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로지 베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로지 베어드는 스코틀랜드의 발명가로, 텔레비전 기술 개발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1888년 헬렌스버그에서 태어나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수학을 공부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텔레비전 연구에 매진했다. 1920년대에 닙코브 원판을 이용한 텔레비전 시스템을 개발하여 최초의 움직이는 흑백 영상을 선보였으며, 장거리 텔레비전 전송과 컬러 텔레비전 기술 개발에도 기여했다. 그는 1946년 사망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로지상과 명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불가지론자 - 애니 레녹스
    애니 레녹스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가수이자 작곡가로, 유리스믹스와 솔로 활동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음악적 업적, 사회 공헌 활동, 중성적인 이미지, 사회 참여적인 활동 등으로 큰 영향을 미친 아이콘이다.
  •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동문 - 크리스 소여
    스코틀랜드 출신 게임 개발자 크리스 소여는 1980년대부터 게임 개발을 시작하여 『트랜스포트 타이쿤』과 『롤러코스터 타이쿤』 시리즈로 타이쿤 게임 장르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후 모바일 게임 개발사를 설립하여 모바일 타이쿤 게임을 출시하기도 했으며, 롤러코스터 애호가로도 알려져 있다.
  •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동문 - 앨러스테어 존스턴
    앨러스테어 존스턴은 IMG의 부회장 겸 이사이며, 레인저스 FC의 이사 및 회장을 역임했으며,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동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 텔레비전 선구자 - 블라디미르 K. 즈보리킨
    블라디미르 K. 즈보리킨은 러시아 출신의 발명가로, 텔레비전 기술 개발에 기여했으며, 아이코노스코프 개발을 통해 텔레비전 방송 기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텔레비전 선구자 - 필로 판즈워스
    필로 판즈워스는 전자식 텔레비전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세계 최초로 전자식 텔레비전 시스템을 시연하여 "텔레비전의 아버지"로 불리는 미국의 발명가이자 텔레비전 기술의 선구자이다.
존 로지 베어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17년의 베어드
1917년의 베어드
출생 이름(알려진 바 없음)
출생일1888년 8월 13일
출생지헬렌즈버러, 아가일 앤 뷰트, 스코틀랜드
사망일1946년 6월 14일
사망지베스힐온시, 이스트서식스, 잉글랜드
안장 위치헬렌즈버러 공동묘지 베어드 가족 묘역
국적스코틀랜드
시민권영국
교육로몬드 스쿨(구 라치필드 아카데미), 헬렌즈버러
모교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구 글래스고 앤 웨스트스코틀랜드 기술대학), 글래스고 대학교
직업발명가, 기업가
활동 기간(알려진 바 없음)
고용주(알려진 바 없음)
소속케이블 & 와이어리스 기술 자문 (1941년부터), 존 로지 베어드 유한회사 이사, 캐피털 앤 프로빈셜 시네마 유한회사 이사
종교스코틀랜드 교회
배우자마거릿 알부 (결혼 1931년)
자녀다이애나 베어드, 말콤 베어드
부모존 베어드 목사, 제시 모리슨 잉글리스
서훈런던 물리학회 회원 (1927), 왕립 텔레비전 학회 회원 (1927), 에든버러 왕립 학회 명예 회원 (1937)
주요 업적
알려진 업적세계 최초의 작동하는 텔레비전 시스템, 최초의 컬러 텔레비전 포함
기타 정보
웹사이트(알려진 바 없음)

2. 생애 및 교육

존 로지 베어드는 1888년 8월 13일 스코틀랜드 헬렌스버그에서 스코틀랜드 교회 목사인 아버지 존 베어드 목사와, 글래스고의 부유한 잉글리스 조선소 가문의 조카인 제시 모리슨 잉글리스 사이에서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9][10] 헬렌스버그의 라치필드 아카데미(현 로몬드 학교)를 졸업하고, 글래스고 및 서부 스코틀랜드 기술 대학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대학 재학 중 베어드는 엔지니어링 견습 과정을 수행했다. 산업 도시 글래스고의 환경은 그의 사회주의적 신념 형성에 영향을 주었으며, 건강 악화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그는 무신론자가 되었지만, 아버지와의 관계는 원만했다.[11] 제1차 세계 대전으로 학위 과정이 중단되었고, 졸업하지 못했다.

