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데이븐포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데이븐포트는 17세기 영국의 청교도 성직자이자, 뉴 헤이븐 식민지의 공동 설립자이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힐튼 성의 군종 신부와 런던 세인트 스테판 교회의 교구 목사를 역임했다. 1633년 비국교도 목사가 되기 위해 네덜란드로 이주했으며, 1637년에는 매사추세츠 식민지로 건너가 뉴 헤이븐 식민지를 건설하고 홉킨스 스쿨 설립에 기여했다. 보스턴 제일 교회 목사로 초빙되었으나, 유아 세례에 대한 엄격한 입장을 고수하며 갈등을 겪었다. 그는 교회 회원 자격과 유아 세례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평생 옹호했으며, 1669년 선거 설교를 통해 하프웨이 언약에 대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데이븐포트는 예일 대학교 설립에 영향을 미쳤으며, 데이븐포트 칼리지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출혈로 죽은 사람 - 허버트 후버
    성공적인 광산 기술자이자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구호 활동과 식량 관리에서 뛰어난 행정 능력을 보였던 허버트 후버는 상무장관을 거쳐 제31대 미국 대통령이 되었으나, 세계 대공황 시기에 비판을 받으며 재선에 실패했고, 이후에도 정치 및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
  • 출혈로 죽은 사람 - 조 스피넬
    조 스피넬은 이탈리아계 미국인 배우이자 각본가로, 영화 《대부》로 데뷔하여 덩치 크고 위압적인 외모로 범죄자 역할을 주로 맡았으며, 슬래셔 영화 《매니악》의 주연, 공동 각본, 공동 제작을 맡았다.
  • 17세기 기독교 성직자 - 인크리스 매더
    인크리스 매더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초반 매사추세츠에서 활동한 청교도 목사이자 하버드 대학교 총장으로, 보스턴 제2 교회 목사로 봉직하며 세일럼 마녀 재판과 관련된 논쟁적인 역할과 매사추세츠 헌장 폐지에 맞서는 정치 활동을 펼쳤고, 종교적, 정치적 견해를 담은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17세기 기독교 성직자 - 존 코튼
    존 코튼은 1585년 영국에서 태어나 뉴잉글랜드 보스턴 교회의 목사로 활동하며 회중교회 정치와 언약 신학을 주창하고 미국 교회 형성에 영향을 미친 청교도 목사이자 신학자이다.
  • 코번트리 출신 - 첼시 자일스
    영국의 유도 선수 첼시 자일스는 울버햄프턴 대학교 졸업 후 영국 유도 선수권 대회 우승, 도쿄 올림픽 동메달,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 금메달 획득 등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IJF 세계 랭킹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코번트리 출신 - 제임스 매디슨 (축구 선수)
    제임스 매디슨은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로, 현재 토트넘 홋스퍼 FC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뛰며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이고, 코번트리 시티 FC에서 데뷔하여 노리치 시티 FC와 레스터 시티 FC를 거쳐 토트넘 홋스퍼로 이적 후 창의적인 플레이 스타일로 "판타지스타"라는 별명을 얻었다.
존 데이븐포트
기본 정보
존 데이븐포트의 초상화
존 데이븐포트의 초상화
출생1597년 4월 코번
사망1670년 3월 15일 (향년 72세) 보스턴
국적잉글랜드
직업성직자, 청교도 목사
배우자엘리자베스 우월
자녀존 데이븐포트 주니어
종교
종교청교도
경력
목사세인트 스테픈 교회, 런던
공동 설립자뉴헤이븐 식민지
위치뉴헤이븐
학력
모교옥스퍼드 대학교 머턴 칼리지
옥스퍼드 대학교 매그달렌 홀

2. 초기 생애

존 데이븐포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613년 머튼 칼리지에 입학했지만, 2년 후 칼뱅주의청교도에 동조적인 평판을 가진 매그덜렌 홀로 옮겼다. 1625년 옥스퍼드로 돌아와 BD와 MA 학위를 받았다.[1]

그의 아버지 헨리 데이븐포트(1567년 – 1627년 5월 29일)는[2] 포목상, 시의원, 코번트리의 시장이었으며, 그의 아버지 에드워드 데이븐포트는 1551-2년에 코번트리 시장을 지냈다.[3] 어머니는 위니프레드 바나비(1569년 - 1597년 4월 12일)였다.

