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먼빌 글렌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먼빌 글렌 전투는 1754년 5월 28일, 조지 워싱턴과 타나카리슨이 이끄는 영국군과 프랑스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이 전투는 오하이오 영토를 둘러싼 영국과 프랑스의 갈등 속에서 발생했으며, 프랑스군 지휘관 주몽빌이 사망하고 그의 부하들이 죽거나 포로로 잡히는 결과를 낳았다. 이 사건은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주몽빌의 죽음에 대한 상반된 기록과 타나카리슨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전투 이후 워싱턴은 요새 네세시티를 건설했으나, 프랑스군의 공격으로 항복하게 되었고, 이 사건은 7년 전쟁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현재는 국립 전적지로 보존되어 있으며, 당시의 역사적 평가와 유산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4년 분쟁 - 네세시티 요새 전투
    네세시티 요새 전투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초기에 오하이오 영토 지배를 두고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버지니아 민병대가 프랑스군과 인디언 연합군에게 항복한 전투로, 7년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 1754년 13개 식민지 - 네세시티 요새 전투
    네세시티 요새 전투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초기에 오하이오 영토 지배를 두고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버지니아 민병대가 프랑스군과 인디언 연합군에게 항복한 전투로, 7년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 1754년 13개 식민지 - 뭉치지 않으면 죽는다
    1754년 벤자민 프랭클린이 제작한 "뭉치지 않으면 죽는다"는 정치 만화로, 프랑스-인디언 전쟁과 미국 독립 혁명 시기에 식민지들의 단결을 촉구하며, 분열된 뱀 그림과 "Join, or Die" 문구를 통해 연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미국 역사에서 단결과 저항의 상징으로 재해석되었다.
주먼빌 글렌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정보
분쟁주몽빌 글렌 전투
전체프렌치 인디언 전쟁
조지 워싱턴이 그린 펜실베이니아 오하이오 강 주변 지도, 1753년 또는 1754년
조지 워싱턴이 그린 오하이오 강 주변 지도 (1753년 또는 1754년)
날짜1754년 5월 28일
장소현재의 펜실베이니아주 합우드와 파밍턴 사이
결과영국의 승리
결과 상세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시작
교전 세력
교전국 1[[파일:Union flag 1606 (Kings Colors).svg|22px]]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파일:Red Ensign of Great Britain (1707-1800).svg|22px]]영국령 아메리카
밍고족
교전국 2[[파일:Pavillon royal de France.svg|22px]]프랑스 왕국
[[파일:Pavillon royal de France.svg|22px]]누벨 프랑스
지휘관 및 지도자
지휘관 1조지 워싱턴
타나차리손
지휘관 2조제프 쿨롱 드 주몽빌
병력 규모
병력 140명 지방 민병대
12명 인디언
병력 235명 정규군
사상자 및 피해
사상자 11명 사망
2-3명 부상
사상자 2보고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포로 또는 사망
관련 전투
워싱턴의 펜실베이니아 지도
조지 워싱턴의 펜실베이니아주 지도
관련 전투프렌치 인디언 전쟁 오하이오 강 계곡

2. 배경

1740년대부터 1750년대 초반까지, 영국프랑스북아메리카오하이오 영토 지배권을 두고 경쟁했다. 영국은 오하이오 영토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정착민을 보내고 무역을 확장하려 했다. 반면 프랑스는 오하이오 영토를 자국의 누벨 프랑스 식민지의 일부로 간주하고, 이 지역에 요새를 건설하며 영국의 확장을 저지하려 했다. 이 과정에서 양측은 원주민 부족들과 동맹을 맺으려 했고, 특히 밍고 족의 지도자 타나카리슨(Half King)은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1. 오하이오 영토 분쟁

1740년대부터 1750년대 초반까지, 많은 영국과 캐나다의 무역업자들이 오하이오 강 상류 유역을 포함한 오하이오 영토(현재 펜실베이니아 주 서부)에 진출했다.[109] 이에 누벨 프랑스 당국은 영국 상인들과 정착민들을 몰아내기 위해 1753년 오하이오 지역에 일련의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했다.[110]

