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여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여우는 송나라 효종, 광종, 영종 시대에 활약한 인물로, 송 태종의 후손이다. 그는 지략과 용맹을 겸비하여 효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으나, 광종과 대립하여 폐위에 관여했다. 영종 시대에는 우승상에 임명되었으나 한탁주와의 갈등으로 실각하여 유배되었고,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이후 한탁주가 제거된 후 명예가 회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송 사람 - 이불 (남송)
이불은 남송 시대의 관리로서 가사도에게 아첨하지 않고 몽골 제국에 맞서 싸우다 자결하여 충절을 지켰으며, 남송 조정은 그의 공을 기려 시호를 내리고 사당을 세웠다. - 송나라의 황족 - 조윤양
조윤양은 북송 태종의 손자이자 진종의 양자로, 인종의 뒤를 이어 황위를 계승한 영종의 아버지로서 복왕으로 추존되었으나 묘호는 받지 못한 종실이자 관료이다. - 송나라의 황족 - 조백규
조백규는 남송 효종 시대의 관료로 명주 지주, 연해제치사 등을 지냈고, 광종 즉위 후 태사, 판대종정사에 임명되었으며 사후 숭왕으로 추봉, 원나라 화가 조맹부의 선조이다. - 1140년 출생 - 신기질
신기질은 남송의 장군이자 시인으로, 금나라에 저항하는 의병 활동 후 남송에 귀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북벌 정책으로 인해 주류 세력과 갈등하며 파직과 복직을 반복했고, 만년에는 은거하며 호방하고 비장미 넘치는 가사풍의 시를 썼으며 소식과 함께 "소신"으로 불린다. - 1140년 출생 - 후지와라노 마사루코
후지와라노 마사루코는 헤이안 시대 고노에 천황의 황후였으나 사별 후 니조 천황의 황후가 되어 일본 역사상 유일하게 두 천황의 비가 된 여성으로, 예술적 재능이 뛰어났던 일본의 마지막 태황태후이다.
조여우 | |
---|---|
조여우 | |
![]() | |
자 | 백지(伯止) |
시호 | 충정(忠定) |
출생 | 1147년 |
사망 | 1200년 |
국적 | 남송 |
직업 | 정치가, 관료 |
주요 활동 | 효종의 신임, 한탁주 제거 시도, 권력 투쟁 실패 |
배우자 | 왕씨(王氏) |
아버지 | 조개(趙抃) |
형제 | 조여우(趙汝愚) |
친척 | 조구 (사촌) |
정치적 성향 | 주화파 |
관직 | |
관직 | 동지추밀원사 참지정사 우승상 |
평가 및 영향 | |
평가 | 효종의 신임, 한탁주 제거 시도 권력 투쟁 실패, 주자학 탄압 충정 시호 부여 |
기타 | |
관련 인물 | 효종 한탁주 조개 주희 영종 |
조여우 | |
![]() | |
자 | 백지(伯止) |
시호 | 충정(忠定) |
출생 | 1147년 |
사망 | 1200년 |
국적 | 남송 |
직업 | 정치가, 관료 |
주요 활동 | 효종의 신임, 한탁주 제거 시도, 권력 투쟁 실패 |
배우자 | 왕씨(王氏) |
아버지 | 조개(趙抃) |
형제 | 조여우(趙汝愚) |
친척 | 조구 (사촌) |
정치적 성향 | 주화파 |
관직 | |
관직 | 동지추밀원사 참지정사 우승상 |
평가 및 영향 | |
평가 | 효종의 신임, 한탁주 제거 시도 권력 투쟁 실패, 주자학 탄압 충정 시호 부여 |
기타 | |
관련 인물 | 효종 한탁주 조개 주희 영종 |
2. 생애
태종의 장남이자 진종의 친형인 조원좌의 후손으로, 지략과 용맹을 겸비하여 내정과 군사 모두에서 많은 공을 세워 효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소희 5년(1194년), 효종이 승하하자 후계자인 광종과 대립, 태황태후 오씨(고종의 황후)와 공모하여 광종을 폐위시켰다. 영종 즉위 후 경원 원년(1195년) 우승상에 임명되었으나, 한탁주와 대립하여 그의 참소를 받은 영종에 의해 같은 해 관직을 박탈당하고 복주로 유배되었다. 이후에도 한탁주의 압박으로 영주로 유배되었으나, 그 도중 고애에서 병사하였다. 주희와 송명리학을 위학으로 탄압한 한탁주와 달리 조여우는 주희를 보호하였기 때문에 둘 사이의 갈등이 있었다고 한다.
