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할레는 독일 작센안할트 주에 위치한 도시로, 켈트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소금"을 의미하며, 잘레 강 유역의 염천과 청동기 시대 제염소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806년에 요새가 건설된 이후, 1200년경 마그데부르크 법을 수여받은 시민 공동체가 설립되었으며, 13세기 말부터 한자 동맹에 가맹하여 번영을 누렸다. 종교 개혁 시기에는 루터파에 대항하는 거점이 되기도 했으며, 1694년 할레 대학교가 설립되어 독일 계몽주의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공습 피해를 거의 입지 않았으며, 동독 시기에는 할레 현의 현청 소재지였다. 오늘날 할레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헨델 음악제, 그리고 할레-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대학교를 중심으로 학술 및 교육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할레"라는 단어는 켈트어로 "소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지만[38][39][40], 오래된 독일어로 "제염소"를 의미한다는 설도 있다[41][42]。
할레(잘레)는 독일 중부 작센안할트의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잘레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튀링겐 자유주와 인접하며, 튀링겐 숲 북쪽의 튀링겐 분지를 배수한다. 라이프치히는 35km, 마그데부르크는 75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135.01km²이다. 옛날부터 제염업으로 번영해 왔다.
2. 역사
할레에는 짙은 염수를 내는 염천이 있으며, 인근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기 시대의 제염소 유적이 있다. 북독일은 일반적으로 소금이 부족하지만, 할레는 예외적이었다[43]。
806년 ≫Halla≪라고 불리는 지역 근처에 요새가 세워졌다. 동프랑크 왕국 하인리히 1세 치하에서 잘레 강 동쪽에 설립된 기비헨슈타인 성(Burg Giebichenstein)은 부속 제염소와 함께 961년 마그데부르크의 모리츠 수도원에 귀속되었다. 염천 옆에 11세기 모리츠 교회와 구 시장 개설지(der Alte Markt)와 함께, 시벽을 둘렀을 것으로 보이는 장인 집락이 생겨났다. 아이스레벤과 라이프치히를 잇는 가도에 위치하며, 도시의 초기 형태를 이루었다. 이것이 ≫Das Thal≪ 또는 ≫Die Halle≪이다. 그 북쪽에는 니콜라이 교회(1116년 건립)를 포함하는 상인 집락이 형성되었다. 12세기 중반, 1151년에 설립된 마리아 교회(Marienkirche)가 있는 신 시장 개설지(der neue Markt)가 4개의 가도가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었다. 1200년 전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주벽 내부에, 마그데부르크 법을 수여받은 시민 공동체(Bürgergemeinde)가 설립되었다. 이 도시법은 라이프치히가 계승했다. 12세기 이후 여러 수도원과 율원이 생겨났다[44]。
≫Das Thal≪은 처음에는 국왕의 재판 관할권(Gerichtsbarkeit)에, 나중에는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의 "소금 백작"(erzbischoflicher Salzgraf)의 재판 관할권에 복속되었다. 한편, 상부 지구(Oberstadt)는 "슐트하이스"(Schultheiß)의 재판 관할권에 복속되었다. 중죄 재판소(Hochgericht)는 성백(Burggraf)의 손에 있었다. 1258년에 설치된 참사회(Rat)는, 1263년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의 위 3개의 통치 기관(Herrschaftsträger)으로부터의 독립을 관철했고, 1310년에는 완전한 자치를 획득했다. 13세기 말부터 15세기 말까지 한자 동맹에 가맹하여 번영했다. 1324년에는 마그데부르크 시와 동맹을 맺어, 도시 군주인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에 대항했다. 동 대주교와의 항쟁은 중세 말까지 이어졌다. 참사회에서 제염업자(Salzpfänner)의 우위에 대항하여 "이눙"(Innung)과 "게마인하이트"(Gemeinheit)는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의 도움을 얻어 제염업자를 무력화하는 데 성공했지만, 할레시는 자치권을 완전히 잃고, 도시 군주인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에게 전면적으로 굴복했다. 그 상징이, 시의 북서부에 1484년 이후 건설된 모리츠부르크 성(Moritzburg)이다. 1480년 할레시는 약 54 ha의 성벽 안에 7000명의 주민을 보유했다[45]。
1478년에 마그데부르크 대주교령이 되었고[46], 1503년 이후 대주교좌가 할레에 놓였다[47]。종교 개혁이 시작되자, 대주교 는 할레를 루터파의 비텐베르크에 대항하는 반 프로테스탄트의 거점으로 만들려고 노력했지만 실패하고, 1541년에 할레를 떠났다. 그 후 할레는 프로테스탄트의 도시가 되었다.
30년 전쟁 중, 1635년의 프라하 조약에 의해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의 아들 아우구스트가 마그데부르크 대주교령을 지배하지만, 1680년에 아우구스트가 사망하자, 베스트팔렌 조약의 약정에 따라 세속화되어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령 마그데부르크 공국이 되었다[48]。
1694년에 프리데리치아나 대학교가 설립되어, 크리스티안 볼프, 크리스티안 토마지우스 등을 배출하며 독일 계몽주의의 중심지 중 하나로 발전했다. 대학의 발전과 함께 출판업이 번성하여, 1730년대의 견본 시장 목록에 따르면, 독일어권 최대의 서적 출판·판매지 라이프치히를 제외하고, 그 다음인 뉘른베르크와 비슷한 출판 점수를 자랑했다. 이곳에서, 신학자 요한 게오르크 발흐가 편집한 루터 전집 24권(1739-1753), ''Allgemeine Welthistorie''(가역 『세계사』; 1744-1814년에 총 117권), 클롭슈토크의 『구세주』(''Der Messias'') 및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의, 칸트에게 영향을 준 『형이상학』(''Metaphysica'') 등이 간행되었다[49]。
브란덴부르크가는 제염법의 효율화를 촉진했다. 19세기 중반까지, 할레는 독일에서 유일하게 제염에 석탄을 사용했다[50]。
나폴레옹 전쟁에서는 제4차 대프랑스 동맹 당시 할레 전투(1806년)로 인해 프랑스에 점령되었다[51]。1815년에 프로이센령 작센 주의 일부가 되었다[52]。
1920년, 독립사회민주당은 이곳에서 개최된 당대회에서 코민테른 가입을 결정했다. 이 방침에 따르는 사람들이 독일 공산당에 합류하면서, 동당의 세력이 증가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기적적으로 공습을 거의 받지 않아, 많은 역사적 건조물이 무사히 남아 있다. 전후 얼마 동안은 미국군의 점령하에 있었지만, 곧 소련으로 넘겨지게 된다(소련 점령 지역). 동독 시대에는 의 현청 소재지였다.
