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매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매화는 새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이루어지도록 진화한 식물들을 의미한다. 조매화는 붉은색 계열의 꽃, 새가 앉기 쉬운 꽃 구조, 꿀의 양과 당도, 냄새 등에서 특징적인 적응을 보인다. 이러한 적응은 꿀 도둑질을 방지하고 수분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개화 시기는 새의 번식 및 이동 시기와 연관된다. 조매화에는 벌새, 태양새, 꿀빨이새 등이 관여하며, 이들은 꿀을 섭취하고 꽃가루를 옮기는 역할을 한다. 조매화와 새는 공진화 관계를 보이며, 벌새의 부리 모양과 꽃의 형태가 서로 적응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에서는 동백나무, 매화, 살구 등이 조매화에 해당하며, 동박새가 주요 조매 조류로 활동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꽃가루받이 - 과일
과일은 식용 가능한 열매를 맺는 목본성 식물을 넓게, 과실 수확 목적의 과일나무를 좁게 의미하며, 형태, 생육 환경 등에 따라 나뉘고 단과, 집합과, 다화과 등으로 구분되며, 인류는 오래전부터 재배 및 섭취해왔고 한국에서는 과일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 '과일의 날'을 지정했다. - 꽃가루받이 - 수정 (생물학)
수정은 생물학에서 정자와 난자가 결합하여 새로운 개체를 형성하는 과정이며, 유전적 재조합을 통해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체외 수정, 체내 수정, 식물 수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일어난다. - 꽃 - 무궁화
무궁화는 한국의 국화로 여겨지는 낙엽 관목으로, 여름 동안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강한 생명력을 지닌 역사적으로 중요한 식물이다. - 꽃 - 매실나무
매실나무는 중국 남부 원산의 장미과 낙엽 교목으로, 이른 봄에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여름에 청매와 황매로 나뉘는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 식용, 약용으로 재배되고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조매화 | |
---|---|
조매 | |
![]() | |
설명 | 조류에 의한 꽃가루받이 |
특징 | |
특징 | 조매는 약 7,000종의 식물 종에서 발생하며, 주로 열대 지방에서 발생한다. 조매는 꿀벌에 의한 충매 다음으로 두 번째로 흔한 꽃가루받이 형태이다. |
조매를 하는 새 | |
조매를 하는 새 | 벌새 태양새 꿀먹이새 꽃새 흰눈테과 |
식물의 특징 | |
꽃의 색깔 | 붉은색, 주황색, 노란색 |
냄새 | 강하지 않음 |
꿀 | 풍부하게 생산 |
꽃가루 | 비교적 무거움 |
2. 조매화 식물의 적응
조매화 식물은 새를 유인하고 꽃가루받이(수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해왔다. 이러한 적응은 크게 형태적 적응과 생리적 적응으로 나눌 수 있다.
새는 붉은색에 민감하고 붉은색은 녹색 잎과 대비되어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조매화는 주로 붉은색 계열의 꽃을 피운다. 꽃의 구조 또한 새의 수분을 돕도록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긴 꽃부리 튜브나 밖으로 뻗은 수술을 가지고 있다. 조매화는 주로 덥고 건조한 계절에 개화한다.
조매화는 꿀의 농도를 조절하고, 향기가 거의 없으며, 끈적끈적한 꽃가루를 생산하는 등 생리적 적응을 보인다. 또한, 단단한 씨방을 가지는 등 꿀과 꽃가루를 훔치는 곤충이나 다른 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적응도 발전시켰다.
2. 1. 형태적 적응
조매화는 새가 꽃가루받이(수분)를 하도록 돕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로 적응해왔다. 우선, 새는 붉은색에 민감하고 붉은색은 녹색 잎과 대비되어 눈에 잘 띄기 때문에, 조매화는 주로 붉은색 계열의 꽃을 피운다.[7] 신세계의 조매화는 구세계의 조매화보다 더 순수한 붉은색을 띠는데, 이는 곤충의 '꿀 도둑질'을 막고 수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8][9]꽃의 구조 또한 새의 수분을 돕도록 적응되었다. 조매화의 꽃은 새가 앉기 쉽도록 튼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2][3] 긴 꽃부리 튜브나 밖으로 뻗은 수술을 통해 새의 부리나 머리에 꽃가루를 묻히기 쉽다.[10]
조매화는 주로 덥고 건조한 계절에 개화하는데, 이는 새의 번식 및 이동 시기와 관련이 있다.[17] 예를 들어, 한국의 동백나무는 겨울철에 개화하여 동박새 등에게 꿀을 제공한다.