1915년 초, 영국 육군에 자원했으나 현역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전선에 갈 수 없게 되자 탄약 관련 회사인 클라이드 밸리 전력 회사에서 일했다.[12]

2. 1. 초기 생애

존 로지 베어드는 1883년 영국 스코틀랜드 헬렌스버그에서 목사의 아들로 태어났다.[9][10] 헬렌스버그의 라치필드 아카데미(현 로몬드 학교)를 졸업하고, 글래스고 및 서부 스코틀랜드 기술 대학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수학했다. 대학 재학 중에는 엔지니어링 견습 과정을 수행하며 산업 도시 글래스고의 환경 속에서 사회주의적 신념을 형성하기도 했다. 건강 악화는 그의 신념 형성에 영향을 주었지만, 무신론자가 되었음에도 아버지와의 관계는 원만했다.[11]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학업이 중단되어 졸업하지는 못했다. 1915년 초 영국 육군에 자원했지만, 현역 복무에는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전선에 나갈 수 없게 되자 탄약 관련 작업을 하는 클라이드 밸리 전력 회사에서 일했다.[12]

2. 2.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1915년 초, 베어드는 영국 육군에 자원했으나, 현역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12] 전선에 갈 수 없게 되자, 그는 탄약 관련 작업에 참여하고 있던 클라이드 밸리 전력 회사에서 일자리를 얻었다.[12]

3. 텔레비전 기술 개발

텔레비전의 발명은 여러 발명가들의 노력으로 이루어졌지만, 베어드는 이 분야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특히 움직이는 하프톤 텔레비전 영상을 처음으로 만든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82]

1925년 10월 2일, 베어드는 실험실에서 스투키 빌이라는 복화술 인형을 사용하여 32개의 수직 스캔 이미지, 초당 5개의 이미지로 구성된 회색조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전송했다.[17] 이후 사무실 직원 윌리엄 에드워드 테인턴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텔레비전에 얼굴이 비친 최초의 사람이 되었다.[18]

베어드는 기계식 시스템 이후 전자식 텔레비전 개발에도 기여했다. 1939년에는 음극선관 앞에 색 필터를 단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컬러 시스템을 선보였고,[45] 1940년대 초에는 "텔레크롬"이라는 완전 전자식 시스템을 연구하여 시안과 마젠타 형광체를 이용한 컬러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시연했다.

1944년 8월 16일에는 600라인, 삼중 인터레이스 비디오를 사용하는 완전 전자식 컬러 텔레비전 디스플레이를 세계 최초로 시연했다.[43][44]

텔레비전은 많은 발명가들의 업적에 의해 발전해 왔다. 그중 베어드의 공헌은 중요하다. 특히 영국에서는 베어드가 세계 최초로 생생하게 움직이는 그레이 스케일 텔레비전 영상을 만들어냈다고 여겨진다. 우수한 광전지를 얻고 광전지와 증폭기에서 나오는 신호 조정을 개선함으로써 다른 발명가보다 먼저 성공했다.

1902년부터 1907년 무렵, 아서 콘은 이미지 전송의 신호 조정 회로를 발명, 제작했다. 이 회로는 셀렌 광전지의 지연 현상으로 인한 이미지 붕괴를 극복한 것이다. 콘은 이 회로를 통해 전화 회선이나 무선으로 원거리 이미지 전송에 성공했지만 (팩시밀리), 그의 회로에서는 전자 증폭 회로를 이용하지 않았다[62]。콘이 정지 이미지 전송에 성공하면서 그 방식을 텔레비전에도 적용할 가능성이 생겼다. 베어드는 콘의 성과를 이용했다[63][64]

1943년, 전쟁 후 텔레비전 방송 재개를 감독하기 위해 헨키 위원회가 임명되었다. 베어드는 그들에게 그의 제안인 1000라인 텔레크롬 전자 컬러 시스템을 새로운 전후 방송 표준으로 채택할 계획을 세우도록 설득했다. 이 시스템의 화질은 오늘날의 HDTV(고화질 텔레비전)와 비슷했을 것이다. 헨키 위원회의 계획은 전후 재건의 어려움으로 인해 추진력을 잃었다. 흑백 405라인 표준은 일부 지역에서 1985년까지 유지되었고, 625라인 시스템은 1964년에 도입되었으며 (PAL) 컬러는 1967년에 도입되었다. 베어드의 시연 60년이 지난 2008년 3월, BBC에 의한 대형 스크린 3차원 텔레비전 시연이 보도되었다.[46]

