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시아 투과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시아 투과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마라톤 선수로, 축구 선수에서 전향하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95년 세계 하프 마라톤 5위, 호놀룰루 마라톤 우승을 차지했으며, 1997년 런던 마라톤에서 3위를 기록했다. 1997년 후쿠오카 국제 마라톤에서 개인 최고 기록으로 우승했으며, 2002년 나가노 마라톤에서 우승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20위에 머물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자 마라톤 선수 - 케네스 매카서
    케네스 매카서는 아일랜드 출신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민을 간 육상 선수이며,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선수 경력 동안 6번의 마라톤에서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자 마라톤 선수 - 찰스 헤퍼론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웨이드 판 니케르크
    웨이드 판 니케르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육상 선수로, 2016년 리우 올림픽 400m에서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고 201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400m에서도 우승한 세계적인 선수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올림픽 육상 참가 선수 - 오스카 피스토리우스
    오스카 피스토리우스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육상 선수로, 의족을 착용하고 패럴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블레이드 러너"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여자친구 살해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웨이드 판 니케르크
    웨이드 판 니케르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육상 선수로, 2016년 리우 올림픽 400m에서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하고 201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400m에서도 우승한 세계적인 선수이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케네스 매카서
    케네스 매카서는 아일랜드 출신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이민을 간 육상 선수이며,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선수 경력 동안 6번의 마라톤에서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
조시아 투과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적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생일1971년 4월 14일
출생지트란스발 주베탈
종목육상
세부 종목마라톤
올림픽
올림픽1996년 애틀랜타 금메달

2. 생애 및 경력

조시아 투과니는 원래 축구 선수였지만 마라톤 선수로 전향했다. 애틀랜타 올림픽 전에는 광산 숙소 경비원으로 일했다.[3] 1995년 세계 하프 마라톤에서 5위를 차지했고, 호놀룰루 마라톤에서는 2시간 16분 8초로 우승했다. 1996년 3월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치안 악화로 카 재킹을 당해 등에 총을 겨누고 도망가는 과정에서 턱에 총알이 스치는 등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졌다.[3][4]

1996년 8월 애틀랜타 올림픽 남자 마라톤에 출전, 경기 전에는 주목받는 선수가 아니었지만 2시간 12분 36초의 기록으로 우승하여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레이스에서는 30km 지점부터 페이스를 올린 이봉주, 에릭 와이나이나와 선두 그룹을 형성했지만, 스타디움 앞에서 투과니가 스퍼트하여 이봉주에게 3초 차이의 접전 끝에 골인했다.[3] 이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역사를 가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흑인 최초의 금메달리스트가 되는 쾌거였으며, '''우리 흑인도 국제 사회에서 자유롭게 달릴 수 있게 되어서 그게 무엇보다 기쁘다'''라는 소감을 남겼다.[3] 하지만, 올림픽 이전부터 강도를 당하는 등 활약을 거듭할수록 아이러니하게도 생명의 위협에 시달리게 되었다.[4]

1997년 런던 마라톤에서 2시간 8분 06초의 기록으로 3위를 차지했다. 일본의 마라톤 대회에도 여러 차례 출전했으며, 1997년 후쿠오카 국제 마라톤에서는 2시간 7분 28초의 개인 최고 기록으로 우승했다. 2002년 나가노 마라톤에서 우승, 다음 해인 2003년에는 같은 마라톤에서 2위를 차지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2시간 16분 59초로 20위에 그쳤다.[3]

2. 1. 초기 생애 및 선수 경력

조시아 투과니는 원래 축구 선수였지만 마라톤 선수로 전향했다. 애틀랜타 올림픽 전에는 광산 숙소 경비원으로 일했다.[3] 1995년 세계 하프 마라톤에서 5위를 차지했고, 호놀룰루 마라톤에서는 2시간 16분 8초로 우승했다. 1996년 3월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치안 악화로 카 재킹을 당해 등에 총을 겨누고 도망가는 과정에서 턱에 총알이 스치는 등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졌다.[3][4]

1996년 8월 애틀랜타 올림픽 남자 마라톤에 출전, 경기 전에는 주목받는 선수가 아니었지만 2시간 12분 36초의 기록으로 우승하여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레이스에서는 30km 지점부터 페이스를 올린 이봉주, 에릭 와이나이나와 선두 그룹을 형성했지만, 스타디움 앞에서 투과니가 스퍼트하여 이봉주에게 3초 차이의 접전 끝에 골인했다.[3] 이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역사를 가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흑인 최초의 금메달리스트가 되는 쾌거였으며, '''우리 흑인도 국제 사회에서 자유롭게 달릴 수 있게 되어서 그게 무엇보다 기쁘다'''라는 소감을 남겼다.[3] 하지만, 올림픽 이전부터 강도를 당하는 등 활약을 거듭할수록 아이러니하게도 생명의 위협에 시달리게 되었다.[4]

