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정 (홍무제의 6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정은 명나라 초대 황제 홍무제의 여섯 번째 아들로, 초소왕(楚昭王)으로도 불린다. 1364년에 태어나 1424년에 사망했으며, 영락제의 이복 동생이다. 그는 무창을 봉지로 받았으며, 1385년과 1397년에 소수 민족 반란 진압에 참여하는 등 군사적 활동을 펼쳤다. 또한 문화인으로서 많은 저작을 남겼으며, 사후에는 '소'라는 시호를 받았다. 주정은 정원후 왕필의 딸 왕씨와 결혼했으며, 10명의 아들과 9명의 딸을 두었다. 1990년에는 그의 묘소가 발굴되어 명나라 황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64년 출생 - 회안대군
태조 이성계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 이방간은 조선 건국 공신으로 회안군에 봉해졌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유배 생활을 하다 병사했고, 사후 고종 때 신원 회복되어 시호를 받았다. - 1364년 출생 - 크리스틴 드 피장
크리스틴 드 피장은 프랑스 최초의 직업 여성 작가로, 여성 옹호적인 작품과 정치적 저술을 통해 명성을 얻었으며, 《여인들의 도시의 책》 등을 저술하며 유럽 최초의 여성 작가로 평가받는다. - 홍무제의 황자 - 주표
주표는 명나라 홍무제의 장남이자 황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온순한 성격과 병약한 체질로 요절하여 이후 명나라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 홍무제의 황자 - 영락제
영락제 주체는 명나라 3대 황제로, 북평왕 시절 정난의 변을 통해 황위를 찬탈한 후 베이징 천도와 정화의 해양 원정 지원 등 국력을 강화했으나 숙청과 팽창 정책으로 비판받았으며, 묘호는 태종에서 성조로 변경되었다. - 1424년 사망 - 여비 한씨
여비 한씨는 조선에서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총애를 받았으나, 황제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순장된 인물이다. - 1424년 사망 - 정소공주
정소공주는 조선 세종의 첫째 딸로, 1412년에 태어나 공주로 봉해졌으나 1424년 완두창으로 사망했다.
| 주정 (홍무제의 6남)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주정 (朱楨) |
| 작위 | 초왕 |
| 휘 | 정(楨) |
| 신상 정보 | |
| 출생일 | 1364년 4월 5일 (원 지정 24년 3월 3일) |
| 사망일 | 1424년 3월 22일 (명 영락 22년 2월 22일) |
| 매장지 | 우창 롱췐산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홍무제 |
| 어머니 | 호비 |
| 배우자 | 정보 없음 |
| 자녀 | 주몽총, 발릉 도간왕 주몽경, 영안 의강왕 주몽완, 초 장왕 주몽초, 수창 안희왕 주몽위, 숭양 정간왕 주몽악, 통산 정공왕 주몽찬, 통청 장정왕 주몽조, 경릉 순정왕 주몽광, 악양 도혜왕 주몽거, 경하 강정왕 화용 공주 원정 공주 임상 공주 청상 공주 운몽 공주 안상 공주 이양 공주 흥녕 공주 기양 공주 |
| 왕위 정보 | |
| 작위 계승 | 초왕 |
| 재위 기간 | 1370년 5월 2일 – 1424년 3월 22일 |
| 후임 | 주몽완, 장왕 |
| 사후 정보 | |
| 시호 | 초소왕 (楚昭王) |
2. 생애
주정은 주원장(홍무제)의 여섯째 아들로, 생모는 호충비이다. 영락제의 이복 동생이기도 하다. 1364년에 태어났는데, 그가 태어난 해에 주원장이 무창을 함락시키자 초왕에 봉해졌다. 정식 임명은 홍무 3년에 이루어졌다. 홍무 14년에는 부임지인 무창부로 부임했다.
주정은 군사적, 문화적으로 뛰어난 인물이었다. 1385년과 1397년 등 여러 차례 소수민족 반란을 진압하였고, 문화인으로서 많은 저작을 남겼다. 영락제 치세에는 우종인과 종정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1424년에 61세로 사망하였고, "소(昭)"라는 시호를 받아 초소왕(楚昭王)으로도 불린다. 사후 무창 영천산에 묻혔으며, 아들 주맹완이 초왕 작위를 계승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갑진년(원 지정 24년) 3월 3일(1364년 4월 5일) 주원장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났을 때, 명 태조 주원장의 군병이 무창을 함락하였는데, 주원장은 매우 기뻐하며 군신들에게 "武昌古何地也"라고 하였고, "子长,予楚"라고 말했다.[1] 홍무 3년 (1370년) 4월 7일 주정을 제왕(齊王)으로 봉하고 제왕의 인장을 주조하였으나, 세 번이나 실패하였다. 주원장은 과거 초나라에 봉했던 일을 기억하여 주정을 초왕(楚王)으로 다시 봉했다.[1] 홍무 14년 (1381년) 4월 22일 무창부를 번으로 받았으며, 정원후 왕필의 딸 왕씨를 비로 맞이하였다.[1]2. 2. 군사적 활동
1385년, 주정은 탕화, 주덕흥과 함께 퉁고와 쓰저우 (지금의 구이저우성 안)의 소수민족 반란을 진압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 1397년에는 고주 (지금의 구이저우성 안)의 소수민족 반란을 토벌하는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1] 사주에서 소수 민족의 반란 평정에도 공을 세웠다.[2] 이러한 군사 활동은 명나라 초기의 중앙 집권 강화를 위한 조치로 볼 수 있지만, 이 과정에서 소수민족의 문화와 자치권이 훼손되었을 가능성도 있다.2. 3. 문화적 업적과 사망
주정은 문화인으로서 뛰어났으며, 많은 저작을 남겼다. 영락제 치세에 우종인에 임명되었고, 영락 원년에 종정에 임명되었다. 또한 사주에서 소수 민족의 반란 평정에 공적이 있었다.[1] 1424년 61세로 사망했으며, "소"라는 시호를 받았다.[1]3. 가계
주정은 다음과 같은 가계를 가지고 있다.
