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세시티 요새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세시티 요새 전투는 1754년 7월 3일에 벌어진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초기 전투 중 하나이다. 영국과 프랑스는 오하이오 영토를 두고 경쟁했으며,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버지니아 민병대는 1754년 5월 주몽빌 글렌 전투에서 프랑스 정찰대를 기습 공격했다. 이후 프랑스의 공격을 예상하여 네세시티 요새를 건설했지만, 7월 3일 프랑스군에게 공격을 받아 항복했다. 이 전투는 7년 전쟁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조지 워싱턴의 군사 경력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54년 분쟁 - 주먼빌 글렌 전투
    1754년 5월 28일 현재의 펜실베이니아에서 벌어진 주먼빌 글렌 전투는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버지니아 민병대와 밍고족 전사들이 프랑스군 부대를 공격한 프랑스-인디언 전쟁의 초기 사건으로, 영국과 프랑스 간의 패권 다툼을 심화시키고 7년 전쟁 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 1754년 13개 식민지 - 주먼빌 글렌 전투
    1754년 5월 28일 현재의 펜실베이니아에서 벌어진 주먼빌 글렌 전투는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버지니아 민병대와 밍고족 전사들이 프랑스군 부대를 공격한 프랑스-인디언 전쟁의 초기 사건으로, 영국과 프랑스 간의 패권 다툼을 심화시키고 7년 전쟁 발발에도 영향을 미쳤다.
  • 1754년 13개 식민지 - 뭉치지 않으면 죽는다
    1754년 벤자민 프랭클린이 제작한 "뭉치지 않으면 죽는다"는 정치 만화로, 프랑스-인디언 전쟁과 미국 독립 혁명 시기에 식민지들의 단결을 촉구하며, 분열된 뱀 그림과 "Join, or Die" 문구를 통해 연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미국 역사에서 단결과 저항의 상징으로 재해석되었다.
네세시티 요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네세시티 요새 현대 재건 모습
네세시티 요새 현대 재건 모습
날짜1754년 7월 3일
장소펜실베이니아주 파밍턴 및 유니언타운
관련 전쟁프렌치 인디언 전쟁
교전 세력
교전국 1[[파일:Flag of Great Britain (1707-1800).svg|22px]]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교전국 1 (세부)[[파일:Red Ensign of Great Britain (1707-1800).svg|22px]]영국령 아메리카
교전국 2[[파일:Pavillon royal de France.svg|22px]] 프랑스 왕국
교전국 2 (세부)[[파일:New France flag.svg|22px]]누벨 프랑스
교전국 2 (인디언 동맹군)알곤킨족
오타와족
와이언도트족 (휴런족)
지휘관
영국조지 워싱턴 (항복)
영국 (보조)제임스 매케이 (항복)
프랑스루이 쿨롱 드 빌리에
병력 규모
영국군정규군 100명, 민병대 293명
프랑스군정규군 및 민병대 600명, 인디언 100명
피해 규모
영국군31명 사망, 70명 부상, 369명 포로
프랑스군3명 사망, 19명 부상
결과
결과프랑스-인디언 연합군의 승리

2. 배경

1740년대에서 1750년대 초에 걸쳐 영국프랑스의 교역상들은 오하이오 강 상류 수로(현재의 펜실베이니아 서부)를 포함하는 오하이오 영토를 이전보다 더 자주 방문하게 되었다.[93][53] 이에 누벨 프랑스 당국은 영국인 교역상과 이주민들을 몰아내기 위해 점차 공격적인 태도를 보였고, 1753년에는 이 지역에 여러 개의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했다.[94][9] 이러한 프랑스의 요새 건설과 영토 확장 시도는 영국뿐만 아니라, 지역 인디언 부족들과의 긴장을 고조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56] 이전 조지 왕 전쟁의 경험으로 인해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은 영국 식민지에 대한 적대감을 가지고 있었으며,[95][10][55] 오하이오 영토를 둘러싼 양측의 이해관계 충돌은 점차 무력 충돌의 가능성을 높여갔다.

2. 1. 오하이오 영토 분쟁

1740년대와 1750년대 초, 영국프랑스의 교역상들은 오하이오 영토를 더 자주 방문하게 되었는데, 이 지역에는 오하이오 강 상류 수로(현재의 펜실베이니아 서부)가 포함되어 있었다.[93][53] 누벨 프랑스 당국은 영국인 교역상과 이주민들을 몰아내기 위해 점차 공격적인 태도를 보였고, 1753년부터는 이 지역에 여러 개의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했다.[94][9] 프랑스는 오하이오 영토를 누벨 프랑스(오늘날의 캐나다)와 루이지애나 식민지를 잇는 중요한 전략적 연결 고리로 간주했다. 비록 1700년대 중반 누벨 프랑스의 전체 식민지 인구는 75,000명에서 90,000명 사이로 상대적으로 적었지만,[5][6] 프랑스는 주요 수로 통제와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강력한 정치적, 경제적 관계를 통해 광대한 영토를 관리하고 있었다.[7] 그러나 프랑스 상인들은 영국 상인들에 비해 아메리카 원주민에게 더 비싸고 질 낮은 상품을 제공할 수밖에 없어 무역 경쟁에서 불리했으며,[8] 이 때문에 영국 세력을 오하이오 영토에서 배제하고자 했다.