2. 1. 고대 ~ 중세
할레라는 지명은 켈트어로 "소금"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8][39][40], 독일어로는 "제염소"를 의미한다는 설도 있다[41][42]。 할레에서는 잘레강 주변에서 짙은 염수를 얻을 수 있어, 적어도 청동기 시대(기원전 2300~600년)부터 소금 채취가 이루어졌다.[43] 할레 인근에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기 시대 제염소 유적이 있다.
806년 문헌에 ≫Halla≪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며, 동프랑크 왕국 하인리히 1세 치하에서 잘레 강 동쪽에 설립된 기비헨슈타인 성(Burg Giebichenstein)은 부속 제염소와 함께 961년 마그데부르크의 모리츠 수도원에 귀속되었다. 염천 옆에 11세기 모리츠 교회와 구 시장 개설지(der Alte Markt)와 함께, 시벽을 둘렀을 것으로 보이는 장인 집락이 생겨났다. 아이스레벤과 라이프치히를 잇는 가도에 위치하여 도시의 초기 형태를 이루었다. 12세기 중반에는 마리아 교회(Marienkirche)가 있는 신 시장 개설지(der neue Markt)가 설치되었다.[44]
1200년 전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주벽 내부에, 마그데부르크 법을 수여받은 시민 공동체(Bürgergemeinde)가 설립되었다. 12세기 이후 여러 수도원과 율원이 생겨났다[44]。 1258년에 설치된 참사회(Rat)는 1263년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의 통치 기관으로부터 독립을 관철했고, 1310년에는 완전한 자치를 획득했다. 13세기 말부터 15세기 말까지 한자 동맹에 가맹하여 번영했다.[45] 1324년에는 마그데부르크 시와 동맹을 맺어, 도시 군주인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에 대항했다.
1478년에 마그데부르크 대주교령이 되었고[46], 1503년 이후 대주교좌가 할레에 놓였다[47]。종교 개혁 시기에 대주교 알브레히트 폰 브란덴부르크는 할레를 루터파에 대항하는 거점으로 만들려고 했지만 실패하고, 1541년에 할레를 떠났다. 그 후 할레는 프로테스탄트 도시가 되었다.
30년 전쟁 중, 1635년 프라하 조약에 의해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의 아들 아우구스트가 마그데부르크 대주교령을 지배했다. 1680년 아우구스트가 사망하자 베스트팔렌 조약에 따라 세속화되어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령 마그데부르크 공국이 되었다[48]。
2. 2. 종교 개혁과 근대
할레는 16세기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시기에 중요한 장소였다. 마인츠의 알베르트 추기경도 이 시기에 할레에 영향을 미쳤다. 종교 개혁이 시작되자, 알브레히트 폰 브란덴부르크 대주교는 할레를 루터파의 비텐베르크에 대항하는 반 프로테스탄트 거점으로 만들려고 했지만 실패하고, 1541년에 할레를 떠났다. 그 후 할레는 프로테스탄트 도시가 되었다.
30년 전쟁 중, 1635년 프라하 조약에 의해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의 아들 아우구스트가 마그데부르크 대주교령을 지배했지만, 1680년에 아우구스트가 사망하자, 베스트팔렌 조약의 약정에 따라 세속화되어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령 마그데부르크 공국이 되었다.
1694년 할레 대학교가 설립되어, 크리스티안 볼프, 크리스티안 토마지우스 등을 배출하며 독일 계몽주의의 중심지 중 하나로 발전했다. 대학 발전과 함께 출판업이 번성하여, 1730년대의 견본 시장 목록에 따르면, 독일어권 최대 서적 출판·판매지 라이프치히 다음으로 뉘른베르크와 비슷한 출판 점수를 자랑했다. 이곳에서 신학자 요한 게오르크 발흐가 편집한 루터 전집 24권(1739-1753), ''Allgemeine Welthistorie''(가역 『세계사』; 1744-1814년에 총 117권), 클롭슈토크의 『구세주』(''Der Messias'') 및 알렉산더 고틀리프 바움가르텐의 칸트에게 영향을 준 『형이상학』(''Metaphysica'') 등이 간행되었다.
나폴레옹 전쟁 중 제4차 대프랑스 동맹 당시 할레 전투(1806년)로 인해 프랑스에 점령되었다. 1815년 프로이센 작센 주의 일부가 되었다.
2. 3. 20세기 이후 ~ 현대
1920년, 독립사회민주당은 이곳에서 개최된 당대회에서 코민테른 가입을 결정했다.[52] 이 방침에 따르는 사람들이 독일 공산당에 합류하면서, 동당의 세력이 증가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KZ-Außenlager Birkhahn은 부헨발트의 부속 수용소로서 할레에 위치했으며, 여기에는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소련, 프랑스, 네덜란드 및 기타 국가 출신의 수감자들이[9] 지벨 항공기 공장에서 전투기를 생산하기 위해 강제 노동을 했다. 암멘도르프에는 Orgacid/Orgacidde 소유의 대규모 공장에서 겨자 가스가 생산되었다.[9]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도시에 두 차례의 폭격이 가해졌지만, 전직 해군 장교 펠릭스 폰 룩크너가 미군에 도시의 항복을 협상한 후, 공중 폭격이 취소되어 도시는 더 이상의 피해를 면했다.[9] 1945년 7월, 미국군은 철수했고, 도시는 붉은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할레는 1952년까지 작센-안할트 행정 구역의 수도 역할을 했다.[10] 동독의 일부로서 (1990년까지) 할레 행정구 (''베치르크'')의 수도 역할을 했다.[10]
1990년 작센안할트가 ''연방주''로 재설립되었을 때, 할레가 아닌 마그데부르크가 주도가 되었다.[10]
2019년 10월 9일, 할레의 시나고그 총격 사건으로 2명이 사망했다.[10] 연방 검사는 이 공격을 반유대주의에서 비롯된 극우 테러 행위로 규정했으며, 그 결과 유대교 시설의 보안 조치가 강화되었다.
