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9사단 (베트남 공화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사단 (베트남 공화국)은 1961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베트남 공화국 육군 사단이다. 창설 초기에는 훈련을 받았으며, 1967년 끼엔장 9-1 작전에 참여하여 베트콩 부대의 전투 능력을 상실시켰다. 1970년에는 군단의 즉응 부대로 활용되었으며, 1972년 안록 전투, 1973년 홍응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1974년 뜨리 파 전투와 스바이리엥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1975년 남베트남의 멸망과 함께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공화국군의 사단 - 제25사단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군 소속 제25사단은 1961년 창설되어 베트남 전쟁에 참전, 미군과의 협력으로 전력 증강을 꾀했으나 1975년 소멸되었다.
  • 베트남 공화국군의 사단 - 제7사단 (베트남 공화국)
    1959년 창설된 남베트남 육군 제7사단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여 쿠데타 진압과 메콩 삼각주 통제권 회복에 기여했으나, 1975년 북베트남 공세로 붕괴하며 부패와 무능으로 남베트남 패망의 원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제9사단 (베트남 공화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9사단 부대 휘장
제9사단 부대 휘장
소속 국가베트남 공화국
군종베트남 공화국군
종류사단
역할해당 없음
규모해당 없음
사령부 구조IV 군단
주둔지껀터, 사댁
별칭해당 없음
수호 성인해당 없음
표어해당 없음
색상해당 없음
군가해당 없음
마스코트해당 없음
장비해당 없음
기념일해당 없음
훈장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사단기
사단기
역사
창설1961년
해체1975년
전투 및 작전
참전 전투베트남 전쟁
키엔장 9-1 작전
뗏 공세
안록 전투
홍응우 전투
찌팝 전투
지휘관
주요 지휘관람꽝티
쩐바디
후인반락
명칭
베트남어 명칭Sư đoàn 9

2. 역사

1961년 3월, 제9사단이 창설되어 22주간의 훈련 프로그램을 시작했고,[3] 초대 사단장은 부이 딘 대령(1961~1963)이었다. 1965년 말, 미군 고문단은 사단장 람 꽝 티 대령을 "괜찮지만" "자신감과 공격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같은 해 마지막 6개월 동안 사단에서 1800명 이상의 탈영병이 발생했고 사기는 저조했다.[4] 1967년 11월, 사단은 제7사단, 제5해병대대 및 미군 기동강습부대와 함께 딘투엉 성 서부 베트콩 제263대대 기지(기지 구역 470)를 공격하는 끼엔장 9-1 작전에 참여하여 제263대대의 전투 능력을 상실시켰다.[5]

1970년 1월, 존 폴 반은 엘스워스 벙커 대사의 요청으로 IV 군단 지휘관들에 대한 자체 평가를 내놓았는데, 이는 MACV의 공식적인 판단과 달랐다. 반은 세 명의 사단장과 특별 구역 사령관 모두를 교체할 것을 권고했지만, 제7사단장만 교체되었다.[4] 같은 해, IV 군단장 응우옌 비엣 탄은 사단을 지역 방어 임무에서 철수시키고 군단의 즉응 부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4] 1971년, 사단은 That Son(7개의 산) 지역의 베트남 인민군(PAVN)과 베트콩(VC) 기지 구역 400을 파괴하는 데 집중했다.[6]

1972년 말, 사단은 사덱 성, 빈롱 성, 빈빈 성, 키엔호아 성을 담당하며, VC 군사 지역 3의 지휘를 받는 D3 정규 연대 하나만 상대했다. D3 연대는 빈롱 남동부에서 작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7] 안록 전투 당시, 1972년 5월 15일 메콩 삼각주에서 증원된 제15연대와 제9 기갑 기병 중대, 제21사단은 13호선 동쪽 북쪽으로 이동하여 PAVN 제209연대, 제7사단의 타우오 저지선을 우회, 안록 남쪽 10km 지점 탄카이에 화력 지원 기지를 구축했다. 5월 20일 PAVN 제141연대가 탄카이 기지를 공격했으나 3일간의 방어에 실패하고 철수했다.[6] 제15연대와 제21사단이 안록에서 교전 중일 때, 나머지 사단과 제7사단, 지역군 및 국민군은 PAVN/VC의 캄보디아 남부와 메콩 삼각주의 부활절 공세에 맞서 방어했다. 이들은 병력이 부족했지만 PAVN/VC가 삼각주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막았다.[6]