반면, 영국 식민지는 훨씬 많은 인구를 보유하고 있었다(1754년 기준 약 150만 명으로, 프랑스에 비해 거의 20대 1의 우위를 점했다).[5] 이 많은 인구를 바탕으로 영국 정착민들은 애팔래치아 산맥을 넘어 서쪽으로 영토를 확장하려는 강한 열망을 보였다. 영국 상인들은 프랑스가 오랫동안 이 지역에서 활동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오하이오 영토는 모든 상인에게 개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5] 특히 버지니아 식민지는 오래된 식민지 헌장을 근거로 오하이오 영토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으며, 1748년에는 부유한 버지니아인들이 오하이오 회사를 설립하여 서부 토지 투기를 통해 이익을 얻고 버지니아의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고자 했다.[5]

프랑스의 요새 건설과 팽창 정책은 영국뿐만 아니라 지역의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비록 프랑스와 일부 부족 간에 동맹 관계가 있었지만, 많은 원주민들은 더 저렴하고 좋은 품질의 상품을 제공하는 영국과의 교역을 선호했다.[11][56] 특히 ‘하프 킹’(''Half King'')으로 알려진 밍고 족 족장 타나차리존은 반프랑스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96] 이는 프랑스 요새 건설 부대의 지휘관이었던 폴 마린 드 라 말그와의 회담에서 비롯된 측면도 있는데,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라 마르그는 타나차리존의 의견을 무시하고 격분하여 "강이 막히면 뚫고 나갈 것이며, 나를 반대하는 모든 것을 짓밟겠다"고 소리쳤으며, 타나차리존이 우호의 표시로 건넨 왐펌(조가비 구슬 띠)을 내던졌다고 한다.[13][58] 이 사건 이후 타나차리존의 반프랑스 감정은 더욱 깊어졌다. 라 마르그가 사망한 후, 작전 지휘는 자크 르가르되르 드 생피에르에게 넘어갔다.[14][59]

이러한 갈등 속에서 버지니아 식민지의 왕실 총독이자 오하이오 회사의 투자자였던 로버트 딘위디는 1753년 12월, 21세의 젊은 버지니아 식민지 민병대 소령 조지 워싱턴을 특사로 임명하여 포트 르뵈프로 파견했다. 워싱턴의 임무는 프랑스군에게 영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오하이오 영토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는 공식 서한을 전달하는 것이었다.[15] 포트 르뵈프의 프랑스군 사령관 자크 르가르되르 드 생피에르는 워싱턴을 정중하게 맞이했으나, 자신은 상부의 명령에 따라 주둔하고 있으며 워싱턴의 서한은 누벨 프랑스 총독에게 보내져야 할 사안이라며 사실상 철수 요구를 거부했다.[16][60] 워싱턴은 윌리엄스버그로 돌아와 딘위디에게 프랑스가 철수를 거부했음을 보고했다.[17][61] 이는 오하이오 영토를 둘러싼 영국과 프랑스 간의 긴장이 외교적 해결 단계를 넘어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 가능성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2. 2. 프랑스의 요새 건설과 영국의 대응

1753년부터 1758년까지 오하이오 컨트리에 위치한 영국과 프랑스 요새


1740년대1750년대 초, 영국프랑스의 교역상들은 오하이오 강 상류 수로를 포함하는 오하이오 컨트리(현재의 펜실베이니아 서부)를 점점 더 자주 방문하게 되었다.[53] 이에 누벨 프랑스 당국은 영국 교역상과 정착민들을 몰아내기 위해 더욱 공격적인 태도를 보이며, 1753년부터 이 지역에 여러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했다.[54] 이는 이전 조지 왕 전쟁에서 프랑스계 캐나다인들이 영국 정착지에 대해 품었던 적대감과도 관련이 있었다.[55]

프랑스의 요새 건설은 영국뿐만 아니라, 지역 인디언 부족들의 주의도 끌었다. 비록 프랑스와 일부 인디언 부족 사이에 동맹 관계가 있었지만, 영국 교역상들은 프랑스계 캐나다인들보다 더 나은 조건으로 거래하며 인디언들의 환심을 샀고, 프랑스의 대규모 군사 활동은 호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56] 프랑스 교역상들이 영국 측과 비슷한 물품과 가격을 제시하기 어려웠던 점도 프랑스가 인디언들과의 관계에서 불리하게 작용한 요인이었다.[57] 특히, '하프 킹'으로 알려진 밍고족족장 타나차리존은 프랑스에 대해 강한 반감을 가지게 된 계기가 있었다. 프랑스 요새 건설대의 지휘관 폴 마린 드 라 마르그는 타나차리존과의 회담에서 격분하여 "내가 강을 내려갈 때 방해하는 것이 있다면 폭파하고 나에게 거스르는 자는 짓밟을 것이다. 너의 말은 필요 없다"고 소리치며, 타나차리존이 우호의 표시로 건넨 웜펌을 내던졌다고 전해진다.[58] 라 마르그가 사망한 후, 요새 건설 지휘는 자크 레가르뒤르 드 생피에르에게 넘어갔다.[59]

