87462873300
지역구 기초의원2,5411,17146044493410153
비례대표 기초의원38521112716111109



6. 1. 광역자치단체장

KBS, MBC, SBS의 지상파 3사 공동 출구조사는 6월 13일 투표일 당일 실시되었으며, 오후 6시 투표종료시각을 기해 일제히 발표되었다.[25]

총 17명의 광역시장과 도지사가 선출되었다.

선출된 광역시장 및 도지사
광역시/도당선자정당비고
서울특별시style="background:;" |박원순더불어민주당현직 유지
인천광역시style="background:;" |박남춘더불어민주당획득
경기도style="background:;" |이재명더불어민주당획득
강원도style="background:;" |최문순더불어민주당현직 유지
대전광역시style="background:;" |허태정더불어민주당현직 유지
세종특별자치시style="background:;" |이춘희더불어민주당현직 유지
충청남도style="background:;" |양승조더불어민주당현직 유지
충청북도style="background:;" |이시종더불어민주당현직 유지
광주광역시style="background:;" |이용섭더불어민주당현직 유지
전라남도style="background:;" |김영록더불어민주당현직 유지
전라북도style="background:;" |송하진더불어민주당현직 유지
부산광역시style="background:;" |오거돈더불어민주당획득
울산광역시style="background:;" |송철호더불어민주당획득
경상남도style="background:;" |김경수더불어민주당획득
대구광역시style="background:;" |권영진자유한국당현직 유지
경상북도style="background:;" |이철우자유한국당현직 유지
제주특별자치도style="background:;" |원희룡무소속현직 유지



정당별 득표와 당선자 수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더불어민주당13,672,99155.73%14
자유한국당7,602,31230.98%2
민주평화당295,7011.21%0
정의당502,7522.05%0
바른미래당1,912,6437.80%0
민중당199,4020.81%0
대한애국당11,2220.05%0
녹색당95,0620.39%0
가자코리아23,0120.09%0
우리미래11,5990.05%0
친박연대4,0210.02%0
무소속204,9750.84%1
합계24,535,692100.00%17



6. 2. 기초자치단체장

더불어민주당이 151곳, 자유한국당이 53곳, 민주평화당이 5곳, 무소속이 17곳에서 승리했다.[1]

광역시·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민주평화당무소속합계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
서울24125
인천9110
경기29231
강원115218
대전55
충남11415
충북7411
광주55
전남143522
전북102214
부산132116
울산55
경남710118
대구718
경북117523
합계15153517226



총 226명의 시장(시, 군, 자치구)이 선출되었다.[1]

6. 3. 광역의원

광역시/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정의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무소속총계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
서울102611| 110
인천3421| | 37
경기135421| 142
강원3511| | | 46
대전211| | | 22
세종171| | | 18
충청남도3381| | 42
충청북도284| | | 32
광주221| | 23
전라남도542258
전라북도361139
부산416| | | 47
울산175| | | 22
경상남도34211| 2 | 58
대구525| | | 30
경상북도94119 | 60
제주292124 | 38
총계652137115316824


6. 4. 기초의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정당별 당선자 수
지역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민주평화당정의당바른미래당민중당무소속
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지역구비례대표
전국 합계1400238876133463179192110172
수도권서울특별시2193013423005081003
인천광역시629397000000001
경기도2523712816003231202
충청도대전광역시335214000000000
충청북도7412403000100002
충청남도83155511000010006
전라도광주광역시46900901000300
전라북도126210014024200028
전라남도150280023321004032
경상도부산광역시8716699000000001
대구광역시455539001020001
울산광역시225192000000101
경상북도3812146250010200060
경상남도8915113200021001023
강원도7419594000010001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기초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합쳐 총 1,640석을 얻어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다. 자유한국당은 총 1,009석, 민주평화당은 총 49석, 정의당은 총 26석, 바른미래당은 총 21석, 민중당은 총 11석을 얻었고, 무소속 후보는 총 172석을 차지했다.[1]

기초의회 내 다수당을 기준으로 한 분포도

6. 5. 교육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진보 성향 교육감이 14곳(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세종, 충남, 충북, 광주, 전남, 전북, 부산, 울산, 경남, 제주 ), 보수 성향 교육감이 2곳( 대구, 경북 ), 중도 성향 교육감이 1곳( 대전 )에서 당선되었다.