2. 2. 생리적 적응
조매화는 새를 유인하여 꽃가루받이(수분)를 하고, 곤충을 막아 '꿀 도둑질'을 방지하며, 새의 부리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씨방을 보호하는 생리적 적응을 보인다.[4][5][6]- 꿀: 조매화는 많은 양의 꿀을 생산하며, 꿀의 농도는 새의 에너지 요구량에 맞춰 조절된다.[12][13] 벌새가 수분하는 꽃은 자당이 풍부한 경향이 있다.[14]
- 향기: 조매화는 향기가 거의 없는데, 이는 새의 후각이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1]
- 꽃가루: 헬리코니아와 같은 일부 조매화는 끈적끈적한 꽃가루를 생산하여 새의 부리에 잘 달라붙도록 한다.[20]
2. 3. 꿀 도둑질 방지
조매화는 꿀과 꽃가루를 훔치는 곤충이나 다른 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적응을 발전시켰다. 예를 들어, 단단한 씨방은 새의 부리에 의한 손상을 막아준다.[6] 긴 부리를 가진 새에 의해 수분되도록 특화된 꽃은 특히 꿀 도둑질에 취약할 수 있다.[23] 예를 들어, 조매화의 긴 튜브에 접근할 수 없는 일부 벌과 새는 수분하지 않고 꿀을 얻기 위해 꽃 밑 부분을 뚫기도 한다.[24]3. 새의 적응
조매화에 관여하는 새들은 꿀을 섭취하고 꽃가루를 옮기는 데 특화된 형태적, 생리적 적응을 보인다. 새들은 앉아서 또는 공중에서 꿀을 얻을 수 있으며, 벌새와 태양새는 주로 공중에서 꿀을 얻는다. 벌새는 비영토성 "은둔자" 벌새와 영토성 비은둔자 벌새 두 종류의 먹이 활동을 보인다.[5]
흰눈썹참새와 같은 일부 새의 경우, 꽃가루가 새의 이마에 묻으면 깃털의 마모가 증가하여 털갈이와 깃털 교체가 늘어나기도 한다.[30]
3. 1. 주요 조매 조류
벌새는 주로 신대륙에 서식하며, 공중에서 정지 비행을 하며 꿀을 빨아먹는 데 특화되어 있다. 꿀새는 주로 구대륙 열대 지방에 서식하며, 긴 부리와 혀를 이용하여 꿀을 섭취한다. 꿀빨이새는 주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서식하며, 다양한 형태의 부리를 가지고 꿀, 과일, 곤충 등을 먹는다. 이외에도 동박새, 직박구리 등이 조매화에 관여한다.3. 2. 생리적 적응
벌새는 과당과 포도당 같은 육탄당을 선호하는 많은 참새목과 달리 수크로스(자당)를 소화할 수 있다. 별똥별과 그 친척들은 수크로스를 완전히 피한다.[25] 꿀을 먹는 새들은 과도한 수분을 빠르게 배설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충분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하루에 체중의 4~5배에 달하는 액체를 마셔야 할 수도 있다.[26] 벌새는 수분 함량이 낮은 먹이를 먹는 새들보다 더 많은 수분 손실을 감당할 수 있어 질소 폐기물을 암모니아로 배설할 수 있다.[27][28] 벌새와 태양새는 과도한 수분을 빠르게 배설할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적응을 가지고 있다. 벌새는 밤에 신장 기능을 끌 수도 있다.[29]4. 조매화의 진화 패턴
조류 매개 수분, 즉 조매화는 식물에게 많은 비용이 드는 전략이지만, 곤충 매개자가 부족한 고산 생태계, 건조 지역, 고립된 섬 같은 환경에서는 이점을 가진다.[42][5] 섬 지역에서는 벌과 나비가 드물기 때문에 일반적인 조류가 신뢰할 수 있는 수분 매개자로 적응한 결과이다.[43]
일반적인 조류에 의해 수분되는 식물은 뚜렷한 계절성을 가진 열대 및 아열대 저지대에서 가장 다양하다. 이들은 대부분 크고 나무가 많은 종으로, 전문적인 꿀을 먹는 조류에 의해 수분되는 작은 관목 및 초본과는 달리 많은 수의 열린 꽃을 동시에 생산한다. 일반적인 조류는 주로 교차 수분을 제공하며, 많은 꿀이 있어도 절지동물, 과일, 씨앗을 먹고 숲을 많이 이동하면서 꿀을 제공하는 식물 사이를 이동한다.[43]
약 7,000종의 신열대 식물은 벌새에 의해 수분되지만,[31] 북미에서는 약 129종만이 조류 매개 화분 매개 관계를 진화시켰다.[32] 살비아속(Salvia)의 900종 중 거의 4분의 1이 중앙 및 남아메리카에서 조류에 의해 수분되며, 일부는 남아프리카에서도 발견된다.[33] 열대 중국과 인접한 인도차이나 국가에는 조류 매개 꽃이 비교적 적다. 그중 하나는 조록나무과(Hamamelidaceae)에 속하는 ''로돌레이아 챔피오니''(Rhodoleia championii)로, 한 지역에서 최대 7종의 꿀을 찾는 조류(예: 일본 흰눈썹새, 붉은가슴 태양새)가 방문하여 수분할 수 있다.[34]
4. 1. 공진화