1761년 당시 피트 요새(뒤케인 요새) 지도


프랑스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버지니아 식민지 총독 로버트 딘위디1753년 말, 젊은 민병대 소령 조지 워싱턴을 오하이오 테리토리의 르뵈프 요새로 파견하여 프랑스군에게 철수를 요구하는 서한을 전달하게 했다. 당시 르뵈프 요새에 주둔하던 생피에르는 워싱턴에게 자신은 상부의 명령에 따라 주둔하고 있을 뿐이며, 철수 요구는 누벨 프랑스의 총독에게 전달되어야 할 사안이라고 정중히 거절했다.[60]

워싱턴은 윌리엄스버그로 돌아와 프랑스가 철수를 거부했음을 딘위디에게 보고했다.[61] 이에 딘위디는 워싱턴에게 민병대를 이끌고 오하이오 분기점(현재의 피츠버그)으로 가서 그곳을 방어하라고 명령했다. 워싱턴 자신도 이곳을 요새 건설에 적합한 장소로 판단한 바 있었다.[62] 동시에 딘위디는 오하이오 컴퍼니의 직원인 윌리엄 트렌트에게 소규모 병력을 이끌고 즉시 오하이오 분기점에 요새를 건설하라는 위임장을 발부했다. 딘위디는 이러한 군사적 조치들을 버지니아 입법부하원과의 상의나 자금 확보 없이, 또한 영국 본국 정부의 지시나 승인 없이 독단적으로 명령했는데,[63][67] 이는 사실상 전쟁을 시작하라는 지시나 다름없었다는 평가도 있다.[67]

트렌트의 부대는 1754년2월, 오하이오 분기점에 도착하여 타나차리존과 밍고족의 일부 지원을 받으며 창고와 방어 시설 건설을 시작했다.[63][64] 그러나 4월 16일, 클로드-피에르 페코디 드 콩트르쾨르가 이끄는 약 500명의 프랑스군 및 동맹 인디언 부대가 현장에 도착했다. 다음 날인 4월 17일, 트렌트가 부재중인 가운데 지휘를 맡고 있던 해군소위 에드워드 워드는 수적으로 열세인 상황에서 프랑스군의 철수 요구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65] 프랑스군은 영국군이 짓던 요새를 파괴하고 그 자리에 더 큰 규모의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뒤케인 요새라고 명명했다.[66]

3. 전초전

1754년 오하이오 영토를 둘러싼 영국프랑스 간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본격적인 전투에 앞서 여러 전초전 성격의 사건들이 발생했다. 버지니아 식민지 부총독 로버트 딘위디조지 워싱턴에게 오하이오 영토로 군대를 이끌고 가 프랑스의 활동을 저지하라는 다소 공격적인 지시를 내렸다.[67] 워싱턴은 4월 2일 약 1,800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출발했다.[68]

이에 프랑스 측 사령관 클로드피에르 페코디 드 콩트르쾨르는 주몽빌에게 35명의 병력을 주어 워싱턴 부대의 위치를 확인하고 프랑스 영토에서의 철수를 요구하는 임무를 맡겼다.[70][71] 그러나 5월 28일, 워싱턴은 이로쿼이 연맹의 지도자 타나차리손과 연합하여 주몽빌의 부대를 기습 공격했다. 이 교전으로 주몽빌을 포함한 프랑스군 10여 명이 사망하고 21명이 포로로 잡혔다.[76][34] 이 사건은 주몽빌 글렌 전투로 알려져 있으며, 양측 간의 적대 관계를 심화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주몽빌 글렌 전투 이후 프랑스군의 보복을 예상한 워싱턴은 그레이트 메도우(Great Meadows) 지역으로 후퇴하여 방어 준비에 들어갔다. 그는 이곳에 6월 3일까지 네세시티 요새라는 이름의 작은 목책 요새를 건설했다.[36][78] 이후 영국 정규군 일부가 합류했지만,[37][79] 워싱턴은 미국 원주민 동맹 확보에는 어려움을 겪었다.[38] 워싱턴은 잠시 레드 스톤 크릭 방면으로 진군을 시도했으나, 강력한 프랑스군이 추격해 온다는 소식을 듣고 7월 1일 다시 네세시티 요새로 철수했다.[39][80] 이러한 일련의 움직임은 곧이어 벌어질 네세시티 요새 전투의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3. 1. 주몽빌 글렌 전투 (Jumonville Glen)

1754년 3월, 버지니아 식민지 부총독 로버트 딘위디는 조지 워싱턴에게 오하이오 영토로 군대를 이끌고 가라는 명령을 내렸다. 딘위디의 지시는 "방어를 중심으로 활동하되, 요새 건설을 방해하거나 화해를 저지하려는 자가 있다면 누구든 저항하고, 만약 저항한다면 그들을 죽이고 파괴하라."는 것이었다.[67] 역사학자 프레드 앤더슨에 따르면, 이 공격적인 명령은 영국 본국 정부의 승인이나 지시 없이 내려진 것일 수 있다.[67] 워싱턴은 오하이오로 가는 길에 가능한 모든 물자와 지원병을 모으라는 지시를 받았고, 4월 2일에는 1,867명의 병력을 이끌고 오하이오에 도착했다.[68]

