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포프 헤네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포프 헤네시는 아일랜드 출신의 식민지 행정가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라부안, 골드코스트, 시에라리온, 바하마, 바베이도스, 홍콩, 모리셔스 등 여러 식민지의 총독을 역임했다. 홍콩 총독 재임 기간에는 중국인에 대한 차별 정책을 폐지하고, 영어 교육을 의무화하는 등 개혁적인 정책을 추진하여 '최고의 친구'로 칭송받았다. 모리셔스 총독으로서는 '모리셔스인을 위한 모리셔스' 원칙에 따라 지역 행정의 모리셔스화를 추진하며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는 1880년 성 마이클·성 조지 훈장을 받았으며, 홍콩과 모리셔스, 인도 등지에 그의 이름을 딴 지명과 시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제18대 하원 의원 - 벤저민 디즈레일리
벤저민 디즈레일리는 19세기 영국의 정치가이자 작가로, 보수당 지도자로서 두 차례 총리를 역임하며 제국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문학 작품도 남겼으며, 윌리엄 글래드스톤과의 경쟁 속에서 영국 보수주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제18대 하원 의원 -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은 자유당 당수로서 네 차례 영국 총리를 역임하며 12년 이상 재임한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인 정치가로,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재무장관으로서 자유 무역 정책을 추진하고 아일랜드 자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 영국의 제24대 하원 의원 - 아서 밸푸어
영국의 정치가이자 철학자인 아서 밸푸어는 보수당 총리,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밸푸어 선언을 통해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했고 아일랜드 문제 등 다양한 현안에 관여했다. - 영국의 제24대 하원 의원 -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
윌리엄 유어트 글래드스턴은 자유당 당수로서 네 차례 영국 총리를 역임하며 12년 이상 재임한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인 정치가로,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재무장관으로서 자유 무역 정책을 추진하고 아일랜드 자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다. - 홍콩 총독 -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는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 시작하여 홍콩 총독을 역임하며, 아편 무역 금지 정책 폐지를 요구하고, 홍콩의 첫 인구 조사와 주말 경마를 시작했으며, 저서를 남긴 인물이다. - 홍콩 총독 - 찰스 엘리엇
찰스 엘리엇은 영국 해군 복무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영국령 기아나 노예보호관, 청나라 선무총관 등을 역임했고, 아편전쟁 당시 홍콩섬을 영국에 할양하는 조약을 체결했으나 해임된 인물이다.
존 포프 헤네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존 포프 헤네시 |
원어 이름 | John Pope Hennessy |
출생일 | 1834년 8월 8일 |
출생지 | 코크 주, 아일랜드 |
사망일 | 1891년 10월 7일 |
사망지 | 로스텔란 성, 코크 주, 아일랜드 |
국적 | 아일랜드, 영국 |
배우자 | 캐서린 엘리자베스 로 (1868년 결혼) |
자녀 | 딸 2명, 아들 3명 |
중국어 간체 | 轩尼诗 |
중국어 광둥어 발음 | Hin1 nei4 si1 |
중국어 표준어 발음 | Hīn nèih sī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아일랜드 의회당 |
이전 정당 | 보수당 (1859–1865) |
학력 | |
모교 | 아일랜드 여왕 대학교 |
직업 | |
식민지 총독 경력 | |
총독 직위 | 시에라리온 총독 |
임기 시작 | 1872년 |
임기 종료 | 1873년 |
이전 총독 | 존 제닝스 켄달, 대행 |
다음 총독 | 로버트 키트 |
총독 직위 | 골드코스트 총독 |
임기 시작 | 1872년 |
임기 종료 | 1872년 |
이전 총독 | 허버트 테일러 어셔 |
다음 총독 | 찰스 스펜서 새먼, 대행 |
총독 직위 | 라부안 총독 |
임기 시작 | 1867년 |
임기 종료 | 1871년 |
이전 총독 | 휴 로 (대행) |
다음 총독 | 헨리 어니스트 개스코인 벌워 |
총독 직위 | 바하마 총독 |
임기 시작 | 1873년 |
임기 종료 | 1874년 |
이전 총독 | 조지 커민 스트라한 |
다음 총독 | 윌리엄 로빈슨 |
