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하이오 컴퍼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하이오 컴퍼니는 1748년 버지니아 유력 인사들이 결성한 회사로, 오하이오 강 유역의 토지 탐사 및 무역 이익을 대변했다. 영국 왕실로부터 토지 허가를 받아 정착을 시도했으나, 프랑스와의 영유권 분쟁으로 프렌치 인디언 전쟁이 발발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전쟁 이후에도 토지 재승인을 시도했으나, 폰티악 전쟁과 1763년 선언으로 인해 난항을 겪었다. 이후 그랜드 오하이오 컴퍼니로 재편성되어 밴달리아 식민지를 계획했으나,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인해 1776년 운영을 중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펜실베이니아주 설립 이전의 역사 - 펜실베이니아 식민지
    펜실베이니아 식민지는 윌리엄 펜이 퀘이커 교도를 위한 안전한 터전을 마련하고자 설립한 영주 식민지였으며, 종교적 관용 정책으로 빠르게 성장했지만 노예 문제와 원주민과의 갈등, 그리고 미국 독립 혁명에서의 중요한 역할 수행 후 펜실베이니아 헌법 제정으로 식민지 시대가 종식되었다.
  • 펜실베이니아주 설립 이전의 역사 - 오하이오 영토
    오하이오 영토는 선사 시대부터 다양한 민족과 유럽 세력의 경쟁을 거쳐 미국의 영토가 되었고, 북서부 조례에 따라 노예제가 금지된 후 1803년에 미국의 주로 편입되었다.
  • 식민지 시대 버지니아주 - 베이컨의 반란
    베이컨의 반란은 1676년 버지니아 식민지에서 너새니얼 베이컨이 윌리엄 버클리 총독의 원주민 정책과 경제적 어려움에 불만을 품고 일으킨 무장 반란으로, 제임스타운 방화 등의 저항을 보였으나 베이컨의 사망으로 진압되었으며, 식민지 사회의 갈등을 드러내고 노예제 강화의 계기가 되었다.
  • 식민지 시대 버지니아주 - 버지니아 회사
    버지니아 회사는 17세기 초 영국이 북미 식민지 건설을 위해 설립한 회사로, 런던 회사가 제임스타운을 건설하며 버지니아 식민지 개척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원주민 갈등과 경영난으로 해산되어 버지니아는 왕실 직할 식민지가 되었다.
오하이오 컴퍼니 - [회사]에 관한 문서
개요
정식 명칭오하이오 회사
유형토지 투기 회사
설립 연도1748년
해산 연도1798년
활동 지역오하이오 강 계곡, 북아메리카 영국 식민지
역사
설립 목적오하이오 강 유역의 영국 정착을 장려
토지 투기를 통해 이익을 얻음
주요 활동영국 정부로부터 토지 확보 시도
원주민과의 관계 형성 및 관리
정착민 모집 및 지원
주요 인물토머스 리
로렌스 워싱턴
어거스틴 워싱턴
존 머서
나다니엘 채프먼
존 한베리
관련 사건프렌치-인디언 전쟁 발발에 영향
오하이오 강 유역의 영유권 분쟁 심화
해산1798년, 토지 투기 실패 및 재정 악화로 해산
영향
긍정적 영향오하이오 강 유역에 대한 영국의 관심 증대
초기 정착민 지원
부정적 영향원주민과의 갈등 심화
토지 투기 과열
참고 사항
관련 단체오하이오 어소시에이츠 회사 (Ohio Company of Associates), 후대의 오하이오 주 정착 회사

2. 설립 (1748-1752)

18세기 중반, 애팔래치아산맥 서쪽의 오하이오강 유역은 대영제국 내에서 경제적 기회의 땅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버지니아 식민지의 탐험가들은 이 지역의 식민지화 가능성을 보고 프랑스 세력의 확장을 견제하며 이익을 추구하고자 했다.[2][1]

이러한 배경 아래 1748년, 토마스 리, 로렌스 워싱턴, 어거스틴 워싱턴 등을 중심으로 버지니아의 유력 인사들이 모여 오하이오 컴퍼니를 조직했다.[2][3][4] 로버트 딘위디 총독과 조지 워싱턴, 조지 메이슨 등도 초기 멤버로 참여했다.[5]

토마스 리, 버지니아 주 위원회 회장으로 1748년 오하이오 컴퍼니 조직에 기여했다.


