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전은 인체에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현상으로, 전압, 전류, 주파수, 통전 경로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위험성이 달라진다. 높은 전압이나 젖은 피부는 감전 위험을 높이며, 특히 심장을 통과하는 전류는 치명적일 수 있다. 감전은 심실세동, 화상, 신경 손상, 정신적 문제 등 다양한 생리적 영향을 미치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한국은 감전 사고 예방을 위해 법규와 안전 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며, 전기 설비 점검, 접지, 누전 차단기 설치 등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감전 사고 발생 시에는 즉시 전원을 차단하고 119에 신고하며, 구조자는 절연 물체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구조해야 한다. 감전은 의료, 오락, 고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정전기도 약한 감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기 안전 - 고전압
고전압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 등에서 교류 1,000V 이상, 직류 1,500V 이상으로 정의하며, 전력 송배전, 산업,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감전 등의 위험이 따르므로 안전에 유의해야 한다. - 전기 안전 - 전류 전쟁
전류 전쟁은 19세기 후반 전기 보급 초기에 토머스 에디슨의 직류 방식과 조지 웨스팅하우스와 니콜라 테슬라의 교류 방식이 전력 시스템 표준을 놓고 경쟁한 사건으로, 기술적 우위, 특허, 금융, 선전전 양상으로 전개되어 결국 교류가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 외상 - 칼부림
칼부림은 인류 역사에서 발생해 온 사건으로, 암살에 사용되기도 하며, 칼에 찔릴 경우 내부 출혈, 쇼크, 감염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 외상 - 찰과상
찰과상은 외부 물리력에 의해 피부가 쓸려 손상되는 것으로, 손상 깊이에 따라 정도가 나뉘며 통증, 출혈, 붓기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세척, 소독, 항생제 도포, 습윤 드레싱 등으로 치료한다.
감전 | |
---|---|
질병 정보 | |
이름 | 감전 |
영문 이름 | Electrical injury |
![]() | |
개요 | |
분야 | 응급 의학 |
합병증 | 화상, 횡문근융해증, 심장 마비, 골절 |
빈도 | >30,000 건 이상 (미국) |
사망자 수 | ~1,000 건/년 (미국) |
추가 정보 | |
원인 | 전기 전류에 의한 생리적 반응 또는 손상 |
설명 | > 감전은 전기 에너지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생리적 반응 또는 손상이다. 전기적 손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부상, 심지어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다. |
기타 | > 감전은 전기 안전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안전 수칙을 준수하지 않았을 때 발생하기 쉽다. 가정용 전압에서도 심각한 감전이 발생할 수 있다. |
2. 감전의 원리 및 위험성
감전은 인체에 전류가 흘러 발생하는 현상으로, 그 위험성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 AC-1: 거의 감지 불가
- AC-2: 감지 가능하나 근육 반응 없음
- AC-3: 불수의적 근육 수축
- AC-4 이후, 심실세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증가함.
감전의 위험성은 전압, 전류, 주파수, 통전 경로에 따라 다르다.
- 전류: 전류가 높을수록 위험하다. 1초 동안 165mA를 흘리면 심실세동 확률이 5%이지만, 500mA에서는 100%가 되어 사망에 이른다. 여자는 남자보다 더 민감하다.
- 전류 경로: 왼손에서 가슴으로 흐르는 전류는 일반 충격보다 1.5배 더 위험하다. 심장에 10μA를 직접 흘리면 심실세동이 발생한다.
- 전압: 500~1000V의 전압은 내부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
- 기타: 가정용 전원 전압(110V 또는 230V)과 주파수(50 또는 60Hz)의 교류(AC)가 1초 이상 흉부를 통과하면 30mA 정도의 전류에서도 심실세동이 발생할 수 있다.[18][11] 직류(DC)의 경우, 같은 시간에 90~130 mA가 필요하다.[19]
정전기 방전은 지속 시간이 매우 짧아 심장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해할 수 있는 고전류 감전의 예이다.
