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미국 러시아 대사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미국 러시아 대사관은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하며, 관저는 1910년에 지어진 보자르 양식 저택으로 1913년부터 1994년까지 러시아 또는 소련 대사관으로 사용되었다. 현재 대사관은 위스콘신 애비뉴 북서쪽 "마운트 알토"에 위치하며, 1969년 소련과 미국 간의 협정에 따라 85년 동안 소련 정부에 임대된 부지에 건설되었다. 대사관은 미하일 포소힌이 설계했으며, 1979년에 주거 건물, 학교, 유치원, 스포츠 시설이 완공되었고, 1985년에 행정 및 의례 건물이 완공되었다. 1980년대 후반, FBI와 NSA는 첩보 활동을 위해 부지 아래에 터널을 건설했으나 FBI 요원 로버트 한센이 KGB에 정보를 제공하여 실패했다. 1994년에는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과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이 새로운 의례 건물을 개관했다. 2018년에는 대사관 앞 위스콘신 애비뉴의 한 블록 구간이 보리스 넴초프 광장으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재외 공관 - 주한 러시아 대사관
    1884년 조선과 러시아 제국 간 외교 관계 수립 후 단절과 재개를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는 주한 러시아 대사관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하여 대한민국 내 여러 지역을 관할하는 러시아 연방의 외교 공관이다.
  • 러시아의 재외 공관 - 주조 러시아 대사관
    주조 러시아 대사관은 1948년 소련이 북한을 승인한 후 평양에 설치된 러시아 연방의 외교 공관으로, 한반도 분단 관련 논의 장소였으며 코로나19 범유행으로 봉쇄 조치가 시행되기도 했다.
  • 워싱턴 D.C. 주재 공관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미국에 주재하며, 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이후 외교 관계를 맺고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사를 파견했으며, 현재 워싱턴 D.C.에 위치하여 9개의 총영사관 등을 운영하며 바하마를 겸임한다.
  • 워싱턴 D.C. 주재 공관 - 주미국 중국 대사관
    주미국 중국 대사관은 미국에 주재하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 공관으로, 1875년 청나라 시기에 처음 설치되어 1979년 미·중 수교 이후 현재의 대사관으로 승격되었다.
  • 러시아-미국 관계 - 포츠머스 조약
    포츠머스 조약은 1905년 러일 전쟁을 종결하기 위해 체결된 조약으로, 러시아의 영토적 양보와 일본의 조선에 대한 우월권 인정, 배상금 면제 등을 포함하며 동아시아 국제 질서 재편에 기여했으나 한국에서는 국권 침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러시아-미국 관계 -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러시아의 개입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러시아의 개입은 러시아 정부가 사이버 공격, 소셜 미디어 선전, 허위 정보 유포 등의 방식으로 미국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한 일련의 활동을 의미하며, 미국 정보 당국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지시로 이루어졌다고 결론 내렸다.
주미국 러시아 대사관 - [대사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주미국 러시아 대사관
주미국 러시아 대사관
주소2650 Wisconsin Avenue, N.W.
위치워싱턴 D.C., 미국
웹사이트washington.mid.ru
외교 관계
대사아나톨리 안토노프
러시아어Посольство России в США
영어Embassy of Russia in the United States
일본어在アメリカ合衆国ロシア連邦大使館
영사관
미국 내 러시아 영사관주뉴욕 러시아 총영사관
주휴스턴 러시아 총영사관
추가 정보
좌표38°55′28.48″N 77°4′29.3″W

2. 대사관저

주미국 러시아 대사관저는 워싱턴 D.C. 노스웨스트 16번가 1125번지에 위치한다. 1910년에 지어진 이 보자르 양식 저택은 1913년부터 1994년까지 러시아 제국, 소련, 러시아의 대사관으로 사용되었다.

3. 위스콘신 애비뉴의 새 대사관

현재 주미국 러시아 대사관은 워싱턴 D.C. 북서부 위스콘신 애비뉴의 "마운트 알토"(Mount Alto영어)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부지는 1969년 소련미국 간의 협정에 따라 85년 동안 소련 정부에 임대된 곳으로, 여기에 새로운 대사관 건물이 건설되었다. 1972년에는 모스크바의 동등한 부지를 동일한 조건으로 미국의 새 대사관 부지로 임대하고, 양측이 새로운 건물을 동시에 사용하기로 하는 추가 협정이 체결되었다.

대사관 단지는 크렘린 대궁전 등을 설계한 소련의 유명 건축가 미하일 포소힌이 설계하였다. 주거 건물, 학교, 유치원 및 스포츠 시설은 1979년에 완공되었고, 행정 및 의례 건물은 1985년에 완공되었다. 그러나 대사관 건설 및 운영 과정에서 FBI와 NSA의 비밀 터널 공사 시도 및 FBI 요원 로버트 한센의 KGB 정보 유출과 같은 첩보 관련 사건들이 발생하기도 했다.[4][5][6]

1994년 9월, 보리스 옐친 당시 러시아 대통령과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마운트 알토에서 러시아 대사관의 새로운 의례 건물을 공식 개관하였다.