오하이오 컴퍼니는 1749년 영국 왕실로부터 오하이오 계곡 지역에 대한 대규모 토지(초기 200000acre, 조건 충족 시 300000acre 추가, 총 500000acre)를 허가받았다.[5][6][7] 이는 정착촌 건설과 요새 구축 및 방어 의무를 동반했지만, 일정 기간 세금 면제 혜택이 주어졌다.[8]

회사는 사업 추진을 위해 1752년 로그스타운 조약을 통해 지역 원주민 부족들과 우호 관계를 맺고 활동 허가를 얻었다.[8] 같은 해 조지 메이슨이 회사의 재무 담당자가 되었다. 비슷한 시기, 버지니아 충성 컴퍼니와 같은 경쟁 토지 투기 회사들도 설립되었다.

2. 1. 버지니아와 영국의 투자

18세기 중반, 대영제국의 많은 이들은 애팔래치아산맥 서쪽, 아메리카 원주민이 비교적 적게 거주하는 오하이오강 유역을 잠재적인 부의 원천으로 주목했다. 1740년대에는 조지 크로한이나 윌리엄 트렌트와 같은 영국 및 아일랜드 출신 사업가들이 이 지역으로 진출하여, 이미 수익성 높은 모피 무역을 하고 있던 프랑스 상인들과 경쟁하기 시작했다. 토지 투기꾼들 역시 오하이오 영토를 확보하여 이민자들에게 되팔 수 있는 기회의 땅으로 여겼다.

버지니아의 탐험가들은 오하이오 지역의 식민지화 가능성을 인지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했으며,[2] 동시에 이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려는 프랑스를 견제하려 했다.[1] 이러한 배경 속에서 1748년,[2] 토마스 리는 그의 형제인 로렌스 워싱턴, 어거스틴 워싱턴과 함께 로버트 딘위디, 조지 워싱턴, 조지 메이슨, 존 머서와 그의 아들들인 조지 머서, 제임스 머서, 존 프랜시스 머서, 그리고 리처드 "스콰이어" 리, 토마스 루드웰 리, 필립 루드웰 리, 노모니의 로버트 카터 3세, 마운트 에어리의 존 테일러 2세, 헨리 코빈의 아들 그웨인 코빈 등 버지니아의 유력 투자자들의 탐사 및 무역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오하이오 컴퍼니를 조직했다.[3][4]

버지니아 왕립 총독이었던 로버트 딘위디 역시 직접 투자하며 지원했으며,[5] 초기 멤버로는 존 헨버리, 토마스 크레삽 대령, 조지 머서, 존 머서 등이 포함되었다. 같은 해, 조지 머서는 조지 2세 국왕에게 오하이오 지역의 토지를 청원했고,[5] 1749년 영국 왕실은 오하이오 컴퍼니에게 카나와 강과 모노가힐라 강 사이 오하이오 계곡에 위치한 50만 에이커의 토지를 허가했다.[6] 이 토지 허가는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우선 20만 에이커를 약속받았고, 오하이오 컴퍼니가 7년 이내에 100가구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면 나머지 30만 에이커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조건이었다.[7] 또한, 오하이오 컴퍼니는 자체 비용으로 요새를 건설하고 정착지를 보호하기 위한 주둔군을 유지해야 했다. 이러한 의무에도 불구하고, 정착을 장려하기 위해 10년 동안 토지 허가에 대한 임대료와 세금이 면제되는 혜택이 주어졌다.[8]

오하이오 컴퍼니는 1752년, 해당 지역의 주요 부족들과 로그스타운에서 우호 및 허가 조약을 체결하며 사업 기반을 다졌다.[8] 비슷한 시기에 버지니아에서는 토마스 워커, 윌리엄 카벨, 그리고 훗날 미국 대통령이 되는 토머스 제퍼슨의 아버지인 피터 제퍼슨 등 영향력 있는 인사들이 포함된 경쟁 토지 투기 집단인 버지니아 충성 컴퍼니가 조직되기도 했다.

1752년, 훗날 미국의 중요한 건국의 아버지 중 한 명이 되는 조지 메이슨이 오하이오 컴퍼니의 재무 담당자가 되었으며, 그는 1792년 사망할 때까지 40년 동안 이 직책을 유지했다.