한편, 프랑스군 사령관 클로드피에르 페코디 드 콩트르쾨르는 자신의 부대가 먼저 공격받지 않는 한 교전을 피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5월 23일, 콩트르쾨르는 조제프 쿨롱 드 빌리에 드 주몽빌(Joseph Coulon de Villiers de Jumonville)에게 35명의 병력(프랑스 해병대, 민병대, 인디언 포함)을 주어 정찰 임무를 보냈다.[70][71] 주몽빌의 임무는 워싱턴의 부대가 프랑스 영토에 진입했는지 확인하고, 만약 그렇다면 프랑스 영토에서 철수하라는 공식적인 소환장을 전달하는 것이었다. 이 소환장은 몇 달 전 워싱턴이 프랑스군에게 전달했던 것과 유사한 성격이었다.[69]

워싱턴은 변방 숲 속을 행군하는 동안, 윈체스터에서 만났던 다른 연대에서 온 몇 명의 병사를 받았고, 이때 대위 트렌트를 통해 프랑스군이 주몽빌로 진군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68] 트렌트는 이로쿼이 연맹의 지도자 중 한 명인 타나차리손과 동행하고 있었으며, 타나차리손은 영국군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상태였다.[68] 워싱턴은 타나차리손의 지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후퇴하는 대신, 오하이오 강의 분기점에서 남쪽으로 약 37km 떨어진 곳에 요새를 건설하고 추가 지시를 기다리기로 결정했다.[72]

주몽빌의 살해


5월 27일, 정착민 크리스토퍼 기스트가 워싱턴의 야영지에 도착하여 프랑스군 약 50명이 자신의 오두막에 와서 를 죽이고 집 안의 물건을 전부 부수겠다고 협박했다고 보고했다. 워싱턴은 이에 대한 대항책으로 대위 호그와 75명의 병사에게 프랑스군 부대를 추적하게 했다.[73][31] 그러나 호그가 출발한 직후, 워싱턴은 젊은 인디언들을 불러 프랑스군이 타나차리손을 암살하러 왔다고 전했고, 인디언들 또한 프랑스 부대를 추적하러 나섰다. 그날 밤, 워싱턴에게 타나차리손으로부터 프랑스군의 야영지를 발견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74][32]

워싱턴은 직접 프랑스군을 공격하기로 결심하고, 40명의 병사를 이끌고 다음 날 아침, 12명의 인디언 병사를 이끈 타나차리손과 만나 프랑스 야영지를 공격하기로 합의했다.[75][33] 5월 28일 아침, 워싱턴의 부대와 타나차리손의 전사들은 주몽빌의 부대를 기습했다. 짧은 교전 끝에 프랑스군 10명에서 12명이 사망하고 2명이 부상했으며, 21명이 포로로 잡혔다.[76][34] 전사자 중에는 지휘관인 주몽빌도 포함되어 있었다.

주몽빌이 어떻게 전사했는지 명확하지 않지만, 몇몇 증언에 따르면 타나차리손이 주몽빌에게 잔혹한 처형을 가했다고 한다. 타나차리손은 도끼로 주몽빌의 머리를 때려 부수고 로 자신의 손을 씻었다.[76][34] 어떤 인디언으로부터 콩트르쾨르에게 전해진 증언에 따르면, 주몽빌은 소환장이 낭독되는 동안 영국군 병사에게 사살되었다고 한다.[77][35] 이 사건은 이후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주요 도화선 중 하나가 되었다.

3. 2. 네세시티 요새 건설

조지 워싱턴이 네세시티 요새에서 밤에 회의하는 모습을 묘사한 판화


주몽빌 글렌 전투에서 철수한 후, 워싱턴은 프랑스군의 보복 공격을 예상했다.[36][78] 이로쿼이 연맹의 지도자 중 한 명인 타나차리슨은 레나페, 쇼니, 그리고 밍고 부족을 설득하여 그레이트 메도우(Great Meadows)에서 버지니아 민병대와 합류시키려 했다.[36] 워싱턴은 약 150명의 버지니아 병력과 함께 그레이트 메도우에서 요새 건설을 시작했고, 이 요새를 '네세시티 요새'(Fort Necessity)라고 명명했다.[36][78] 요새는 6월 3일에 완공되었다.[36][78] 요새는 탄약과 물자를 보관하는 작은 병영을 둥근 목책(stockade)이 둘러싼 형태였으며, 이 목책은 나무 껍질과 짐승 가죽으로 덮인 통나무를 수직으로 세워 만든 것이었다.[78]

6월 9일까지 버지니아 연대의 나머지 병력이 그레이트 메도우에 도착했지만, 연대 지휘관이었던 조슈아 프라이 대령은 오는 길에 낙마하여 목뼈가 부러져 사망한 상태였다.[37][79] 이에 따라 워싱턴이 대령직을 승계했다.[37][79] 며칠 후, 제임스 매케이 대위가 이끄는 영국 정규군 100명이 도착했지만, 이들은 버지니아 민병대와 함께 야영하는 대신 요새 밖에서 독자적으로 야영했다.[37][79]

네세시티 요새 전투를 묘사한 디오라마.