3. 지리
3. 1. 위치 및 지형
할레(잘레)는 독일 중부 작센안할트의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잘레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튀링겐 자유주와 인접하며, 튀링겐 숲 북쪽의 튀링겐 분지를 배수한다. 라이프치히는 35km, 마그데부르크는 75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135.01km²이다.
3. 2. 기후
할레는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해양성 기후(Cfb)로 분류되지만, 냉대 반건조 기후(BSk)에 가까운 특성을 보인다.[4][5] 연간 강수량은 372mm(2017년 4월~2022년 3월 기준)[4]에서 531.9mm(1991~2020년 평균)[6] 사이로 변동성이 크지만, 주기적인 습윤 기간과 40°C에 달하지 않는 극심한 고온 현상 부재로 인해 2018년과 2019년 여름과 같은 가뭄 기간을 견딜 수 있다.[4]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5.2 | 6.9 | 10.0 | 15.8 | 18.6 | 25.6 | 26.0 | 24.7 | 20.7 | 15.7 | 8.9 | 6.3 | 15.4 |
평균 최저 기온 (°C) | 0.1 | -1.2 | 0.0 | 3.1 | 7.1 | 13.0 | 13.2 | 13.2 | 9.2 | 6.9 | 2.4 | 0.8 | 5.7 |
강수량 (mm) | 30 | 22 | 26 | 21 | 39 | 28 | 38 | 44 | 40 | 34 | 26 | 24 | 372 |
비 오는 날 | 17 | 11 | 13 | 9 | 11 | 8 | 9 | 8 | 10 | 14 | 12 | 15 | 137 |
일조 시간 | 51 | 106 | 165 | 240 | 238 | 247 | 244 | 91 | 171 | 106 | 73 | 46 | 1778 |
4. 인구
할레의 인구는 2022년 기준 약 238,000명으로 작센안할트 주에서 가장 큰 도시이다.[55] 동독 시대에는 산업 발달로 인구가 증가하여 라이프치히, 드레스덴과 함께 동독의 주요 도시 중 하나였다. 1991년 약 305,000명으로 최고 인구를 기록했으나, 독일 재통일 이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여 많은 사람들이 서독 지역으로 이주했다.[11] 최근 시리아 등 전쟁 피해 국가 출신 난민 유입으로 2015년부터 외국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2022년 3월 31일 기준 외국인 거주자 인구는 다음과 같다:
5. 정치
5. 1. 시장
무소속 베른트 비간트가 2012년부터 할레의 시장직을 수행하고 있다. 가장 최근 시장 선거는 2019년 10월 13일에 치러졌으며, 10월 27일에 결선 투표가 진행되었다. 1차 투표에서 베른트 비간트는 44.3%를 득표하였고, 2차 투표에서 61.4%를 득표하여 시장으로 선출되었다.후보 | 정당 | 1차 투표 | 2차 투표 | |||
---|---|---|---|---|---|---|
득표수 | % | 득표수 | % | |||
베른트 비간트 | 무소속 | 35,419 | 44.3 | 41,273 | 61.4 | |
헨드릭 랑게 | 좌파/SPD/녹색당 | 20,104 | 25.2 | 25,922 | 38.6 | |
안드레아스 질버작 | FDP/CDU | 18,310 | 22.9 | |||
다니엘 슈라더 | 무소속 | 1,954 | 2.5 | |||
팔코 카지미리스 | 자유 유권자 | 1,613 | 2.0 | |||
뙤르테 야코비 | 무소속 (PARTEI) | 1,598 | 2.0 | |||
롤프 레나르트 티만 | 무소속 | 488 | 0.6 | |||
마르틴 보흐만 | 무소속 (PARTEI) | 397 | 0.5 | |||
유효표 | 79,883 | 99.4 | 67,195 | 99.1 | ||
무효표 | 451 | 0.6 | 625 | 0.9 | ||
총 투표수 | 80,334 | 100.0 | 67,820 | 100.0 | ||
선거인 수/투표율 | 189,583 | 42.4 | 189,208 | 35.8 |
5. 2. 시의회
2024년 6월 9일에 실시된 할레 시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일을 위한 대안(AfD)이 12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이 11석, 좌파당과 독일 사회민주당(SPD)이 각각 7석, 동맹 90/녹색당이 6석을 차지했다. 그 외에 Priority Halle, 시민과 함께 할레, 자유민주당, Die PARTEI, 볼트, 자유 유권자, dieBasis 등이 의석을 확보했다.정당 | 의석 수 |
---|---|
독일을 위한 대안(AfD) | 12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CDU) | 11 |
좌파당 | 7 |
독일 사회민주당(SPD) | 7 |
동맹 90/녹색당 | 6 |
Priority Halle | 3 |
시민과 함께 할레 | 2 |
자유민주당 | 2 |
Die PARTEI | 2 |
볼트 | 2 |
자유 유권자 | 1 |
dieBasis | 1 |
6. 문화 및 관광
할레에는 다양한 문화 시설이 있다.
- 할로렌 초콜릿 공장 및 방문자 센터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초콜릿 공장으로 알려져 있다.[12]
- 기비헨슈타인 성은 961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도시 중심부 북쪽 잘레 강 위의 언덕에 위치해 있다. 상부 성에는 박물관이 있고 하부 성에는 기비헨슈타인 예술 디자인 대학교가 있다.