3. 1. 초기 연구

1923년 초, 건강이 좋지 않았던 베어드는 영국 남부 해안의 헤이스팅스로 이주하여 작업장을 임대했다. 그는 낡은 모자 상자, 가위, 바늘, 자전거 전등 렌즈, 차 상자, 밀랍과 풀 등으로 세계 최초의 작동하는 텔레비전을 만들었다.[47] 1924년 2월, 런던에서 닙코브 원판을 이용해 인형의 상을 맺히게 함으로써 반기계적인 아날로그 텔레비전이 가능함을 보였고, ''Radio Times''에 움직이는 실루엣 이미지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시연했다.[13]

존 로지 베어드와 그의 텔레비전 장치 (1925년경)


베어드는 니프코 디스크를 사용하여 텔레비전 시스템 개발을 시도했다. 파울 고틀리프 니프코가 1884년에 발명한 이 스캔 시스템은[16] 텔레비전 역사학자 앨버트 에이브럼슨에 의해 "마스터 텔레비전 특허"라고 불린다.[30]

1924년 6월, 베어드는 시릴 프랭크 엘웰로부터 테오도르 케이스가 개발한 황화 탈륨(탈로파이드) 셀을 구입했다.[19] 베어드는 이 셀을 선구적으로 구현하여 다른 발명가들이 실패했던 살아있는 움직이는 회색조 텔레비전 이미지를 반사광에서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는 케이스 셀에 온도 최적화(냉각)를 통한 신호 조절 개선과 자체 설계한 비디오 증폭기를 사용하여 이를 달성했다.[19]

아서 콘은 1902년부터 1907년 무렵 이미지 전송의 신호 조정 회로를 발명, 제작했다. 베어드는 콘의 성과를 이용했다.[63][64]

같은 해 6월, 100볼트 전기에 감전되었지만, 손에 화상만 입고 살아남았다. 그러나 집주인이 작업장을 빌려주는 것을 그만두겠다고 말했기에 런던소호로 이사하여 그곳에서 기술적 돌파구를 열었다. 1925년 3월 25일부터 3주에 걸쳐 셀프리지스라는 런던 백화점에서 텔레비전 영상 일반 공개 시연을 했다.

1925년 10월 2일, 실험실에서 처음으로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 송수신에 성공했다. 이때 피사체로 한 것은 Stooky Bill이라는 복화술 인형의 머리 부분으로, 주사선은 30개, 초당 5장의 이미지를 전송했다.[66] 그래서 베어드는 아래층으로 내려가 20세 사무원 윌리엄 에드워드 테인턴을 데려와 인간의 얼굴이 어떻게 비추는지 보려고 했다. 따라서 텔레비전에 얼굴이 비친 세계 최초의 인물은 테인턴이 되었다.[67] 이 발명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베어드는 ''Daily Express''라는 신문사를 방문했다. 응대한 편집자는 베어드를 정신 이상자로 생각했다.[68]

3. 2. 최초의 텔레비전 시연

1924년 2월, 런던에서 베어드는 닙코브 원판을 이용해 인형의 상을 맺히게 함으로써 반기계적인 아날로그 텔레비전이 가능함을 보였다. 1925년 10월 30일, 베어드는 최초의 움직이는 인형의 상을 만들었다. 텔레비전의 발명은 폴 고트립 니코브, 보리스 로징 등 많은 발명가의 업적을 통해 이뤄졌으나 베어드는 이 분야의 선구자였다. 그는 살아서 움직이는 하프톤의 텔레비전 상을 처음으로 만든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82]

1925년 10월 30일 베어드는 자신의 발명품을 알리기 위해 데일리 익스프레스 신문을 찾아갔으나, 신문 편집장은 이를 보고 무서움에 떨었다고 한다. 베어드는 훗날 편집장이 자신의 직원에게 "제발 프런트로 가서 거기 있는 미친 사람을 좀 쫓아내! 그 사람은 자기가 무선으로 볼 수 있는 기계를 만들었대! 그 사람 어쩌면 면도날을 들고 있을지 몰라. 조심하라구!"라고 말했다고 전했다.[82]

1925년 3월 25일부터 3주 동안 런던의 셀프리지 백화점에서 텔레비전으로 움직이는 실루엣 이미지를 처음으로 공개 시연했다.[20]

베어드의 "텔레비전"에 의해 생성된 움직이는 이미지의 최초의 사진. ''The Times'' 1926년 1월 28일 보고 (피사체는 베어드의 사업 파트너 올리버 허친슨이다.)