그의 형제는 가톨릭 신학자 프랜시스 데이븐포트였으며, 브라간사의 캐서린 여왕과 앙리 4세의 딸인 앙리에타 마리아의 채플린이었다.[4]

2. 1. 출생과 가문

존 데이븐포트의 문장


존 데이븐포트는 부유한 집안에서 영국 워릭셔 코번트리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613년 머튼 칼리지에 입학했지만, 2년 후 칼뱅주의청교도에 동조적인 평판을 가진 매그덜렌 홀로 옮겼다. 데이븐포트는 이 시기에 학위를 마치지 못하고 1625년 옥스퍼드로 돌아와 BD와 MA 학위를 받았다.[1]

그의 아버지 헨리 데이븐포트(1567년 – 1627년 5월 29일)는[2] 포목상, 시의원, 코번트리의 시장을 역임했으며, 그의 아버지는 1551-2년에 코번트리 시장을 지낸 에드워드 데이븐포트였다.[3] 어머니는 위니프레드 바나비(1569년 - 1597년 4월 12일)였다.

그의 형제는 가톨릭 신학자 프랜시스 데이븐포트였으며, 브라간사의 캐서린 여왕과 앙리 4세의 딸인 앙리에타 마리아의 채플린이었다.[4]

2. 2. 교육

데이븐포트는 영국 워릭셔 코번트리의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613년 머튼 칼리지에 입학했지만, 2년 후 칼뱅주의청교도에 동조적인 평판을 가진 매그덜렌 홀로 옮겼다. 그러나 데이븐포트는 이 시기에 학위를 마치지 못하고 1625년 옥스퍼드로 돌아와 BD와 MA 학위를 받았다.[1]

그의 아버지는 헨리 데이븐포트(1567년 – 1627년 5월 29일)로[2], 포목상, 시의원, 코번트리의 시장(1551-2)이었던 에드워드 데이븐포트의 아들이었다.[3] 그의 어머니는 위니프레드 바나비(1569년 - 1597년 4월 12일)였다.

그의 형제는 가톨릭 신학자인 프랜시스 데이븐포트였으며, 브라간사의 캐서린 여왕과 앙리 4세의 딸인 앙리에타 마리아의 채플린이었다.[4]

3. 성직 활동

존 데이븐포트는 힐튼 성의 군종 신부로 봉사한 후, 런던에서 성직 활동을 시작했다. 1624년에는 런던 코울먼 스트리트에 있는 세인트 스테판 교회의 교구 목사로 선출되어, 청교도 학자인 존 프레스턴과 동역했다. 그는 농촌 성직자를 지원하고, 전쟁으로 이주한 성직자를 구제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윌리엄 로드 주교의 반대에 부딪혔다.[5] 1633년에는 비국교도 목사가 되기 위해 국교회에서 사임하고 네덜란드로 이주했다.[5]

이후 데이븐포트는 매사추세츠 식민지 특허를 받아 1637년 회중과 함께 보스턴으로 항해했다.[6] 존 코튼 목사와 함께 앤 허친슨의 교회 재판에 참석했고,[6] 테오필루스 이튼과 뉴 헤이븐 식민지를 공동 설립했다.[7] 그는 뉴 헤이븐 식민지에서 교육에 힘썼으며, 홉킨스 스쿨 공동 설립자로도 알려져 있다.[8]