오하이오 영토


딘위디 총독


프랑스의 이러한 행동은 영국뿐만 아니라 이 지역의 인디언 부족들에게도 경계심을 불러일으켰다. 프랑스와 인디언 부족들은 대체로 좋은 관계를 유지했지만, 영국 상인들은 인디언들에게 프랑스계 캐나다인보다 자신들과 거래하도록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따라서 프랑스의 요새 건설은 모두에게 환영받는 일은 아니었다.[111] 특히, 밍고 족의 족장 타나카리슨(‘하프 킹’(half king)으로도 알려짐)은 프랑스에 강하게 반대하며 반프랑스 입장을 취했다.[112]

프랑스 요새 건축 부대 지휘관 폴 마린 드 라 말그는 타나카리슨에게 "나는 강 하류로 갈 것이다. 만약 강이 막혀 있으면, 나의 부대를 보내, 터뜨리고 나에게 반대하는 놈들을 짓밟아 준다. 네가 말한 바보 같은 모든 어리석은 것들은 경멸받아 마땅하다."라고 소리쳤다고 한다.[112] 그는 또한 타나카리슨이 선의의 증표로 준 왐펌을 바닥에 내동댕이 쳤다.[112] 얼마 지나지 않아 마린은 사망했고, 건설 부대의 새로운 지휘관으로 자크 르가저 드 생피에르가 임명되었다.[113]

2. 2. 버지니아의 대응

1753년 12월, 버지니아 식민지 왕립 총독 로버트 딘위디조지 워싱턴오하이오 영토로 파견하여 프랑스군에게 철수를 요구했다. 프랑스군 지휘관 자크 르가저 드 생피에르는 워싱턴에게 정중하게 자신이 명령에 따라 그곳에 있으며, 워싱턴의 서한은 캐나다에 있는 그의 지휘관에게 보내야 했으며, 떠날 의사가 전혀 없다고 알렸다.[9]

워싱턴은 윌리엄스버그로 돌아와 딘위디 총독에게 프랑스가 떠나기를 거부했다고 알렸다.[10] 딘위디는 워싱턴에게 피츠버그, 펜실베이니아의 오하이오 강 합류점을 지키기 위해 지방 연대를 조직하고 요새를 건설할 것을 명령했다.[11] 총독은 또한 오하이오 컴퍼니 직원인 윌리엄 트렌트에게 대위 임명장을 발급하고 소규모 부대를 모집하여 즉시 요새 건설을 시작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2]

1754년 2월, 트렌트의 부대는 현장에 도착하여 타나카리슨과 밍고족의 도움을 받아 창고와 울타리 건설을 시작했다.[12][13] 그러나 같은 달, 클로드-피에르 페코디 드 콩트쾨르의 지휘 아래 800명 규모의 프랑스계 캐나다 민병대와 프랑스 해병대가 오하이오 강 계곡으로 진군했다. 콩트쾨르는 트렌트의 활동에 대해 알게 되자 약 500명의 병력을 이끌고 그들을 몰아냈다.[15] 4월 16일, 콩트쾨르의 부대가 합류 지점에 도착했고, 다음 날 트렌트가 부재한 가운데 에드워드 워드가 이끄는 트렌트의 36명 부대는 그 장소를 떠나기로 동의했다.[15] 이후 프랑스는 포트 뒤케인이라고 불리는 요새 건설을 시작했다.[16]

3. 주몽빌 글렌 전투 (1754년 5월 28일)

1754년 3월, 로버트 딘위디조지 워싱턴에게 오하이오 영토로 돌아가 프랑스군에 대응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딘위디는 워싱턴에게 "방어"에 집중하되, 영국 정착을 방해하는 세력은 제지하고 필요하다면 무력을 사용하라고 지시했다.[17] 프레드 앤더슨은 딘위디의 명령이 영국 정부의 지시 없이 이루어졌으며, 사실상 "전쟁을 시작하라는 초대장"과 같았다고 평가했다.[17]

찰스 윌슨 피일의 조지 워싱턴 초상화, 1772년


워싱턴은 병력을 모아 오하이오로 진군하던 중, 윈체스터에서 추가 병력을 만났다.[19] 그는 프랑스군의 진격 소식을 듣고 타나차리존의 지원 약속을 믿고 후퇴 대신 전진을 택했다. 워싱턴은 그레이트 메도우스(현재 펜실베이니아주 페이에트 카운티)에 도착하여 임시 요새(네세시티 요새)를 건설하고 추가 지시를 기다렸다.[20]