1926년 1월 26일, 베어드는 런던 소호 지역 프리스 스트리트 22번지에 있는 자신의 실험실에서 왕립 연구소 회원들과 ''The Times''의 기자에게 진정한 텔레비전 이미지를 처음으로 공개 시연했다.[21][22][23][24] 베어드는 처음에는 초당 5장의 사진을 스캔했고, 1927년경에는 이를 초당 12.5장으로 개선했다. 이는 색조 변화를 가진 라이브 움직이는 이미지를 스캔하고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전 시스템의 첫 번째 시연이었다.[3]

런던 웨스트민스터 프리스 스트리트 22번지에서 베어드의 텔레비전 첫 시연을 기념하는 블루 플라크

3. 3. 기술 발전

1928년, 베어드는 세계 최초로 컬러 텔레비전 전송을 시연했다.[43] 그는 기계식 시스템이 구식이 된 후에도 전자 텔레비전 분야에 많은 기여를 했다. 1939년에는 음극선관 앞에 색상 필터가 장착된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하이브리드 컬러 시스템을 선보였는데, 이는 미국CBS와 RCA가 채택한 방식이었다.[45]

1940년 초부터 베어드는 "텔레크롬"이라고 불리는 완전 전자식 시스템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초기 텔레크롬 장치는 형광판의 양쪽을 향하는 두 개의 전자총을 사용했다. 시안과 마젠타 형광체를 사용하여 제한된 색상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 그는 또한 흑백 신호를 사용하여 3D 이미지(당시에는 "스테레오스코픽"이라고 불림)를 생성하는 동일한 시스템을 시연했다.

1941년, 그는 500 라인의 해상도로 이 3차원 텔레비전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받고 시연했다. 1944년 8월 16일, 그는 실용적인 완전 전자식 컬러 텔레비전 디스플레이를 세계 최초로 시연했다.[43] 그의 600라인 컬러 시스템은 각 사진을 구성하기 위해 6번의 스캔을 사용하여 삼중 인터레이스 비디오를 사용했다.[44][45]

4. 방송 사업

1927년 베어드는 런던글래스고 사이의 704km 전화선을 이용해 장거리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하였다. 그는 베어드 텔레비전 개발사를 설립하여 대서양을 횡단, 런던의 BBC에서 뉴욕주 하츠데일로 텔레비전을 방영하였다. 이 시스템은 1931년 엡섬 더비를 처음으로 전송하였다.[33][34]

1929년부터 1935년까지 BBC는 30라인 베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을 하였다. 1936년 240라인으로 바뀐 뒤 1937년 베어드 시스템 전송을 중단하였다.

이후 베어드의 텔레비전 시스템은 아이작 쇤버그가 만든 EMI-마르코니사에 의해 개발된 전기 텔레비전으로 대체되었다.

4. 1. 베어드 텔레비전 개발사 설립

1927년 베어드는 런던글래스고 사이의 704km 전화선을 이용해 장거리 텔레비전 신호를 전송하였다.[28] 이는 벨 연구소뉴욕워싱턴 D.C. 사이의 362km 거리에서 텔레비전 송수신에 성공한 것에 대한 대항이었다.[72] 그 후 베어드는 베어드 텔레비전 개발사(Baird Television Development Company Ltd)를 설립하여, 1928년 런던에서 뉴욕주 하츠데일로 대서양을 횡단하는 텔레비전 방송을 하였다.[31] 또한, BBC를 위해 최초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작했다.

