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제가는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등에서 특정 작품이나 인물을 대표하는 음악을 의미한다. 1950년대 할리우드 영화 스튜디오에서 테마 음악이 중요한 수익원이 되었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주제 음악을 통해 상징성을 얻기도 한다. 주제가는 프로그램의 오프닝 시퀀스나 엔딩 크레딧에 사용되며, 라디오, 비디오 게임, 리믹스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영상 작품의 오프닝이나 엔딩에 주제가가 사용되며, 캐릭터나 선수의 등장 음악, 소매점의 테마송 등 다양한 경우에 '테마'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제가 - Help! (노래)
Help!는 비틀즈가 1965년에 발표한 곡으로, 동명의 영화 《헬프!》의 주제가이자 앨범 《헬프!》의 타이틀곡이며, 존 레논이 비틀즈의 성공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표현하기 위해 작곡하여 여러 국가에서 차트 1위를 석권하며 큰 인기를 얻었고, 다양한 아티스트들에 의해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 주제가 - Circle of Life
《Circle of Life》는 팀 라이스가 작사하고 엘튼 존이 작곡한 《라이온 킹》의 주제가로, 레보 M의 줄루어 오프닝과 엘튼 존을 포함한 연주자들의 참여, 긍정적인 메시지 전달, 다양한 커버와 사회 공헌 활동 기여 등 사회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곡이다.
주제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설명 | 특정 작품을 위해 특별히 작곡된 음악 작품 |
다른 이름 | 메인 테마 테마 음악 |
특징 | |
목적 | 특정 작품의 분위기, 등장인물, 주제를 강조하고 관객의 감정을 유발 |
사용 매체 | 영화 텔레비전 프로그램 라디오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공연 이벤트 광고 |
기능 | 작품의 시작과 끝을 알림 주요 장면과 등장인물을 소개 작품 전체의 분위기를 조성 특정 상황에 대한 감정을 고조 작품을 시청하는 시청자에게 몰입감을 제공 |
제작 과정 | 작품의 내용과 분위기를 반영하여 작곡 |
종류 | 오프닝 테마 엔딩 테마 삽입곡 (인서트 송) 이미지 송 |
중요성 | 작품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 |
역사 | |
기원 | 오페라와 뮤지컬과 같은 극적 작품에서 등장 |
대중화 | 20세기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발전과 함께 대중화 |
추가 정보 | |
주제가와 관련된 용어 | 타이틀곡 주제곡 |
참고 | 사운드트랙 배경음악 |
2. 역사
1950년대부터 테마 음악, 특히 테마곡은 할리우드 영화 스튜디오의 중요한 추가 수익원이 되었고, 많은 스튜디오가 자체 레코딩 부서를 설립했다. 이 시기는 음악과 영화의 보다 체계적인 상호 홍보가 시작된 시기였다.[2] 초기 성공 사례 중 하나이자 매우 영향력 있는 작품은 영화 ''하이 눈(High Noon)''(1952)의 테마곡이었다.[2]
텔레비전 프로그램, 라디오,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주제가가 사용된다.
3. 종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시청자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기 위해 주제가를 사용한다. 몇몇 주제가는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인기곡이 되기도 했다. 영국의 스포츠 프로그램 주제가는 스포츠 자체와 동의어가 될 정도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캐나다에서는 "하키 나이트 인 캐나다(Hockey Night in Canada)"의 주제곡 "하키 테마(The Hockey Theme)"가 제2의 국가로 불릴 만큼 상징적이다.[4] 대부분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짧은 멜로디라도 고유한 주제가를 가지고 있다.국가 스포츠 주제 음악 영국과 아일랜드 축구 매치 오브 더 데이(Match of the Day), 그랜드스탠드(Grandstand), "빅 매치(The Big Match)" 주제곡 크리켓 부커 T. & 더 M.G.'s의 "소울 림보(Soul Limbo)" 모터스포츠 로저 바르소티의 "모터 스포츠", 플릿우드 맥의 "체인(The Chain)"의 베이스라인 테니스 키스 맨스필드의 "라이트 앤 튜운풀" 스누커 더그 우드 밴드의 "드랙 레이서(Drag Racer)" 스키 샘 폰테인의 "팝 룩스 바흐" ("스키 선데이(Ski Sunday)"의 주제곡) 미국 미식축구 조니 피어슨의 "헤비 액션(Heavy Action)" ("먼데이 나이트 풋볼(Monday Night Football)"의 오프닝)
라디오 프로그램에서도 주제가는 프로그램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저스트 어 미닛(Just a Minute)》은 쇼팽의 《분짜왈츠(Minute Waltz)》를 빠른 속도로 연주한 버전을 주제가로 사용한다.