미국 직업안전보건청(OSHA)은 전기 관련 부상의 최대 80%가 아크 결함으로 인한 화상임을 밝혔다.[15] 전기 결함으로 인한 아크 플래시는 전기 용접과 같은 유형의 빛 방사선을 생성하여, 노출된 피부에 심한 화상을 입힐 수 있다.
2. 1. 전압과 전류
전압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힘이며, 전류는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높은 전압은 더 많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어 위험하다.[23] 한국의 가정용 전압은 220V이며, 이는 감전을 일으킬 수 있는 충분한 전압이다. 전류의 세기는 밀리암페어(mA) 단위로 측정되며, 낮은 전류(1mA)에서도 감각을 느낄 수 있고, 높은 전류(30mA 이상)에서는 심실세동을 유발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18][11] 특히, 여성과 어린이는 남성보다 더 낮은 전류에서도 심각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31]- 전류의 영향:
- 1mA (60 Hz 교류):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최소 전류 (직류는 5 mA)[17]
- 10mA (60 Hz 교류): 근육 수축으로 감전된 물체를 놓을 수 없는 "놓기 역치" 발생[17]
- 30mA 초과 (60 Hz 교류): 심실세동 유발 가능[18]
- 90~130mA (직류): 1초 이상 흉부 통과 시 심실세동 유발 가능[19]
- 165mA (1초): 심실세동 확률 5%
- 500mA (1초): 심실세동 확률 100% (사망)
- 10μA: 심장에 직접 전류가 흐를 경우 심실세동 발생 가능[22]
- 왼손에서 가슴으로 흐르는 전류는 일반 충격보다 1.5배 더 위험
- 전압과 전류의 관계: 옴의 법칙에 따라 전류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 즉, 전압이 높을수록, 저항이 낮을수록 더 많은 전류가 흐른다.
- 건조한 피부 저항: 최대 100,000Ω[23]
- 젖거나 손상된 피부 저항: 1,000Ω[23]
- 고전압(600V 이상)에 의한 피부 파괴 시 저항: 500Ω[23]
- 인체 저항: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는 건조한 피부, 큰 접촉 면적, 50Hz 교류 전류에 대한 손과 손 사이 회로의 전체 신체 임피던스에 대해 다음과 같은 값을 제시한다.[24]
전압 | 5% | 50% | 95% |
---|---|---|---|
25 V | 1,750 Ω | 3,250 Ω | 6,100 Ω |
100 V | 1,200 Ω | 1,875 Ω | 3,200 Ω |
220 V | 1,000 Ω | 1,350 Ω | 2,125 Ω |
1000 V | 700 Ω | 1,050 Ω | 1,500 Ω |
- 기타:
- 인체 피부의 전압-전류 특성은 비선형적이며, 땀, 온도, 개인차 등에 따라 달라진다.[25]
- 10V 미만에서는 비교적 선형적이지만, 20V 이상에서는 비선형적이고 비대칭적인 특성을 보인다.
- 고전압에서는 피부의 유전체 파괴가 발생하여 저항이 급격히 감소한다.[21]
- 의료기기는 IEC 60601-1 규격에 따라 전기적 충격에 대한 보호 및 누설전류 제한을 준수해야 한다.