4. 2. BBC와의 협력 및 경쟁

1929년부터 1935년까지 BBC는 30라인 베어드 시스템을 이용해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1932년부터 1935년까지 BBC는 자체 스튜디오에서 프로그램을 제작하기도 했다.[37] 1933년부터 베어드와 베어드 회사는 런던 남부 크리스탈 팰리스에 있는 스튜디오와 송신기에서 BBC와는 별개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방송했다.[38]

1936년 11월 2일, 런던 북부 능선의 높은 지대에 위치한 알렉산드라 팰리스에서 BBC는 베어드의 240라인 전송과 마르코니사와의 합병으로 탄생한 EMI의 전자 스캔 시스템(405라인)을 교대로 방송하기 시작했다.[39] 베어드 시스템은 영화 필름을 촬영하여 신속하게 현상 및 스캔하는 중간 필름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었다. 6개월간의 시험 기간 후, BBC는 1937년 2월 베어드 시스템을 사용한 방송을 중단했다. 이는 크리스탈 팰리스에 있는 베어드 시설에서 발생한 화재와 베어드 시스템 카메라의 이동성 부족이 부분적인 원인이었다.[39]

베어드의 텔레비전 시스템은 아이작 쇤버그 경이 지휘하는 EMI-마르코니사가 개발한 완전 전자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대체되었다. 이 시스템은 진보된 카메라 튜브(에미트론)와 효율적인 경질 진공 음극선관을 사용했다.[41] 필로 T. 판스워스의 전자 "이미지 디섹터" 카메라는 특허 공유 계약을 통해 베어드 회사에 제공되었으나, 빛 감도가 부족하여 과도한 조명이 필요했다. 베어드 회사는 판스워스 튜브를 사용하여 영화 필름을 스캔했지만, 중단 및 기타 문제에 취약했다. 1936년 크리스탈 팰리스 화재는 베어드 회사의 경쟁력을 더욱 약화시켰다.[42]

5. 다른 발명

베어드는 텔레비전 외에도 다양한 발명에 재능을 보였다. 20대 시절 흑연을 가열하여 다이아몬드를 만들려고 시도했으나 글래스고의 전력 부족을 일으키기도 했다. 녹슬지 않지만 깨지는 유리 면도칼, 공기 주입식 신발 등 성공하지 못한 발명도 있었지만, 공기 주입식 신발은 훗날 닥터 마틴 부츠에 성공적으로 채택된 아이디어이기도 하다. 베어드 언더삭스(Baird undersock)라는 보온 양말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 베어드는 냉증에 시달렸고, 여러 시도 끝에 양말에 솜 층을 넣으면 따뜻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79]

그는 포노비전 외에도 광섬유, 무선 방향 탐지, 적외선 야간 투시 및 레이더와 같은 기술들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그가 레이더 개발에 정확히 얼마나 기여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영국 정부는 그의 전시 방어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의 아들인 말콤 베어드에 따르면, 1926년에 베어드가 반사된 전파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장치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는데, 이 장치는 레이더와 매우 유사하며, 당시 영국 정부와 서신을 주고받았다고 한다.[51]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베어드의 "녹토비전"은 레이더와 달리 (연속파 레이더 제외) 스캔된 대상과의 거리를 결정할 수 없고, 3차원 공간에서 대상의 좌표를 결정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52]

5. 1. 포노비전

베어드는 1926년부터 1928년까지 초기 비디오 녹화 장치인 포노비전을 개발했다.[48] 이 장치는 레코드 커팅 래스에 기계적 연결 장치로 연결된 대형 니프코 스캐닝 디스크로 구성되었다. 그 결과 30라인 비디오 신호를 녹화할 수 있는 디스크가 만들어졌다. 이 시스템은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더 이상 발전하지 못했지만, 일부 포노비전 디스크 원본이 보존되어 있다.[49][50]

니프코 원반과 축음기를 조합한 포노비전은 비디오녹화 기기로, 레코드에 주사선 30개의 영상을 녹화할 수 있었다. 스코틀랜드의 전기 기술자 도널드 맥클린이 몇 개의 녹화된 레코드를 재생한 적이 있다.[80]

5. 2. 기타 발명

광섬유, 전파 방향 찾기, 적외선 야간 투시경, 레이다 등을 개발했다. 그러나 실제로 레이다 개발에 기여했는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의 아들 말콤 베어드에 따르면, 1926년에 베어드가 반사된 전파로 이미지를 형성하는 장치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고, 이는 레이더와 매우 유사하며 당시 영국 정부와 서신을 주고받았다고 한다.[51]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베어드의 "녹토비전"은 레이더와 달리 스캔된 대상과의 거리를 결정할 수 없고, 3차원 공간에서 대상의 좌표를 결정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52]

