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장 (일본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장은 일본에서 마을과 군사 조직에서 사용된 직책이다. 마을의 조장은 토야, 쇼야, 명주를 보좌하며, 토시요리라고도 불렸다. 홋카이도, 사할린, 북방 영토에서는 惣小使나 小使가 조장에 해당했으며, 아이누 유력자가 임명되기도 했다. 군사 조직의 조장은 센고쿠 시대와 에도 시대에 무사의 편성 단위인 쿠미를 지휘하는 장으로, 다이묘의 가신단 조직 내에서 역할을 수행했다. 에도 막부에는 오오반, 쇼인반, 코쇼구미반 등 다양한 조직에 조장이 있었다.

2. 마을의 조장

동일본서일본 사이에 역할의 차이가 약간 지적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촌장(庄屋)이나 명주(名主)를 보좌하는 역직이었다. 신분은 백성에 속했다. 마을의 조장은 年寄|토시요리일본어 또는 老|오이일본어라고도 불렸다. 경우에 따라서는 조합촌의 대표자를 조장(組頭|구미가시라일본어)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2. 1. 홋카이도, 사할린 및 북방 영토

홋카이도사할린북방 영토에서는 조장(組頭)에 해당하는 직책으로 惣小使|소코즈카이일본어나 小使|코즈카이일본어가 있었다. 에조(아이누)의 유력자가 마쓰마에번이나 하코다테 부교에 의해 オムシャ|오무샤일본어로 임명되기도 했는데,[2] 이는 당시 시행된 아이누 무육 정책(オムシャ|옴샤일본어)의 일환이었다.[1] 막말 시기에 이르면 惣小使|소코즈카이일본어는 惣年寄|소토시요리일본어로, 小使|코즈카이일본어는 年寄|토시요리일본어로 각각 명칭이 변경되었다. 아이누 유력자를 이러한 직책에 임명한 배경에는 일본 측의 회유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3. 군사 조직의 조장

센고쿠 시대에도 시대의 '조'(組|쿠미jpn)는 영주(다이묘) 가문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조'는 무사의 편성 단위로, 원래는 전투를 위한 군사 조직 단위였지만, 평시에도 신분 등급에 따라 역할이 주어지고 조로 편성되었다. '조장'(組頭|쿠미가시라jpn)은 다이묘의 가신단 조직 내에서 이러한 '조'를 지휘하는 우두머리를 의미했다.

3. 1. 에도 막부

에도 막부 시대에는 다음과 같은 조직에 조장(組頭)이 존재했다.

  • 오반(大番)
  • 쇼인반(書院番)
  • 코쇼구미반(小性組番) (与頭|요토jpn라고도 함)
  • 신반(新番)
  • 코쥬닌구미(小十人組)
  • 카치구미(徒組)

참조

[1] 논문 "「日露和親条約」調印後の幕府の北方地域政策について" https://tohoku-gakui[...] 東北学院大学学術研究会 2014-03
[2] 논문 "「日露和親条約」調印後の幕府の北方地域政策について" http://id.nii.ac.jp/[...]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