비디오 게임에서도 시리즈를 대표하는 주제가가 존재한다.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프렐류드 테마"는 가장 인기 있는 주제가 중 하나이다.[7][8]
일본에서는 오프닝 테마(opening theme영어[10])를 OP, 엔딩 테마(ending theme / closing theme영어[10])를 ED로 줄여 쓴다.[11][12][13]
3. 1. 텔레비전 프로그램
대부분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매체가 처음 등장한 이후로 주제 음악을 사용해 왔다. 프로그램들은 기존 곡을 각색하거나 특별히 작곡된 다양한 스타일의 주제 음악을 사용했다. 몇몇 주제 음악은 상업적으로 발매되어 인기 히트곡이 되기도 했다.
젊은이고 아름다운(The Young and the Restless), 우리들의 일생(Days of Our Lives), 대관식 거리(Coronation Street)[3]의 음악은 해당 프로그램의 오랜 방영 기간 덕분에 상징적인 음악이 되었다.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스포츠 프로그램과 주제 음악이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스포츠 자체가 주제 음악과 동의어가 된 경우가 많다.
스포츠 | 주제 음악 |
---|---|
축구 | 매치 오브 더 데이(Match of the Day), 그랜드스탠드(Grandstand), "빅 매치(The Big Match)" 주제곡 |
크리켓 | 부커 T. & 더 M.G.'s의 "소울 림보(Soul Limbo)" |
모터스포츠 | 로저 바르소티의 "모터 스포츠", 플릿우드 맥의 "체인(The Chain)"의 베이스라인 |
테니스 | 키스 맨스필드의 "라이트 앤 튜운풀" |
스누커 | 더그 우드 밴드의 "드랙 레이서(Drag Racer)" |
스키 | 샘 폰테인의 "팝 룩스 바흐" ("스키 선데이(Ski Sunday)"의 주제곡) |
게일릭 게임 | 제임스 라스트의 "예거라틴" |
미국에서 스포츠와 관련되어 알려진 주제 음악은 다음과 같다.
주제 음악 | 관련 프로그램 |
---|---|
조니 피어슨의 "헤비 액션(Heavy Action)" | "먼데이 나이트 풋볼(Monday Night Football)"의 오프닝 |
존 테쉬가 작곡한 "라운드볼 록(Roundball Rock)" | NBC의 NBA 중계, "폭스 칼리지 홉스(Fox College Hoops)", 주니어 NBA 챔피언십 주제곡 |
"버글러스 드림(Bugler's Dream)" | ABC와 NBC의 올림픽 경기 중계 |
ESPN의 "스포츠센터(SportsCenter)" 주제곡 | |
"폭스의 NFL" 폭스의 NFL(NFL on Fox) |
캐나다에서는 "하키 나이트 인 캐나다(Hockey Night in Canada)"의 주제곡 "하키 테마(The Hockey Theme)"가 캐나다의 제2 국가라고 불릴 정도로 상징적이다.[4]
대부분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몇 음표에 불과하더라도 특정한 멜로디 주제 음악을 가진다. (예: 로스트(Lost), 에어울프(Airwolf)) 예외적인 경우로 "60분(60 Minutes)"은 태그호이어(TAG Heuer) 스톱워치의 초침 소리만을 사용한다. "바디 오브 프루프(Body of Proof)"는 주제가와 제목 시퀀스가 거의 없다.