1997년 런던 마라톤에서 2시간 8분 06초의 기록으로 3위를 차지했다. 일본의 마라톤 대회에도 여러 차례 출전했으며, 1997년 후쿠오카 국제 마라톤에서는 2시간 7분 28초의 개인 최고 기록으로 우승했다. 2002년 나가노 마라톤에서 우승, 다음 해인 2003년에는 같은 마라톤에서 2위를 차지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2시간 16분 59초로 20위에 그쳤다.[3]

2. 2. 국제 대회 경력

조시아 투과니는 원래 축구 선수였지만 마라톤 선수로 전향했다.[3]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고, 호놀룰루 마라톤에서는 2시간 16분 8초로 우승을 차지했다.[3]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직전에는 광산 숙소 경비원으로 일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 치안 악화로 강도를 당해 턱에 총알이 스치는 부상을 입기도 했다.[3][4]

연도대회장소순위종목기록
1992포츠담-베를린 에키덴포츠담베를린, 독일3위5km (4번째 구간)14:07
1995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몽벨리아르벨포르, 프랑스5위하프 마라톤1:02:28
12위3:12:40
1996올림픽애틀랜타, 미국1위마라톤2:12:36
2000올림픽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20위마라톤2:16:59
2001세계 선수권 대회에드먼턴, 캐나다마라톤
2002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브뤼셀, 벨기에30위하프 마라톤1:03:39
4위3:07:29
2003세계 선수권 대회파리, 프랑스마라톤



1996년 8월 애틀랜타 올림픽 남자 마라톤에서 2시간 12분 36초의 기록으로 우승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3] 30km 지점부터 이봉주, 에릭 와이나이나와 선두 그룹을 형성했고, 스타디움 앞에서 스퍼트하여 이봉주를 3초 차로 제치고 골인했다. 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흑인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이었다.[3] 그는 "우리 흑인도 국제 사회에서 자유롭게 달릴 수 있게 되어서 기쁘다"라는 소감을 남겼다.[3] 그러나 올림픽 금메달 획득 이후 가족과 함께 생명의 위협을 받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4]

1997년 런던 마라톤에서 3위를 차지했고, 같은 해 후쿠오카 국제 마라톤에서는 2시간 7분 28초의 개인 최고 기록으로 우승했다.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20위에 그쳤다. 2002년 나가노 마라톤에서 우승했고, 2003년 나가노 마라톤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2. 3. 은퇴

3. 주요 대회 성적

wikitable

#연도대회순위기록비고
11990년위트뱅크2위2시간 22분 24초
21991년넬스프루트우승2시간 18분 00초
31991년고두와나우승2시간 13분 48초
41991년더반6위2시간 14분 00초
51992년케이프타운4위2시간 13분 36초
61992년고두와나우승2시간 17분 42초
81993년남아프리카 선수권・케이프타운 대회우승2시간 14분 25초
91993년프리토리아우승2시간 15분 57초
131994년소웨토5위2시간 22분 26초
141995년고두와나우승2시간 18분 47초
151995년브레다스돌프우승2시간 26분 39초
181996년남아프리카 선수권・케이프타운 대회우승2시간 11분 46초
372003년소웨토DNF기권


3. 1. 국제 대회

조시아 투과니는 1992년 포츠담- 베를린 에키덴 대회에서 5km 구간 3위를 기록했다. 1995년 몽벨리아르-벨포르에서 열린 1995 IAAF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 하프 마라톤에서 5위를, 팀 경기에서는 12위를 기록했다.

1996년 애틀랜타에서 열린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에서 2시간 12분 36초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시드니에서 열린 올림픽 20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남자 마라톤에서는 2시간 16분 59초로 20위를 기록했다.

2001년 에드먼턴에서 열린 2001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마라톤과 2003년 파리에서 열린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마라톤에서는 완주에 실패했다. 2002년 브뤼셀에서 열린 2002 IAAF 세계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 하프 마라톤에서는 30위, 팀 경기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1993년 티베리아스 마라톤 3위(2시간 18분 42초), 프리토리아 마라톤 1위(2시간 15분 57초), 호놀룰루 마라톤 13위(2시간 29분 16초)를 기록했다. 1994년 경주 국제 마라톤 28위(2시간 24분 52초), 시카고 마라톤에서는 완주에 실패했다. 1995년 호놀룰루 마라톤 1위(2시간 16분 08초), 뉴욕 시티 마라톤에서는 완주하지 못했다. 1996년 후쿠오카 마라톤에서 완주에 실패했다.

1997년 후쿠오카 마라톤 1위(2시간 07분 28초), 런던 마라톤 3위(2시간 08분 06초)를 기록했다. 1998년 런던 마라톤과 뉴욕 시티 마라톤에서 완주에 실패했지만, 그레이트 스코티시 런 2위(1시간 02분 47초), 그레이트 노스 런 1위(1시간 02분 32초)를 기록했다.

