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성자열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헌성자열황후는 남송 고종의 황후로, 개봉 출신의 보석 상인의 딸이었다. 고종의 측실로 시작하여 정강의 변을 겪으며 고종을 보좌했고, 황후가 된 후 태상황후, 태황태후로 존경받으며 수렴청정을 하기도 했다. 83세로 사망했으며, 영종을 옹립하는 등 남송 황실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송의 태황태후 - 사도청
사도청은 남송의 황후이자 태황태후로, 조정 관리 가문 출신이며 이종의 황후로 간택되어 도종 즉위 후 황태후, 공제 즉위 후 태황태후가 되었으나 남송 멸망 후 원나라에 항복하여 수춘군부인으로 격하, 원나라에서 사망했다. - 남송의 태황태후 - 성숙황후
성숙황후는 남송 효종의 황후로, 고종 황후의 시녀 출신으로 효종의 측실이 되었다가 황후가 되었으며, 정치적으로 거리를 두었지만 내궁의 일을 공정하게 처리했고 효종 사후에는 태황태후로서 황실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 - 남송의 귀족 - 현인황후
현인황후는 북송 휘종의 후궁이자 남송 고종의 생모로,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끌려갔다가 돌아와 고종의 황위를 지키는 데 기여했고 80세에 사망하여 휘종과 합장되었다. - 남송의 귀족 - 공성인열황후
기생 출신으로 황후가 되어 이종을 옹립하고 수렴청정하며 권력을 행사한 공성인열황후는 예술적 재능과 정치적 역량을 발휘하여 국가 경제 강화와 국방에 기여했고 중국 역사상 영향력 있는 여성으로 평가받는다. - 1115년 출생 - 토쿠다이지 킨요시
고시라카와 천황과의 긴밀한 관계와 딸들을 천황의 후궁으로 들인 외척으로서 헤이안 시대 말기 권세를 누린 공경으로, 예술적 재능도 뛰어났으나 권력 남용에 대한 비판도 있는 인물이다. - 1115년 출생 - 망누스 4세 (노르웨이)
망누스 4세는 시구르 1세의 아들로, 삼촌 하랄 4세와 공동 통치하다 권력 투쟁으로 폐위된 후 시구르 슬렘베에 의해 다시 옹립되었으나 홀멩그로 전투에서 전사한 노르웨이 왕으로, 그의 통치는 노르웨이 내전 시대의 혼란을 보여준다.
헌성자열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오황후 |
별칭 | 헌성자열황후, 수성융자비복광우태황태후 |
통치 정보 | |
작위 | 남송의 황후, 태후, 태상황후, 태황태후 |
배우자 | 고종 |
재위 (황후) | 1143년 5월 18일 ~ 1162년 7월 24일 |
재위 (태상황후) | 1162년 7월 24일 ~ 1187년 11월 9일 |
재위 (황태후) | 1187년 11월 9일 ~ 1194년 7월 5일 |
재위 (태황태후) | 1194년 7월 5일 ~ 1197년 12월 12일 |
전임자 (황후) | 헌절황후 형씨 |
후임자 (황후) | 성공황후 하씨 |
전임자 (태상황후) | 영덕태상황후 정씨 |
후임자 (태상황후) | 수성태상황후 사씨 |
전임자 (황태후) | 자녕황태후 위씨 |
후임자 (황태후) | 수성황태후 사씨 |
전임자 (태황태후) | 선인성렬황후 고씨 |
후임자 (태황태후) | 수성태황태후 사씨 |
개인 정보 | |
출생일 | 1115년 9월 11일 |
출생지 | 개봉부 |
사망일 | 1197년 12월 12일 |
사망지 | 임안부 중화궁 |
매장지 | 영사릉 |
아버지 | 오근 |
어머니 | 장씨 |
자녀 | 양자: 신왕 조거, 효종 조신 |
자매 | 초국부인, 월국부인, 진한국부인 |
2. 생애
오씨는 개봉 출신의 평민 오진의 딸이었다. 14세에 당시 황태자였던 고종과 그의 첫 번째 부인이자 정실 부인인 싱에게 시녀로 간택되었다.[19][20]
정강의 변 이후, 고종이 즉위하자 화의군부인에 봉해졌다. 오씨는 비록 용모는 평범했지만, 독서를 좋아하고 무술을 익혔으며, 금나라 군이 쳐들어왔을 때 배멀미에 지지 않고 선두에 섰던 기개를 인정받아 고종의 총애를 받았다. 고종은 즉위 전후 수년간 유랑 생활을 했고, 오씨는 군복을 입고 칼을 차고 위사처럼 곁에서 보좌했다.[19][20]
건염 4년에 재인에 봉해졌고, 그 후에 완의로 진급했다. 소흥 12년 4월, 귀비에 봉해졌다. 같은 해 8월, 금나라와 남송 사이에 소흥의 화의가 성립되어, 고종의 어머니인 위씨가 고종의 곁으로 돌아왔다. 또한 그때, 강왕 시대부터의 정실 부인으로 금나라에 억류된 채 황후로 세워졌던 형씨의 죽음을 알게 되었다. 다음 해 소흥 13년 윤 4월, 오씨는 황후로 세워졌다.