대부분의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주제가는 오프닝 시퀀스 동안 연주되지만, "레귤러 쇼(Regular Show)"는 엔딩 크레딧에 주제가가 연주된다.
일본에서는 오프닝 테마(opening theme영어[10])를 OP, 엔딩 테마(ending theme / closing theme영어[10])를 ED로 줄여 쓴다.[11][12][13]
3. 2. 라디오
주제가가 눈에 띄는 라디오 프로그램으로는, 쇼팽의 《분짜왈츠(Minute Waltz)》를 고속 연주 버전으로 사용하는 《저스트 어 미닛(Just a Minute)》, 《바윅 그린(Barwick Green)》을 사용하는 《아처스(The Archers)》, 《슬리피 라군(By the Sleepy Lagoon)》을 사용하는 《사막의 섬 디스크(Desert Island Discs)》, 그리고 "내 도시는 사라졌다(My City Was Gone)"의 연주곡을 사용하는 《러시 림보 쇼(The Rush Limbaugh Show)》 등이 있다.토크 라디오에서는 각 세그먼트를 소개하기 위해 다른 주제가를 자주 사용하며, 음악(대개 어떤 종류의 대중음악)은 종종 논의되는 주제와 관련이 있다. 존 배첼러(John Batchelor)는 매주 방송되는 그의 프로그램 각 세그먼트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매우 극적인 오케스트라 악보 사용으로 유명하다.
3. 3. 비디오 게임
많은 비디오 게임은 시리즈를 대표하는 주제가를 가지고 있다. 현재까지 가장 인기 있는 주제가 중 하나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프렐류드 테마"로, 파이널 판타지 I부터 파이널 판타지 IV까지 대부분 원작 게임들의 타이틀 화면에서 재생되었다. 최신작들도 이 테마를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현대화된 버전으로 엔딩 크레딧에서 재생된다.[7][8]3. 4. 리믹스
크리스털 워터스가 미국 게임쇼 가격 맞추기의 주제가를 컴 온 다운으로 재해석한 것은 주목할 만한 사례이다.[5][6] 이는 가격 맞추기 주제가에 가사가 추가된 최초의 사례이자, 텔레비전 주제가를 바탕으로 한 최초의 노래이며, 게임쇼에서 나온 최초의 노래이다. 또한 2001년 12월 29일자 ''빌보드'' 핫 댄스 클럽 플레이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한 최초의 노래이기도 하다.[5][6]4. 영상에서의 주제가 (일본)
영상 작품에서는 오프닝이나 엔딩에 영상과 함께 주제가가 흐른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경우, 70초에서 100초 정도의 시간이 주어지지만, 60초 미만이거나 120초를 넘는 등 다양하다. 텔레비전 드라마에서는 본편 শেষের 부분에 엔딩곡의 도입부를 넣어 자연스럽게 엔딩으로 이어지게 하는 경우도 있다.
2000년대 이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과 드라마에서는 첫 회나 마지막 회에만 오프닝을 생략하고 엔딩에 원래 주제가를 사용하는 특별한 방식을 쓰기도 한다. 보도 프로그램에서는 초기(1980년대경까지)에 클래식 음악이나 교향악을 편곡하여 테마송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4. 1. 주제가 제작 (일본)
오프닝이나 엔딩에 주어진 시간 제약에 맞춰 곡의 길이를 편곡해야 한다. 작품 제작자의 요청이나 음악 담당자의 판단에 따라, 타이업용 인트로·엔딩에 편곡을 변경한 버전이 제작되기도 한다.[16] [17] [18]보컬 파트는 반주와 독립된 보컬 트랙으로 녹음되기 때문에, 레코드용 녹음이 완료되어 있다면 그것을 편집하여 곡과 맞추면 되므로, TV용으로 다시 녹음하는 경우는 적다. 하지만 노래 방법이나 가사에 차이가 있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곡이 미완성 상태에서 주제가용으로 급하게 1코러스 분량의 녹음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드물게 있으며, 나중에 상품화된 싱글 음반과 편곡이 크게 다른 경우가 있다(ZARD의 「운명의 룰렛을 돌려」 등).