데이븐포트는 유아 세례와 교회 회원 자격에 대해 엄격한 기준을 옹호했다. 그는 1662년 하프웨이 언약에 반대하는 주요 인물 중 한 명이었다.[9] 1667년 존 윌슨 목사가 사망한 후, 보스턴 제일 교회는 데이븐포트를 새 목사로 초청했다.[10] 그는 1668년 제일 교회 목사로 임명되었으나, 유아 세례에 대한 그의 견해에 반대하는 이들이 교회를 떠나 제3 교회(올드 사우스 교회)를 설립하기도 했다.[11] 1669년 데이븐포트는 총회에서 선거 설교를 통해 개별 회중의 자유를 강조했다.[12]

데이븐포트와 존 코튼의 위령탑.


뉴잉글랜드 주요 교회에 데이븐포트가 임명되고 그의 선동적인 선거 설교는 하프웨이 시노드의 타협 협정에서 끓어오르던 이견을 최고조로 이끌었다. 그러나 데이븐포트는 다음 해에 사망했고, 다른 주요 반시노디스트인 인크리즈 매더는 마음의 변화를 경험했으며, 시노디스트 대리인들은 1671년 선거에서 압승하여 일시적인 위기를 종식시켰다.

데이븐포트는 1670년 3월 15일 보스턴에서 졸도로 사망했으며, 보스턴 킹스 채플 묘지에서 존 코튼과 같은 무덤에 묻혔다.

3. 1. 잉글랜드에서의 활동

존 데이븐포트는 힐튼 성에서 군종 신부로 봉사한 후, 런던의 세인트 로렌스 주리에서 교구 사제가 되었다.[5] 1624년, 런던 코울먼 스트리트에 있는 세인트 스테판 교회의 교구 목사로 선택되었다.[5] 그는 청교도 교사이자 학자인 존 프레스턴의 동료가 되었고, 프레스턴 사후 출판을 위해 그의 작품을 편집했다.[5] 농촌 성직자 지원을 위한 "평신도 수입"의 재구매를 조직하려는 그의 노력은 윌리엄 로드 주교에 의해 좌절되었고, 재무부 법원에서 비난받았으며, 팔라티네이트 선제후국에서 전쟁으로 인해 이주한 개혁된 성직자 구제를 위한 노력도 마찬가지였다.[5] 1633년 비국교도 목사가 되기 위해 국교회에서 사임하고 네덜란드로 이주했다.[5]

3. 2. 네덜란드 이주

존 데이븐포트는 윌리엄 로드 주교와의 갈등으로 1633년 국교회에서 사임하고 비국교도 목사가 되어 네덜란드로 이주했다.[5] 네덜란드에서 그는 유아 세례 문제로 존 파겟 목사와 논쟁을 벌였고, 결국 암스테르담의 청교도 교회에서 탈퇴했다.[9]

3. 3. 뉴잉글랜드 이주와 뉴 헤이븐 식민지 건설

1637년, 데이븐포트는 매사추세츠 식민지에 대한 특허를 취득하고, 회중 대부분과 함께 보스턴으로 항해했다.[6] 1638년 3월, 존 코튼 목사와 함께 보스턴에 머무르는 동안, 앤 허친슨의 교회 재판에 참석하여 그녀가 보스턴 교회에서 파문당하는 결과를 낳았고, 반율법주의 논쟁을 종식시켰다.[6] 같은 달 말, 그는 동급생인 테오필루스 이튼과 함께 뉴 헤이븐 식민지를 공동 설립했는데, 이튼은 런던 출신의 부유한 상인이자 식민지의 첫 번째 지사가 되었다.[7] 데이븐포트는 뉴 헤이븐 식민지에서 교육에 힘썼으며, 홉킨스 스쿨의 공동 설립자로 인정받는다.[8] 그는 시민으로서 1668년 보스턴으로 떠날 때까지 식민지에서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1667년 왕실 헌장에 따라 재조직된 코네티컷 식민지에 뉴 헤이븐 식민지가 통합되는 것을 반대했다.