3. 1. 전투의 발발

1754년 5월 23일, 프랑스군 지휘관 콩트르쾨르는 조제프 쿨롱 드 빌리에 드 쥐몽빌에게 35명의 병력을 이끌고 워싱턴이 프랑스 영토에 들어왔는지 정찰하고, 퇴거를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하도록 지시했다. 이 서한은 워싱턴이 4개월 전에 프랑스에 보냈던 것과 내용이 같았다.[22]

5월 27일, 워싱턴은 정착민 크리스토퍼 기스트로부터 약 50명의 프랑스계 캐나다인이 근처에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23] 그날 밤, 워싱턴은 타나차리존으로부터 프랑스군 야영지를 발견했다는 메시지를 받았다.[1] 워싱턴은 타나차리존을 만나기 위해 40명의 병력을 이끌고 갔고, 타나차리존은 12명의 전사와 함께 있었다.[1] 두 지도자는 프랑스군을 기습하기로 결정했다.[1]

5월 28일 새벽, 워싱턴과 타나차리존이 이끄는 부대는 프랑스군 야영지를 공격했다. 이 전투는 약 15분 만에 끝났고, 주몽빌을 포함한 다수의 프랑스군이 사망하거나 포로로 잡혔다.[24] 워싱턴의 보고에 따르면, "우리는 그들에게 꽤 가까이 접근했다... 그들이 우리를 발견했을 때, 나는 부대에 발포 명령을 내렸다... 15분밖에 지속되지 않았고, 적은 궤멸되었다. 우리는 사령관 드 주몽빌 씨를 죽였고... 다른 9명도 죽였다."[26]라고 기록했다.

주몽빌 살해


하지만 전투의 정확한 전개 과정과 주몽빌의 죽음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24] 콩트르쾨르의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군은 영국군과 인디언들에게 둘러싸였고, 영국군은 두 차례 사격했지만 인디언들은 발포하지 않았다. 주몽빌은 통역관을 통해 영국군에게 사격을 중단시키고, 퇴거 명령서를 읽으려 했다.[27] 그러나 타나차리존 진영에 있던 인디언은 주몽빌이 명령서를 읽는 동안 머리에 총을 맞고 사망했다고 보고했다.[27]

존 쇼라는 병사의 기록에는 타나차리존이 주몽빌의 머리를 손도끼로 쪼개고 뇌를 꺼내 손을 씻은 뒤 두피를 벗겼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29] 탈영병 데니스 카닝겐의 증언 또한 타나차리존이 부상당한 주몽빌에게 "아직 죽지 않았구나, 아버지!"라고 말하며 도끼로 여러 번 가격하여 죽였다고 전한다.[31]

3. 2. 전투의 경과 및 주몽빌의 죽음

Contrecœur영어가 준비한 전투에 대한 공식 보고서는 두 가지 출처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대부분의 정보는 전투에서 탈출했지만 주몽빌의 살해를 목격하지 못한 캐나다인 몽소에게서 얻은 것이었다. 몽소는 "주몽빌의 일행은 한쪽에는 영국인, 다른 쪽에는 인디언에 둘러싸인 자신들을 발견했다. 영국인들은 두 차례의 일제 사격을 가했지만, 인디언들은 발포하지 않았다. 드 주몽빌 씨는 통역관을 통해 그들에게 중단하라고 말했고, 그들에게 할 말이 있다고 했다. 그러자 그들은 발포를 멈췄다. 그런 다음 드 주몽빌 씨는 내가 그들에게 보낸 소환장을 읽으라고 명령했다... 몽소는 우리의 모든 프랑스인들이 소환장을 읽는 동안 드 주몽빌 씨에게 가까이 다가오는 것을 보았다."라고 보고했다.[27] 콩트르쾨르의 두 번째 출처는 타나차리슨의 진영에 있던 인디언으로, "드 주몽빌 씨는 소환장을 읽는 동안 머리에 머스켓 총알을 맞고 죽었다"고 보고했다.[27] 같은 인디언은 그 후 인디언들이 워싱턴의 부하들이 프랑스인들을 학살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돌진했다고 주장했다.[27]