소흥 32년, 고종은 황후 오씨가 아끼던 趙伯玖|조백구중국어를 제쳐두고 양자들 중에서 가장 재능이 있는 조신(효종)에게 양위하고, 스스로 태상황을 칭했다. 오씨는 태상황후로서 존경받았고, 덕수궁으로 거처를 옮겼다. 순희 14년, 고종이 붕어했다. 순희 16년, 효종도 아들 조돈(광종)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었고, 오씨는 수성태황태후로 개호되었다.
소희 5년에 효종이 붕어하자, 아버지와 반목했던 광종이 병을 칭하며 상을 치르지 않아, 여러 신하들의 분노를 일으켰다. 80세의 오씨는 태종의 후손이자 지추밀원사인 조여우의 건의를 받아들여, 태황태후로서 수렴청정을 하고, 광종의 폐위를 선포한 후, 광종의 아들 조확(영종)을 옹립했다. 그 때, 기둥에 매달려 도망치려는 증손을 꾸짖으며 스스로 제복을 입혔다고 한다. 다음 날, 정권은 영종에게 이관되었다. 영종 아래에서 권력을 휘두른 한탁주는, 영종의 황후 한씨와 동족이었지만, 또한 오씨의 여동생의 아들이기도 했다.
경원 원년, 수성융자비복광우태황태후로 개호되었고, 중화궁으로 거처를 옮겼다. 경원 3년 11월 2일(1197년12월 12일), 83세로 붕어했다. "헌성자렬"이라는 시호를 받았고, 고종의 영사릉에 합장되었다.
2. 1. 황후 이전
개봉 출신으로, 보석 상인[19] 오근과 그의 아내 장씨의 셋째 딸[20]이다. 어렸을 때 "시강"이라는 꿈의 계시가 있었다고 한다.처음에는 강왕 조구(후의 고종)의 측실을 맡았다. 정강의 변 때 사절로 개봉을 떠나 있었던 조구를 따라다녔기 때문에, 금 군에 의한 연행을 면했다. 고종이 즉위하자, 화의군부인에 봉해졌다. 오씨는 용모는 평범했지만 독서를 좋아했고, 무술을 익혔으며, 금나라 군이 쳐들어왔을 때 배멀미에 지지 않고 선두에 섰던 기개를 인정받아, 날마다 총애를 받았다. 고종은 즉위 전후 수년간 유랑 생활을 했고, 오씨는 군복을 입고 칼을 차고, 위사처럼 곁에서 보좌했다.
건염 4년(1130년)에 재인에 봉해졌고, 그 후에 완의로 진급했다. 소흥 12년(1142년) 4월, 귀비에 봉해졌다.