- 의료기기 누설전류 제한:
장착부 | 종류 | 인체누설전류의 상한치 |
---|---|---|
B 장착부 | 인체에 전기 이외의 에너지를 송수신 | (정상상태)교류 0.1mA, (단일고장상태) 교류0.5mA |
BF 장착부 | 인체에 전기에너지를 송수신 | (정상상태)교류 0.1mA, (단일고장상태) 교류0.5mA |
CF 장착부 | 심장부위에 전기에너지를 송수신 | (정상상태)교류 0.01mA, (단일고장상태) 교류0.05mA |
2. 2. 주파수와 통전 경로
한국의 상용 전원 주파수는 60Hz인데, 이는 심실세동을 일으키기 쉬운 주파수이다.[18][11] 통전 경로는 전류가 인체를 통과하는 경로를 의미하며, 심장을 통과하는 경로가 가장 위험하다. 양손 또는 한 손에서 양발(또는 한 발)로 흐르는 전류, 왼손에서 가슴으로 흐르는 전류는 특히 위험하다.[18]감전원에 닿아 체내로 전기가 침입한 부위를 '''입전 부위''', 접지 등에 의해 지락이 성립하여 침입한 전기가 체외로 나온 부위를 '''출전 부위'''라고 한다. 입전 부위와 출전 부위 사이의 경로에 심장이 존재하는 경우 심실 세동, 심정지에 이를 위험성이 높아진다. 그 확률은 심근을 통과한 전류값과 통전 시간의 곱에 비례한다. 피부를 통해 감전된 경우에는 손~가슴, 가슴~등에 통전된 경우가 가장 위험하며, 같은 팔 안의 감전이나 좌우 다리 사이의 감전에서는 심실 세동, 심정지에 이를 확률이 비교적 낮다.
2. 3. 감전의 생리적 영향
감전은 인체에 다양한 생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근육 수축: 감전은 불수의적인 근육 수축을 일으켜, 피해자가 감전된 물체를 놓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화상의 위험을 증가시킨다.[13] 약 10mA의 교류 전류가 팔을 통과하면 강한 근육 수축이 발생하여 감전된 물체를 놓을 수 없게 된다.[17]
- 화상: 전기 저항으로 인한 발열은 광범위하고 심각한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13] 500~1000V의 전압은 내부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10] 고에너지 감전 외상의 경우, 깊은 조직의 줄 열은 수 초 내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한다.[10]
- 심실세동: 가정용 전원 전압(110V 또는 230V)에서 30mA 정도의 교류 전류가 1초 이상 흉부를 통과하면 심실세동을 유발할 수 있다.[18][11] 직류의 경우 90~130mA가 필요하다.[19] 심실세동은 심장 박동을 불규칙하게 만들어 혈액 순환을 방해하며,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심정지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1초 동안 165mA의 전류는 심실세동 확률을 5%로, 500mA는 100%로 높여 사망에 이르게 한다.
- 정신적 영향: 감전은 우울증, 불안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기분 변화, 기억 상실 등 다양한 정신적 영향을 유발할 수 있다.[13]
감전의 치사율은 전류, 지속 시간, 경로, 전압, 주파수, 개인의 건강 상태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특히 여성은 남성보다 감전에 더 취약하다.[31]
- AC-1: 감지 불가
- AC-2: 감지 가능하지만 근육 반응 없음
- AC-3: 근육 수축, 회복 가능
- AC-4: 비가역적 효과 가능성 있음
- AC-4.1: 심실 세동 확률 5% 미만
- AC-4.2: 심실 세동 확률 5~50%
- AC-4.3: 심실 세동 확률 50% 초과
2. 4. 특수 환경에서의 감전 위험
물이나 습한 환경에서는 인체의 저항이 낮아져 감전 위험이 커진다.[13] 피부가 건조하면 수십 V에서도 감전되지 않는 경우가 있지만, 피부가 젖었거나 입, 코, 생식기처럼 전기 저항이 낮고 신경이 많은 곳에 전기가 통하면 10V 정도에서도 강한 고통이나 충격을 받을 수 있다.3. 감전 사고 사례 및 통계
1993년 미국에서는 감전 사망자가 550명 보고되었으며, 인구 100만 명당 2.1명의 사망률을 기록했다. 당시 감전 사고 발생률은 감소 추세였다.[36] 1980년부터 1992년까지 매년 평균 411명의 근로자가 감전으로 사망했다.[23] 2015년부터 2019년 사이 미국의 전기 감전으로 인한 직장 내 사망자 수는 134명에서 166명으로 약 24% 증가했다. 그러나 직장 내 전기 감전 부상자 수는 같은 기간 2,480명에서 1,900명으로 23% 감소했다.[37]
2019년 직장 내 전기 감전으로 인한 사망자가 가장 많은 5개 주는 다음과 같다.