워싱턴의 전투 기록은 여러 버전이 존재하며, 서로 일관성이 있지만, 역사가 프레드 앤더슨에 따르면 전투 후의 잔혹 행위를 모호하게 하려는 의도로 세부 사항이 압축되어 있다.[29] 워싱턴은 일기에 "우리는 그들에게 꽤 가까이 접근했다... 그들이 우리를 발견했을 때, 나는 부대에 발포 명령을 내렸다... [와고너] 부대는... 행동의 대부분 동안 프랑스군의 전면적인 공격을 받았는데, 이는 15분밖에 지속되지 않았고, 적은 궤멸되었다. 우리는 사령관 드 주몽빌 씨를 죽였고... 다른 9명도 죽였다. 우리는 한 명을 부상시키고 21명을 포로로 잡았다."라고 기록했다.[26]

존 쇼는 워싱턴의 연대에 있었지만 그 사건에 참여하지 않았던 사병으로, 다른 목격자들의 자세한 설명을 바탕으로 8월 21일에 선서 진술을 작성했다. 그 사건에서 타나차리슨의 역할에 대한 세부 사항은 6월 27일에 인쇄된 신문 기사에서 확인되었다.[28] 그의 기록에 따르면, 프랑스인들은 일부가 잠든 상태에서 포위되었다. 소리에 놀란 한 프랑스인이 총을 쐈고, 이에 워싱턴 대령은 모든 부하에게 발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들 중 몇 명이 죽고 나머지는 도망쳤지만, 우리 인디언들이 프랑스인들을 돌아서... 그들은 영국인들에게 돌아와 무기를 넘겨주었다... 얼마 후, 인디언들이 나타나자, 하프 킹은 그의 토마호크를 가지고 프랑스 대장의 머리를 갈랐다. 먼저 그가 영국인인지 물었고, 프랑스인이라고 들었다. 그런 다음 그는 그의 뇌를 꺼내 손을 씻고 두피를 잘랐다.[29] 쇼의 이야기는 양쪽 군대의 규모와 구성 등 다른 여러 세부 사항에 대해 실질적으로 정확하며, 죽은 사람들을 보고 13명 또는 14명이었다고 주장했다.[30]

앤더슨은 버지니아 탈영병 데니스 카닝겐의 기록을 문서화하고, 카닝겐이 타나차리슨의 추종자 중 한 명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31] 그가 프랑스 사령관에게 보고한 내용은 쇼의 보고와 비슷했다. "[워싱턴]이 그에게 머스켓을 발사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소환장]을 읽으려 했고, [이전에] 프랑스인에게 발포 명령을 내렸던 자신의 부하들에게서 물러났다. [타나차리슨]이라는 야만인이 [부상당한 주몽빌]에게 'Tu n'es pas encore mort, mon père!프랑스어' [아직 죽지 않았구나, 아버지!]라고 말하며 도끼로 여러 차례 가격하여 그를 죽였다."[31] 앤더슨은 카닝겐이 타나차리슨의 말을 이해했고, 그것이 의례적인 살해였다고 이해한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32] 카닝겐은 30명이 포로로 잡혔고 10명에서 12명이 죽었다고 보고했다.[32] 버지니아인들은 단 한 명의 사망자와 두세 명의 부상자만 냈다.[1][33]

전투는 약 15분 만에 끝났으며, 프랑스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주몽빌은 전투 중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상반된 기록이 존재한다.[24] 프랑스 측 기록에 따르면 사망자 대부분은 프랑스계 캐나다인이었다. 사망자는 퀘벡 시 출신의 데루셀과 카론, 푸앵트클레어 출신의 샤를르 부아, 라 프레리 출신의 제롬, 몬트리올 출신의 랑팡, 밀-일 출신의 파리, 부셰르빌 출신의 랑그도크와 마르탱, 트루아-리비에르 출신의 라바테리였다.[25] 타나카리슨이 주몽빌을 살해한 동기에 대해서는, 그가 델라웨어 족 등 원주민 부족에 대한 영향력을 회복하려 했다는 해석이 있다.

4. 전투의 여파

워싱턴은 전투 후 형제에게 보낸 편지에서 "총알이 쌩쌩거리는 소리를 들었는데, 믿기 어렵겠지만, 그 소리에 묘한 매력이 있었습니다."라고 썼다.[34] 전투 후 워싱턴은 그레이트 메도우로 돌아와 요새 네세시티 건설을 추진했다. 죽은 자들은 현장에 남겨졌거나 얕은 무덤에 묻혔고, 나중에 프랑스군에게 발견되었다.[35]

프랑스군 장교로는 피에르 자크 드루이용 드 마세, 사관후보생 미셸 이그나스 단도노와 르 시에르 뒤 사블레, 르네 아블 부셰 드 부셰빌이 포함되었다.[39] 이들은 버지니아로 이송되었고, 1755년 6월 10일 19명의 민병대와 함께 딘위디에 의해 런던으로 보내졌다.[40][41] 예외는 워싱턴이 이전에 알고 지내던 숙련된 통역관 미셸 페팽(별칭 "라 포스")이었다.[42][43] 요새 네세시티 전투 후, 라 포스는 윌리엄스버그에서 인질로 잡혀 있었는데, 이는 로버트 스토보와 제이콥 반 브람 대위가 프랑스군에게 인질로 잡혔기 때문이었다.