개희 3년(1207년), 한탁주가 살해되자 조여우에게 태사·주왕 등의 작위가 추증되었고, 명예가 회복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태종의 장남이자 진종의 친형인 조원좌의 후손이다. 지략과 용맹을 겸비한 명사로, 내정과 군사 모두에서 많은 공을 세워 효종으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2. 2. 효종 시대의 활동
태종의 장남이자 진종의 친형인 조원좌의 후손이다. 지략과 용맹을 겸비한 명사로, 내정과 군사 모두에서 많은 공을 세워 효종으로부터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소희 5년(1194년)에 효종이 승하하였다.
2. 3. 광종과의 갈등 및 실각
효종이 소희 5년(1194년)에 승하하자, 후계자인 광종과 대립하여, 태황태후 오씨(고종의 황후)와 공모하여 그를 폐위시켰다. 영종 즉위 후, 경원 원년(1195년) 우승상에 임명되었으나, 한탁주와의 대립으로 참소를 당해 같은 해 관직을 박탈당하고 복주로 유배되었다. 이후에도 한탁주의 압박으로 영주로 유배되었으나, 그 도중 고애에서 병사하였다. 한탁주가 주희와 그의 송명리학을 위학으로 탄압한 반면, 조여우는 주희를 두텁게 보호하였기 때문에 대립하였다고 한다.2. 4. 영종 시대의 복권과 좌천
영종 시대가 되자, 경원 원년(1195년)에 우승상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한탁주와 대립하여, 그의 참소를 믿은 영종에 의해 같은 해에 관직을 박탈당하고 복주로 유배되어 실각했다. 이후에도 한탁주에 의한 압박으로 영주로 유배되었으나, 그 도중 고애에서 병사하였다. 한탁주와의 대립은 주희를 싫어하고 그의 송명리학을 위학으로 탄압한 한탁주에 대해 조여우가 두텁게 보호한 것 때문이라고 한다.2. 5. 유배와 죽음
소제 5년(1194년), 효종이 승하하자 후계자인 광종과 대립하여, 태황태후 오씨(고종의 황후)와 공모하여 그를 폐위시켰다. 이후 영종 시대가 되자, 경원 원년(1195년)에 우승상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한탁주와 대립하여, 그의 참소를 믿은 영종에 의해 같은 해에 관직을 박탈당하고 복주로 유배되어 실각했다.이후에도 한탁주에 의한 압박으로 영주로 유배되었으나, 그 도중 고애에서 병사하였다. 한탁주와의 대립은, 주희를 싫어하고 그의 송명리학을 위학으로 탄압한 한탁주에 대해 조여우가 두텁게 보호한 것 때문이라고 한다.
그의 죽음으로부터 11년 후, 개희 3년(1207년)에 한탁주가 살해되자, 조여우에게 태사·주왕 등의 작위가 추증되었고, 명예는 회복되었다.
2. 6. 한탁주와의 갈등 및 주자학 보호
효종 사후, 광종과 대립하여 태황태후 오씨(고종의 황후)와 공모해 광종을 폐위시켰다. 영종 즉위 후 경원 원년(1195년) 우승상에 임명되었으나, 한탁주와 대립하였다. 주희와 그의 송명리학을 위학으로 탄압한 한탁주와 달리 조여우는 주희를 두텁게 보호했기 때문이다. 한탁주의 참소를 믿은 영종에 의해 같은 해 관직을 박탈당하고 복주로 유배되어 실각했다. 이후에도 한탁주의 압박으로 영주로 유배되었으나, 그 도중 고애에서 병사하였다.2. 7. 사후 명예 회복
태종의 장남이자 진종의 친형인 조원좌의 후손인 趙汝愚|조여우중국어는 개희 3년(1207년) 한탁주가 살해되자 태사·주왕 등의 작위가 추증되었고, 명예가 회복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