주정에게는 아들 10명과 딸 9명이 있었다. 초장왕 주맹완은 초왕비 왕씨 소생, 숭양정간왕 주맹위는 반씨 소생, 통산정공왕 주맹약은 이씨 소생, 통성장정왕 주맹찬은 화씨 소생이다. 나머지 아들들과 딸들은 누구의 소생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3. 1. 배우자
1363년에 태어나 1397년에 사망한 초왕비 왕씨는 정원후 왕필의 딸로,[2][3] 홍무 12년(1379년)에 초왕비(楚王妃)로 책봉되었다. 슬하에 초장왕 주맹완을 두었다.| 배우자 | 자녀 |
|---|---|
| 반씨 부인(潘氏)[4] | 숭양정간왕 주맹위 |
| 이씨 부인(李氏)[5] | 통산정공왕 주맹약 |
| 화씨 부인 | 통성장정왕 주맹찬 |
| (이름 불명) | 발릉도간왕 주맹총, 영안의간왕 주맹경, 수창안희왕 주맹초, 경릉순정왕 주맹조, 악양도혜왕 주맹궝, 강하강정왕 주맹거 |
| (이름 불명) | 화용군주 (마주와 혼인), 원강군주[6], 임상군주[6], 청상군주 (경수와 혼인), 운몽군주[6], 안향군주 (위녕과 혼인), 례양군주 (장감와 혼인), 흥녕군주 (걸륭과 혼인), 기양군주 (이징과 혼인) |
3. 2. 자녀
| 이름 | 생몰년 | 비고 |
|---|---|---|
| 파릉도간왕(巴陵悼簡王) 주맹총 | 1381년 5월 23일 ~ 1397년 4월 14일 | 서장남 |
| 영안의간왕(永安懿簡王) 주맹형 | 1382년 5월 12일 ~ 1432년 | 서차남 |
| 초장왕(楚莊王) 주맹완 | 1382년 ~ 1439년 | 적3남, 왕필의 딸 초왕비 왕씨 소생 |
| 수창안희왕(壽昌安僖王) 주맹작 | 1383년 ~ 1440년 | 적4남 |
| 숭양정간왕(崇陽靖簡王) 주맹위 | 1387년 4월 10일 ~ 1448년 | 서5남, 반씨 소생 |
| 통산정공왕(通山靖恭王) 주맹약 | 1388년 2월 12일 ~ 1444년 | 서6남, 이씨 소생 |
| 통성장정왕(通城莊靖王) 주맹찬 | 1389년 10월 6일 ~ 1455년 | 서7남, 화씨 소생 |
| 경릉순정왕(景陵順靖王) 주맹소 | 1393년 2월 16일 ~ 1447년 1월 8일 | 서8남 |
| 악양도혜왕(岳陽悼惠王) 주맹관 | 1394년 3월 15일 ~ 1426년 | 서9남 |
| 강하강정왕(江夏康靖王) 주맹거 | 1412년 ~ 1474년 | 서10남 |
| 화용군주(華容郡主) | ? ~ ? | 장녀, 마주(馬注)와 혼인 |
| 원강군주(沅江郡主) | ? ~ ? | 차녀, 요절 |
| 임상군주(臨湘郡主) | ? ~ ? | 3녀, 요절 |
| 청상군주(清湘郡主) | ? ~ ? | 4녀, 경수(耿琇)와 혼인 |
| 운몽군주(雲夢郡主) | ? ~ ? | 5녀, 요절 |
| 안향군주(安鄉郡主) | ? ~ ? | 6녀, 위녕(魏寧)과 혼인 |
| 예양군주(澧陽郡主) | ? ~ ? | 7녀, 장감(張鑑)과 혼인 |
| 흥녕군주(興寧郡主) | ? ~ ? | 8녀, 갈륭(葛隆)과 혼인 |
| 기양군주(祁陽郡主) | ? ~ ? | 9녀, 이징(李澄)과 혼인 |
4. 묘소
1990년 12월 5일부터 1991년 1월 10일까지 후베이성 문화재 고고학 연구소가 주관하고, 우한시박물관과 우창현박물관의 고고학자들이 참여하여 명 초소왕묘를 공동 발굴하였다. 발굴된 유물들은 당시 명나라 황실의 생활상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Ming shilu, Vol.116
[2]
서적
Records of Ming Taizu, Vol 122
[3]
문서
楚妃王氏壙誌 (Chu fei Wang shi kuang zhi)
[4]
서적
Records of Ming Yingzong, Vol 163
[5]
서적
Record of Ming Yingzong, vol 118
[6]
문서
died you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