2. 2. 황후 시절
정강의 변 당시 금나라로 끌려간 첫 번째 부인인 형병의를 그리워하던 고종은, 형병의가 남송으로 탈출하는 대신 조훈에게 전해준 귀걸이 한 쪽을 받고 뼈에 사무치게 그리워하며 형씨를 황후로 책봉하였다.[21]1142년, 남송과 금나라 사이에 화의가 성립되어 고종의 생모 위귀비가 금나라에서 송환되면서 이미 사망한 며느리 형씨의 죽음을 알렸다. 고종은 정실 부인 형씨가 죽자 헌절황후(憲節皇后)로 추존하고, 재상 진회와 위귀비의 추천을 받아 1143년 오랫동안 공석이었던 황후의 자리에 오씨를 책봉하였다.[21] 고종은 수도가 함락될 당시 부재중이었기에 오씨와 함께 포로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1127년 말 황제를 자칭하며 남송을 건국한 고종은 여진족의 추가 침략에 맞서 저항을 조직했고, 정실 부인인 형씨가 여전히 포로로 잡혀 있다는 것을 알고 그녀를 부재 상태에서 황후로 추존했다.[5] 오씨는 갑옷을 입고 금나라에 맞선 고종의 군사 작전에 동행했고, 한 번은 불량배의 공격을 받아 고종의 생명을 구했는데, 활로 불량배 한 명을 사살하고 나머지를 쫓아냈다고 한다.[6]
자신의 아들이 없었던 고종은 1133년에 두 명의 소년을 양자로 삼았는데, 그 중 한 명은 1140년에 오씨의 양자가 되었고, 다른 한 명(훗날의 효종)은 1142년에 양자가 되었다.[7] 고종은 신헌성자열황후가 생존해 있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황후 자리를 비워두었다. 1139년에 신헌성자열황후가 사망했을 때 여진족은 그녀의 죽음을 비밀로 했고, 고종의 어머니인 위씨가 풀려나 그와 합류할 수 있게 되어서야 그녀가 죽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8] 그녀의 유해는 그 해에 반환되어 매장되었다. 고종은 어머니와 신하들의 설득에 의해 1143년에 이르러서야 새로운 황후를 임명하기로 결정하고 오씨를 황후로 진봉했다.
개봉부 출신으로, 보석 상인[19] 오근과 그의 아내 장씨의 셋째 딸[20]이다. 어렸을 때 "시강"이라는 꿈의 계시가 있었다고 한다. 처음에는 강왕 조구(후의 고종)의 측실을 맡았다. 정강의 변 때 사절로 개봉을 떠나 있었던 조구를 따라다녔기 때문에, 금나라 군에 의한 연행을 면했다. 고종이 즉위하자, 화의군부인에 봉해졌다. 오씨는 용모는 평범했지만 독서를 좋아했고, 무술을 익혔으며, 금나라 군이 쳐들어왔을 때 배멀미에 지지 않고 선두에 섰던 기개를 인정받아, 날마다 총애를 받았다. 고종은 즉위 전후 수년간 유랑 생활을 했고, 오씨는 군복을 입고 칼을 차고 위사처럼 곁에서 보좌했다.
1130년에 재인에 봉해졌고, 그 후에 완의로 진급했다. 1142년 4월, 귀비에 봉해졌다. 같은 해 8월, 금나라와 남송 사이에 소흥의 화의가 성립되어, 고종의 어머니인 위씨가 고종의 곁으로 돌아왔다. 또한 그때, 강왕 시대부터의 정실 부인으로 금나라에 억류된 채 황후로 세워졌던 형씨의 죽음을 알게 되었다. 다음 해 1143년 윤 4월, 오씨는 황후로 세워졌다.
2. 3. 태상황후 시절
1162년 고종이 양자 효종(孝宗)에게 선위하면서 태상황후로 진봉되었고 수성태상황후(壽聖太上皇后)의 존호를 받았다. 1171년에는 수성명자(壽聖明慈)의 존호가 추가되고 1175년에는 60세 탄생을 축하하며 수성제명광자(壽聖齊明廣慈)의 존호가 추가되었다. 1187년 고종이 붕어하면서 고종의 유조에 의하여 태상황후에서 황태후로 개칭되었다. 1189년 효종이 아들 광종(光宗)에게 선위하였다.[11]1162년, 고종은 황후 오씨가 아끼던 趙伯玖|조백구중국어를 제쳐두고 양자들 중에서 가장 재능이 있는 조신(효종)에게 양위하고 스스로 태상황을 칭했다. 오씨는 태상황후로서 존경받았고, 덕수궁으로 거처를 옮겼다. 1187년 고종이 붕어했고, 1189년 효종도 아들 조돈(광종)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자 오씨는 수성태황태후로 개호되었다.