벌새는 에너지를 얻기 위해 꿀에 의존하며, 조류 매개 꽃은 번식을 위해 벌새의 수분 도움을 필요로 한다. 새가 먹이를 먹는 동안 꽃가루가 부리에 달라붙어 다음 꽃을 방문할 때 떨어져 수분된다.[35]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로에 대한 상호 의존성은 수분 증후군의 공진화를 야기한다.[36] 예를 들어, 벌새의 종에 따라 부리 모양이 다른데, 이는 주변의 꽃에서 꿀을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37] 짧은 부리를 가진 벌새는 짧은 꽃잎을 가진 더 넓은 꽃에서 꿀을 마시고, 긴 부리를 가진 벌새는 길고 좁은 화관을 가진 꽃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대부분의 경우 긴 부리 종은 짧고 긴 꽃 모두에 접근할 수 있지만 경쟁을 피하기 위해 짧은 꽃을 피하는 경우가 많다.[38] 또한, 굽은 부리를 가진 벌새는 곧은 꽃잎을 가진 꽃에서 먹이를 찾지만, 곧은 부리를 가진 새는 굽은 꽃을 방문할 가능성이 적다.[39]4. 2. 이동과 개화 시기의 동기화
개화 시기는 종종 온대 기후대에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지표로 사용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식물은 기온 상승에 반응하여 더 일찍 개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4] 벌새와 꽃 사이의 강력한 공진화는 벌새와 꽃 모두의 중요한 행동이 동기화되는 적응적 특화 결과를 낳았다. 벌새는 꿀에 크게 의존하기 때문에, 벌새의 이동은 꽃 종의 개화 시기와 상관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45] 특수종 벌새 종의 경우, 개화 계절학은 가을 이동 중 및 이동 후 생존에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S. rufus''의 이동 경로는 독특한 꽃 종의 개화와 연결되어 있다.[46] ''S. rufus''는 ''S. iodantha'' 꽃을 선호한다.[47][46] 연구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서 ''S. rufus''의 존재는 ''S. iodantha''의 개화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개화 시기는 가을 이동 중 ''S. rufus''의 생존에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Impatiens capensis'' 꽃의 개화 절정은 붉은가슴벌새의 이동 절정과 일치한다.[46]5. 기타 연관 관계
일부 진드기 종(주로 ''Proctolaelaps'', ''Tropicoseius'' 및 ''Rhinoseius'' 속, Ascidae과)은 정착 공생 생활 방식을 진화시켜 꽃을 찾는 벌새의 콧구멍으로 들어가 다른 꽃으로 이동하여 꿀을 먹는다. 벌새 꽃 진드기는 헬리코니아과, 생강과, 수선화과, 꼭두서니과, 협죽도과, 파인애플과, 제스네리아과, 초롱꽃과 및 진달래과의 식물을 선호하며, 이 식물들은 벌새와 관련이 있다.[48]
6. 한국의 조매화
한국에서는 동백나무, 매화, 살구, 샐비어 등이 대표적인 조매화 식물이다. 이들 식물의 수분(꽃가루받이)에 관여하는 주요 조류로는 동박새와 직박구리 등이 있다. 특히 동박새는 동백꽃의 수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동백꽃의 개화 시기가 빨라지고 있으며, 이는 동박새의 번식 등 생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7. 조매화의 예시
참조
[1]
논문
Bird–flower interactions in the Macaronesian islands
http://www.biosci.oh[...]
2009-04-15
[2]
논문
The Behavior and Interactions of Birds Visiting ''Erythrina fusca'' Flowers in the Colombian Amazon
[3]
논문
Reproductive biology of Butea monosperma (Fabaceae)
2003-11
[4]
논문
'Anti-bee' and 'pro-bird' changes during the evolution of hummingbird pollination in Penstemon flowers
https://www.csun.edu[...]
2004-07
[5]
논문
Bird-pollinated flowers in an evolutionary and molecular context
[6]
논문
The Protection of the Ovules in Flowering Plants
[7]
논문
Avian Visual Pigments: Characteristics, Spectral Tuning, and Evolution
https://www.jstor.or[...]
2007
[8]
논문
Red flowers differ in shades between pollination systems and across continents
2020-10-06
[9]
논문
Nectar Robbing: Ecological and Evolutionary Perspectives
https://www.annualre[...]