2. 2. 영국 왕실의 토지 허가

버지니아 탐험가들은 프랑스 팽창을 막고 오하이오 지역의 식민지화 가능성을 활용하고자 했다.[2][1] 이러한 배경 속에서 1748년, 오하이오 컴퍼니의 일원인 조지 머서는 조지 2세 국왕에게 오하이오 지역의 토지를 청원했다.[5]

이에 따라 1749년, 영국 왕실은 오하이오 컴퍼니에게 카나와 강과 모노가힐라 강 사이에 위치한 오하이오 계곡의 토지 500000acre를 허가했다.[6] 이 토지 보조금은 조건부로 지급되었다. 우선 200000acre를 약속받았으며, 오하이오 컴퍼니가 7년 이내에 100가구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는 조건을 충족하면 나머지 300000acre를 추가로 받을 수 있었다.[7]

또한, 오하이오 컴퍼니는 자체 비용으로 요새를 건설하고, 정착지를 보호하기 위한 주둔군을 제공해야 하는 의무를 지녔다. 그러나 정착을 장려하기 위한 혜택으로, 허가받은 토지에 대해서는 10년 동안 임대료와 세금이 면제되었다.[8]

2. 3. 원주민과의 관계

오하이오 컴퍼니는 1752년에 이 지역의 주요 부족들과 로그스타운에서 우호 및 허가 조약을 체결했다.[8] 거의 같은 시기에 버지니아 출신의 경쟁 토지 투기 집단인 버지니아 충성 컴퍼니가 조직되었으며, 여기에는 토마스 워커, 윌리엄 카벨 및 피터 제퍼슨 (토머스 제퍼슨의 아버지)과 같은 영향력 있는 버지니아인들이 포함되었다.

3. 프렌치 인디언 전쟁 (1754-1763)

오하이오 컴퍼니의 서부 진출과 오하이오 강 계곡 지역 개발 시도는 프랑스와의 이해관계 충돌을 야기했다. 버지니아 식민지 정부는 오하이오 컴퍼니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으나, 펜실베이니아 식민지 정부와 미시시피 강 유역 전체를 자국 영토로 간주하던 프랑스 역시 이 지역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며 갈등이 고조되었다. 프랑스는 상인들을 통해 영국 측과 경쟁하는 한편, 군대를 파견하여 듀케인 요새[8] 등을 건설하며 군사적 점유를 시도했다. 이에 버지니아 주지사 로버트 딘위디조지 워싱턴을 지휘관으로 임명하여 군대를 파견하였고, 이는 양측 간의 무력 충돌로 이어져 결국 프렌치 인디언 전쟁(1754-1763)의 발발 원인이 되었다.[9]

3. 1. 탐험 및 교역로 개척

1755년 프라이-제퍼슨 지도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이전에 확립된 식민지 경계를 보여준다.


1748년부터 1750년까지 오하이오 컴퍼니는 토마스 크레삽을 고용하여 탐험 및 교역 활동을 시작했다. 크레삽은 포토맥 강을 따라 롱 메도우, 올드타운, 그리고 윌스 크릭에 일련의 교역소를 설립했다. 또한 크레삽은 애팔래치아 산맥을 넘어 모농가헬라 강으로 이어지는 소로를 개척했으며, 이 길을 수레가 다닐 수 있도록 확장하는 계약을 맺었다. 이 경로는 이후 네마콜린 트레일의 기반이 되었다.

1750년, 오하이오 컴퍼니는 윌스 크릭 교역소 맞은편 포토맥 강변(리지리)에 요새화된 창고를 건설했다. 같은 해, 회사는 숙련된 산림 감시인이자 측량사인 크리스토퍼 기스트를 고용하여 오하이오 강 계곡을 탐험하고 정착에 적합한 지역을 물색하도록 했다. 기스트는 카나와 강과 오하이오 강의 다른 지류들이 흐르는 지역을 측량했으며, 1751년과 1753년에도 탐사를 계속했다. 그의 탐험 일지는 당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오하이오 계곡과 앨러게니 산맥 지역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담고 있다. 기스트는 서쪽으로 마이애미 인디언의 마을인 피카윌라니(현재의 피쿠아, 오하이오 근처)까지 도달했다.

오하이오 컴퍼니는 기스트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서부 펜실베이니아와 현재의 웨스트 버지니아 지역의 토지를 잠재적 정착민들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 기스트와 크레삽은 이러한 활동의 대가로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지역에서 상당한 면적의 토지를 받았다. 1752년, 회사는 윌스 크릭(컴벌랜드, 메릴랜드)과 레드스톤 올드 요새(브라운스빌, 펜실베이니아) 사이에 도로를 건설했다. 레드스톤 올드 요새의 위치는 1750년 크레삽과 인디언 정찰병 네마콜린에 의해 설정되었으며, 이곳은 레드스톤 크릭과 모농가헬라 강의 여울이 내려다보이는 전략적 지점이었다.