- 모리츠부르크는 1484년에서 1503년 사이에 지어진 성으로, 30년 전쟁에서 파괴되어 폐허로 남아 있다가 1901-1913년에 부분적으로 재건되었다. 현재는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0년에 스페인 건축가 소베자노와 니에토가 설계한 새로운 전시실이 개관하면서 재건이 완료되었다.
- 노이에 레지덴츠(Neue Residenz)는 초기 르네상스 양식의 궁전(1531–1537)이다.
- 마르크트 광장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있다.
- 성 마리아 마르크트 교회(Marktkirche Unser Lieben Frauen)는 1529-1554년에 지어졌으며, 11세기에 지어진 성 게르트루데 교회와 12세기에 지어진 오래된 성 마리아 교회의 요소를 사용했다. 교회는 마르틴 루터의 원본 데스 마스크를 소유하고 있으며, 네 개의 탑은 도시의 랜드마크 상징이다.[13][14]
- 로터 투름(Roter Turm)은 원래 1418년에서 1503년 사이에 지어진 오래된 성 마리아 교회의 종탑으로, 할레의 랜드마크이다.
- 롤란트(Roland)는 원래 (13세기) 도시의 자유를 나타내는 나무 조각상이었으나, 현재의 조각상은 1719년에 만들어진 사암 복제품이다.
- 마르크슐뢰센(Marktschlösschen)은 후기 르네상스 건물로, 갤러리 및 관광 안내소로 사용된다.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기념비는 1859년 헤르만 하이델의 작품이다.
- 라트호프(Ratshof)는 1928/29년에 구 시청의 뒷 건물로 지어졌다.
- 슈타트하우스(Stadthaus)는 1891–1894년의 르네상스 부흥 건물이다.
- 노란 선은 마르크트 광장을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지질 단층선인 할리셔 페르베르풍(Hallische Verwerfung)을 표시한다.
- 헨델 하우스는 1558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출생지이자 1948년부터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 하우스는 작곡가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의 집으로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구 마르크트 광장과 당나귀 분수(1906/13)는 지역 전설을 언급한다.
- 타운 요새의 유적으로는 동쪽에 있는 라이프치거 타워(Leipziger Turm, 15세기)와 도시 중심부 남쪽에 있는 타운 벽의 유적이 있다.
- 페스탈로치 공원에 있는 블라디미르 레닌 조각상이 있다.[15]
- 프랑케 재단은 바로크 양식의 건물(유럽에서 가장 큰 현존하는 목조 건물 포함) 및 역사적인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 슈타트고테자커(Stadtgottesacker)는 1557년에 지어진 르네상스 묘지로, 이탈리아의 캄포산토 양식이다.
- 잘리네 박물관은 할레의 소금 공장과 소금 노동자 협회(할로렌)에 헌정되어 있다.
- 대성당(돔)은 첨탑이 없는 건물로 원래 도미니코회 수도원(1271) 내의 교회였으며, 알베르트 폰 호엔촐레른 추기경에 의해 대성당으로 개조되었다. 1688년부터 개혁 교구의 교회였다.
- 성 모리스 교회는 후기 고딕 양식 건물(1388–1511)이다.
- 성 울리히 교회는 세르비타 수도회의 후기 고딕 양식 교회(15세기)로, 오늘날 콘서트홀로 사용된다.
- 뵐베르크 마을의 옛 교회는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후기 고딕 양식의 칠해진 나무 천장이 있다.
- 수많은 부르주아 타운 하우스 중에는 아커뷔르거호프(15-18세기, 12세기의 유적 포함), 크리스티안 볼프의 집(현재 시립 박물관), 그라세베크 하우스(목조 건물) 등이 있다.
- 할레 선사시대 주립 박물관에는 네브라 천문 원반이 전시되어 있다.
- 폴크스파크(Volkspark, 1906/07)는 사회 민주당의 이전 회관이었다.
- 극장:
- 할레 오페라 하우스
- 노이에스 테아터(Neues Theater)
- 푸펜테아터(Puppentheather)
- 탈리아 극장(Thalia Theater)은 작센안할트 유일의 어린이 극장이다.
- 슈타인토어 뷔네(Steintor Bühne)
- 공원 및 정원:
-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의 식물원은 1698년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의 옛 정원에 설립되었으며, 가든 드림 프로젝트에 속한다.
- 라이하르츠 가르텐(Reichardts Garten)은 역사적인 공원으로, 가든 드림 프로젝트의 일부이다. 요한 프리드리히 라이하르트(1752–1814)가 1794년에 영국식 정원으로 조성하였다.
- 파이츠니츠 섬(Peißnitz Island)
- 페스탈로치 공원(Pestalozzi Park)
- 동물원(베르크초)은 라이스베르크(Reilsberg) 언덕에 위치해 있다.
- 갈겐베르게(Galgenberge)는 14세기부터 18세기 말까지의 교수대 위치였다.
- 클라우스베르게(Klausberge)는 반암 언덕으로, 성 니콜라스 형제단의 예배당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잘레 계곡의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 될라우어 하이데 숲에는 약 기원전 2500–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35개의 무덤이 있는 비쇼프스 비제가 있다.
- 파센도르프 초원의 경마장
- 할레-노이슈타트는 할레 서쪽에 있으며, 1964년(1964년 7월 15일 기공식) 사회주의 모델 도시로 건설되었다. 여전히 레닌에게 헌정된 거대한 벽화와 같은 여러 GDR 기념물이 있다.[16]
(왼쪽)]]

6. 1. 문화 시설
할레에는 다양한 문화 시설이 있다.
- 할로렌 초콜릿 공장 및 방문자 센터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초콜릿 공장으로 알려져 있다.[12]
- 기비헨슈타인 성은 961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도시 중심부 북쪽 잘레 강 위의 언덕에 위치해 있다. 상부 성에는 박물관이 있고 하부 성에는 기비헨슈타인 예술 디자인 대학교가 있다.