지역후보성향득표수득표율비고
서울조희연진보2,271,41346.6%재선
인천도성훈진보570,78943.8%
경기이재정진보2,385,33640.8%재선
강원민병희진보426,46554.1%3선
대전설동호중도363,70853.0%재선
세종최교진진보64,20750.1%재선
충남김지철진보421,12344.1%재선
충북김병우진보429,60557.1%재선
광주장휘국진보258,32138.0%3선
전남장석웅진보394,39538.4%
전북김승환진보385,15140.1%3선
부산김석준진보793,01347.8%재선
울산노옥희진보211,59035.6%
경남박종훈진보843,73548.4%재선
대구강은희보수464,29640.7%
경북임종식보수388,07828.2%
제주이석문진보174,86851.2%재선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교육감 선거 결과

6. 6. 정당별 결과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 교육감을 선출하는 선거였다. 주요 정당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정당별 당선자 수는 다음과 같다.

구분더불어민주당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민중당무소속
합계401317226737872,541385
광역자치단체장1714200001
기초자치단체장22615153451012
지역구 광역의원737530130162210128
비례대표 광역의원87462873300
지역구 기초의원2,5411,17146044493410153
비례대표 기초의원38521112716111109


6. 6. 1.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정부의 첫 평가전이자 민선 7기의 기초단체장, 광역단체장, 기초의원, 광역의원, 교육감을 뽑는 이번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유례 없는 대승리를 거두며 자축하는 분위기이다.[26] 특히 열세 지역이던 대구, 경북 지역에서도 어느 정도 선전한 것은 고무적인 결과이며, 영남 지역 중 부산, 경남, 울산 지역에서도 당선되었다. 조직 폭력배 논란에 휩싸였던 성남시, 선거 막판에 여배우 스캔들이 터진 이재명 후보 선거구 경기도에서도 당선되었고, 드루킹 댓글 조작에 휩싸였던 김경수 후보 선거구 경상남도에서도 당선되었다. 고 박정희 전 대통령 고향 경상북도 구미시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장이 당선되자 추미애 등 더불어민주당 당원은 이를 반기며 자축했다.[26] 한편,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둔만큼 이젠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이명박 정권·박근혜 정권의 비정상을 바로잡고 부정부패를 청산하려는 “적폐청산”[3]을 진행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을 배경으로, 여당·더불어민주당이 전국 17곳의 광역자치단체장 선거(광역단체장 선거) 중 14곳에서 승리하는 등 압승을 거두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인천시장 선거,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자유한국당 소속 현직을 큰 차이로 누르는 등, 수도권,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의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전승했을 뿐만 아니라, 1990년 3당 합당에 의한 민주자유당 결성 이후 민주자유당과 그 후계 정당인 역대 보수정당(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새누리당→자유한국당)의 강고한 지반이었고, 1995년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한 번도 민주당계 정당의 공인 후보가 승리한 적이 없었던 경상도 지역에서도, 부산시장 선거, 울산시장 선거, 경상남도지사 선거[6]에서 자유한국당 후보를 큰 차이로 누르고 압승했다. 부산시울산시에서는 현직을 누르고, 자유한국당 대표 홍준표가 2017년 4월까지 지사를 역임했던 경상남도에서도 현직을 누르고 승리했다.

이 결과를 받아들여 문재인 대통령은 선거 후 6월 18일에 “지역주의 정치, 분열의 정치 구도 속에서 기득권을 지켜나가는 정치도 더 이상 계속할 수 없게 되었다.”, “제가 정치에 참여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에 대한 목표를 달성했다고 말할 수 있다.”, “새로운 정치를 준비한 국민에게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고 말했다.[7]

6. 6. 2.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은 2016년 국회의원 선거, 2017년 대통령 선거에 이어 이번 지방 선거까지 참패하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 남경필, 김문수, 김태호 등 주요 정치인들이 모두 20~30%대 지지율로 낙선했고,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정의당에 지지율이 밀리는 결과도 나왔다. 결국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는 지방 선거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대표직에서 물러났으며, 당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되었다.[27]

6. 6. 3. 정의당

정의당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정당 득표율 8.97%를 기록하여 바른미래당을 제치고 3위를 차지했다. 이는 역대 진보 정당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이다. 일부 여론조사에서는 자유한국당을 근소한 차이로 앞서기도 했다.[28]

6. 6. 4.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은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었다. 정당 득표 및 획득한 의석 수가 국회의원 의석수 기준 제5당인 정의당에도 밀렸다. 안철수 후보가 서울 시장 선거에서 3위에 그치면서 차기를 노려볼 만하다는 기대 역시 빛이 바랬다. 결국 안철수 후보는 기자회견을 가지고 독일로 출국[29]하였고 유승민, 박주선 등의 대표단과 대의원은 총사퇴하였다. 이후 김동철 원내대표가 비상대책위원장에 취임하며 비대위 체제로 도입하였다.