2010-11-02
[10]
논문
Beyond humminbird-flowers: the other side of ornithophily in the Neotropics.
2010
[11]
논문
Trends in floral scent chemistry in pollination syndromes: floral scent composition in hummingbird-pollinated taxa
[12]
논문
Evolutionary associations between nectar properties and specificity in bird pollination systems
2008-02
[13]
논문
Why are so many bird flowers red?
2004-10
[14]
논문
Evolutionary changes in nectar sugar composition associated with switches between bird and insect pollination: the Canarian bird-flower element revisited
[15]
논문
Explosive flower-opening in ornithophily: A study of pollination mechanisms in some Central African Loranthaceae
[16]
논문
Floret Opening in ''Banksia menziesii'' R.Br.; The Importance of Nectarivorous Birds
[17]
논문
Reproductive Phenology of a Tropical Dry Forest in Mudumalai, Southern India
[18]
논문
A Remarkable Case of Ornithophily in Calceolaria: Food Bodies as Rewards for a Non-nectarivorous Bird*
1996
[19]
웹사이트
Bird pollinated plant mixes it up when it comes to sex
https://phys.org/new[...]
2019-03-20
[20]
논문
Pollen-connecting threads in Heliconia (Heliconiaceae)
[21]
논문
Transfer of pollinaria on birds' feet: a new pollination system in orchids
[22]
논문
Consumptive emasculation: the ecological and evolutionary consequences of pollen theft
2009-05
[23]
논문
Floral traits mediate the vulnerability of aloes to pollen theft and inefficient pollination by bees
2012-03
[24]
논문
A trade-off between the amount and distance of pollen dispersal triggered by the mixed foraging behaviour of Sephanoides sephaniodes (Trochilidae) on Lapageria rosea (Philesiaceae)
http://captura.uchil[...]
[25]
논문
Nectar concentration affects sugar preferences in two Australian honeyeaters and a lorikeet
[26]
논문
Osmoregulation in an avian nectarivore, the whitebellied sunbird Nectarinia talatala: response to extremes of diet concentration
2003-06
[27]
논문
Are hummingbirds facultatively ammonotelic? Nitrogen excretion and requirements as a function of body size
https://works.bepres[...]
[28]
논문
Can birds be ammonotelic? Nitrogen balance and excretion in two frugivores
2005-03
[29]
논문
Hummingbirds arrest their kidneys at night: diel variation in glomerular filtration rate in Selasphorus platycercus
2004-12
[30]
논문
Supplementary head molt in Cape White-eyes: a consequence of nectar feeding?
http://sora.unm.edu/[...]
[31]
논문
Morphological and behavioural adaptations to feed on nectar: how feeding ecology determines the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hummingbird assemblages.
https://www.zora.uzh[...]
2015
[32]
논문
Historical development of ornithophily in the western North American flora
1994-10
[33]
논문
Bird pollination in South African Salvia species
[34]
논문
Passerine pollination of ''Rhodoleia championii'' (Hamamelidaceae) in subtropical China
[35]
웹사이트
Hummingbird Evolution
https://askabiologis[...]
2020-10-08
[36]
논문
Evolution and Homology of Bird Pollination Syndromes in Erythrina (Leguminosae)
1997
[37]
논문
The Role of Flower Width in Hummingbird Bill Length–Flower Length Relationships1
http://dx.doi.org/10[...]
2002
[38]
논문
The potential indirect effects among plants via shared hummingbird pollinators are structured by phenotypic similarity
http://dx.doi.org/10[...]
2017-06-12
[39]
논문
Different foraging preferences of hummingbirds on artificial and natural flowers reveal mechanisms structuring plant-pollinator interactions
2014-12-17
[40]
논문
Implications of floral orientation for flight kinematics and metabolic expenditure of hover-feeding hummingbirds
2012-11-21
[41]
논문
Experimental floral and inflorescence trait manipulations affect pollinator preference and function in a hummingbird-pollinated plant
http://dx.doi.org/10[...]
2011-02
[42]
논문
Ecological and Evolutionary Implications of Bird Pollination
[43]
논문
Comparison of the ecology and evolution of plants with a generalist bird pollination system between continents and islands worldwide.
2019
[44]
논문
Rapid Changes in Flowering Time in British Plants
http://dx.doi.org/10[...]
2002-05-31
[45]
논문
How does climate warming affect plant-pollinator interactions?
2009-02
[46]
논문
Hummingbird migration and flowering synchrony in the temperate forests of northwestern Mexico
2018-07-06
[47]
논문
Multiple ecological interactions: nectar robbers and hummingbirds in a highland forest in Mexico
http://dx.doi.org/10[...]
2001-06-01
[48]
논문
The effect of hummingbird flower mites on nectar availability of two sympatric Heliconia species in a Brazilian Atlantic forest
20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