네세시티 요새는 여러 방어상 약점을 안고 있었다. 보급품은 부족했고, 7월 2일부터 쏟아진 폭우를 피할 마땅한 피난처도 거의 없었다.[40] 비 때문에 워싱턴이 파도록 지시했던 참호는 물이 차 시냇물처럼 변해버렸다.[40] 워싱턴은 정면 공격에 대비해야 했지만, 요새 주변의 숲이 불과 약 91.44m 거리에 있어 방어가 매우 어려울 것으로 판단했다. 이 거리는 당시 머스킷의 유효 사정거리 안에 있었기 때문에, 숲에 숨은 적군이 요새 안의 병사들을 쉽게 저격할 수 있었다.[41] 이러한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워싱턴은 부하들에게 주변 나무를 베어 임시 방어벽인 녹채(abatis)를 만들도록 명령했다.[41]

3. 3. 레드 스톤 크릭 (Red Stone Creek)

워싱턴은 듀케인 요새에 보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프랑스군 약 500명이 주둔하고 있다는 정보를 입수했다. 6월 16일, 그는 약 300명의 버지니아군을 이끌고 그레이트 메도우즈를 떠나 레드 스톤 크릭 방향으로 길을 넓히기 시작했다.[38] 6월 18일, 워싱턴은 타나찰리존을 만났다. 타나찰리존은 다른 부족 족장들을 설득하여 영국군에 대한 지원을 얻으려 했으나 실패했으며, 버지니아군을 도울 수 없다고 전했다. 워싱턴은 인디언의 지원을 잃어 병력이 공격에 더 취약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레드 스톤 크릭 방향으로 길을 계속 넓혔다.[38]

6월 28일, 군사 회의 후 워싱턴은 그레이트 메도우즈로의 철수를 명령했다. 같은 날, 주몽빌의 형인 루이 쿨롱 드 빌리에가 이끄는 600명의 프랑스군과 100명의 인디언 부대가 듀케인 요새를 출발하여 워싱턴 부대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프랑스군보다 앞서기 위해 버지니아군은 대부분의 보급품을 버려야 했다. 7월 1일, 워싱턴의 부대는 네세시티 요새에 도착했다.[39][80]

4. 네세시티 요새 전투 (Battle of Fort Necessity)

네세시티 요새는 물자를 보관하던 병영이 비어 있었고, 전투 둘째 날부터 내리기 시작한 폭우를 겨우 피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81] 이 비로 인해 워싱턴이 파도록 명령한 참호는 물길로 변해버렸다. 워싱턴은 프랑스군의 정면 공격으로부터 요새를 방어해야 했지만, 요새와 숲 사이의 거리가 머스킷 총의 유효 사거리인 약 91.44m 미만이라는 점을 깨달았다. 이는 적이 숲에 자리 잡고 요새를 포위할 경우, 병사들이 하나씩 저격당할 수 있음을 의미했다.[82] 이에 워싱턴은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나무를 베어 임시 흉벽을 만들도록 지시했다.[82]

4. 1. 프랑스군의 공격



조지 워싱턴(1772년)


1754년 7월 3일 이른 아침, 주몽빌 글렌에서 살해된 주몽빌의 형제인 루이 쿨롱 드 빌리에(Louis Coulon de Villiers)는 프랑스군과 원주민 동맹군을 이끌고 버지니아군이 만든 길을 따라 네세시티 요새로 접근했다.[41][82] 주몽빌 글렌에 도착한 그는 머리 가죽이 벗겨진 채 방치된 여러 프랑스군 시신을 발견하고 즉시 매장하라고 명령했다.[41][82]

같은 날 오전 11시경, 빌리에의 부대는 네세시티 요새가 보이는 곳까지 도달했다.[41][82] 당시 워싱턴 휘하의 버지니아군은 폭우 속에서 참호를 파고 있었다.[41][82] 영국군 보초병들이 머스킷총을 발사하고 요새로 후퇴하자, 프랑스군과 원주민 부대는 요새를 향해 언덕을 내려오기 시작했다.[41][82] 그러나 빌리에는 요새의 정확한 위치를 착각하여 처음에는 잘못된 방향으로 진격했다. 그가 부대를 멈추고 재배치하는 동안 워싱턴은 방어 준비를 서둘렀다.[41][82]

빌리에는 부대를 요새의 머스킷 사정거리 안인 약 91.44m 이내의 숲 속으로 이동시켰다.[41][82] 워싱턴은 숲 속의 적을 몰아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자신의 모든 병력에게 탁 트인 들판을 가로질러 공격하라고 명령했다.[41][83] 공격을 감지한 빌리에는 원주민 전사들을 선두로 하여 워싱턴의 부대를 향해 돌격하라고 지시했다.[41][83] 워싱턴은 병사들에게 제자리를 지키며 일제 사격을 명령했다. 제임스 매케이(James Mackay)가 이끄는 영국 정규군은 워싱턴의 명령에 따라 두 문의 선회 대포의 지원을 받으며 다가오는 적들에게 사격을 가해 일부 사상자를 냈지만,[42][83] 수적으로 열세였던 버지니아 민병대는 혼란 속에서 요새로 도망쳤다. 결국 워싱턴과 소수의 영국 정규군만 남게 되자, 워싱턴도 요새로의 후퇴를 명령할 수밖에 없었다.[42][83]

