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소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소공주는 조선 세종의 첫째 딸로, 1412년에 태어났다. 1418년 세종이 왕세자가 되면서 왕녀 아기씨가 되었고, 세종 즉위 후 공주로 봉해졌다. 1424년 완두창으로 13세의 나이에 사망했으며, 본래 정혜였던 시호는 정소로 고쳐졌다. 세종은 정소공주를 각별히 아꼈으며, 그녀의 죽음에 큰 슬픔을 느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2년 출생 - 희령군
희령군은 조선 태종의 열 번째 아들로, 이름은 타이며, 1433년에 군에 봉해졌고,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세조가 예장으로 장례를 치르도록 명할 정도로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 1412년 출생 - 홍일동
홍일동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세조 찬위를 도와 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인순부윤, 호조참판 등을 역임했으며 술과 풀피리를 즐기고 호방한 성품과 뛰어난 식성으로 알려져 있다. - 1424년 사망 - 여비 한씨
여비 한씨는 조선에서 명나라 영락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총애를 받았으나, 황제 암살 음모에 연루되어 순장된 인물이다. - 1424년 사망 - 정선공주
태종과 원경왕후의 막내딸인 정선공주는 의산군 남휘에게 시집가 1남 1녀를 두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였고, 손자인 남이는 세조의 총애를 받았지만 역모죄로 처형당했으며, 외손자인 신숙회는 영의정을 지내는 등 후손들이 조선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조선 세종의 자녀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정소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조선 세종의 공주 |
원래 이름 | 貞昭公主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세종 |
어머니 | 소헌왕후 심씨 |
출생과 사망 | |
출생일 | 1412년 |
사망일 | 1424년 4월 3일 (양력) (향년 13세) |
능묘 | |
위치 | 서삼릉 왕자‧공주 묘 |
주소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201-85 |
2. 생애
태종의 셋째 아들인 충녕대군과 경숙옹주 심씨의 첫째로 1412년(태종 12년)에 태어났다.
세종은 첫째 딸인 정소공주를 유독 아꼈다. 바쁜 업무 중에도 딸을 찾아가 직접 학문을 가르칠 정도였다.[1] 정소공주가 죽은 후 세종은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못할 정도로 크게 상심하였다.[2] 정소공주의 장례는 세 명의 공신과 육조의 당상관들이 성문 밖까지 장송할 정도로 크게 치러졌다.[2]
다음은 정소공주를 다룬 작품이다.
1418년(태종 18년), 양녕대군이 폐세자되고 아버지 충녕대군이 왕세자로 책봉되자, 왕녀 아기씨[1]로 신분이 격상되었다. 같은 해에 아버지 충녕대군이 세종으로 즉위하면서 공주로 격상되었다. 그러나 관례를 치르기 전인 1424년(세종 6년) 완두창(마마)에 걸려 1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2] 본래 시호는 정혜(貞惠)였으나 태종의 딸 정혜옹주와 같아서 정소(貞昭)로 고쳤다.[3] 묘소는 고양현에 있다.[4]
3. 일화
4.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출생 및 사망 조부 태종 1367년 ~ 1422년 조모 원경왕후 민씨 1365년 ~ 1420년 아버지 세종 1397년 ~ 1450년 외조부 심온 1375년 ~ 1418년 외조모 순흥 안씨 ? ~ 1444년 어머니 소헌왕후 심씨 1395년 ~ 1446년 동생 문종 1414년 ~ 1452년 동생 정의공주 1415년 ~ 1477년 동생 세조 1417년 ~ 1468년 동생 안평대군 용 1418년 ~ 1453년 동생 임영대군 구 1420년 ~ 1469년 동생 광평대군 여 1425년 ~ 1444년 동생 금성대군 유 1426년 ~ 1457년 동생 평원대군 임 1427년 ~ 1445년 동생 영응대군 염 1434년 ~ 1467년
5. 관련 작품
5. 1. 드라마
참조
[1]
문서
조선 왕녀 칭호
[2]
서적
세종실록 - 왕녀 졸하 및 예장·조묘 도감 설치
[3]
서적
세종실록 - 왕녀 시호 변경
[4]
서적
세종실록 - 정소공주 장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