[38]
호주에서는 2000년 7월부터 2011년 10월 사이에 321건의 감전 사망 사건이 보고되었다.[40]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의 경우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인구 100만 명당 감전 사망자 수는 각각 0.6명, 0.3명, 0.3명, 0.2명이었다.[41]
나이지리아에서는 2020년과 2021년 상반기에 감전 사망자 126명과 중상자 68명이 기록되었다.[42]
4. 한국의 감전 관련 법규 및 안전 기준
한국은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여러 법규와 안전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 전기사업법,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 설비의 안전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 전기공사업법: 전기 공사 시 안전 수칙 준수를 의무화하고 있다.
- 산업안전보건법: 산업 현장에서의 감전 사고 예방을 위한 규정을 담고 있다.
-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 전기용품의 안전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한국전기안전공사는 전기 설비 검사, 안전 교육 등을 통해 감전 사고 예방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5. 감전 예방 및 대처
인체 피부의 전압-전류 특성은 비선형적이며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25] 10볼트 미만의 정현파 전기 자극은 준선형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비선형적으로 변할 수 있다. 10~30볼트 사이에서는 비선형적이지만 대칭적인 특성을 보이고, 20볼트 이상에서는 비선형적이고 비대칭적인 특성이 나타난다. 피부 전도도는 수 밀리초 내에 여러 배 증가할 수 있는데, 이는 유전체 파괴와는 다른 현상이다. 따라서 고정된 저항 모델을 사용한 옴의 법칙으로는 전류 흐름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없다.
감전 예방을 위해 기기에 접지하고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한다. 절연 저항 저하에 주의하고, 정기적으로 절연 저항을 측정해야 한다. 한국전기안전공사 정기 검사에서 누전 가능성이 지적되면 전기 화재 우려가 있으므로 전문 업체에 수리를 의뢰해야 한다. 젖은 손으로 기기를 조작하지 말고, 습한 곳을 피해 설치한다. 비나 물에 젖을 가능성이 있으면 전원 케이블과 본체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접지 연결 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한다. 영유아 감전을 막기 위해 콘센트에 감전 방지용 커버를 설치한다. 기기 조작이나 보수 점검 시에는 절연 신발, 절연 장갑 등으로 절연하고, 차단기를 내린 후 작업한다. 고전압 발생 전자 기기를 함부로 분해해서는 안 된다. 실내 배선이나 전기 기구 설치는 전기공사업자 자격자에게 의뢰한다. 끊어진 전선에는 만지지 말고 소방서나 전력회사에 연락한다. 전선에 연 등이 걸렸을 경우 직접 제거하지 말고 전력회사에 연락한다. 사업자 또는 선임된 기술자 외에는 접촉할 수 없는 구조로 하고, 전문 지식 없이 전기 제품을 분해하거나 수리하지 않는다. 전선 근처 작업 시 전력회사 또는 전기안전관리자 허가를 받고, 크레인 등 대형 작업 기계를 사용할 때는 특히 주의한다.[67]
감전된 사람을 구조할 때는 구조자가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절연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원을 끄거나 차단기를 내려 전기 공급을 중단하고, 고무 장갑을 사용하거나 고무 신발로 차서 움직이는 등 전선을 제거하여 안전을 확보한다. 안전을 확인하고 호흡, 의식 유무, 맥박 등을 확인하고 구급차를 요청한다. 심정지, 호흡 정지가 있을 경우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필요한 응급 처치를 한다. 전원을 끌 수 없을 때는 나무 막대기나 비닐 끈 등 주변의 절연체를 사용하여 구조한다. 구급대원이나 의사에게 감전 상황을 알린다. 감전 시 드롭킥이나 백스핀 엘보우로 튕겨내는 것은 2차 재해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하지 않아야 한다.[1]
5. 1. 예방