- 모리츠부르크는 1484년에서 1503년 사이에 지어진 성으로, 30년 전쟁에서 파괴되어 폐허로 남아 있다가 1901-1913년에 부분적으로 재건되었다. 현재는 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2010년에 스페인 건축가 소베자노와 니에토가 설계한 새로운 전시실이 개관하면서 재건이 완료되었다.
- 노이에 레지덴츠(Neue Residenz)는 초기 르네상스 양식의 궁전(1531–1537)이다.
- 마르크트 광장에는 다음과 같은 시설들이 있다.
- 성 마리아 마르크트 교회(Marktkirche Unser Lieben Frauen)는 1529-1554년에 지어졌으며, 11세기에 지어진 성 게르트루데 교회와 12세기에 지어진 오래된 성 마리아 교회의 요소를 사용했다. 교회는 마르틴 루터의 원본 데스 마스크를 소유하고 있으며, 네 개의 탑은 도시의 랜드마크 상징이다.[13][14]
- 로터 투름(Roter Turm)은 원래 1418년에서 1503년 사이에 지어진 오래된 성 마리아 교회의 종탑으로, 할레의 랜드마크이다.
- 롤란트(Roland)는 원래 (13세기) 도시의 자유를 나타내는 나무 조각상이었으나, 현재의 조각상은 1719년에 만들어진 사암 복제품이다.
- 마르크슐뢰센(Marktschlösschen)은 후기 르네상스 건물로, 갤러리 및 관광 안내소로 사용된다.
-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기념비는 1859년 헤르만 하이델의 작품이다.
- 라트호프(Ratshof)는 1928/29년에 구 시청의 뒷 건물로 지어졌다.
- 슈타트하우스(Stadthaus)는 1891–1894년의 르네상스 부흥 건물이다.
- 노란 선은 마르크트 광장을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지질 단층선인 할리셔 페르베르풍(Hallische Verwerfung)을 표시한다.
- 헨델 하우스는 1558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출생지이자 1948년부터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 하우스는 작곡가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의 집으로 현재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구 마르크트 광장과 당나귀 분수(1906/13)는 지역 전설을 언급한다.
- 타운 요새의 유적으로는 동쪽에 있는 라이프치거 타워(Leipziger Turm, 15세기)와 도시 중심부 남쪽에 있는 타운 벽의 유적이 있다.
- 페스탈로치 공원에 있는 블라디미르 레닌 조각상이 있다.[15]
- 프랑케 재단은 바로크 양식의 건물(유럽에서 가장 큰 현존하는 목조 건물 포함) 및 역사적인 컬렉션을 소장하고 있다.
- 슈타트고테자커(Stadtgottesacker)는 1557년에 지어진 르네상스 묘지로, 이탈리아의 캄포산토 양식이다.
- 잘리네 박물관은 할레의 소금 공장과 소금 노동자 협회(할로렌)에 헌정되어 있다.
- 대성당(돔)은 첨탑이 없는 건물로 원래 도미니코회 수도원(1271) 내의 교회였으며, 알베르트 폰 호엔촐레른 추기경에 의해 대성당으로 개조되었다. 1688년부터 개혁 교구의 교회였다.
- 성 모리스 교회는 후기 고딕 양식 건물(1388–1511)이다.
- 성 울리히 교회는 세르비타 수도회의 후기 고딕 양식 교회(15세기)로, 오늘날 콘서트홀로 사용된다.
- 뵐베르크 마을의 옛 교회는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후기 고딕 양식의 칠해진 나무 천장이 있다.
- 수많은 부르주아 타운 하우스 중에는 아커뷔르거호프(15-18세기, 12세기의 유적 포함), 크리스티안 볼프의 집(현재 시립 박물관), 그라세베크 하우스(목조 건물) 등이 있다.
- 할레 선사시대 주립 박물관에는 네브라 천문 원반이 전시되어 있다.
- 폴크스파크(Volkspark, 1906/07)는 사회 민주당의 이전 회관이었다.
- 극장:
- 할레 오페라 하우스
- 노이에스 테아터(Neues Theater)
- 푸펜테아터(Puppentheather)
- 탈리아 극장(Thalia Theater)은 작센안할트 유일의 어린이 극장이다.
- 슈타인토어 뷔네(Steintor Bühne)
- 공원 및 정원:
-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의 식물원은 1698년 마그데부르크 대주교의 옛 정원에 설립되었으며, 가든 드림 프로젝트에 속한다.
- 라이하르츠 가르텐(Reichardts Garten)은 역사적인 공원으로, 가든 드림 프로젝트의 일부이다. 요한 프리드리히 라이하르트(1752–1814)가 1794년에 영국식 정원으로 조성하였다.
- 파이츠니츠 섬(Peißnitz Island)
- 페스탈로치 공원(Pestalozzi Park)
- 동물원(베르크초)은 라이스베르크(Reilsberg) 언덕에 위치해 있다.
- 갈겐베르게(Galgenberge)는 14세기부터 18세기 말까지의 교수대 위치였다.
- 클라우스베르게(Klausberge)는 반암 언덕으로, 성 니콜라스 형제단의 예배당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잘레 계곡의 탁 트인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 될라우어 하이데 숲에는 약 기원전 2500–20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35개의 무덤이 있는 비쇼프스 비제가 있다.
- 파센도르프 초원의 경마장
- 할레-노이슈타트는 할레 서쪽에 있으며, 1964년(1964년 7월 15일 기공식) 사회주의 모델 도시로 건설되었다. 여전히 레닌에게 헌정된 거대한 벽화와 같은 여러 GDR 기념물이 있다.[16]
6. 2. 헨델 음악제
바로크 음악의 거장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을 기리기 위해 1922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음악 축제이다.[32] 18세기에 런던에서 활약한 작곡가 헨델의 출생지이며, 헨델 음악제가 개최된다.7. 과학 및 교육
바로크 작곡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1685년 할레에서 태어나 17년간 살았다. 그가 살았던 집은 현재 그의 삶에 대한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할레는 그의 음악을 기념하기 위해 1922년부터 헨델 페스티벌을 개최해 왔으며, 1952년부터는 매년 6월에 열리고 있다. ''프랑케 재단''은 1116년 이전에 설립되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소년 합창단 중 하나인 ''할레 시립 합창단/Stadtsingechor zu Hallede''의 본거지이다.
