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동독 소련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동독 소련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을 점령한 소련군으로, 1945년 6월 9일 창설되어 서부 군 집단으로 명칭이 변경된 1989년까지 독일 주둔 소련군(GSVG)으로 불렸다. 동독에 24개 사단, 33만 8천 명의 병력과 4,200대의 탱크, 8,200대의 장갑차, 3,600문의 포, 106,000대의 차량, 690대의 항공기, 680대의 헬리콥터, 180기의 로켓포를 배치했다. 1955년 소련과 동독 간의 관계 조약을 통해 주둔 근거를 마련했으며, 1957년 협정으로 병력 규모와 훈련 지역 등이 결정되었다. 1989년 서방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페레스트로이카로 인해 군사 체계가 방어적으로 재편되었다. 주동독 소련군은 1994년 8월까지 철수가 완료되었으며, 역대 사령관으로는 게오르기 주코프, 바실리 소콜로프스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군집단 - 북부군집단 (소련)
북부군집단은 폴란드에 주둔하며 폴란드 해방과 공산 정권 유지, 냉전 시대 NATO 견제 및 동유럽 국가 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한 소련군 부대로, 폴란드 민주화 이후 철수하여 폴란드 민주주의 발전과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쳤다. - 소련 해외 주둔군 - 북부군집단 (소련)
북부군집단은 폴란드에 주둔하며 폴란드 해방과 공산 정권 유지, 냉전 시대 NATO 견제 및 동유럽 국가 억제 등의 임무를 수행한 소련군 부대로, 폴란드 민주화 이후 철수하여 폴란드 민주주의 발전과 국가 안보에 영향을 미쳤다. - 소련 해외 주둔군 - 시리아 주재 소련 군사고문단
시리아 주재 소련 군사고문단은 냉전 시대에 소련이 시리아에 파견하여 시리아 군의 훈련을 지원하고 무기 및 군사 장비를 제공하며 중동 지역에서 미국의 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적 활동을 수행했다.
주동독 소련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존속 기간 | 1945년 - 1994년 |
국가 | 소련 (1945년–1991년) 러시아 (1991년–1994년) |
소속 | 소련군 러시아군 |
종류 | 집단군 |
규모 | 알 수 없음 |
명령 체계 | 소련 국방인민위원회 소련 국방부 러시아 국방부 |
본부 | 츠오센 (과거 뷘스도르프) |
표어 | 알 수 없음 |
색상 | 알 수 없음 |
전투 훈장 | 알 수 없음 |
주요 전투 | 1953년 동독 봉기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상징 | 알 수 없음 |
명칭 | |
러시아어 | 자파드나야 그루빠 보이스크, ЗГВ (로마자 표기: Zapadnaya Gruppa Voysk, ZGV) 그루빠 소베츠키흐 옥쿠파치온니흐 보이스크 프 게르마니, ГСОВГ (로마자 표기: Gruppa Sovietskih Okkupatsionnyh Voysk v Germanii, GSOVG) 그루빠 소베츠키흐 보이스크 프 게르마니, ГСВГ (로마자 표기: Gruppa Sovietskih Voysk v Germanii, GSVG) |
독일어 | Gruppe der Sowjetischen Streitkräfte in Deutschland |
영어 | Group of Soviet Occupation Forces in Germany Western Group of Forces |
일본어 | 독일 점령 소련군 (1945–54) 독일 주둔 소련군 (1954–88) 서부군집단 (1988–94) |
역대 총사령관 | |
1945년 ~ 1946년 | 게오르기 주코프 |
1946년 ~ 1949년 | 바실리 소콜롭스키 |
1949년 ~ 1953년 | 바실리 추이코프 |
1953년 ~ 1957년 | 안드레이 그레치코 |
1957년 ~ 1961년 | 이반 코네프 |
1961년 ~ 1962년 | 이반 야쿠보프스키 |
1962년 ~ 1964년 | 표트르 루차코프 |