전기 설비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노후화된 설비는 교체해야 한다. 젖은 손으로 전기 기구를 만지지 않아야 하며, 콘센트에는 안전 덮개를 설치하고, 어린이가 젓가락 등 이물질을 넣지 못하도록 주의해야 한다.[67] 전기 기구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접지하고, 누전 차단기를 설치하여 감전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67]전기 공사는 반드시 자격을 갖춘 전기공사업자에게 맡겨야 한다.[67] 전선 근처에서 작업할 때는 전력회사 또는 전기안전관리자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특히 크레인이나 굴착기 등의 대형 작업 기계를 사용할 때는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67] 끊어진 전선에는 절대 만지지 말고, 소방서나 가까운 전력회사에 연락해야 한다.[67] 전선에 연 등이 걸렸을 경우에도 직접 제거하려 하지 말고 전력회사에 연락해야 한다.[67]
전자레인지, 스트로보 등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전자 기기는 함부로 분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67]
5. 2. 대처
감전된 사람을 구조할 때는 구조자가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절연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전을 확보하지 않고 손으로 잡아 움직이려고 하면 자신도 감전되어 근육이 경직되어 놓을 수 없게 될 수 있다.[1]- 전원을 끄거나 차단기를 내려 전기 공급을 중단한다.[1]
- 고무 장갑을 사용하거나 고무 신발로 차서 움직이도록 하는 등 전선을 제거하여 안전을 확보한다.[1]
- 안전을 확인하고 호흡과 의식 유무, 맥박 등을 확인하는 동시에 구급차를 요청한다.[1]
- 심정지, 호흡 정지가 있을 경우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1]
- 그 외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응급 처치를 한다.[1]
전원을 끌 수 없을 때, 고무 제품을 착용하고 있지 않을 때는 나무 막대기나 비닐 끈 등 주변에 있는 전기를 통하지 않는 것을 사용하여 구조한다.[1] 구급대원이나 의사의 지시에 따라 언제, 어디서, 얼마나 강한 전기에, 얼마나 오랫동안, 어느 부위가 감전되었는지를 알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알린다.[1]
감전 시 드롭킥이나 백스핀 엘보우로 튕겨내는 것이 좋다는 속설이 있다. 그러나 이는 자신이나 주변 사람도 감전될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드롭킥의 충격으로 2차 재해(골절, 타박상 등)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에 해서는 안 된다.[1] 또한 고압 감전의 경우 안전화나 운동화, 일반 장화의 바닥 고무는 거의 무력에 가깝기 때문에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1]
6. 감전의 의도적 활용
감전은 다양한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의료 분야: 전기경련요법, AED(자동제세동기), 경피적말초신경전기자극, 이온도입 등에 사용된다.
- 테이저건, 전기충격기와 같이 사람을 제압하는 데 사용된다.
- 축산 분야: 전기울타리, Cattle prod|전기침영어(전기봉, 캐틀프로드) 등이 사용된다.
- 가정용 전기치료기 (JIS T 2003 가정용 전기치료기에 의해 안전성이 확인된 것)
- 장난감 (ST마크 등으로 안전성이 확인된 것)
- 전기의자 (형벌의 목록)
- 베트남 전쟁 당시, Field telephone|야전전화영어 전화선으로 감전시켜 심문을 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6. 1. 의료 분야
전기경련요법(ECT)은 우울증 등 정신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정신과적 치료법이다. 전기수술은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조직을 절개하거나 지혈하는 데 사용되는 외과적 도구이다. 제세동은 심실세동 또는 불규칙한 심장 박동 치료에 사용된다. 경피적 전기 신경 자극(TENS)은 통증 완화에 사용되며, 이온영동법은 다한증 치료에 사용된다.6. 2. 기타 분야
테이저와 같은 전기충격기는 경찰 등 법 집행 기관에서 범인을 제압하기 위해 사용한다. 테이저는 가는 전선을 통해 전기 충격을 가하는 발사체를 발사하는 방식이다.[48] 전기충격기, 전기봉, 전기충격 벨트와 같이 직접 접촉을 통해 전기 충격을 가하는 무기도 있다.전기 울타리는 동물이나 사람이 경계를 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하는 장벽이다. 농업용 울타리나 동물 관리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지만, 출입 제한 구역의 보안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며, 때로는 치사 전압을 사용하기도 한다.