데이븐포트는 평생 동안 교회 회원 자격에 대한 엄격한 청교도 기준과, 완전한 교회 회원 자녀에게만 시행되어야 한다고 믿었던 유아 세례에 대한 엄격한 자격을 옹호했다. 뉴잉글랜드에서 그는 1662년 하프웨이 언약으로 알려진 시노드의 권고에 대한 강력한 반대자였는데, 이 언약은 "하프웨이" 회원(유아로 세례를 받았지만 "개종"의 증거를 제시하지 않고 완전한 회원 자격을 얻지 못한 사람들)의 자녀가 세례를 받을 수 있도록 제안했다.[9]

4. 뉴잉글랜드에서의 논쟁과 갈등

1637년, 데이븐포트는 매사추세츠 식민지에 대한 특허를 취득하고 회중 대부분과 함께 보스턴으로 항해했다. 1638년 3월, 존 코튼 목사와 함께 보스턴에 머무르는 동안 앤 허친슨의 교회 재판에 참석하여 그녀가 보스턴 교회에서 파문당하는 결과를 낳았고, 반율법주의 논쟁을 종식시켰다.[6] 그 달 말, 그는 동급생인 테오필루스 이튼과 함께 뉴 헤이븐 식민지를 공동 설립했는데, 이튼은 런던 출신의 부유한 상인이자 식민지의 첫 번째 지사가 되었다.[7] 데이븐포트는 자신의 식민지에서 교육에 힘썼으며, 홉킨스 스쿨의 공동 설립자로 인정받는다.[8] 그는 시민으로서 1668년 보스턴으로 떠날 때까지 식민지에서 중요한 인물이었으며, 1667년 왕실 헌장에 따라 재조직된 코네티컷 식민지에 뉴 헤이븐 식민지가 통합되는 것을 반대했다.

데이븐포트는 유아 세례에 대한 엄격한 자격을 평생 옹호했으며, 뉴잉글랜드에서 1662년 하프웨이 언약으로 알려진 시노드의 권고에 대한 강력한 반대자였다.[9]

4. 1. 하프웨이 언약 논쟁

데이븐포트는 평생 동안 교회 회원 자격에 대한 엄격한 청교도 기준과, 완전한 교회 회원의 자녀에게만 시행되어야 한다고 믿었던 유아 세례에 대한 엄격한 자격을 옹호했다.[9] 네덜란드에서 그는 이 문제로 감독 목사인 존 파겟과 논쟁을 벌였고, 결국 암스테르담의 청교도 교회에서 탈퇴했다.[9] 뉴잉글랜드에서 그는 1662년 하프웨이 언약으로 알려진 시노드의 권고에 강력히 반대했는데, 이 언약은 "하프웨이" 회원(유아로 세례를 받았지만 "개종"의 증거를 제시하지 않고 완전한 회원 자격을 얻지 못한 사람들)의 자녀도 세례를 받을 수 있도록 제안했다.[9]

1667년 9월, 존 윌슨 목사가 사망하자 보스턴 제일 교회는 데이븐포트를 새 목사로 초청했다.[10] 그러나 교회 내 소수는 유아 세례에 대한 타협을 거부하는 그의 반대에 반대하며 초청에 반대했다. 관례에 따라 데이븐포트는 새 직책을 수락하기 전에 이전 회중으로부터 해방을 받아야 했고, 뉴 헤이븐 교회는 그를 보내는 것을 꺼렸다.[11] 그럼에도 그는 1668년 봄 보스턴으로 이주했고, 뉴 헤이븐 교회의 편지 발췌문을 작성하여 해방을 허가하는 것처럼 보이게 했다. 1668년 12월, 그는 제일 교회의 목사로 임명되었지만, 그의 임명에 반대하는 파벌이 교회를 탈퇴하여 새로운 회중을 형성하려 했다.[11] 지역 교회의 성직자 협의회가 그들의 요청을 승인했고, 그들은 1669년 5월 제3 교회(또는 올드 사우스 교회)를 형성했다.[11] 1669년 5월 19일, 데이븐포트는 총회 앞에서 [http://digitalcommons.unl.edu/etas/53/ 선거 설교]를 설교하며 개별 회중의 자유와 행정을 방해하는 "협의회"의 행동을 비난했다. 이 설교로 인해 대리인(총회의 하원)은 제3 교회 설립자와 분리를 승인한 목사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를 임명했다. 그러나 보좌관(상원)은 데이븐포트의 설교를 공적 비용으로 출판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조치를 막았다.[12] 그해 여름 늦게, 뉴 헤이븐의 해방 편지가 데이븐포트의 제일 교회가 자신들을 잘못 표현했다는 혐의를 거부했지만, 정당하지 않을 수 있는 인상을 주기 위해 심하게 수정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2]