할레 대학교는 1694년에 설립되었다. 현재 비텐베르크 대학교와 합쳐져 ''할레-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대학교''라고 불린다. 대학교의 의학부는 프리드리히 호프만에 의해 설립되었다. 대학교의 할레-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대학교 식물원은 169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할레의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되고 존경받는 과학 학회 중 하나이다. 할레는 또한 27,000권의 서적을 소장한 마리엔 도서관/Marienbibliothekde로 알려진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개신교 교회 도서관의 본거지이다. 막스 플랑크 사회인류학 연구소의 본부는 할레에 있는데, 이 연구소는 세계 최대의 사회 인류학 연구 기관 중 하나이며 막스 플랑크 협회의 일부이다.
할레는 독일 경건주의의 중심지였으며, 18세기 중반 헨리 뮬렌베르크 등이 선교사로 펜실베이니아에 파견되었을 때 북미 지역에 루터교 교회를 설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뮬렌베르크는 현재 미국 루터교회의 첫 번째 총대주교로 불린다. 그는 미국 하원의 첫 번째 의장이었던 그의 아들 프레데릭 뮬렌베르크와 함께 할레 대학교 졸업생이었다.
''할로렌''의 은 보물은 기술 박물관 살리네에서 가끔 전시된다. 이 보물은 126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은과 금 잔의 독특한 컬렉션이다. "샤우지덴" (소금물 끓이기)의 고대 기술도 그곳에서 관찰할 수 있다. 선사 시대 주립 박물관에는 천문학적 중요성을 지닌 청동기 시대의 중요한 발견물인 네브라 천공 원반이 소장되어 있다.
할레 동물원은 유럽 동물원 수족관 협회(EAZA) 번식 프로그램, 특히 앙골라 사자와 말레이시아 호랑이에 기여하고 있다. 할레는 또한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코이푸 (또는 뉴트리아)의 번성한 개체수로도 유명하다.
하인리히 하이네, 아이헨도르프, 슐라이어마허, 티크 및 노발리스와 같은 작가들과 함께 이 도시는 독일 낭만주의의 활기찬 현장이었다. 또한 요한 볼프강 폰 괴테는 그의 절친한 친구인 요한 프리드리히 라이하르트의 집을 정기적으로 방문했다.
독일계 미국인 표현주의 화가 리어나엘 파이닝거는 1929년부터 1931년까지 도시의 초청을 받아 할레에서 작업했다. ''할레 사이클''이라는 도시의 11개의 풍경 중 하나로, 그는 1931년에 ''Die Türme über der Stadt''[17] (도시 위 탑)을 그렸으며, 이 그림은 현재 쾰른의 루드비히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18] 이 그림은 2002년 12월 5일 "20세기 독일 회화" 시리즈의 일부로 55 유로 동전 우표에 등장했다.[19]
프로이센 시대부터 대학 도시로 유명하며(할레-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대학교), 고전 문헌학 및 성서 해석학의 성립에 크게 기여했다. 크리스티안 볼프가 철학을 강의한 곳이기도 하다.
어떤 전설에 따르면, 할레 근처의 슈피켄도르프 마을에서는 사람들이 집에 돌아가는 낮 12시부터 1시까지 곡물의 정령이 매일 곡물 밭을 둘러보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곡물 천사"라고 부른다고 한다[53]。
일간지로는 중부 독일 신문이 할레에서 발행되고 있다.
7. 1. 할레-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대학교
1694년에 설립된 할레 대학교는 비텐베르크 대학교와 합쳐져 할레-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대학교가 되었다. 프리드리히 호프만은 대학교 의학부를 설립하는데 기여했다. 할레-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대학교 식물원은 1698년에 만들어졌다.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되고 존경받는 과학 학회 중 하나이다. 막스 플랑크 사회인류학 연구소는 막스 플랑크 협회의 일부이다. 프로이센 시대부터 대학 도시로 유명하며, 고전 문헌학 및 성서 해석학의 성립에 크게 기여했고, 크리스티안 볼프가 철학을 강의한 곳이기도 하다.
- 베른트 바젤트 (1934–1993), 대학교수, 현대의 작품 지정자(opus designator, HWV)로 이어지는 카탈로그를 출판했으며, 이는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작품을 언급할 때 사용된다.
- 퀘들린부르크 출신의 도로테아 크리스티아네 에르크슬레벤 (1715–1762)은 1754년 마르틴 루터 대학교(MLU) 의과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 게오르크 칸토어 (1845–1918), 수학자이자 할레 대학교 교수
- 지크바르트 호르스트 귄터 (1925–2015), 독일 의사, '독일 반우라늄무기 운동의 아버지', 할레 출생
- 프리드리히 호프만 (1660–1742), 독일 의사이자 화학자.
- 레온하르트 존케 (1842–1897), 수학자이자 물리학 교수
- 게오르크 빌헬름 스텔러 (1709–1746), 시베리아, 캄차카, 알래스카를 탐험한 식물학자, 동물학자, 의사이자 탐험가
8. 산업
소금은 '하얀 금'이라고도 불리며, 네 개의 "본(Borns)"(우물과 같은 구조물)에서 채취되었다. 구트야르브루넨, 메테리츠브루넨, 도이체르 본, 하케본이라는 이름의 네 개의 본/염수는 할레마켓(또는 "언더 마켓") 주변에 위치해 있었는데, 현재는 분수가 있는 시장 광장으로, MDR 방송국 바로 맞은편에 있다. 염수는 농도가 매우 짙었고 갈대와 점토로 만들어진 단순한 구조의 집인 '코텐(Koten)'에서 끓였다. 열여덟 개의 은색 단추가 달린 독특한 유니폼을 입은 제염업자들은 '할로렌(Halloren)'으로 알려졌으며, 이 이름은 나중에 이 단추 모양의 초콜릿에 사용되었다.