1999년 런던 마라톤에서 완주에 실패했고, 그레이트 스코티시 런 3위(1시간 03분 01초), 그레이트 노스 런 17위(1시간 05분 42초), 후쿠오카 마라톤 26위(2시간 17분 01초)를 기록했다.

2000년 런던 마라톤 8위(2시간 10분 29초), 뉴욕 시티 마라톤 6위(2시간 15분 25초), 그레이트 스코티시 런 10위(1시간 04분 32초), 리스본 하프 마라톤 11위(1시간 05분 29초)를 기록했다.

2001년 서울 국제 마라톤 2위(2시간 11분 52초), 호놀룰루 마라톤에서 완주에 실패했다. 2002년 나가노 마라톤 1위(2시간 13분 23초), 투 오션스 하프 마라톤 1위(1시간 04분 15초), 중앙 서울 마라톤 7위(2시간 10분 05초)를 기록했다.

2003년 나가노 마라톤 2위(2시간 14분 18초), 예테보리 바르벳 3위(1시간 04분 14초)를 기록했다. 2004년 밀라노 시티 마라톤에서 완주에 실패했다. 2005년 비엔나 시티 마라톤과 호놀룰루 마라톤에서 완주하지 못했다. 2006년 투 오션스 마라톤 56K에서 완주에 실패했고, 바르샤바 마라톤 4위(2시간 17분 11초)를 기록했다. 2007년 투 오션스 마라톤 56K 2위(3시간 09분 46초)를 기록했다.

3. 2. 국내 대회 (주요 기록)

조시아 투과니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육상 선수권 대회 마라톤에서 1993년과 1996년에 우승했다.

#年月日대회순위기록비고
11990년 4월 12일위트뱅크2위2시간 22분 24초
21991년 2월 2일넬스프루트우승2시간 18분 00초
31991년 4월 6일고두와나우승2시간 13분 48초
41991년 7월 20일더반6위2시간 14분 00초
51992년 3월 28일케이프타운4위2시간 13분 36초
61992년 4월 4일고두와나우승2시간 17분 42초
71993년 1월 5일티베리아스3위2시간 18분 42초
81993년 3월 20일남아프리카 선수권・케이프타운 대회우승2시간 14분 25초
91993년 11월 13일프리토리아우승2시간 15분 57초
101993년 12월 12일호놀룰루 마라톤13위2시간 29분 16초
111994년 3월 20일경주28위2시간 24분 52초
121994년 10월 30일시카고 마라톤DNF기권
131994년 12월 4일소웨토5위2시간 22분 26초
141995년 4월 1일고두와나우승2시간 18분 47초
151995년 10월 14일브레다스돌프우승2시간 26분 39초
161995년 11월 12일뉴욕 시티 마라톤DNF기권
171995년 12월 10일호놀룰루 마라톤우승2시간 16분 08초
181996년 2월 25일남아프리카 선수권・케이프타운 대회우승2시간 11분 46초
191996년 8월 4일애틀랜타 올림픽우승2시간 12분 36초금메달 획득
201996년 12월 1일후쿠오카 국제 마라톤DNF기권
211997년 4월 13일런던 마라톤3위2시간 08분 06초
221997년 12월 7일후쿠오카 국제 마라톤우승2시간 07분 28초개인 최고 기록
231998년 4월 26일런던 마라톤DNF기권
241998년 11월 1일뉴욕 시티 마라톤DNF기권
251999년 4월 18일런던 마라톤DNF기권
261999년 12월 5일후쿠오카 국제 마라톤26위2시간 17분 01초
272000년 4월 16일런던 마라톤8위2시간 10분 29초
282000년 10월 1일시드니 올림픽20위2시간 16분 59초
292000년 11월 5일뉴욕 시티 마라톤6위2시간 15분 25초
302001년 3월 18일서울 국제 마라톤2위2시간 11분 52초
312001년 8월 3일세계 육상 에드먼턴 대회DNF기권
322001년 12월 9일호놀룰루 마라톤DNF기권
332002년 4월 14일나가노 마라톤우승2시간 13분 23초
342002년 11월 3일서울 국제 마라톤7위2시간 10분 05초
352003년 4월 13일나가노 마라톤2위2시간 14분 18초
362003년 8월 29일세계 육상 생 드니 대회DNF기권
372003년 11월 2일소웨토DNF기권
382004년 11월 28일밀라노DNF기권
392005년 5월 22일비엔나DNF기권
402005년 12월 11일호놀룰루 마라톤DNF기권
412006년 9월 17일바르샤바4위2시간 17분 11초


4. 개인 최고 기록

5. 기타

참조

[1] 뉴스 In Marathon, First Gold Medal Won by Black South Africa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8-08-24
[2] 뉴스 Zuma honours recipients of National Orders https://www.sanews.g[...] SA News 2020-05-23
[3] 뉴스 読売新聞 1996-08
[4] 뉴스 読売新聞 199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