3. 1. 건설 과정

러시아 대사관은 위스콘신 애비뉴 북서쪽에 위치한 "마운트 알토"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부지는 1969년 소련미국 간의 협정에 따라 85년 동안 소련 정부에 임대되었다. 1972년에는 추가 협정을 통해 모스크바의 동등한 부지가 동일한 조건으로 미국의 새 대사관 부지로 임대되었으며, 양국은 새로운 대사관 건물을 동시에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대사관 건물 설계는 크렘린 대궁전과 모스크바의 여러 주요 건물을 설계한 것으로 알려진 소련 건축가 미하일 포소힌이 맡았다. 건설은 단계적으로 진행되어 주거 건물, 학교, 유치원 및 스포츠 시설이 1979년에 먼저 완공되었고, 이후 행정 및 의례 용도의 건물은 1985년에 완공되었다.

1980년대 후반, FBI와 NSA는 첩보 활동을 위해 대사관 부지 아래에 비밀 터널을 건설하는 작전을 시도했다.[4] 그러나 당시 FBI 요원이었던 로버트 한센이 이 작전에 대한 정보를 KGB에 넘기면서 터널은 성공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5][6]

1994년 9월, 보리스 옐친 당시 러시아 대통령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함께 마운트 알토에서 러시아 대사관의 새로운 의례 건물을 개관하는 행사를 가졌다.

3. 2. 첩보 활동 논란

1980년대 후반, FBI와 NSA는 첩보 활동을 위해 대사관 부지 아래에 터널을 건설했다.[4][15] 그러나 FBI 요원 로버트 핸슨이 터널에 관한 정보를 KGB에 넘기면서 이 터널은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5][6][16][17]

3. 3. 주요 사건

1980년대 후반, FBI와 국가안보국은 첩보 활동을 위해 부지 아래에 터널을 건설했으나,[4] FBI 요원 로버트 한센이 KGB에 작전에 대한 정보를 넘겨주면서 성공적으로 활용되지는 못했다.[5][6]

1985년, 비탈리 유르첸코는 조지타운의 오 삐에 드 코숑 레스토랑에서 감시원들을 따돌린 후 이곳에서 재망명했다.[7][8][9]

1994년 9월,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과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미국 방문 중 마운트 알토에서 러시아 대사관의 새로운 의례 건물을 개관했다.

2018년 2월 27일, 대사관 앞 위스콘신 애비뉴의 한 블록 구간이 야권 운동가이자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의 비판자였던 보리스 넴초프를 기리기 위해 보리스 넴초프 광장으로 명명되었다. 넴초프는 2015년 2월 27일 크렘린 인근 다리를 걷던 중 암살범에게 총격을 받아 사망했다. 거리 명명 움직임은 마르코 루비오 상원 의원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그는 이 개명이 "블라디미르 푸틴과 그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반대를 억압하기 위해 살인과 협박을 사용할 수 없다는 영원한 상기" 역할을 한다고 언급했다.[10][11]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embassy.o[...] Embassy 2011-10-05
[2]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ussian Fdrtn, Washington, DC: Reviews and maps http://local.yahoo.c[...] Yahoo! Local 2011-11-18
[3] 웹사이트 Russian Consulates in the U.S. https://washington.m[...] 2020-03-23
[4] 웹사이트 Set The Soviet Embassy On Its Ear https://www.orlandos[...] 1985-09-24
[5] 웹사이트 U.S. Thinks Agent Revealed Tunnel At Soviet Embassy https://www.nytimes.[...] 2001-03-04
[6] 웹사이트 U.S. officials were given tours of Soviet Embassy spy tunnel - Washington Post http://www.russiajou[...] 2001-03-10
[7] 간행물 The Spy Who Returned to the Cold http://www.time.com/[...] 2005-04-18
[8] 웹사이트 An Obituary: Yurchenko's Au Pied du Cochon http://dcist.com/200[...] DCist 2004-09-10
[9] 웹사이트 No secrets on cloak & dagger circuit http://www.washingto[...] 2002-06-06
[10] 뉴스 Street signs outside Russian embassy in Washington now honor slain dissident https://www.washingt[...] 2018-02-27
[11] 웹사이트 Trolling, DC-style: Russian Embassy gets a new street name https://apnews.com/a[...] 2018-02-27
[12] 웹사이트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embassy.o[...] Embassy 2011-10-05
[13] 웹사이트 Embassy of the Russian Fdrtn, Washington, DC: Reviews and maps http://local.yahoo.c[...] Yahoo! Local 2011-11-18
[14] 웹사이트 Russian Consulates in the U.S. https://washington.m[...] 2020-03-23
[15] 웹사이트 Set The Soviet Embassy On Its Ear http://articles.orla[...] 1985-09-24
[16] 웹사이트 U.S. Thinks Agent Revealed Tunnel At Soviet Embassy https://www.nytimes.[...] 2001-03-04
[17] 웹사이트 U.S. officials were given tours of Soviet Embassy spy tunnel - Washington Post http://www.russiajou[...] 2001-03-10
[18] 웹인용 The Russian Federation http://www.embassy.o[...] Embassy 2011-10-05
[19] 웹인용 Embassy of the Russian Fdrtn, Washington, DC: Reviews and maps http://local.yahoo.c[...] Yahoo! Local 2011-11-18
[20] 웹인용 Russian Consulates in the U.S. https://washington.m[...] 2020-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