4. 1. 네세시티 요새 전투 (1754년 7월 3일)

주몽빌의 죽음 이후, 1754년 6월 28일, 주몽빌의 형인 루이 쿨롱 드 빌리에가 지휘하는 600명의 프랑스군, 프랑스계 캐나다인, 인디언 병력으로 구성된 연합군이 뒤케인 요새에서 출발했다.[36][92] 7월 3일, 그들은 네세시티 요새 전투에서 네세시티 요새를 점령하고 워싱턴에게 무기를 든 채 철수하도록 강요했다.[37][93] 워싱턴이 서명한 항복 문서는 프랑스어로 작성되었는데, 워싱턴은 프랑스어를 읽을 줄 몰랐고, 영어나 프랑스어를 잘 못하는 네덜란드인에 의해 잘못 번역되었을 수 있으며, 여기에는 주몽빌과 그의 부하들이 암살되었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38][94]

4. 2.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발발

뉴캐슬 공작 정부는 1754년 8월, 주먼빌 글렌 전투와 네세시티 요새 전투 소식을 접하고 수개월 간의 협상 끝에 이듬해 프랑스를 몰아내기 위해 군대 원정대를 파견하기로 결정했다.[44] 원정대장으로는 에드워드 브래독 소장이 선발되었다.[45] 그러나 브래독은 모노가헬라 전투에서 패배했고, 프랑스는 1758년 존 포브스 장군의 원정대가 요새를 함락할 때까지 포트 듀케인을 장악했다.[46]

브래독 원정의 경로를 보여주는 1912년 지도


영국 군사 계획은 브래독이 북아메리카로 떠나기 훨씬 전에 프랑스로 유출되었고, 루이 15세는 1755년 훨씬 더 많은 병력을 캐나다로 파견했다.[47] 이들은 브래독의 패배에는 참여하지 못했지만, 이후 몇 년 동안 프랑스의 연승을 이끌었다. 영국 해군 제독 에드워드 보스카웬은 1755년 6월 8일에 소규모 함대를 이끌고 프랑스 함선 ''알시드''를 공격하여, ''알시드''와 북아메리카로 병력을 수송하던 두 척의 수송선을 나포했다.[48] 1756년 봄, 프랑스와 영국은 서로에게 전쟁을 선포하며 7년 전쟁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49]

5. 역사적 평가 및 유산

주먼빌 글렌 전투는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이 사건은 당시 북아메리카에서 영국과 프랑스 간의 식민지 쟁탈전이 얼마나 치열했는지를 보여준다.[50] 주몽빌의 죽음에 대한 진실은 오늘날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51][52][53]

프랑스 측은 워싱턴이 주몽빌을 암살하라고 명령했다고 주장했지만,[52] 모든 프랑스인이 이에 동의한 것은 아니다. 슈발리에 드 레비는 이를 "소위 암살"이라고 불렀다.[53] 반면 영국 측은 워싱턴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주몽빌이 외교 사절이 아니라 정탐꾼이었다고 주장했다.[28][54]

역사가 프레드 앤더슨은 타나차리슨이 살해를 저지른 이유에 대해, 그가 지역 부족에 대한 영향력을 잃었고 영국과 프랑스 간의 분쟁을 통해 영향력을 회복하려 했을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했다.[55]

전투가 벌어진 장소는 요새 필요 국립 전적지의 일부로 보존되어 있으며,[57]