6. 6. 5.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은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기초단체장 5명, 광역의원 3명, 기초의원 49명을 당선시키며 지역 정당으로서의 명맥을 유지했다.[30] 특히 전라남도에서 11%의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호남 지역에서의 지지율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호남 자민련'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30] 결국 전국 정당으로 도약하는 데는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6. 6. 6. 기타 정당

민중당은 기초의원 선거에서 11석을 획득하여 진보 정당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반면, 대한애국당과 노동당은 의석을 모두 상실하여 군소 정당으로서의 한계를 드러냈다.[1]

참조

[1] 웹사이트 <막 오른 지방선거 레이스>재보선 10곳 이상 내년 지방선거는 거물급'미니총선' http://news.naver.co[...] Naver 2017-12-25
[2] 논문 A report of the 2018 regional election in South Korea 2020-00-00
[3] 뉴스 支持率7割、韓国・文大統領が進める「積弊清算」のゆくえは https://news.yahoo.c[...] 2018-07-23
[4] 뉴스 뉴스分析 韓国地方選挙、与党圧勝…反省のない保守野党への審判 http://japan.hani.co[...] 2018-07-23
[5] 뉴스 正義党、広域比例3位に躍進…緑の党はソウル・済州で“突風” http://japan.hani.co[...] 2018-07-23
[6] 웹사이트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7] 뉴스 統一選で地域・イデオロギー対立に終止符 国民に感謝=文大統領 http://japanese.yonh[...] 2018-07-31
[8] 웹사이트 더불어민주당
[9] 웹사이트 자유한국당
[10] 웹인용 제15조(선거권) http://www.law.go.kr[...] 2018-01-17
[11] 웹인용 제23조(자치구·시·군의회의 의원정수) http://www.law.go.kr[...] 2018-01-17
[12] 뉴스인용 지방선거 D-6개월...여야 모두 "총력전" http://www.ytn.co.kr[...] 2018-01-17
[13] 웹인용 사전투표, 별도의 신고 없이 전국 어디서나 투표할 수 있어요 http://nec.go.kr/por[...] 2018-06-11
[14] 웹인용 제35조(보궐선거 등의 선거일) http://www.law.go.kr[...] 2018-01-17
[15] 뉴스인용 미리보는 무술년 정치일정…지방선거ㆍ재보선 http://www.yonhapnew[...] 2018-01-17
[16] 웹인용 제23조(자치구·시·군의회의 의원정수) http://www.law.go.kr[...] 2018-01-17
[17] 웹인용 공직선거법 제24조의3(자치구·시·군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 http://www.law.go.kr[...] 2018-01-17
[18] 뉴스인용 선관위 "지방의원 선거구 획정 위한 공직선거법 개정 서둘러야" http://www.yonhapnew[...]
[19] 뉴스인용 선거구획정안 본회의 통과…시한보다 석달 늦어 http://www.newsis.co[...] 2018-03-05
[20] 웹사이트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주요사무 일정 https://www.nec.go.k[...]
[21] 웹사이트 사전투표란
[22] 뉴스인용 [그래픽] 6·13 지방선거 지역별 사전투표율 http://www.yonhapnew[...] 2018-06-09
[23] 뉴스인용 6·13 지방선거 최종 사전투표율 20.14% http://www.ytn.co.kr[...] 2018-06-09
[24] 웹사이트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사전투표진행상황 http://info.nec.go.k[...]
[25] 뉴스인용 6.13선거 출구조사...박원순·이재명 등 與 강세 http://www.zdnet.co.[...] 2018-06-13
[26] Youtube https://www.youtube.[...]
[27] 웹사이트 https://www.huffingt[...]
[28] 웹사이트 http://www.hani.co.k[...]
[29] 웹사이트 http://news1.kr/arti[...]
[30] 웹사이트 http://ikbc.co.kr/j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