쿨롱은 숲 속에서 부대를 재정비하고, 네세시티 요새를 향해 맹렬한 사격을 퍼부었다.[42][83] 워싱턴은 병사들에게 반격을 명령했지만, 조준이 부정확하여 프랑스군 사상자는 거의 없었고 선회포 역시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42][83] 설상가상으로 오후부터 폭우가 쏟아지기 시작하면서 영국군과 버지니아군의 화약이 젖어버려 사격을 계속하기 어렵게 되었다.[42][83] 이미 요새의 보급 창고는 비어 있었고, 쏟아지는 비를 피할 곳도 마땅치 않아 워싱턴과 그의 부대는 절망적인 상황에 놓였다.[40][81]

4. 2. 협상과 항복

1754년 7월 3일 오후, 네세시티 요새 전투는 버지니아 연대에게 불리하게 돌아갔다. 쏟아지는 폭우로 인해 병사들의 화약은 젖어 머스킷 사격이 어려워졌고, 선회포 역시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42]

프랑스군 지휘관 루이 쿨롱 드 빌리에 역시 부하들의 피로, 탄약 부족, 그리고 영국군 증원에 대한 우려로 인해 협상을 하기로 결정했다.[43] 그는 백기를 든 장교를 보내 워싱턴과 제임스 매케이에게 협상을 제의했다.[43][84] 워싱턴은 프랑스 장교가 요새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불허했지만, 통역사로 야코프 판 브람을 포함한 두 명의 부하를 프랑스군 진영으로 보냈다.[43][84]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워싱턴의 통제를 벗어난 일부 버지니아 병사들은 요새의 술 저장고를 부수고 술에 취하는 등 군기가 문란해졌다.[43][84] 프랑스 측은 두 왕국 간의 평화를 원하지만, "주몽빌 드 빌리에와 그의 호위병을 살해한 것에 대한 복수"와 프랑스 왕령 내 영국 시설 건설 저지가 목적임을 밝혔다. 빌리에는 판 브람에게 수비대의 항복을 받아들이고 버지니아로 안전하게 돌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그는 만약 항복하지 않을 경우, 동맹 관계인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요새를 공격하여 수비대 전원의 머리 가죽을 벗길 것이라고 경고했다.[43][84]

판 브람은 이 메시지를 워싱턴에게 전달했고, 워싱턴은 기본 조건에 동의했다.[84] 빌리에의 보좌관이 작성한 프랑스어 항복 문서가 판 브람을 통해 워싱턴에게 전달되었다. 프랑스어를 읽을 수 없었던 워싱턴은 판 브람에게 문서 번역을 맡겼다.[43][84] 항복 문서에는 주몽빌이 "암살되었다"(l'assassinat프랑스어)는 표현이 포함되어 있었다.[43][84] 판 브람이 이 단어를 누락했거나 제대로 번역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으며,[84] 워싱턴이 그 의미의 심각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워싱턴과 매케이는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43][84] 이 서명은 훗날 워싱턴에게 외교적으로 큰 부담을 안게 되었다.

5. 전투의 여파

네세시티 요새 전투의 패배는 즉각적으로 워싱턴이 이끄는 버지니아 부대의 철수와 그 과정에서의 혼란, 그리고 버지니아 식민지 내에서의 책임 논란으로 이어졌다.[45][85][46][86] 더 나아가 이 사건은 영국프랑스 간의 긴장을 극도로 고조시켜 북아메리카에서의 무력 충돌을 전면적인 7년 전쟁으로 확대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47][87][52][92]

5. 1. 버지니아군의 귀환과 책임 논란

7월 4일, 워싱턴과 그의 부대는 네세시티 요새를 포기했다.[45][85] 수비대는 명예로운 항복 조건에 따라 북을 치고 깃발을 휘날리며 요새를 떠났지만, 인디언프랑스군은 그들이 떠나는 길에 수비대의 짐을 약탈하기 시작했다. 워싱턴은 약탈을 막는 과정에서 더 큰 학살이 벌어질 것을 우려하여 적극적으로 제지하지 않았다.[45][85] 인디언들은 7월 5일까지 군인들에 대한 약탈을 계속했고, 워싱턴과 그의 부대는 7월 중순 버지니아 동부로 돌아왔다.[46][86]

7월 17일, 워싱턴은 딘위디 총독에게 전투 경과를 보고했다. 워싱턴은 질책을 예상했으나, 오히려 버지스 하원으로부터 감사의 표결을 받았다. 딘위디 총독 역시 패배의 책임을 워싱턴 개인에게 묻기보다는, 열악했던 보급 상황과 다른 식민지들의 비협조적인 태도를 문제 삼았다.[46][86]