1973년 3월 홍응 전투에서 PAVN은 제174연대와 제207연대, 제6사단 제272연대(제9사단에서 분리), 제75 포병 그룹 병력을 프레이벵 성 홍응 북서쪽 캄보디아 기지 구역 704에 집중시켰다. 제207연대가 선두에서 포병 지원을 받아 PAVN은 기지 구역 704에서 홍응으로 공격, 메콩강을 따라 캄보디아로 가는 남베트남 보급 수송선을 차단하려 했다. 그러나 격렬한 저항과 후방 지역에 대한 USAF B-52 및 전술 폭격기 폭격을 받았다. 1973년 1월 28일 파리 평화 협정에 따라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했지만, 캄보디아와 라오스에서의 미군 작전은 1973년 8월 15일까지 계속되었고, USAF는 크메르 국군의 메콩강 강둑 정리 작전을 지원했다. 4월 23일 메콩강과 홍응 시내 사이 국경 북쪽에서의 B-52 폭격으로 공격 부대 상당수가 파괴되었고, 생존자들은 100명 이상의 PAVN 시체가 운반되는 것을 보았다고 보고했다.[7] 4월 중순, 제15 보병 연대, 제2 기갑 기병 중대 및 남베트남 지역군은 PAVN에 반격했다. 베트남 공화국 공군과 해군의 지원으로 많은 사상자에도 불구하고 ARVN 부대는 메콩강 동쪽을 홍응에서 캄보디아 국경까지 정리할 수 있었다. 이 공격은 PAVN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었고 사기를 저하시켰다. 5월 말, 제207연대 대대 중 한 곳은 100명만 남았다.[7]

1973년 말, 훙 반 락 준장이 쩐 바 디 소장을 제9사단장으로 교체했다. IV 군단의 재편성으로 모든 레인저가 군단에서 제거되고 제44 특별 전술 구역이 폐지되었다. 이 변경으로 사단은 쩌우독과 북부 끼엔장 성, 끼엔퐁 성에 대한 책임을 맡게 되었다. 빈롱과 빈빈의 두 남부 성을 제7사단으로 넘기고, 제7사단의 작전 통제를 받던 제14연대를 회수하고, 제15연대를 쯩티엔 성의 제21사단의 작전 통제로 해제했다. 락 장군은 두 개의 보병 연대로 국경 지역 북부에서 세 개의 레인저 연대에 해당하는 병력을 대체했다. 이는 해당 지역의 적 정규군이 홍응 및 쩌우독 전투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가능했다.[7] 1974년 2월, 제14연대와 제16연대의 일부 병력은 제7사단 부대와 함께 뜨리 파 전투에 참전하여 PAVN 부대가 도착하기 전에 딘투엉 성의 PAVN 기지를 공격했다.[7] 1974년 4월 스바이리엥 전투에서 제15 보병은 제7사단의 통제를 받는 제16 기갑 기병 중대 일부와 함께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여 제7사단 태스크포스와 함께 캄보디아의 코끼리 발 지역을 수색했다. 12일간의 전투에서 이 두 기동 태스크포스는 PAVN 군인 850명을 사살하고 31명을 생포했으며 100개 이상의 무기를 수집했고, 사망자 39명을 포함하여 300명 미만의 사상자를 냈다.[7]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1961년 ~ 1967년)

1961년 3월, 제9사단이 창설되어 22주간의 훈련 프로그램을 시작했다.[3] 초대 사단장은 부이 딘 대령(1961~1963)이었다.