전장의 흔적 (2007년)
근처의 기독교 수련원에는 주몽빌의 이름이 붙여졌다.[58] 브래독 로드 보존 협회는 이 지역의 프랑스-인디언 전쟁 역사 연구를 후원하고 홍보한다.[58]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s French Canadian Victims, 1754 https://champlainsoc[...] Champlain Society 2022-12-03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Nos racines, l'histoire vivante des Québécois Éditions Commémorative, Livre-Loisir Ltée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문서 Lengel, p. 41
[37] 문서 Anderson, pp. 63–64
[38] 문서 Lengel, p. 44
[39]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From George Washington to Robert Dinwiddie, 29 May 1754 http://founders.arch[...]
[40]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To George Washington from La Force, March 1759 http://founders.arch[...]
[41] 서적 Canadiens en Guyane, 1754–1805 https://books.google[...] Presses Paris Sorbonne
[42] 웹사이트 Founders Online: Journey to the French Commandant: Narrative http://founders.arch[...]
[43] 웹사이트 To George Washington from William Trent, 19 February 1754 [letter not found] https://founders.arc[...]
[44] 문서 Fowler, p. 52
[45] 문서 Lengel, p. 52
[46] 문서 Fowler, pp. 159–163
[47] 문서 Fowler, p. 64
[48] 문서 Fowler, pp. 74–75
[49] 문서 Fowler, p. 98
[50] 문서 Parkman, p. 154
[51] 문서 Dwight, p. 84
[52] 문서 Dwight, p. 85
[53] 문서 Parkman, p. 156
[54] 문서 Anderson, p. 59
[55] 문서 Anderson, pp. 56–57
[56] 문서 Parkman, p. 155
[57] 웹사이트 Fort Necessity National Battlefield: Plan Your Visit http://www.nps.gov/f[...] National Park Service 2010-10-14
[58] 웹사이트 Braddock Road Preservation Association http://www.braddockr[...] Braddock Road Preservation Association 2010-11-23
[59] 문서 Lengel, p. 37
[60] 문서 Lengel, p. 38
[61] 문서 O'Meara, pp. 10–12
[62] 문서 O'Meara, pp. 15–19
[63] 문서 O'Meara, p. 27
[64] 문서 O'Meara, p. 28
[65] 문서 O'Meara, pp. 4,30
[66] 문서 O'Meara, pp. 3–5,33
[67] 문서 Anderson, p. 45
[68] 문서 Anderson, pp. 43–45
[69] 문서 Anderson, p. 46
[70] 문서 O'Meara, p. 49
[71] 서적 Eccles, p. 163
[72] 서적 O'Meara, pp. 50–51
[73] 서적 Anderson, p. 49
[74] 서적 Anderson, p. 51
[75] 서적 Anderson, p. 50
[76] 서적 Lengel, p. 32
[77] 서적 Lengel, p. 33
[78] 서적 Lengel, p. 34
[79] 서적 Lengel, p. 35
[80] 서적 Anderson, pp. 53–58
[81] 서적 Nos racines, l'histoire vivante des Québécois, Éditions Commémorative, Livre-Loisir Ltée. p458
[82] 서적 Anderson, p. 53
[83] 서적 Anderson, p. 54
[84] 서적 Jennings, p. 69
[85] 서적 Anderson, p. 55
[86] 서적 Anderson, p. 56
[87] 서적 Anderson, p. 57
[88] 서적 Anderson, p. 58
[89] 서적 Fowler, p. 42
[90] 서적 Lengel, p. 39
[91] 서적 Lengel, p. 42
[92] 서적 Lengel, p. 41
[93] 서적 Anderson, pp. 63–64
[94] 서적 Lengel, p. 44
[95] 서적 Fowler, pp. 159–163
[96] 서적 Fowler, p. 64
[97] 서적 Fowler, pp. 74–75
[98] 서적 Fowler, p. 98
[99] 서적 Parkman, p. 154
[100] 서적 Dwight, p. 84
[101] 서적 Dwight, p. 85
[102] 서적 Parkman, p. 156
[103] 서적 Anderson, p. 59
[104] 서적 Anderson, pp. 56–57
[105] 서적 Parkman, p. 155
[106] 웹사이트 Fort Necessity National Battlefield - Jumonville Glen http://www.nps.gov/f[...] U.S. National Park Service 2011-11-12
[107] 웹사이트 Fort Necessity National Battlefield: Plan Your Visit http://www.nps.gov/f[...] National Park Service 2010-10-14
[108] 웹사이트 Braddock Road Preservation Association http://www.braddockr[...] Braddock Road Preservation Association 2010-11-23
[109] 서적 O'Meara
[110] 서적 O'Meara
[111] 서적 O'Meara
[112] 서적 O'Meara
[113] 서적 O'Mea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