할로렌-베르케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초콜릿 공장으로 1804년에 설립되었다. 오래된 문서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초콜릿 방을 방문할 수 있다.
동독 내에서 할레의 화학 산업은 현재 대부분 문을 닫았지만 매우 중요했다. 이 지역의 두 주요 회사는 부나-베르케와 로이 나였으며, 할레노이슈타트는 이 두 공장의 직원을 수용하기 위해 1960년대에 건설되었다.
8. 1. 제염업
할레는 고대부터 소금 생산으로 번영했으며, '하얀 금'이라 불리는 소금은 지역 경제의 중요한 축이었다. 염수는 농도가 매우 짙었고 갈대와 점토로 만들어진 단순한 구조의 집인 '코텐(Koten)'에서 끓였다. 열여덟 개의 은색 단추가 달린 독특한 유니폼을 입은 제염업자들은 '할로렌(Halloren)'으로 알려졌다.8. 2. 화학 산업
동독 시절 할레는 중요한 화학 산업 중심지였다. 부나-베르케와 로이나 등 대규모 화학 공장이 위치했으며, 할레노이슈타트는 이들 공장 노동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1960년대에 건설된 계획 도시였다.9. 교통
루드비히 부케러는 할레를 중앙 독일의 중요한 철도 허브로 만들었다.[20] 1840년, 그는 마그데부르크-할레-라이프치히 노선을 개통하여 마그데부르크와 드레스덴 간의 연결을 완료했다.[20] 1841년부터 1860년까지, 에르푸르트, 카셀, 베를린으로 이어지는 다른 노선들이 건설되었다.[20]
할레 (잘레) 중앙역은 주요 철도역이다.[20] 할레는 에르푸르트-라이프치히/할레 고속철도의 개통과 함께 철도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이 커졌다. 라이프치히 역시 이 노선과 연결되어 있지만, 대부분 종착역이며 할레를 경유하는 노선이 더 짧기 때문에, 할레는 많은 베를린-뮌헨 열차의 중간 정차역으로 사용된다.
할레의 도시 대중교통 시스템의 핵심은 할레 (잘레) 트램 네트워크이다.[20] 여기에는 1891년에 개통된 세계 최초의 주요 전력 구동 시내 트램 노선이 포함된다.[20] 시내에는 노면전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마르크트 광장에서 시내 각 지역까지 최대 20분 정도 소요된다.
라이프치히/할레 공항은 작센 주 슈케디츠에 위치한 국제 공항으로, 작센 주의 라이프치히와 작센안할트 주의 할레를 모두 관할한다. 1927년에 개항하였으며, 2018년 승객 수 기준 독일에서 11번째로 큰 공항이다. 주로 유럽 휴양지로 가는 257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하며, 화물 교통량은 유럽에서 다섯 번째, 프랑크푸르트 공항 다음으로 독일에서 두 번째로 많다. 라이프치히와 마그데부르크에서 약 4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9. 1. 철도
루드비히 부케러는 할레를 중앙 독일의 중요한 철도 허브로 만들었다.[20] 1840년, 그는 마그데부르크-할레-라이프치히 노선을 개통하여 마그데부르크와 드레스덴 간의 연결을 완료했다.[20] 1841년부터 1860년까지, 에르푸르트, 카셀, 베를린으로 이어지는 다른 노선들이 건설되었다.[20]할레 (잘레) 중앙역은 주요 철도역이다.[20] 할레는 에르푸르트-라이프치히/할레 고속철도의 개통과 함께 철도 중심지로서의 중요성이 커졌다. 라이프치히 역시 이 노선과 연결되어 있지만, 대부분 종착역이며 할레를 경유하는 노선이 더 짧기 때문에, 할레는 많은 베를린-뮌헨 열차의 중간 정차역으로 사용된다.
할레 (잘레) 트램 네트워크에는 1891년에 개통된 세계 최초의 주요 전력 구동 시내 트램 노선이 포함된다.[20]
9. 2. 트램
할레의 도시 대중교통 시스템의 핵심은 할레 (잘레) 트램 네트워크이다.[20] 여기에는 1891년에 개통된 세계 최초의 주요 전력 구동 시내 트램 노선이 포함된다.[20] 시내에는 노면전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마르크트 광장에서 시내 각 지역까지 최대 20분 정도 소요된다.9. 3. 공항
라이프치히/할레 공항은 작센 주 슈케디츠에 위치한 국제 공항으로, 작센 주의 라이프치히와 작센안할트 주의 할레를 모두 관할한다.[20] 1927년에 개항하였으며, 승객 수 기준 독일에서 11번째로 큰 공항이다. 주로 유럽 휴양지로 가는 257만 명 이상의 승객을 처리하며, 화물 교통량은 유럽에서 다섯 번째, 프랑크푸르트 공항 다음으로 독일에서 두 번째로 많다.[20] 라이프치히와 마그데부르크에서 약 4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10. 스포츠
축구팀 할레셔 FC(Hallescher FC)는 독일 민주 공화국 시대에 1부 리그의 주축이었으며 1956년과 1962년 컵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 가장 유명한 선수는 1960년대와 1970년대 할레셔 FC(Hallescher FC)에서 활동한 72번의 국제 경기 출전 기록을 가진 베른트 브란슈(Bernd Bransch)였다. 베른트 브란슈(Bernd Bransch)는 317번의 클럽 경기 출전과 동독 대표팀으로 64번 출전한 축구 선수이다. 요즘 할레셔 FC(Hallescher FC)는 주로 3부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다.