1965년 말, 미군 고문단은 사단장 람 꽝 티 대령을 "괜찮지만" "자신감과 공격성"이 부족하다고 평가했다. 같은 해 마지막 6개월 동안 사단에서 1800명 이상의 탈영병이 발생했고, 사기는 저조했다.[4]

1967년 11월 15일부터 19일까지, 제9사단은 제7사단, 제5해병대대 및 미군 기동강습부대와 함께 딘투엉 성 서부의 베트콩 (VC) 제263대대 기지(기지 구역 470)를 공격하는 끼엔장 9-1 작전에 참여했다. 이 작전으로 제263대대는 전투 능력을 상실했다.[5]

2. 2. 중기 활동 (1970년 ~ 1973년)

1970년, IV 군단장 응우옌 비엣 탄은 제9사단을 지역 방어 임무에서 철수시키고 군단의 즉응 부대로 활용하기 시작했다.[4]

1971년, 제9사단은 That Son(7개의 산) 지역의 베트남 인민군(PAVN)과 베트콩(VC) 기지 구역 400을 파괴하는 데 집중했다.[6]

1972년 안록 전투에서 5월 15일, 메콩 삼각주에서 증원된 제15연대와 제9 기갑 기병 중대, 제21사단은 13호선 동쪽 북쪽으로 이동하여 PAVN 제209연대, 제7사단의 타우오 저지선을 우회하여 안록 남쪽 10km 지점 탄카이에 화력 지원 기지를 구축했다. 5월 20일 PAVN 제141연대가 탄카이 기지를 공격했으나 3일간의 방어에 실패하고 철수했다.[6] 제15연대와 제21사단이 안록에서 교전 중이었기 때문에, 나머지 제9사단과 제7사단, 지역군 및 국민군은 PAVN/VC의 캄보디아 남부와 메콩 삼각주의 부활절 공세에 맞서 방어했다. 이들은 병력이 부족했지만 PAVN/VC가 삼각주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막았다.[6]

1973년 3월 홍응 전투에서 PAVN은 제174연대와 제207연대, 제6사단 제272연대(제9사단에서 분리), 제75 포병 그룹 병력을 프레이벵 성 홍응 북서쪽 캄보디아 기지 구역 704에 집중시켰다. 제207연대가 선두에서 포병 지원을 받아 PAVN은 기지 구역 704에서 홍응으로 공격하여 메콩강을 따라 캄보디아로 가는 남베트남 보급 수송선을 차단하려 했다. 그러나 격렬한 저항과 후방 지역에 대한 USAF B-52 및 전술 폭격기 폭격을 받았다. 1973년 1월 28일 파리 평화 협정에 따라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했지만, 캄보디아와 라오스에서의 미군 작전은 1973년 8월 15일까지 계속되었고, USAF는 크메르 국군의 메콩강 강둑 정리 작전을 지원했다. 4월 23일 메콩강과 홍응 시내 사이 국경 북쪽에서의 B-52 폭격으로 공격 부대 상당수가 파괴되었고, 생존자들은 100명 이상의 PAVN 시체가 운반되는 것을 보았다고 보고했다.[7] 4월 중순, 제15 보병 연대, 제2 기갑 기병 중대 및 남베트남 지역군은 PAVN에 반격했다. 베트남 공화국 공군과 해군의 지원으로 많은 사상자에도 불구하고 ARVN 부대는 메콩강 동쪽을 홍응에서 캄보디아 국경까지 정리할 수 있었다. 이 공격은 PAVN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었고 사기를 저하시켰다. 5월 말까지 제207연대 대대 중 한 곳은 100명만 남았다.[7]

2. 3. 후기 활동 및 해체 (1974년 ~ 1975년)