일본 영화의 경우, 텔레비전 드라마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에 비해 스태프롤에 표기되는 양이 많기 때문에, 인트로→1코러스→간주→후렴→엔딩처럼 길게 사용되거나, 풀 코러스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5. 기타
영화나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를 이미지하여 만들어진 음악, 또는 프로레슬링을 비롯한 격투기 선수나 프로야구 선수 등이 시합에 등장할 때 흘러나오는 음악도 "○○(캐릭터명·선수명)의 테마"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예로는 "황제의 행진(인페리얼 마چ)", 별명 "다스 베이더의 테마" 등이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선수를 위해 만들어진 오리지널 곡 외에 기존의 곡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 소매점을 위해 만들어져 점포 방송에서 자주 흘러나오는 노래도 "○○(소매점 이름)의 테마송"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참조
[1]
사전
theme song
https://www.abc-clio[...]
ABC-CLIO
2018-02-03
[2]
학술지
"Do Not Forsake Me: The Ballad of High Noon" and the Rise of the Movie Theme Song
https://www.sensesof[...]
2003-10-01
[3]
웹사이트
Are TV theme tunes 'real' music?
https://www.classica[...]
[4]
뉴스
Canada's 'second national anthem' silenced after nearly 40 year run
http://www.canada.co[...]
2015-07-02
[5]
웹사이트
Pearson Television Music Publishing
http://www.discogs.c[...]
[6]
잡지
Hot Dance Club Songs
http://www.billboard[...]
2015-03-12
[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Final Fantasy
http://www.gamespot.[...]
CNET Networks, Inc.
2019-04-02
[8]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Final Fantasy: From I to XII, we catch you up on the facts.
https://web.archive.[...]
2007-01-19
[9]
웹사이트
主題歌(シュダイカ)とは
https://kotobank.jp/[...]
朝日新聞社
2016-04-03
[10]
웹사이트
英語学習・TOEIC対策・英辞郎 on the WEB
http://www.alc.co.jp[...]
アルク
2016-04-03
[11]
웹사이트
アニメ主題歌情報一覧
https://web.archive.[...]
エムティーアイ
2016-04-03
[12]
웹사이트
【特集】ドラマ主題歌 [16年 春 4月期]
http://www.hmv.co.jp[...]
ローソンHMVエンタテイメント
2016-04-03
[13]
웹사이트
ごちうさ:OP、EDがそろってオリコントップ10入り
https://mantan-web.j[...]
MANTAN
2015-11-17
[14]
문서
仮面ライダーアギト 이후 거의 모든 작품. 仮面ライダー響鬼 중반까지와 仮面ライダーセイバー는 예외.
[15]
문서
クレヨンしんちゃん, ONE PIECE 등 방송 도중 엔딩 테마가 폐지된 작품도 있다.
[16]
문서
ルパン三世(제1시리즈)의 오프닝 테마 「ルパン三世主題歌I」는, 가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ルパンザサード」의 구절이, 텔레비전용은 영어 발음인 반면 레코드용은 가타카나 발음이 되어 있다.
[17]
문서
助け人走る의 주제가는, 제작 당시의 사회적 사정으로 인해 의도적으로 가사의 일부를 변경하여 부르고 있다(『必殺シリーズ オリジナル・サウンドトラック全集3 助け人走る/必殺剣劇人』(1996년, 킹레코드)의 음악 해설보다).
[18]
문서
電光超人グリッドマン의 주제가처럼, 인트로와 코다만 텔레비전용으로 별도 녹음한 것을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電光超人グリッドマン オリジナル・サウンドトラック』(2019년, disc union)의 음악 해설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