총독 직위 | 바베이도스 총독 및 윈드워드 제도 총독 |
임기 시작 | 1875년 |
임기 종료 | 1876년 |
이전 총독 | 샌퍼드 프리링, 대행 |
다음 총독 | 조지 커민 스트라한 |
총독 직위 | 홍콩 총독 |
임기 시작 | 1877년 4월 23일 |
임기 종료 | 1883년 3월 30일 |
이전 총독 | 아서 에드워드 케네디 경 |
다음 총독 | 조지 보웬 경 |
홍콩 부총독 | 프랜시스 콜본 경, 에드워드 도노반, 존 사전트 |
홍콩 식민지 장관 | 존 오스틴, 윌리엄 마시 |
총독 직위 | 모리셔스 총독 |
임기 시작 | 1883년 6월 1일 |
임기 종료 | 1889년 12월 11일 |
이전 총독 | 프레더릭 네이피어 브룸 경 |
다음 총독 | 찰스 캐머런 리스 경 |
2. 어린 시절
존 포프 헤네시는 1834년 아일랜드 코크주에서 상인이었던 아버지 존 헤네시와 어머니 엘리자베스 케이시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8명의 자녀 중 하나였으며, 중산층 가정에서 성장했다.[1] 어린 시절 기관지염을 앓아 처음에는 개인 교습을 받았다.[1] 1850년 코크에 있는 퀸스 칼리지(현 코크 대학교)에 입학하여 처음에는 인문학을 공부했다.[1] 성적이 우수하여 장학금을 받고 의대로 전과했으며, 최종 시험에서 6과목 중 5과목에서 우등을 차지하는 등 뛰어난 학생이었다.[1] 1855년 5월 런던으로 건너가 체어링 크로스 병원에서 공부를 이어갔고, 이후 공직에 입문했다.[2]
헤네시는 추밀원 보조 서기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3] 1859년부터 1865년까지 영국 보수당 소속 하원 의원으로 킹스 카운티 선거구에서 활동했다.[3] 의원 시절 내부 사원에서 법률을 공부하여 1861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1890년에는 아일랜드 국민연합에 가입하여 킬케니 북부 지역구 하원의원으로 활동하다가 1891년 사망했다.[3]
헤네시는 1867년 라부안 총독을 시작으로 여러 영국 식민지에서 총독을 역임했다. 1872년 골드코스트 총독, 1872년부터 1873년까지 시에라리온 총독, 1873년부터 1874년까지 25대 바하마 총독, 1875년부터 1876년까지 바베이도스 윈드워드제도 총독을 지냈다.
3. 공직 생활
4. 식민지 총독 경력
그는 식민지 행정에 참여하면서 1857년 인도의 세포이 항쟁 이후 널리 퍼진 "새로운 사상가" 집단에 속해 있었다. 헤네시는 1860년 7월 26일 하원 연설에서 "인도의 군사 행정이 더 큰 기술과 더 큰 경제성으로, 그리고 더 높은 교육 수준의 자연스러운 결과로서 원주민 인구의 감정과 이익에 대한 더 큰 배려를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6] 그는 최근 사건들은 인도에서 중대한 권한을 위임받은 많은 영국 장교들이 인기 있는 관습에 대한 무지와 국가적 습관과 전통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해 많은 불만을 야기하고 불만을 조장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가 인도 원주민을 노예로 취급하려는 경향이 있는 장교, 그 불행한 사람들의 고귀한 자질을 이해할 수 없거나 이해하려고 하지 않는 장교, 그리고 우리가 그들에게 부과한 민간 정부의 잘못과 재정적 부담에 대한 가장 엄청난 군사적 폭행과 모욕을 더하는 장교를 계속 인도로 파견하는 한, 인도에서 우리의 통치는 문명에 대한 오점이 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6]
4. 1. 초기 식민지 근무
헤네시는 식민청에 합류하여 1867년 라부안의 식민지 총독이 되었는데, 해협 식민지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죄수 노동력을 도입하여 왕실 식민지를 재정적으로 안정시켰다.[4] 1872년부터 1873년까지 시에라리온 총독을 지냈고, 이후 바하마 총독직으로 옮겼다.[4] 1873년부터 1877년까지 윈드워드 제도 총독을 역임하며 바베이도스에 대한 주요 권한을 가지고 각 섬의 일상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여러 영국 부총독 및 행정관을 감독했다.
헤네시는 아일랜드계 영국 귀족 가문 출신이지만, 로마 가톨릭 신자라는 신분 때문에 특히 바베이도스, 홍콩 또는 모리셔스에서 개신교 영국 식민지 엘리트들과의 관계에서 소외된 존재였다.[5] 그가 1860년 국회의원으로서 처음으로 기여한 것은 교황의 세속 권력과 이탈리아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에 관한 것이었다.[5] 식민 행정에 참여하면서 그는 1857년 인도의 세포이 항쟁 이후 그들의 생각이 널리 퍼진 "새로운 사상가" 집단에 속해 있었다. 1860년 7월 26일 하원에서 인도의 영국 민간 및 군사력에 대해 장황하게 연설하면서, 헤네시는 "인도의 군사 행정이 더 큰 기술과 더 큰 경제성으로, 그리고 더 높은 교육 수준의 자연스러운 결과로서 원주민 인구의 감정과 이익에 대한 더 큰 배려를 가지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6]
4. 2. 홍콩 총독 (1877년 ~ 1883년)
헤네시는 바베이도스에서의 임기가 끝나고 1877년부터 1883년까지 홍콩 총독으로 재임했다.