2. 4. 태황태후 시절
1194년 여름, 태상황이었던 효종이 붕어하자 오 태후는 태황태후가 되었고 수성태황태후(壽聖太皇太后)의 존호가 올려졌다. 이 시기에 잠시동안 수렴청정을 하였다.[21] 손자 광종이 정신질환을 앓고 판단력이 흐려져 황후 이씨에게 지배당하면서 아버지 효종과의 사이가 나빠지고, 병환을 핑계로 효종의 상을 주관하지 않자, 대신들은 태황태후에게 광종의 폐립을 건의하고 조여우와 한탁주를 중심으로 광종의 아들인 조확과 광종의 조카 조병을 황제의 후보에 올렸다. 태황태후 오씨는 조확을 지지하였고 법적 증손자인 영종이 즉위하였다.[21] 1195년 한탁주와 대립관계에 있던 조여우가 좌천되고 한탁주가 정권을 잡아 재상이 되었는데, 한탁주는 태황태후 오씨의 조카이며 영종의 황후인 공숙황후와 같은 가문이었으므로 한탁주가 태황태후와 황후의 권세를 믿고 권력을 휘둘렀다.[21] 같은 해, 영종에게 광종이 양위하도록 설득했다.[15]경원 원년 (1195년), 수성융자비복광우태황태후로 개호되었고, 중화궁으로 거처를 옮겼다.[21]
3. 가계
wikitext
헌성자열황후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 | 어머니 | 남편 | 양자 |
---|---|---|---|
오근(吳近) | 장씨(張氏) | 고종 | 효종 조신(趙眘), 신왕(信王) 조거(趙璩) |
3. 1. 부모
아버지 | 어머니 |
---|---|
오근(吳近) | 장씨(張氏) |
3. 2. 남편
고종(1107년 ~ 1187년)은 남송의 초대 황제이다.[19]3. 3. 양자
헌성자열황후는 효종 조신(趙眘)과 신왕(信王) 조거(趙璩) 두 명을 양자로 삼았다.[7]趙伯玖|조백구중국어는 조거의 다른 이름이다.[24]4. 평가
무측천은 남편인 당 고종과 의붓아들인 송 효종으로부터 고종이 거느린 많은 후궁들을 불평 없이 관대하게 대했다는 칭찬을 받았다.[9] 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후궁들을 내쫓았다.[10]
5. 기타
- 정강비사선증
- 송사
- 송회요집고
- 건염이래조야잡기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2]
서적
Emperor Huizong
[3]
서적
Emperor Huizong
[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6]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7]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8]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9]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0]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5]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16]
서적
宋史 巻30, 高宗紀七 紹興十三年閏四月己丑条による
[17]
서적
宋史:乙未年。劉希|劉貴妃の太上皇后誕生日賀詞:旧暦8月21日
[18]
서적
宋史 巻37, 寧宗紀一 慶元三年十一月辛丑条による
[19]
서적
朝野遺記
[20]
문서
姉は楚国夫人と越国夫人、妹は秦漢国夫人
[21]
서적
《송사》(宋史)》 권243 〈열전〉(列傳) 제2 후비(后妃) 下 - 헌성자열오황후(憲聖慈烈吳皇后)
[22]
서적
《송사》(宋史)》 권37 〈본기〉(本紀) 제37 영종(寧宗) 1 - 경원(慶元) 3년 11월 신축(辛丑) 기사
[23]
문서
태조의 6세손 조자칭의 아들
[24]
문서
태조의 6세손 조자언의 아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