5. 2. 7년 전쟁으로의 확대

7월 4일, 워싱턴과 그의 부대는 네세시티 요새를 포기하고 철수했다.[45][85] 그들은 명예로운 항복의 조건에 따라 북을 치고 깃발을 휘날리며 요새를 떠났지만, 프랑스군과 동맹을 맺은 인디언들은 철수하는 버지니아 부대의 짐을 약탈하기 시작했다. 워싱턴은 더 큰 유혈 사태를 우려하여 이를 제지하지 않았다.[45][85] 인디언들의 약탈은 다음 날인 7월 5일까지 계속되었고, 워싱턴과 그의 부대는 7월 중순이 되어서야 버지니아 동부로 돌아올 수 있었다.[46][86] 7월 17일, 워싱턴은 딘위디 총독에게 전투 결과를 보고했다. 그는 질책을 예상했지만, 오히려 버지니아 식민지 의회(House of Burgesses)로부터 감사의 표결을 받았다. 딘위디 총독 역시 패배의 책임을 워싱턴이 아닌, 열악한 보급 상황과 다른 식민지들의 지원 부족 탓으로 돌렸다.[46][86]

초대 뉴캐슬 공작 토머스 펠럼 홀스


8월, 주먼빌 글렌 전투와 네세시티 요새 전투 소식이 영국 본국에 전해지자, 뉴캐슬 공작이 이끄는 영국 정부는 몇 달간의 논의 끝에 다음 해 프랑스군을 북아메리카에서 몰아내기 위한 대규모 원정군 파병을 결정했다.[47][87] 소장 에드워드 브래독이 원정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48][88] 그러나 브래독의 원정1755년 모노가헬라 전투에서 참담한 실패로 끝났고, 프랑스군은 1758년 11월까지 뒤케인 요새를 계속 점령하게 된다. 뒤케인 요새는 이후 존 포브스 장군이 이끄는 원정대가 점령에 성공했다.[49][89]

영국군이 뒤케인 요새에 진입


한편, 브래독 원정대가 북아메리카로 출발하기 전부터 영국의 군사 계획은 프랑스 측에 상당히 유출되었다. 이에 프랑스루이 15세 국왕은 1755년 영국군보다 더 많은 병력을 누벨 프랑스(캐나다)에 파견했다.[50][90] 이 프랑스 증원군은 브래독의 패배(모노가헬라 전투)에는 직접 참여하지 못했지만, 이후 몇 년간 이어진 프랑스의 대영국 전투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국은 해상에서도 공세를 취했는데, 제독 에드워드 보스카웬이 이끄는 함대는 1755년 6월 8일 해전에서 프랑스 군함 Alcide|알시드fra를 공격하여 나포하고, 병력을 수송하던 다른 두 척의 수송선도 함께 사로잡았다.[51][91]

북아메리카 대륙과 해상에서의 이러한 군사적 충돌은 계속 격화되었고, 마침내 1756년 봄, 영국과 프랑스는 서로에게 공식적으로 전쟁을 선포했다. 이로써 프렌치 인디언 전쟁은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적인 7년 전쟁으로 확대되었다.[52][92]

6. 전투의 의의와 역사적 평가

7월 4일, 워싱턴과 그의 부대는 네세시티 요새를 포기하고 철수했다.[45] 수비대는 북을 치고 깃발을 휘날리며 떠났으나, 철수 과정에서 프랑스군과 동맹을 맺은 인디언들에게 짐을 약탈당했다. 워싱턴은 더 큰 유혈 사태를 우려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막지 못했다.[45] 약탈은 다음 날인 7월 5일까지 이어졌고, 워싱턴과 부대는 7월 중순 버지니아 동부로 돌아왔다.[46] 워싱턴은 7월 17일 딘위디 총독에게 전투 결과를 보고했으며, 질책을 예상했으나 오히려 버지니아 버지스 하원으로부터 감사의 뜻을 전달받았다. 딘위디 총독은 패배의 원인을 워싱턴이 아닌 보급 부족과 다른 식민지의 지원 미비로 돌렸다.[46]

이 전투와 주먼빌 글렌 전투의 소식이 8월 영국에 전해지자, 뉴캐슬 공작이 이끄는 영국 정부는 다음 해 프랑스 세력을 몰아내기 위한 군대 파견을 결정했다.[47] 에드워드 브래독 소장이 원정대를 이끌었으나[48], 그의 원정은 모노가헬라 전투에서 큰 실패로 끝났다. 이로 인해 프랑스군은 1758년 11월 존 포브스 장군이 이끄는 원정대에 의해 듀케인 요새를 내줄 때까지 해당 지역을 계속 점령했다.[49]

영국의 군사 계획 정보가 사전에 프랑스로 유출되면서, 프랑스의 루이 15세는 1755년 캐나다 지역에 더 많은 병력을 파견했다.[50] 이 증원군은 브래독 원정대의 패배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았지만, 이후 프랑스가 여러 전투에서 승리하는 기반이 되었다. 북아메리카에서의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영국 해군은 제독 에드워드 보스카웬의 지휘 아래 1755년 6월 8일 해전에서 프랑스 군함 ''알시드''를 공격하여 나포하는 등 해상 충돌도 발생했다.[51] 이러한 북미 대륙과 해상에서의 군사적 충돌은 결국 1756년 봄, 영국과 프랑스가 공식적으로 서로에게 전쟁을 선포하며 7년 전쟁으로 확대되는 결과를 낳았다.[52] 이 전투는 북아메리카 대륙의 패권을 둘러싼 영국과 프랑스 간의 갈등이 본격적인 무력 충돌, 즉 프렌치 인디언 전쟁으로 비화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네세시티 요새 전투가 벌어졌던 장소는 현재 네세시티 요새 국립 전적지로 보존되어 있다.