1964년 ~ 1967년 | 미하일 자하로프 |
1967년 ~ 1971년 | 표트르 벨리크 |
1971년 ~ 1972년 | 빅토르 쿨리코프 |
1972년 ~ 1975년 | 예브게니 이바노프스키 |
1975년 ~ 1980년 | 미하일 탄카예프 |
1980년 ~ 1985년 | 미하일 자이체프 |
1985년 ~ 1989년 | 표트르 루셰이 |
1989년 ~ 1990년 | 보리스 스네트코프 |
1990년 ~ 1991년 | 스타니슬라프 테레호프 |
1991년 ~ 1994년 | 마트베이 부를라코프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제1 및 제2벨로루시안전선군을 기반으로 독일에서의 소련 점령군이 형성되었다. 1945년 7월 9일 창설 당시 구성은 다음과 같다.[1]
부대 | 위치 | 구성 |
---|---|---|
제1근위전차군 | 드레스덴 | 제8근위차량화소총군단, 제11근위전차군단 |
제2근위전차군 | 퓌르스텐베르크/하펠 | 제1차량화소총군단, 제9전차군단, 제12근위전차군단 |
제4근위기갑군 | 에베르스발데 | 제5근위차량화소총군단, 제6근위차량화소총군단, 제10근위기갑 군단 |
제2돌격군 | 슈베린 | 제109소총군단(46, 90, 372 소총 사단), 제116소총군단(86, 321, 326 소총 사단) |
제3돌격군 | 슈텐달 | 제7소총군단(146, 265, 364 소총사단), 제12근위소총군단(23 근위, 52, 33 소총사단), 제79소총군단(150, 171, 207 소총사단), 제11전차군단, 제9기갑군단 |
제5돌격군 | 엘스탈 | 제9소총군단(248, 301 소총사단), 제26근위소총군단(89 근위, 94 근위, 256 소총사단), 제32소총군단(60 근위, 295, 416 소총사단), 제230소총사단, 3개 독립 전차여단 |
제8근위군 | 노라 | 제4근위소총군단(35, 47, 57 근위소총사단), 제28근위소총군단(39, 79, 88 근위소총사단), 제29근위소총군단(27, 74, 82 근위소총사단), 제11기갑군단 |
제47군 | 할레 | 제77소총군단(185, 260, 328 소총사단), 제125소총군단(60, 76, 175 소총사단), 제129소총군단(82, 132, 143 소총사단), 제1근위기갑군단, 제25기갑군단 |
제5돌격군과 제47군은 전후 얼마되지 않아 동독을 떠났으며, 제2돌격군은 제4기계화군으로 교체되었다. 제3기계화군이 Forst Zinna을 본부로 하여 창설되었으며, 나중에 제18야전군이 되었다.
1956 ~ 1958년에 걸친 철군 과정에서는 제18야전군 참모를 포함한 70,000명 이상의 소련군이 동독을 떠났다.
주동독 소련군은 포츠담 선언을 준수하는 것이 임무였다. 또한 소련의 정치적, 군사적 이익을 대변하고 있었다. 1957년 소련과 동독은 동독지역에 대한 소련군의 임시적 주둔과 군의 규모, 군사훈련, 기지의 범위 등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 특히 소련군이 1953년 동독에서 있었던 봉기에서와 같이 동독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1979~1980년에는 제6전차사단을 포함하는 20,000명의 군병력과 탱크 1,000대, 각종 장비가 동독 지역에서 철수하였다.
페레스트로이카 과정에서 주동독 소련군은 방어적 형태로 체계 및 장비가 재편되었고, 1989년에 기갑 병력이 대폭 축소되었다. 1989년 6월 1일에는 서방군(Wester Group of Forces)으로 명칭이 바뀌었다[16]. 주동독 소련군의 철수는 평화시 이루어진 병력 이동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련의 해체 과정에서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994년 8월까지 순조롭게 이루어졌다. 1993년에는 서방군(북방군을 포함하여)의 모든 군사 훈련이 중지되었다.
철군은 주로 Rostock와 Rügen섬을 잇는 해상 수송으로 이루어졌으며, 폴란드를 통과하는 육상 수송로도 이루어졌다. 1994년 6월 25일 베를린에서 제6여단이 퍼레이드를 마지막으로 모든 육군이 철수하였다. 1994년 8월 31일 모든 철군이 최종적으로 완료되었다.
주동독 소련군은 동독 지역 뿐 아니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폴란드에 반환된 일부 지역도 군사 작전 구역으로 하고 있었다.