헤네시는 홍콩 경제에서 중국인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중국인에 대한 차별적인 정책을 철폐했다. 중국인이 토지를 구매하고 건물을 건축하며, 중국에서 상업을 운영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철폐하여 중국의 개발 붐을 이끌었다. 또한, 홍콩의 중국계 이민자들이 영국으로 귀화하는 것을 허가했다. 우팅팡(훗날 중화민국 외교장관 역임)을 홍콩 입법회 최초의 중국인 의원으로 임명했다.[7]
1878년, 헤네시는 홍콩 내 모든 정부 학교에서 영어 교육을 의무화했다.
헤네시는 홍콩 교육 역사에 이정표가 된 최초의 연구비(보조금) 시스템을 확립했다.
빅토리아 교도소에 "분리 시스템"(독방 사용)을 시행했다.[8]
이러한 개혁적인 정책으로 인해 중국인들은 헤네시를 "최고의 친구"로 칭송했다.[7]
4. 3. 모리셔스 총독 (1883년 ~ 1889년)
헤네시는 홍콩 총독 임기가 끝나고 1883년 7월 1일부터 1889년 12월 11일까지 15대 모리셔스 총독으로 재임했다.[9] 총독 즉위 후, 헤네시는 '모리셔스인을 위한 모리셔스'라는 원칙에 따라 지역 행정의 모리셔스화를 추진하여 영국 관리들의 권한을 축소하고 모리셔스인들을 요직에 임명했다.[9] 인도계 모리셔스인과 유색인종의 행정 참여를 주장한 개혁 운동 지도자인 윌리엄 뉴턴 변호사를 측근에 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10] 1886년, 헤네시는 현지 정치 개입 및 은행 파산 혐의 조사 기간 동안 몇 달간 직무 정지 처분을 받았다.[11] 헤네시 재임 기간 동안 모리셔스는 최초의 민주주의를 경험했다.
5. 개인사
헨네시는 1868년 2월 4일 라부안 총독이었던 자신의 전임자 휴 로우(Hugh Low)의 딸 캐서린 "키티" 엘리자베스 로우(Catherine "Kitty" Elizabeth Low, 1850~1923)와 결혼하기 전에 정부인 A. M. 코닝엄(A. M. Conyngham) 양 사이에서 사생아 딸 두 명을 두었다.[12] 헨네시 부부는 리처드 포프-헨네시를 포함한 세 아들을 두었다. 리처드는 미술사가 존 윈덤 포프-헨네시(1913~1994)와 작가 제임스 포프-헨네시(1916~1974) 두 아들을 두었다. 제임스 포프-헨네시는 1964년 할아버지에 대한 전기를 쓴 '베란다(Verandah)'의 저자였다.
그의 개인 좌우명은 "성공을 위한 세 가지 위대한 자질"이었으며, 그는 이를 "첫째는 대담함, 둘째는 대담함, 셋째는 대담함"이라고 설명했다.
헨네시는 1891년 10월 7일 아일랜드 코크 근처 로스텔란 성 저택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6. 서훈
- 1880년: 성 마이클·성 조지 훈장 2등급(KCMG)
7. 유산
헤네시는 홍콩의 유럽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없었기 때문에 당시에는 그의 이름을 딴 장소나 지명이 없었다. 그러나 1929년 6월 14일, 새로 매립한 지역의 주요 도로에 헨네시 로드(Hennessy Road)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현재 홍콩섬의 완차이(Wan Chai)와 코즈웨이 베이(Causeway Bay)에는 그의 이름을 딴 번화한 상업 및 쇼핑 지역이 있다. 모리셔스의 수도 포트루이스(Port Louis)에는 포프 헨네시 스트리트(Pope Hennessy Street)라는 주요 도로와 1908년 M. 루모(Loumeau)가 세운 동상이 있다.[12] 인도 마하라슈트라(Maharashtra)주 나그푸르(Nagpur)의 시빌 라인(civil lines)에 있는 헨네시 로드(Hennessy Road)라는 도로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n the United Kingdom
https://www.cityu.ed[...]
[2]
웹사이트
Papers of Sir John Pope-Hennessy - Archives Hub
https://archiveshub.[...]
2021-04-10
[3]
웹사이트
Leigh Rayment's House of Commons pages: K
https://web.archive.[...]
2009-02-05
[4]
웹사이트
Hansard 1803–2005
https://api.parliame[...]
[5]
웹사이트
Commons Sittings in the 19th century (Hansard)
https://api.parliame[...]
[6]
간행물
House of Commons debate
Hansards
1860-07-26
[7]
서적
Empireland: how imperialism has shaped modern Britain
https://www.worldcat[...]
2021
[8]
간행물
Hong Kong Government Gazette
1878-02-23
[9]
웹사이트
The Alleged Indian Peril (Glimpses of History 1956)
http://www.mauritius[...]
Mauritius Times
2017-10-13
[10]
뉴스
Mauritian democracy: a caesarean birth
https://www.lexpress[...]
L'Express
2005-06-02
[11]
웹사이트
Mauritian democracy: a caesarean birth
https://www.lexpress[...]
L'Express
2005-06-02
[12]
논문
Hennessy, Sir John Pope (1834–1891)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