전기 충격은 고문의 한 방법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가해지는 전압과 전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피해자의 신체에 큰 상해 없이 고통과 공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30년대부터 전쟁이나 억압적인 정권에서 전기 고문을 사용해왔다.[49] 알제리 전쟁에서 프랑스 군대가 전기 고문을 사용했고,[50] 국제앰네스티는 체첸의 러시아 군대가 여성의 가슴에 전선을 연결하여 전기 충격으로 고문했다고 발표했다.[51] 브라질 군사 독재 시절에는 정치범 고문에 전기 충격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국가 진실위원회의 최종 보고서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52]
parrilla|그릴es는 피해자를 금속 프레임에 묶고 전기 충격을 가하는 고문 방법으로,[53] 남미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피노체트 정권 시절 빌라 그리말디에서 사용되었고,[54] 1970년대 더티 워 기간 동안 아르헨티나에서도 사용되었다.[55] 브라질 피아니스트 프란시스코 테노리오 주니어(테노리뉴)도 브라질 군사 독재 기간 동안 parrilla 고문을 당했다.[56]
이슬람 국가는 포로를 고문하고 살해하는 데 전기 충격을 사용했다.[57][58][59]
정신 질환자 옹호자들과 토마스 사스와 같은 일부 정신과 의사들은 경련 치료(ECT)가 완고하거나 반응이 없는 환자에게 진정한 의학적 이익 없이 사용되는 고문이라고 주장한다.[60][61][62]
캔턴의 저지 로텐버그 센터는 행동 수정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처벌 수단으로 전기 충격을 사용한 것에 대해 유엔 고문 특별 보고관으로부터 고문이라는 비판을 받았다.[63][64]
일본의 연쇄 살인범 마츠나가 후토시는 피해자를 통제하기 위해 전기 충격을 사용했다.[65]
약한 감전은 오락 목적으로도 사용되는데, 감전 펜이나 감전 껌과 같은 장난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진동 장난감(joy buzzer)이나 놀이공원 기계들은 감전과 비슷한 느낌을 주는 진동을 사용한다.
7. 정전기로 인한 감전
정전기는 특히 공기가 건조한 환경에서 마찰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인체에 방전되어 전기 충격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매우 약한 감전의 일종으로, 사람에 따라 느끼는 정도는 다르지만, 전하량이 적어 라이덴병, 반데그라프 발전기와 같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인체에 큰 위험은 없다.[78]
자동차 차체에 접촉하거나 옷을 벗을 때 정전기로 인한 감전을 흔히 경험하며, 방전 소리나 빛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러한 전기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78]
참조
[1]
웹사이트
Electrical injury: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https://medlineplus.[...]
2023-10-02
[2]
서적
Oxford Handbook of Dental Nurs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
문서
(출처 정보 부족)
1998
[4]
웹사이트
Electrical injuries – Electrical safety
https://www.hse.gov.[...]
2023-10-02
[5]
서적
Handbook of Electrical Hazards and Accidents
Lawyers & Judges Publishing Company
2006
[6]
학술지
Electrical injuri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 evidence-based review
2018-11-01
[7]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electrical safety – HSE
https://www.hse.gov.[...]
2023-10-02
[8]
웹사이트
Electrical Injuries – Injuries; Poisoning
https://www.merckman[...]
2020-05-09
[9]
학술지
Electrical Injuries
2020-01-01
[10]
학술지
Transient and stable ionic permeabilization of isolated skeletal muscle cells after electrical shock
1993
[11]
학술지
Electrical cardiac injuries: current concepts and management
2018-04-01
[12]
학술지
Studies of Ventricular Fibrillation Caused by Electric Shock
2003-07-08
[13]
학술지
Long-term sequelae of electrical injury
2013
[14]
웹사이트
Electric Stunning of Pigs and Sheep
http://www.grandin.c[...]