기간 | 원어 명칭 | 독일어 | 영어 | |||
---|---|---|---|---|---|---|
약칭 | 장문 | 약칭 | 장문 | 약칭 | 장문 | |
bgcolor="#CCCCCC" align="center" colspan="9"| | ||||||
1945–1954 | ГСОВГ | 독일 주둔 소련 점령군 | GSBD | 독일 주둔 소련 점령군 | GSOFG | 독일 주둔 소련 점령군 |
1954–1989 | ГСВГ | 독일 주둔 소련군 | GSSD | 독일 주둔 소련 군대 | GSFG | 독일 주둔 소련군 |
1989–1994 | ЗГВ | 서부 군 집단 | WGT | 서부 군 집단 | WGF | 서부 군 집단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독일 주둔 소련 점령군은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의 지휘 하에 있던 제1 벨로루시 전선과 제2 벨로루시 전선의 부대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1] 1945년 6월 9일 창설 당시에는 다음과 같은 부대들이 포함되었다.
3. 구성
기간 약칭 원어 명칭 독일어 영어 1945–1954 ГСОВГ 독일 주둔 소련 점령군 GSBD GSOFG 1954–1989 ГСВГ 독일 주둔 소련군 GSSD/GSTD GSFG 1989–1994 ЗГВ 서부 군 집단 WGT WGF
1954년 점령 임무가 종료된 후, 독일 주둔 소련 점령군은 독일 주둔 소련군(GSVG)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55년 소련과 동독 간의 관계 조약은 GSVG의 동독 주둔에 대한 법적 근거를 제공했다.[5] 1957년 소련과 동독 정부 간의 협정은 동독 영토 내 소련군 주둔, 병력 규모, 훈련 지역 등에 대한 내용을 규정했다. 소련군은 1953년 동독 봉기와 같은 동독 내정에 간섭하지 않도록 명시되었다.
1979년과 1980년, 소련 정부는 동독 주둔 병력 2만 명, 전차 1,000대, 기타 장비를 철수하는 결정을 내렸고, 비텐베르크에 본부를 둔 제6 전차 사단도 철수 대상에 포함되었다.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GSFG는 병력, 구조, 장비 면에서 보다 공격적인 군대로 재편성되었으나, 1989년 전차 부대가 감축되었다. 1989년 6월 1일, GSFG는 서부 군 집단으로 개칭되었다.[6]
3. 1. 1945년 창설 당시 구성
독일에서의 소련 점령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제1 및 제2벨로루시안전선군을 기반으로 편성되었다. 1945년 7월 9일 창설 당시 구성은 다음과 같다.[1]
3. 2. 1991년 체계 및 장비
1991년 초, 주동독 소련군은 24개 사단, 338,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어 5개의 지상 야전군과 1개의 공군 야전군으로 편성되었다. 또한 208,000명의 군인 가족과 민간인 고용자들이 있었으며, 여기에는 90,000명의 어린이가 포함되어 있었다. 대부분은 현재의 브란덴부르크주 지역에 위치하였다.[17]1991년 당시 주동독 소련군은 약 4,200대의 탱크와 8,200대의 기갑 차량, 3,600문의 포, 106,000대의 차량, 690대의 비행기, 680대의 헬리콥터, 180기의 로켓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었다.[18]
1991년 당시 주동독 소련군의 주요 편성은 다음과 같다:
- 제1근위전차적기군 – 드레스덴
- * 제9전차사단 – 리자
- * 제11근위전차사단 – 드레스덴
- * 제20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 – 그리마
- 제2근위전차군 – 퓌르스텐베르크/하펠
- * 제16근위전차사단 – 노이슈트렐리츠
- * 제21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 – 페를레베르크
- * 제94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 – 슈베린
- * 제207차량화소총병사단 – 슈텐달[19]
- 제3돌격군 – 마그데부르크
- * 제7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 – 데사우로슬라우
- * 10 근위우랄스코-르포프스카야 전차사단 – 알텐그라보
- * 제12근위전차사단 – 노이루핀
- * 제47근위전차사단 – 힐러스레벤
- 제8근위군 – 바이마르-노라
- * 제27근위차량화소총사단 – 할레
- * 제39근위차량화소총사단 – 오르드루프
- * 제57근위차량화소총사단 – 나움부르크
- * 제79근위전차사단 – 예나
- 제20근위적기군 – 에베르스발데
- * 제25전차사단 – 포겔장
- * 제32근위전차사단 – 위터보크
- * 제35근위차량화소총병사단 – 크람프니츠
- * 제90근위전차사단 – 베르나우바이베를린
- 제16항공군 – 초센[20]
- * 제6전투기항공사단 – 메르세부르크
- * 제16근위전투기항공사단 – 리브니츠담가르텐. 1993년 10월 30일에 북부 캅카스 군관구내 밀레로보로 철수했고, 제4항공군에 가담했다.[21]
- * 제10전폭기항공사단 – 그로센하인
- * 제125전폭기항공사단 – 레흘린 (비행장이 아닌 마을) – 1993년 7월 또는 10월에 해체되었다.[22]
- * 제126전투기항공사단 – 체르브스트
기타 단급 편제에는 제35독립상륙돌격여단이 포함되었다.[23]
3. 3. 기타 부대
소련군은 동독 내 276곳에 777개의 병영을 설치했으며, 여기에는 47곳의 비행장과 116곳의 훈련장이 포함되었다.[17] 1991년 초, 주동독 소련군은 24개 사단, 338,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 5개 지상 야전군과 1개 공군 야전군으로 편성되었다. 군인 가족과 민간인 고용자 208,000명(어린이 90,000명 포함)도 함께 거주했으며, 대부분은 현재의 브란덴부르크주 지역에 위치했다.[17]1991년 당시 주동독 소련군은 다음과 같은 장비를 보유했다.[18]
- 전차: 약 4,200대
- 기갑 차량: 약 8,200대
- 포: 약 3,600문
- 차량: 약 106,000대
- 비행기: 690대
- 헬리콥터: 680대
- 로켓 시스템: 180기
1980년대 말 소련군 주력 편성은 아래와 같다.