1926년부터 1928년까지 초기 비디오 녹화 장치인 포노비전을 개발하려 시도했다.[48] 이 시스템은 레코드 커팅 래스에 기계적 연결 장치로 연결된 대형 니프코 스캐닝 디스크로 구성되어, 30라인 비디오 신호를 녹화할 수 있는 디스크를 만들었다.[49][50] 비록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추가 개발은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일부 포노비전 디스크 원본은 보존되어 있다.

베어드는 20대 시절 흑연을 가열하여 다이아몬드를 만들려고 시도하거나, 녹슬지 않지만 깨지는 유리 면도기를 발명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했다. 공기 주입식 신발을 만들려다 실패하기도 했지만, 베어드 언더삭스(Baird undersock)라는 보온 양말을 발명하여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47]

6. 말년 및 사망

1944년 12월부터 로지 베어드는 이스트서식스주 벡스힐온시 스테이션 로드 1번지에 살았으며, 1946년 2월에 뇌졸중을 앓은 후 그해 6월 14일 그곳에서 사망했다.[53] 그 집은 2007년에 철거되었고, 현재 그 자리에는 베어드 코트(Baird Court)라는 이름의 아파트가 들어섰다.[53] 로지 베어드는 스코틀랜드 아길 헬렌스버그 묘지에 부모님 곁에 묻혔다.[54]

7. 유산 및 평가

그레이터 런던 의회에서 런던 시덴햄의 크레센트 우드 로드 3번지에 세운 파란색 명판


존 로지 베어드는 텔레비전 발명에 기여한 공로로 여러 வகையில் 기념되고 있다. 호주 텔레비전의 로지상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5] 1957년 BBC 텔레비전 극장에서 이먼 앤드류스가 그를 기렸을 때, 베어드는 사망자로서 유일하게 ''This Is Your Life''의 주인공이 되었다.[55]

2014년, 영화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SMPTE)는 베어드를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 이는 생전에 명예 회원 자격을 받지 못했지만, 그들의 기여가 그러한 영예를 받을 만한 개인들을 사후에 인정하는 것이었다.[56] 2023년, 존 맥케이는 ITV 시리즈 ''Nolly''와 ''닥터 후'' 에피소드 "The Giggle"에서 베어드 역을 연기했다.[57]

2013년, 스코틀랜드 역사 환경부(Historic Environment Scotland)는 로지 베어드를 기념하는 명판을 수여했으며, 이 명판은 헬렌스버러에서 찾을 수 있다.[58]

7. 1. 업적과 영향

베어드의 텔레비전 발명은 방송 기술 역사에 중요한 획을 그었다. 특히 영국에서는 베어드가 세계 최초로 생생하게 움직이는 그레이 스케일 텔레비전 영상을 만들어냈다고 여겨진다.[58] 베어드는 우수한 광전지를 얻고 광전지와 증폭기에서 나오는 신호 조정을 개선함으로써 다른 발명가보다 먼저 텔레비전 영상 구현에 성공했다.

1902년부터 1907년 무렵, Arthur Korn|아서 콘영어은 이미지 전송의 신호 조정 회로를 발명, 제작하여 셀렌 광전지의 지연 현상으로 인한 이미지 붕괴를 극복했다.[62] 콘은 이 회로를 통해 전화 회선이나 무선으로 원거리 이미지 전송(팩시밀리)에 성공했지만, 그의 회로에서는 전자 증폭 회로를 이용하지 않았다.[62] 베어드는 콘의 성과를 이용했다.[63][64]

베어드는 텔레비전 시스템 개발 초기에 파울 니프코가 1884년에 발명한 니프코 원반으로 실험했다. 니프코 원반은 이미지를 주사하여 순차적인 빛의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65] 텔레비전사 연구가 앨버트 에이브럼슨은 니프코의 특허를 "위대한 텔레비전 특허"라고 평했다.[65]