[15]
웹사이트
Industry Backs IEEE-NFPA Arc Flash Testing Program with Initial Donations of $1.25 Million
http://standards.iee[...]
IEEE
2006-07-14
[16]
웹사이트
Arc_flash_protection.php – Arc Flash
http://www.arcflash.[...]
[17]
서적
Electrical Safety Handbook Third Edition
McGraw Hill
2005
[18]
웹사이트
ucsb.edu – Electrical Safety Information – Physics Department, UCSB
http://web.physics.u[...]
2012-01-09
[19]
서적
Electric Shock
CRC Press
2005
[20]
웹사이트
Electric Current Needed to Kill a Human
http://hypertextbook[...]
2000
[21]
문서
(출처 정보 부족)
1998
[22]
서적
Safety of Electromedical Devices: Law – Risks – Opportunit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0-05-06
[23]
웹사이트
Publication No. 98-131: Worker Deaths by Electrocution
https://www.cdc.gov/[...]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08-08-16
[24]
문서
(출처 정보 부족)
1998
[25]
웹사이트
The Voltage Current Characteristic of the Human Skin
http://repository.up[...]
University of Pretoria
[26]
사전
electrocution
[27]
학술지
Effects of the Earth Current Frequency and Distortion on Residual Current Devices
http://papersub.ivyp[...]
2013-12-01
[28]
서적
Passing the Primary FRCA SOE: A Practical Guid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4-21
[29]
서적
Advanced Electroporation Techniques in Biology and Medicine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0-06-02
[30]
서적
Electrical Safety and the Law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1-20
[31]
웹사이트
IEC 60479-1:2018 IEC Webstore
https://webstore.iec[...]
2024-06-20
[32]
웹사이트
The Fatal Current
https://www.physics.[...]
Ohio State University
2015-03-04
[33]
뉴스
According to Guinness (comic)
https://news.google.[...]
Toledo Blade
1978-04-28
[34]
뉴스
Firemen risk death to save teenager
https://news.google.[...]
Ocala Star-Banner
1967-11-24
[35]
웹사이트
Guinness World Records
https://archive.org/[...]
[36]
백과사전
Electricity: Physiological Effects
http://www.ilo.org/e[...]
2006-09-04
[37]
웹사이트
ESFI Occupational Injury and Fatality Statistics
https://www.esfi.org[...]
2021-03-23
[38]
웹사이트
Census of Fatal Occupational Injuries Summary, 2019
https://www.bls.gov/[...]
2021-03-23
[39]
웹사이트
National Coroners Information System, NCIS
http://www.ncis.org.[...]
[40]
문서
Electrocution Related Deaths – National Coroners Information System (NCIS) Fact-Sheet, January 2012
http://www.ncis.org.[...]
[41]
웹사이트
Electrical accident hazards in the Nordic countries
http://www.tukes.fi/[...]
2013-06-10
[42]
웹사이트
NERC: 126 Nigerians Killed, 68 Injured in Electricity-related Accidents in 18 Months – THISDAYLIVE
https://www.thisdayl[...]
[43]
논문
Neuropsychiatric Aspects of Electrical Injury
[44]
논문
Impac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Depression on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in Electrical Injury Survivors
[45]
웹사이트
http://www.cetri.org
[46]
웹사이트
St. Johns Rehab – Electrical Injury Program – Sunnybrook Hospital
http://sunnybrook.ca[...]
2013-10-03
[47]
웹사이트
Addams Family Generator – Arcade by H. Betti Industries, Inc.
http://www.arcade-mu[...]
[48]
간행물
Electro Muscular Disruption Technology: A Nine-Step Strategy for Effective Deployment
http://www.theiacp.o[...]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hiefs of Police
[49]
문서
Technological Invention and Diffusion of Torture Equipment The Strange Case of Electric Torture Instruments in the Early 20th Century
http://academic.reed[...]