- 제1근위전차 적기군, 드레스덴 (1 гвардейская танковая Краснознаменная армияru)
- 제2근위전차 적기군, 퓌르스텐베르크 (2 гвардейская танковая Краснознаменная армияru)
- 제94근위 자동차화 저격병 사단, 제21 및 제207근위 자동차화 저격 사단 포함
- 제3돌격연합 적기군, 마그데부르크 (3 общевойсковая Краснознаменная армияru)
- 제10, 제12, 제47근위전차사단
- 제8근위연합 레닌 훈장 군, 노이라 (8 гвардейская общевойсковая ордена Ленина армияru)
- 제20근위연합 적기군, 에버스발데 (20 гвардейская общевойсковая Краснознаменная армияru)
- 제16적기 항공군, 뷘스도르프 (16 воздушная Краснознаменная армияru)
- 군집단 예하 각 연대 (공병, 통신병, 포병, 저격병, 기타)
소련군 사단 목록표(영어)에는 주둔군의 모든 기동 부대가 기록되어 있다.
4. 역대 사령관
wikitext
이름 | 계급 | 재임 기간 | 출신 학교 | 전 직책 | |
---|---|---|---|---|---|
1 | 게오르기 주코프 | 소련 원수 | 1945년 6월 9일 - 1946년 3월 21일 | 러시아 제국군 기병 하사관 | 제1 벨로루시 전선 사령관 |
2 | 바실리 소콜로프스키 | 대장 | 1946년 3월 22일 - 1949년 3월 31일 | 독일 점령군 사령관 제1 대리 | |
3 | 바실리 추이코프 | 대장 | 1949년 4월 1일 - 1953년 5월 26일 | 군사 교관 과정 | 독일 점령군 제1 부사령관 |
4 | 안드레이 그레치코 | 대장 | 1953년 5월 27일 - 1957년 11월 16일 | 기병학교 | 키예프 군관구 사령관 |
5 | 마트베이 자하로프 | 대장 | 1957년 11월 17일 - 1960년 4월 14일 | 페트로그라드 포병 지휘관 과정 |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 |
6 | 이반 야쿠보프스키 | 대장 | 1960년 4월 15일 - 1961년 8월 9일 | 통합 벨로루시 군사학교 | 주독 소련군 집단군 부사령관 |
7 | 이반 코네프 | 소련 원수 | 1961년 8월 9일 - 1962년 4월 18일 | 국방성 감찰 총감 주임 감찰관 | |
8 | 이반 야쿠보프스키 | 대장 | 1962년 4월 19일 - 1965년 1월 26일 | 통합 벨로루시 군사학교 | 주독 소련군 집단군 부사령관 |
9 | 표트르 코셰보이 | 소련 원수 | 1965년 1월 27일 - 1969년 10월 31일 | 기병학교 | 키예프 군관구 사령관 |
10 | 빅토르 쿨리코프 | 대장 | 1969년 11월 1일 - 1971년 9월 13일 | 그로즈니 공병학교 | 키예프 군관구 사령관 |
11 | 세묜 쿠르코트킨 | 대장 | 1971년 9월 14일 - 1972년 7월 19일 | 자캅카스 군관구 사령관 | |
12 | 예브게니 이바노프스키 | 대장 | 1972년 7월 20일 - 1980년 11월 25일 | 사라토프 장갑전차학교 | 모스크바 군관구 사령관 |
13 | 미하일 자이체프 | 대장 | 1980년 11월 26일 - 1985년 7월 6일 | ||
14 | 표트르 루셰프 | 대장 | 1985년 7월 7일 - 1986년 7월 11일 | ||
15 | 발레리 벨리코프 | 대장 | 1986년 7월 12일 - 1987년 11월 12일 | ||
16 | 보리스 스네트코프 | 대장 | 1987년 11월 26일 - 1990년 12월 13일 | 레닌그라드 군관구 사령관 | |
17 | 마트베이 부르라코프 | 대장 | 1990년 12월 13일 - 1994년 8월 31일 |
최초 3명의 사령관은 독일 점령 지역의 소련 군정 장관을 겸임했다.