1925년 10월 2일, 베어드는 실험실에서 처음으로 그레이 스케일 이미지 송수신에 성공했다. 이때 피사체는 Stooky Bill이라는 복화술 인형의 머리 부분으로, 주사선은 30개, 초당 5장의 이미지를 전송했다.[66]

7. 2. 평가 및 기념



호주 텔레비전의 로지상은 텔레비전 발명에 기여한 존 로지 베어드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55]

베어드는 1957년 이먼 앤드류스가 BBC 텔레비전 극장에서 그를 기렸을 때, 사망자로서 유일하게 ''This Is Your Life''의 주인공이 되었다.[55]

2014년, 영화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SMPTE)는 로지 베어드를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는데, 이는 "생전에 명예 회원 자격을 받지 못했지만, 그들의 기여가 그러한 영예를 받을 만한 개인들을 사후에 인정하는 것"이었다.[56]

2023년, 존 맥케이는 ITV 시리즈 ''Nolly''와 ''닥터 후'' 에피소드 "The Giggle"에서 존 로지 베어드 역을 연기했다.[57]

참조

[1] 웹사이트 Baird http://www.collinsdi[...] 2012
[2] 뉴스 The "Televisor" Successful Test of New Apparatus https://www.bairdtel[...] The Times (London) 1926-01-28
[3] 뉴스 Who invented the television? How people reacted to John Logie Baird's creation 90 years ago https://web.archive.[...] 2016-01-26
[4] 뉴스 Who invented the mechanical television? (John Logie Baird) https://youtube.com/[...] Google. 2016-01-26
[5] 웹사이트 John Logie Baird was voted the second most popular Scottish scientist https://web.archive.[...]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2010-01-06
[6] 웹사이트 2015 Inductee: John Logie Baird http://engineeringha[...] 2015-10-04
[7] 웹사이트 IEEE Milestone Celebration – The Evolution of Television from Baird to the Digital Age https://www.ieee-uka[...] 2020-08-01
[8] 웹사이트 John Logie Baird | the Royal Mint https://web.archive.[...] 2021-10-02
[9] 서적 John Logie Baird, television pioneer
[10] 웹사이트 BBC – History – John Logie Baird https://www.bbc.co.u[...]
[11] 서적 John Logie Baird, Television Pioneer IET 2000
[12] 서적 Vision Warrior Orkney Press 1990
[13] 서적 John Logie Baird, television pioneer https://archive.org/[...]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2000
[14] 서적 John Logie Baird: Television Pioneer IET 2000
[15] 웹사이트 Australian Web Archive https://webarchive.n[...] webarchive.nla.gov.au 2013-10-02
[16] 서적 The History of Television, 1880 to 1941 McFarland 1987
[17] 서적 Television: An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Formative Years
[18] 서적 Restoring Baird's Image
[19] 간행물 John Logie Baird and the Secret in the Box: The Undiscovered Story Behind the World's First Public Demonstration of Television 2020-08
[20] 서적 British Television Drama: A History Palgrave Macmillan 2015
[21] 웹사이트 Historic Figures: John Logie Baird (1888–1946) https://www.bbc.co.u[...] BBC 2015-04-28
[22] 간행물 John Logie Baird And The Secret In The Box: The Undiscovered Story Behind The World's First Public Demonstration Of Television 2020-08
[23] 서적 John Logie Baird: A Life
[24] 간행물 The Achievement of Television: The Quality and Features of John Logie Baird's System in 1926 http://www.tandfonli[...] 2014-07
[25] 웹사이트 Patent US1925554 – Television apparatus and the like https://patents.goog[...] 2008-01-23
[26] 특허 Television Apparatus and the Like https://patents.goog[...] 1928
[27] 뉴스 How "Stereoscopic" Television is Shown https://www.bairdtel[...] Radio News 1928-11
[28]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aul Lyons http://www.scotlando[...] 2008-12-08
[29] 간행물 Seeing Across Oceans: John Logie Baird's 1928 Trans-Atlantic Television Demonstration [Scanning Our Past] 2019-06
[30] 서적 The History of Television, 1880 to 1941 McFarland 1987
[31] 뉴스 Scottish fact of the day: first TV signal broadcast http://www.scotsman.[...] 2017-10-09
[32] 뉴스 The Man with the Flower in his Mouth https://www.bbc.co.u[...] BBC 2017-10-09
[33] 뉴스 BBC's first television outside broadcast http://www.bbceng.in[...] Prospero
[34] 뉴스 Televising the Derby (1931) https://www.bairdtel[...] www.bairdtelevision.com
[35] 뉴스 Television in 1932 https://www.bairdtel[...] www.bairdtelevision.com