3. 2. 프랑스와의 갈등 심화



오하이오 컴퍼니의 정착 노력은 복잡한 토지 소유권 분쟁에 직면했다. 버지니아의 주지사 로버트 딘위디는 왕으로부터 부여받은 오하이오 컨트리 지역에 현재의 피츠버그인 "모농가헬라 분기점"이 포함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펜실베이니아 식민지 정부 역시 해당 영토의 상당 부분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했다. 버지니아와 펜실베이니아 간의 이러한 영유권 다툼은 정착 과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여기에 더해, 프랑스는 미시시피 강 유역 전체를 자국의 영토로 간주하며 오하이오 강 유역에 대한 권리를 강력히 내세웠다. 프랑스 상인들은 오하이오 컴퍼니를 비롯한 영국 측 대리인들과 경쟁 관계에 있었으며, 나아가 프랑스 군대는 오하이오 계곡을 군사적으로 점령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특히 앨러게니 강과 모농가헬라 강이 합류하는 전략적 요충지에 듀케인 요새를 건설하면서 영국과의 긴장 수위를 크게 높였다.[8]

이러한 프랑스의 군사적 움직임에 대응하여, 버지니아 주지사 딘위디는 젊은 조지 워싱턴이 이끄는 군대를 해당 지역으로 파견했다. 이 결정은 양측 간의 군사적 충돌을 촉발했고, 결국 북아메리카 대륙의 패권을 둘러싼 프렌치 인디언 전쟁의 발발로 이어졌다.[9]

4. 전쟁 이후의 노력 (1763-1776)

1763년 이후 오하이오 컴퍼니는 영국 왕실에 토지 재승인을 요청하고, 헨리 부케의 계획에 따라 정착 및 군사 개발을 추진하는 등 노력을 이어갔다.[10] 그러나 폰티악 전쟁 이후 발표된 1763년 선언으로 인해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토지에 대한 권리 확보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11] 해당 선언은 이 지역 토지 소유권을 미국 원주민 부족에게 부여했기 때문이다.[11]

4. 1. 토지 재승인 시도

1763년, 오하이오 컴퍼니는 영국 왕실에 토지 재승인을 청원하기 위해 대표를 파견하였다.[10] 이후 헨리 부케의 1764년 계획에 따라 서부 정착지를 중심으로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등 정착과 군사 개발 계획이 추진되었다.[10] 하지만 폰티악 전쟁 이후 발표된 1763년 선언으로 인해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의 토지 소유권이 미국 원주민 부족에게 양도되었고, 오하이오 컴퍼니는 조지 3세 국왕으로부터 해당 토지를 다시 매입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11]

4. 2. 1763년 선언과 원주민 토지 소유권

1763년, 오하이오 컴퍼니는 영국 왕실에 토지 재승인을 받기 위해 대표를 파견했다. 또한 헨리 부케의 1764년 계획에 따라 서부 정착지를 중심으로 군사 기지를 건설하는 등 정착과 군사 개발 계획도 추진했다.[10] 그러나 폰티악 전쟁 이후 발표된 1763년 선언에 따라 애팔래치아 산맥 서쪽 지역의 토지 소유권이 미국 원주민 부족에게 양도되었다. 이로 인해 오하이오 컴퍼니는 조지 3세 국왕을 통해 원주민으로부터 해당 토지를 다시 매입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11]

5. 그랜드 오하이오 회사 (1769-1776)

1768년 포트 스탠윅스 조약 이후 오하이오 지역 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여러 토지 투기 이해관계자들이 합쳐져 1769년 12월 22일 '''그랜드 오하이오 컴퍼니'''가 설립되었다.[14] 이 회사는 영국 정부로부터 오하이오 강 남쪽의 넓은 토지에 대한 권리를 확보하고,[15] '밴달리아'라는 새로운 식민지를 건설하려는 목표를 가졌다. 그러나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면서 이러한 계획은 무산되었고, 회사는 1776년에 운영을 중단했다.

5. 1. 새로운 회사의 설립

이 지도는 그랜드 오하이오 컴퍼니가 제안한 밴달리아 식민지를 보여준다.


1768년, 영국 정부는 윌리엄 존슨 경에게 권한을 부여하여 포트 스탠윅스 조약을 체결하게 했다. 이 조약을 통해 영국은 1763년 선언에 따라 이로쿼이족으로부터 토지 권리를 사들였다.[12][13] 같은 해, 새뮤얼 워튼과 윌리엄 트렌트는 이른바 "약탈당한 상인"들을 위한 토지 보조금을 신청했다. 이들은 프랑스-인디언 전쟁 중 또는 이후에 인디언의 습격으로 피해를 본 변경 지역 거주자들이었다. 영국 왕실의 승인을 얻기 위해, 워튼과 트렌트는 다른 토지 투기꾼들과 손을 잡고 '월폴 컴퍼니'를 설립했다. 회사의 이름은 사업에 참여한 영국 변호사 토마스 월폴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10][7]