뉴잉글랜드의 주요 교회에 데이븐포트가 임명되고 그의 선동적인 선거 설교는 하프웨이 시노드의 타협 협정에서 끓어오르던 이견을 최고조로 이끌었다. 그러나 데이븐포트는 다음 해에 사망했고, 다른 주요 반시노디스트인 인크리즈 매더는 마음을 바꾸었으며, 시노디스트 대리인들은 1671년 선거에서 압승하여 일시적인 위기를 종식시켰다.

4. 2. 보스턴 제일 교회 초빙과 갈등

1667년 9월, 존 윌슨 목사가 사망하자 보스턴 제일 교회는 존 데이븐포트를 새 목사로 초청했다.[10] 그러나 교회 내 소수는 유아 세례에 대한 타협을 거부하는 그의 입장에 반대하여 초빙에 반대했다. 관례에 따라 데이븐포트는 새 직책을 수락하기 전에 이전 뉴 헤이븐 교회로부터 해임되어야 했으나, 뉴 헤이븐 교회는 그를 보내는 것을 꺼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이븐포트는 1668년 봄 보스턴으로 이주했고, 뉴 헤이븐 교회의 편지를 발췌, 수정하여 해임을 허가받은 것처럼 보이게 했다. 1668년 12월, 그는 제일 교회 목사로 임명되었지만, 이에 반대하는 파벌이 교회를 탈퇴하여 새 회중을 형성하려 했다. 지역 교회 성직자 협의회는 이들의 요청을 승인했고, 이들은 1669년 5월 제3 교회(올드 사우스 교회)를 설립했다.[11]

1669년 5월 19일, 데이븐포트는 총회 앞에서 [http://digitalcommons.unl.edu/etas/53/ 선거 설교]를 통해 개별 회중의 자유와 행정을 방해하는 "협의회"의 행동을 비난했다. 이 설교로 인해 총회 하원은 제3 교회 설립자와 분리를 승인한 목사들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를 임명했다. 그러나 상원은 데이븐포트의 설교를 공적 비용으로 출판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조치를 막았다. 그해 여름, 뉴 헤이븐의 해임 편지가 데이븐포트의 제일 교회가 자신들을 잘못 표현했다는 혐의를 부인했지만, 실제로는 정당하지 않은 인상을 주기 위해 심하게 수정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2]

뉴잉글랜드 주요 교회에 대한 데이븐포트의 임명과 그의 선동적인 선거 설교는 하프웨이 언약의 타협을 둘러싼 갈등을 최고조로 이끌었다.