[50]
웹사이트
Torture in the Algerian war (1954–62) The Algerian war 1954–62
http://www.wsws.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Fourth International (ICFI)
2001-04-09
[51]
웹사이트
Russian Federation Preliminary briefing to the UN Committee against Torture
https://www.amnesty.[...]
2012-02-24
[52]
웹사이트
Comissão relata modalidades de tortura usadas contra presos políticos
https://g1.globo.com[...]
2014-12-10
[53]
서적
Chile: Evidence of Torture
https://archive.org/[...]
Amnesty International
1983
[54]
서적
Where Memory Dwells: Culture and State Violence in Chil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9
[55]
서적
A Lexicon of Terror: Argentina and the Legacies of Tor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56]
서적
Predatory States: Operation Condor and Covert War in Latin Americ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2-07-10
[57]
웹사이트
ISIS executes 22 persons by electrocution in central Mosul
http://www.iraqinews[...]
Iraqi News
2016-10-27
[58]
웹사이트
ISIS electrocutes 30 civilians to death in central Mosul - Iraqi News
http://www.iraqinews[...]
[59]
웹사이트
Inside ISIS death prison with metal electrocution beds, secret tunnels and agonising final messages scrawled on walls
https://www.mirror.c[...]
Daily Mirror
2017-10-22
[60]
웹사이트
History and Basic Principles of JRC
http://www.judgerc.o[...]
[61]
뉴스
School of Shock
https://www.motherjo[...]
Mother Jones Magazine
2007-08-20
[62]
뉴스
Showdown over shock therapy
http://www.boston.co[...]
The Boston Globe
2008-01-17
[63]
웹사이트
UN Calls Shock Treatment at Mass. School 'Torture'
https://abcnews.go.c[...]
[64]
뉴스
F.D.A. Bans School Electric Shock Devices
https://www.nytimes.[...]
2020-03-06
[65]
뉴스
Serial killer's death sentence upheld
http://www.asahi.com[...]
Asahi Shimbun
2007-09-27
[66]
웹사이트
Death Penalty Information Center
http://www.deathpena[...]
[67]
웹사이트
電線の近くのクレーン作業では特にこの点に気をつけましょう - 日本クレーン協会
http://www.cranenet.[...]
[68]
문서
JIS Z 9104:2005 安全標識−一般的事項 並びに 附属書 1 (参考)JIS Z 8210 案内用図記号抜粋集、附属書 2 (参考)ISO 7010 図記号集
[69]
웹사이트
電撃傷
http://www.jaam.jp/h[...]
日本救急医学会
2012-09-10
[70]
웹사이트
雷撃(熱)傷 lightning burn(injury)
http://www.med.teiky[...]
帝京大学救命救急センター 鈴木 宏昌
2012-09-10
[71]
논문
電撃傷
https://doi.org/10.1[...]
安全工学会
1977-02-15
[72]
웹사이트
電撃傷のとき|家庭の医学|時事メディカル|時事通信の医療ニュースサイト
https://medical.jiji[...]
2022-09-27
[73]
논문
Long-term sequelae of electrical injury
https://www.ncbi.nlm[...]
2013-09-01
[74]
논문
Neuropsychiatric Aspects of Electrical Injury: A Review of Neuropsychological Research
https://onlinelibrar[...]
1994-05-01
[75]
웹사이트
落雷でキノコの収穫量が増加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10-04-12
[76]
간행물
菌床シイタケ栽培におけるコストダウンに関する研究
https://www.pref.gun[...]
川島祐介
2009-01-01
[77]
뉴스
北極圏での落雷のリスク、森林火災多発と永久凍土溶解の懸念 研究
https://www.afpbb.co[...]
AFP通信
[78]
웹사이트
冬の静電気を簡単に逃がす3つの方法
https://weathernews.[...]
ウェザーニュース
2018-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