할레셔 FC(Hallescher FC)에서 유래한 종합 스포츠 클럽 SV 할레/SV Hallede는 특히 보트 및 수상 스포츠에서 다수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와 세계 챔피언을 배출했다. 안드레아스 하예크(Andreas Hajek)는 1998년부터 2001년까지 4번의 조정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할레 출신,혹은 할레와 관련된 스포츠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선수들이 있다.
- 발데마르 치에르핀스키 (1950년 출생)는 동독 육상 선수이자 두 번의 올림픽 챔피언으로 할레에 거주한다.
- 마리타 란게 (1943년 출생)는 포환 던지기 선수로 1968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이다.
- 로타어 밀데 (1934년 출생)는 동독 원반 던지기 선수로 1968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이다.
- 요헨 피에츠슈 (1963년 출생)는 전 동독 루지 선수로 1988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1984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울리히 베링 (1952년 출생)은 은퇴한 독일 스키 선수로 1972년, 1976년, 1980년 동계 올림픽에서 노르딕 복합 종목에서 세 번 연속 우승했다.
- 다리우스 보슈 (1969년 출생)는 독일 축구 코치이자 전 선수로 563번의 클럽 경기 출전과 독일 대표팀으로 17번 출전했다.
11. 자매 도시
할레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4][35]
12. 우호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Bürgermeisterwahlen in den Gemeinden, Endgültige Ergebnisse
https://wahlergebnis[...]
2021-07-08
[2]
웹사이트
Quarterly Statistical Report of Halle, 1st quarter 2023
https://informations[...]
[3]
웹사이트
Tabellen Bodenfläche
https://statistik.sa[...]
Statistisches Landesamt Sachsen-Anhalt
2022-11-20
[4]
웹사이트
Klima Halle (Saale)
https://www.wetterdi[...]
DWD
2022-04-25
[5]
웹사이트
Klima Halle (Saale)
https://www.wetterdi[...]
DWD
[6]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3-10-12
[7]
웹사이트
Klima Leipzig, Deutschland
https://www.wetterko[...]
2019-09-21
[8]
서적
Iron Kingdom: The Rise and Downfall of Prussia, 1600–1947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7-05-18
[9]
문서
Das vergessene Lager: Eine Dokumentation zum Außenkommando des KZ Buchenwald in Halle/Saale 1944/45
[10]
백과사전
Saxony-Anhalt (State, Germany)
https://www.britanni[...]
[11]
문서
Link
https://de.wikipedia[...]
[12]
뉴스
Katjes International ups stake in chocolate maker Halloren
http://www.confectio[...]
Confectionery News
2016-11-18
[13]
웹사이트
Marktkirche "Unser Lieben Frauen"
http://www.halle.de/[...]
Halle Saale
2012-01-01
[14]
웹사이트
Halle – The City of Five Towers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http://www.dw.de/dw/[...]
Deutsche Welle
2012-01-01
[15]
웹사이트
The red star over the city of Halle
https://leninisstill[...]
2015-07-19
[16]
웹사이트
He stirred the sleep of the world
https://leninisstill[...]
2020-01-25
[17]
웹사이트
Painting
http://ids.lib.harva[...]
2014-05-09
[18]
웹사이트
Halle – A City of Five Towers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http://www.dw.de/dw/[...]
Deutsche Welle
2012-01-01
[19]
웹사이트
Auswahl Neuausgaben 2002
http://www.junghans-[...]
Junghans Gruppe
2012-01-01
[20]
서적
Netzwerke. Stahl und Strom. 1840 bis 1914
Propyläen Verlag, Berlin
1991-1992
[21]
EB1911
[22]
EB1911
[23]
EB1911
[24]
EB1911
[25]
EB1911
[26]
EB1911
[27]
EB1911
[28]
EB1911
[29]
웹사이트
Prof. Siegwart-Horst Günther – 1925 – †2015
http://www.bandeplet[...]
2017-10-30
[30]
EB1911
[31]
EB1911
[32]
EB1911
[33]
EB1911
[34]
웹사이트
Städtepartnerschaften und -freundschaften
http://www.halle.de/[...]
Halle (Saale)
2021-02-12
[35]
웹사이트
Hauptausschuss für Städtepartnerschaft mit Gjumri in Armenien
https://dubisthalle.[...]
Du bist Halle
2020-05-20
[36]
Population
Population GER-ST
[37]
웹사이트
公式サイトにおける表記
http://www.halle.de/[...]
[38]
citation
Ist Halle (Saale) eine keltische Gründung?
http://www.nornirsae[...]
Nornirs Ætt
2008-12-05
[39]
journal
The history of salt—aspects of interest to the nephrologist
[40]
book
ことばの生活誌
平凡社
[41]
문서
マルソーフ(1989) p.101 注[1]
[42]
문서
Friedrich Kluge, translated by John Francis Davis (1891) "Halle".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German Language.
[43]
문서
マルソーフ(1989) p.53,81-84
[44]
문서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45]
문서
Lexikon des Mittelalters
Artemis
[46]
citation
Chronik 15. Jahrhunderts
http://www.halle.de/[...]
Halle (Saale): Händelstadt
[47]
citation
Chronik 16. Jahrhunderts
http://www.halle.de/[...]
Halle (Saale): Händelstadt
[48]
citation
Chronik 17. Jahrhunderts
http://www.halle.de/[...]
Halle (Saale): Händelstadt
[49]
문서
Marcus Conrad : Geschäfte mit Büchern im 18. Jahrhundert – Das Verlagsarchiv Gebauer-Schwetschke in Halle. [日本独文学会東海支部『ドイツ』文学研究』第53号、2021年10月、15-28、特に15-17頁と24頁注(3)および26-28頁注(19)と(23).]
[50]
문서
マルソーフ(1989) pp.108-151
[51]
citation
Chronik 19. Jahrhunderts
http://www.halle.de/[...]
Halle (Saale): Händelstadt
[52]
문서
Saxony (province)
[53]
book
世界の花と草木の民話
三弥井書店
[54]
웹인용
Halle (Saale) Klima
https://www.wetterdi[...]
wetterdienst.de
[55]
문서
Lin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