[36] 뉴스 Baird Television Limited – Growing Demand For Home Receivers – Success of Large Screen Projections in Cinemas – etc The Times 1939-04-03
[37] 뉴스 1932 Television Demonstrated in 1952 https://www.bairdtel[...] www.bairdtelevision.com
[38] 웹사이트 The Crystal Palace Television Studios: John Logie Baird and British Television http://www.bairdtele[...] 2019-01-06
[39] 서적 John Logie Baird: A Life
[40] 간행물 Inventing Television: Transnational Networks of Co-operation and Rivalry, 1870-1936 https://www.research[...]
[41] 뉴스 Sir Isaac Shoenberg, British inventor https://www.britanni[...] 2020-07-22
[42] 서적 John Logie Baird: A Life
[43] 서적 Encyclopedia of 20th-Century Technology Routledge 2005
[44] 서적 The History of Television, 1942 to 2000 McFarland & Company 2003
[45]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High Definition Colour Television System https://www.bairdtel[...]
[46] 뉴스 The Challenges of Three-Dimensional Television http://downloads.bbc[...] 2016-06-07
[47] 문서 American Media History
[48] 논문 Computer-based analysis and restoration of Baird 30-line television recordings 1985-04
[49] 웹사이트 The dawn of TV: Mechanical era of British television http://www.tvdawn.co[...]
[50] 서적 Restoring Baird's image https://www.worldcat[...]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2000
[51] 웹사이트 Television, Radar and J.L. Baird http://www.bairdtele[...]
[52] 서적 John Logie Baird The Institution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2001
[53] 뉴스 125th birthday of the inventor of television John Logie Baird http://www.hastingso[...] Hastings Observer 2016-01-26
[54] 웹사이트 John Logie Baird : television pioneer https://archive.org/[...] London : Institution of Electrical Engineers 2000-10-02
[55] 뉴스 Late great engineers: John Logie Baird- the founding father of television https://www.theengin[...] 2023-09-06
[56] 웹사이트 SMPTE® Announces 2014 Honorees and Award Winners https://www.smpte.or[...] Society of Motion Picture & Television Engineers 2014-11-10
[57] 웹사이트 Doctor Who confirms further castings for 60th anniversary specials https://www.radiotim[...] 2024-10-12
[58] 웹사이트 John Logie Baird https://engineeringh[...] 2024-08-20
[59] 문서 Baird, John Logie (1888–1946)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4-23
[60] 뉴스 BBC – 100 great British heroes http://news.bbc.co.u[...] BBC News 2010-11-08
[61] 웹사이트 John Logie Baird was voted the second most popular Scottish scientist http://www.nls.uk/sc[...]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2010-01-06
[62] 서적 Wireless Pictures and Television Constable & Company 1926
[63] 서적 Trailblazer to Television: The Story of Arthur Korn Charles Scribner's Sons 1950
[64] 서적 2000
[65] 서적 1987
[66] 서적 Television: An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Formative Years
[67] 서적 2000
[68] 웹사이트 ADVENTURES in CYBERSOUND John Logie Baird : 1888 - 1946 http://pandora.nla.g[...]
[69] 서적 2002
[70] 서적 The Great Television Race: A History of the American Television Industry 1925 - 1941
[7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Paul Lyons http://www.scotlando[...]
[72] 서적
[73] 웹사이트 Television in 1932 http://www.bairdtele[...]
[74] 뉴스 Baird Television Limited - Growing Demand For Home Receivers - Success Of Large Screen Projections In Cinemas - etc. The Times 1939-04-03
[75] 서적
[76] 서적
[77]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High Definition Colour Television System http://www.bairdtele[...]
[78] 서적 The History of Television, 1942 to 2000 McFarland & Company
[79] 간행물 American Media History
[80] 웹사이트 Donald McLean's TV Dawn website http://www.tvdawn.co[...]
[81] 서적
[82] 웹인용 Adventures in CyberSound: Baird, John Logie http://www.acmi.net.[...] 2006-09-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