1974년 2월 15일부터 5월 14일까지, 제14연대와 제16연대의 일부 병력은 제7사단 부대와 함께 뜨리 파 전투에 참전했다. 이 전투에서 베트남 인민군(PAVN) 부대가 도착하기 전에 딘뜨엉 성에 있는 PAVN 기지를 공격했다.[7]

1974년 4월에는 스바이리엥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제15 보병 연대는 제7사단의 지휘를 받는 제16 기갑 기병 중대의 일부와 함께 태스크포스를 구성했다. 이들은 제7사단 태스크포스와 함께 캄보디아의 코끼리 발 지역을 수색했다. 국경 지역에서 12일 동안 이어진 전투에서, 두 기동 태스크포스는 PAVN 군인 850명을 사살하고 31명을 생포했으며, 100개 이상의 무기를 노획했다. 이 과정에서 사망자 39명을 포함하여 300명 미만의 사상자를 기록했다.[7]

이후, 1975년 남베트남이 멸망하면서 제9사단은 해체되었다.

3. 주요 전투

제9사단은 1967년 끼엔장 9-1 작전을 시작으로, 1972년 안록 전투, 1973년 홍응 전투, 1974년 뜨리 파 전투와 스바이리엥 전투 등 여러 주요 전투에 참여했다. 특히 1971년에는 베트남 인민군(PAVN)과 베트콩(VC) 기지 구역 400을 That Son (7개의 산) 지역에서 파괴하는 데 집중했다.[6]

1972년 말, 제9사단은 사덱 성, 빈롱 성, 빈빈 성, 키엔호아 성을 담당했다. 당시 사단은 VC 군사 지역 3의 지휘를 받는 D3 정규 연대 하나만 상대했는데, 이 연대는 남베트남에서 여전히 주로 VC로 간주되는 두 개의 정규 연대 중 하나였으며 빈롱 남동부에서 작전을 수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7]

1973년 말, 훙 반 락 준장이 쩐 바 디 소장을 제9사단장으로 교체했다. IV 군단 재편성으로 제9사단은 쩌우독과 북부 끼엔장 성, 끼엔퐁 성을 담당하게 되었다. 제7사단에 빈롱과 빈빈 성을 넘기고, 제7사단의 작전 통제 하에 있던 제14연대를 회수했으며, 제15연대는 쯩티엔 성의 제21사단 작전 통제에서 해제되었다. 이로써 락 장군은 두 개 보병 연대로 국경 지역 북부에서 세 개 레인저 연대에 해당하는 병력을 대체했는데, 이는 홍응 및 쩌우독 전투에서 해당 지역 적 정규군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기 때문이었다.[7]

3. 1. 끼엔장 9-1 작전 (1967년)

1967년 11월 15일부터 19일까지, 제9사단은 제5해병대대, ARVN 제7사단, 미군 기동강습부대와 함께 딘뜨엉 성 서부의 기지 구역 470에서 베트콩 (VC) 제263대대를 공격하는 끼엔장 9-1 작전에 참여했다.[5] 이 작전으로 제263대대는 전투 능력을 상실했다.[5]

3. 2. 안록 전투 (1972년)

1972년 5월 15일, 메콩 삼각주에서 베트남 공화국 육군(ARVN) 부대를 증원하기 위해 재배치된 제15연대와 제9 기갑 기병 중대, 제21사단은 13호선 동쪽 북쪽으로 이동하여 베트남 인민군(PAVN) 제209연대, 제7사단의 타우오(Tau O)에 설치된 저지선을 우회하여 안록에서 남쪽으로 10 km 떨어진 탄카이(Tan Khai)에 화력 지원 기지를 구축했다.[6] 5월 20일 PAVN 제141연대가 탄카이 기지를 공격했고 3일 동안 끈질긴 방어에 성공하지 못하고 철수했다.[6]

3. 3. 홍응 전투 (1973년)