참조

[1] 간행물 A High Wind Rising: George Washington, Fort Necessity, and the Ohio Country Indians 2007-07
[2] 웹사이트 help Necessity https://www.nps.gov/[...] NPS
[3] 문서 Sheppard, p. 48
[4] 웹사이트 Ten Facts About George Washington and the French & Indian War https://www.mountver[...] 2018-07-03
[5] 서적 Essential Histories: The French and Indian War 1754–1760 Osprey Publishing Ltd 2002
[6] 웹사이트 France in America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7] 웹사이트 French Colonial Expansion and Franco-Amerindian Alliances https://www.historym[...]
[8] 간행물 The Organization of the British Fur Trade, 1760–1800 1916-09
[9] 문서 O'Meara, pp. 15–19
[10] 문서 W. J. Eccles, France in America, p. 179
[11] 문서 O'Meara, p. 27
[12] 문서 Canadian Frontier, W. J. Eccles, p. 165
[13] 문서 O'Meara, p. 28
[14] 문서 O'Meara, pp. 4, 30
[15] 웹사이트 Washington and the French & Indian War https://www.mountver[...]
[16] 문서 O'Meara, pp. 3–5, 33
[17] 문서 Anderson, p. 45
[18] 문서 Anderson, pp. 43–45
[19] 문서 Anderson, p. 46
[20] 문서 O'Meara, p. 49
[21] 문서 O'Meara, pp. 50–51
[22] 문서 Anderson, p. 49
[23] 문서 Anderson, p. 51
[24] 문서 Lengel, p. 32
[25] 문서 Lengel, p. 34
[26] 문서 Nos racines, T.L.M. Inc, 1979, p. 458
[27] 문서 Sheppard, pp. 41–44
[28] 문서 Lengel, p. 33
[29] 웹사이트 Expedition to the Ohio, 1754: Narrative https://founders.arc[...] 1754-03
[30] 웹사이트 Great Falls https://www.nps.gov/[...]
[31] 문서 Lengel, p. 35
[32] 문서 Lengel, p. 36
[33] 문서 Lengel, p. 37
[34] 문서 Lengel, p. 38
[35] 문서 Anderson, p. 54
[36] 문서 Lengel, p. 39
[37] 문서 Lengel, p. 40
[38] 서적 Fort Necessity National Battlefield Site, Pennsylvania National Park Service 2024-04-28
[39] 문서 Lengel, pp. 40–41
[40] 문서 Lengel p. 41
[41] 문서 Lengel, p. 42
[42] 문서 Lengel, p. 43
[43] 문서 Lengel, p. 44
[44] 문서 Toner 1893, pp. 169–170.
[45] 문서 Lengel, p. 45
[46] 문서 Lengel, p. 47
[47] 문서 Fowler, p. 52
[48] 문서 Lengel, p. 52
[49] 문서 Fowler, pp. 159–163
[50] 문서 Fowler, p. 64
[51] 문서 Fowler, pp. 74–75
[52] 문서 Fowler, p. 98
[53] 문서 O'Meara, pp. 10–12
[54] 문서 O'Meara, pp. 15–19
[55] 문서 W. J. Eccles, France in America, p. 179
[56] 문서 O'Meara, p. 27
[57] 문서 Canadian Frontier, W. J. Eccles, p. 165
[58] 문서 O'Meara, p. 28
[59] 문서 O'Meara, pp. 4,30
[60] 문서 O'Meara, pp. 3–5,33
[61] 문서 Anderson, p. 45
[62] 문서 Anderson, pp. 43–45
[63] 문서 Anderson, p. 46
[64] 문서 O'Meara, p. 49
[65] 문서 O'Meara, pp. 50–51
[66] 문서 Anderson, p. 49
[67] 문서 Anderson, p. 51
[68] 문서 Lengel, p. 32
[69] 문서 Lengel, p. 34
[70] 문서 Nos racines, T.L.M. Inc, 1979, p. 458
[71] 서적 Sheppard
[72] 서적 Lengel
[73] 서적 Lengel
[74] 서적 Lengel
[75] 서적 Lengel
[76] 서적 Lengel
[77] 서적 Anderson
[78] 서적 Lengel
[79] 서적 Lengel
[80] 서적 Lengel
[81] 서적 Lengel
[82] 서적 Lengel
[83] 서적 Lengel
[84] 서적 Lengel
[85] 서적 Lengel
[86] 서적 Lengel
[87] 서적 Fowler
[88] 서적 Lengel
[89] 서적 Fowler
[90] 서적 Fowler
[91] 서적 Fowler
[92] 서적 Fowler
[93] 서적 O'Meara
[94] 서적 O'Meara
[95] 서적 France in America
[96] 서적 Canadian Front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