월폴 컴퍼니는 오하이오 컨트리에서 250만 에이커에 달하는 토지를 확보하고자 했다. 이 회사의 72명 주주 중에는 펜실베이니아 출신의 벤자민 프랭클린과 그의 아들 윌리엄(당시 뉴저지 왕립 총독), 조지 크로건, 윌리엄 존슨 경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한 프랭클린의 런던 동료인 윌리엄 스트라한과 리처드 잭슨도 주주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후 월폴 컴퍼니, 인디애나 컴퍼니, 그리고 기존 오하이오 컴퍼니의 구성원들이 힘을 합쳐 1769년 12월 22일, '''그랜드 오하이오 컴퍼니'''라는 새로운 회사를 설립했다.[14] 1772년, 그랜드 오하이오 컴퍼니는 영국 정부로부터 사이오토 강 하구 서쪽까지 오하이오 강 남쪽 제방을 따라 넓은 지역에 대한 토지 보조금을 받았다.[15] 회사는 이 땅에 "밴달리아"라는 새로운 식민지를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면서 식민지 건설 계획은 중단되었고, 결국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했다. 런던에 본사를 둔 그랜드 오하이오 컴퍼니는 1776년에 운영을 중단했다.

5. 2. 밴달리아 식민지 계획과 좌절



1768년, 영국 정부는 윌리엄 존슨 경에게 포트 스탠윅스 조약 체결 권한을 부여하여, 1763년 선언에 따라 이로쿼이족으로부터 토지 권리를 매입하도록 했다.[12][13] 같은 해, 새뮤얼 워튼과 윌리엄 트렌트는 프랑스-인디언 전쟁 중 인디언 습격으로 피해를 입은 변경 거주자들을 위한 "약탈당한 상인"(suffering traders) 토지 보조금을 신청했다. 이들은 영국 왕실의 승인을 얻기 위해 다른 토지 투기꾼들과 손을 잡고, 영국 변호사 토마스 월폴의 이름을 딴 월폴 컴퍼니(Walpole Company)를 설립했다.[10][7] 이 회사는 오하이오 컨트리 내 2500000acre의 토지를 확보하고자 했다. 펜실베이니아 출신의 벤자민 프랭클린을 포함한 72명의 주주가 참여했으며, 프랭클린의 아들인 윌리엄 프랭클린(당시 뉴저지 왕립 총독), 조지 크로건, 윌리엄 존슨 경, 그리고 프랭클린의 런던 동료인 윌리엄 스트라한과 리처드 잭슨 등도 주주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후 월폴 컴퍼니, 인디애나 컴퍼니, 그리고 (기존) 오하이오 컴퍼니의 구성원들이 재편성되어 1769년 12월 22일, '''그랜드 오하이오 컴퍼니'''(Grand Ohio Company)를 새롭게 설립했다.[14] 1772년, 그랜드 오하이오 컴퍼니는 영국 정부로부터 사이오토 강 하구 서쪽까지 오하이오 강 남쪽 제방을 따라 넓은 지역에 대한 토지 보조금을 받았다.[15] 회사는 이 지역에 '''밴달리아'''(Vandalia)라는 새로운 식민지를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면서 식민지 건설 계획은 중단되었고, 결국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했다. 런던에 기반을 둔 그랜드 오하이오 컴퍼니는 1776년에 운영을 최종적으로 중단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historical and other relations of Pittsburgh and the Virginias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3-09-12
[2] 웹사이트 Allegheny County Pennsylvania: illustrated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3-09-16
[3] 논문 The Ohio Company https://doi.org/10.2[...] 2022-05-08
[4] 웹사이트 Allegheny County: its early history and subsequent development: from the earliest period till 1790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3-09-12
[5] 웹사이트 Ohio Company Papers Finding Aid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3-09-12
[6] 서적 History of Ohio: The Rise and Progress of an American State, Volume 1 https://books.google[...]
[7] 웹사이트 George Washington and the West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3-09-20
[8] 웹사이트 Allegheny county's hundred years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3-09-25
[9] 웹사이트 Instructions for George Washington http://www.wvculture[...] wvculture.org
[10] 웹사이트 The planting of civilization in western Pennsylvania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3-09-19
[11] 백과사전 Native America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09-19
[12] 웹사이트 Allegheny County, a sesqui-centennial review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3-09-20
[13] 백과사전 Treaties of Fort Stanwix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3-09-20
[14] 웹사이트 George Croghan and the westward movement, 1741–1782 http://digital.libra[...] University of Pittsburgh 2013-09-19
[15] 백과사전 Ohio Company
[16] 서적 The Records of the Original Proceedings of the Ohio Compan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