4. 3. 올드 사우스 교회 분립

존 윌슨 목사가 사망한 후인 1667년 9월, 보스턴 제일 교회는 존 데이븐포트를 새로운 목사로 초청했다.[10] 그러나 유아 세례에 대한 타협을 거부하는 데이븐포트의 입장에 반대하는 소수의 교인들은 이 초청에 반대했다. 관례에 따라 데이븐포트는 새로운 직책을 수락하기 전에 이전 회중인 뉴 헤이븐 교회로부터 해방되어야 했으나, 뉴 헤이븐 교회는 그를 보내는 것을 꺼렸다. 그럼에도 데이븐포트는 1668년 봄 보스턴으로 이주했고, 뉴 헤이븐 교회의 허가 편지를 발췌, 수정하여 해방된 것처럼 보이게 했다. 1668년 12월, 데이븐포트는 제일 교회의 목사로 임명되었지만, 그의 임명에 반대하는 파벌은 교회를 탈퇴하여 새로운 회중을 형성하고자 했다. 지역 교회의 성직자 협의회는 이들의 요청을 승인했고, 이들은 1669년 5월 제3 교회(또는 올드 사우스 교회)를 설립했다.[11] 1669년 5월 19일, 데이븐포트는 총회 앞에서 [http://digitalcommons.unl.edu/etas/53/ 선거 설교]를 통해 개별 회중의 자유와 행정을 방해하는 "협의회"의 행동을 비난했다. 이 설교로 인해 총회 하원에서는 제3 교회 설립자와 분리를 승인한 목사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한 위원회를 임명했지만, 상원은 데이븐포트의 설교를 공적 비용으로 출판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조치를 막았다. 그해 여름 늦게, 데이븐포트가 제일 교회에 제출한 뉴 헤이븐의 해방 편지가 사실과 다르게 심하게 수정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2]

4. 4. 1669년 선거 설교

1669년 5월 19일, 데이븐포트는 총회 앞에서 [http://digitalcommons.unl.edu/etas/53/ 선거 설교]를 설교하며 개별 회중의 자유와 행정을 방해하는 "협의회"의 행동을 비난했다.[12] 이 설교로 인해, 대리인(총회의 하원)은 제3 교회 설립자와 분리를 승인한 목사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해 위원회를 임명했다.[12] 그러나 보좌관(상원)은 데이븐포트의 설교를 공적 비용으로 출판하는 것을 포함한 모든 조치를 막았다.[12]

5. 사망과 유산

존 데이븐포트


예일 대학교는 데이븐포트의 구상으로 시작되었지만, 그의 제안은 그가 사망한 지 약 30년이 지나서야 실현되었다.[13] 데이븐포트 칼리지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의 유화 초상화는 예일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다. 그는 또한 1660년 홉킨스 스쿨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5. 1. 후손

제임스 데이븐포트 (성직자); 존 그린리프 휘티어의 시 "암흑의 날"의 주인공인 에이브러햄 데이븐포트; 국회의원이었던 형제 존 데이븐포트와 제임스 데이븐포트; 워터게이트 특별 검사인 아치볼드 콕스; 편집자 맥스웰 퍼킨스가 존 데이븐포트의 주목할 만한 후손이다.

참조

[1] 서적 Alumni Oxonienses London 1891
[2] 간행물 Millennium File http://Ancestry.com Ancestry.com Operations Inc 2003
[3] 웹사이트 DAVENPORT (DAMPORT), Edward (by 1504-87), of Coventry, Warws. http://www.historyof[...] 1982
[4] 논문 Suspicious Moderate: The Life and Writings of Francis à Sancta Clara (1598–1680) https://www.cambridg[...] 2018
[5] 간행물 Gift from St. Stephen's, Coleman Street, London https://www.jstor.or[...] 1934-04
[6] 서적 Saints and Sectaries: Anne Hutchinson and the Antinomian Controversy in the Massachusetts Bay Colon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7] 서적 An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Houghton Mifflin
[8] 서적 Chronicles of Hopkins Grammar School: 1660-1935 Quinnipiack Press
[9] 서적 The New England Mind: From Colony to Province
[10] 서적 The Records of the First Church in Boston 1630–1868
[11] 서적 History of the First Church in Boston, 1630–1880
[12] 서적 The Half-way Covenant: Church Membership in Puritan New England
[13] 웹사이트 Yale: A Short History http://www.library.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