1973년 3월 홍응 전투에서 베트남 인민군(PAVN)은 제6사단 소속 제174연대와 제207연대, 제9사단에서 분리된 제272연대, 그리고 제75 포병 그룹의 병력을 프레이벵 성 홍응 북서쪽 캄보디아에 있는 기지 구역 704에 집결시켰다.[7] 제207연대가 선두에 서고 포병 지원을 받으며, PAVN은 기지 구역 704에서 홍응 방향으로 공격하여 메콩강을 따라 캄보디아로 향하는 남베트남 보급 수송선을 차단하고자 했다.[7]

그러나 PAVN은 즉각적인 격렬한 저항에 직면했을 뿐만 아니라, 후방 지역이 미국 공군(USAF) B-52와 전술 폭격기의 폭격을 받았다.[7] 1973년 1월 28일 파리 평화 협정에 따라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했지만, 캄보디아와 라오스에서의 미군 작전은 1973년 8월 15일까지 계속되었고, USAF는 크메르 국군의 메콩강 강둑을 베트남 국경에서 프놈펜까지 정리하는 작전을 강력하게 지원했다.[7]

1973년 4월 23일 메콩강과 홍응 시내 사이 국경 북쪽에서 있었던 B-52 폭격으로 공격 부대의 상당수가 파괴되었고, 생존자들은 인상적인 민간인들이 100명 이상의 PAVN 시체를 그 지역에서 운반하는 것을 보았다고 보고했다.[7] 4월 중순, 제15 보병 연대, 제2 기갑 기병 중대 및 남베트남 지역군은 PAVN에 대항하여 반격했다.[7] 베트남 공화국 공군과 해군의 지원을 받아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ARVN 부대는 메콩강 동쪽을 홍응에서 캄보디아 국경까지 정리할 수 있었다.[7]

이 공격은 PAVN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그들의 사기에 타격을 입혔다. 5월 말까지 제207연대 대대 중 한 곳은 100명의 병력만 남았다.[7]

3. 4. 뜨리 파 전투 (1974년)

1974년 2월 15일부터 5월 14일까지, 제14연대와 제16연대에서 차출된 1개 대대가 제7사단 부대와 함께 뜨리 파 전투에 참여했다. 이들은 베트남 인민군(PAVN) 부대가 도착하기 전에 딘투엉 성의 PAVN 기지를 공격했다.[7]

3. 5. 스바이리엥 전투 (1974년)

1974년 4월 스바이리엥 전투에서 제15 보병 연대는 제7사단의 통제를 받는 제16 기갑 기병 중대 일부와 함께 태스크포스를 구성하여 제7사단 태스크포스와 함께 캄보디아의 코끼리 발 지역을 수색했다.[7] 국경 지역에서 12일 동안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 두 기동 태스크포스는 베트남 인민군(PAVN) 850명을 사살하고 31명을 생포했으며, 100개 이상의 무기를 수집했다. 이 과정에서 사망자 39명을 포함하여 300명 미만의 사상자를 냈다.[7]

4. 구성 부대


  • 제14보병연대
  • 제15보병연대
  • 제16보병연대
  • 제90포병대대
  • 제91포병대대
  • 제92포병대대
  • 제93포병대대
  • 제2기갑기병대대
  • 미국 자문단 60

5. 평가

(현재 섹션에 대한 원본 소스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Hội cựu quân nhân Sư đoàn 9 Bộ binh http://sd9bb.tripod.[...]
[2] 웹사이트 Quốc hận 30 tháng 4 http://sd9bb.tripod.[...]
[3] 서적 Vietnam Studies The Development and Training of the South Vietnamese Army, 1950-1972 https://history.army[...]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5-10-17
[4] 서적 The U.S. Army in Vietnam Advice and Support: The Final Years, 1965-1973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5] 서적 United States Army in Vietnam Combat Operations Staying the Course October 1967 to September 1968 https://history.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United States Army
[6] 서적 The Easter Offensive of 1972 https://apps.dtic.mi[...]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7] 서적 Vietnam from ceasefire to capitulation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