5. 평가 및 영향
주동독 소련군은 포츠담 선언을 준수하고 소련의 정치적, 군사적 이익을 대변하는 임무를 맡았다. 1957년 소련과 동독은 소련군의 임시 주둔, 군 규모, 군사 훈련, 기지 범위 등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 이 협정에는 소련군이 1953년 동독 봉기와 같이 동독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점이 명시되었다.[16]
1979~1980년에는 제6전차사단을 포함한 2만 명의 군 병력, 탱크 1,000대, 각종 장비가 동독 지역에서 철수했다. 페레스트로이카 과정에서 주동독 소련군은 방어적 형태로 재편되었고, 1989년에는 기갑 병력이 대폭 축소되었다. 1989년 6월 1일에는 서방군(Western Group of Forces)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6]
주동독 소련군의 철수는 평화시 병력 이동 중 가장 큰 규모로 알려져 있다. 소련 해체 과정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994년 8월까지 철수가 순조롭게 완료되었다. 철군은 주로 Rostock와 Rügen섬을 잇는 해상 수송과 폴란드를 통과하는 육상 수송으로 이루어졌다. 1994년 6월 25일 베를린에서 제6여단의 퍼레이드를 마지막으로 육군이 철수했고, 1994년 8월 31일 모든 철군이 완료되었다. 1993년에는 서방군(북방군을 포함)의 모든 군사 훈련이 중지되었다.
참조
[1]
간행물
Feskov et al 2013, p. 380
[2]
웹사이트
Stavka Order No. 11095
http://militera.lib.[...]
[3]
간행물
Feskov et al 2013, pp. 381–382
[4]
웹사이트
3 Red Banner Combined Arms Army
http://www.ww2.dk/ne[...]
2015-02
[5]
간행물
Feskov et al 2013, p. 382
[6]
뉴스
Sperenburg
Air Forces Monthly
1995-02
[7]
서적
The Collapse of the Soviet Military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Germany at War: 400 Years of Mili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0-28
[9]
서적
Tank War-Central Front – NATO vs. Warsaw Pact
Osprey Elite Series
[10]
간행물
Holm 2015/Feskov et al 2013
[11]
웹사이트
16th Air Army
http://www.16va.be/3[...]
2016-07-31
[12]
웹사이트
16th Guards Fighter Aviation Division
http://www.ww2.dk/ne[...]
[13]
웹사이트
125th Fighter-Bomber Aviation Division
http://www.ww2.dk/ne[...]
2011-09
[14]
웹사이트
35th Landing-Assault Brigade
http://www.ww2.dk/ne[...]
[15]
서적
Советские войска в Германии, 1945–1994: памятный альбом
Young Guard
[16]
서적
에어 포스 모스리
1995-02
[17]
문서
독일어판 문서 참조
[18]
서적
Tank War-Central Front – NATO vs. Warsaw Pact
Osprey Elite Series
[19]
문서
note; earlier Western reporting lists this as a Guards unit; this is incorrect
[20]
웹인용
3. The 16th Air Army
http://www.16va.be/3[...]
2016-02-14
[21]
웹인용
16th Guards Fighter Aviation Division
http://www.ww2.dk/ne[...]
2016-02-14
[22]
웹인용
125th Fighter-Bomber Aviation Division
http://www.ww2.dk/ne[...]
2016-02-14
[23]
웹인용
35th Landing-Assault Brigade
http://www.ww2.dk/ne[...]
2016-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